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Case Study: Academic Adaptation of Chinese Doctoral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배영죽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한국은 아시아에서 좋은 고등 교육 환경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아시아 학생들의 유학 목적지 중의 하나이다. 최근의 한국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유학생들이 새로운 교육 환경인 국내 대학에서 어떻게 학업적인 성공을 거두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결국 중국 대학원 유학생들의 국내 대학 학업 적응 문제는 유학생들의 학업 경험과 학업 성취에 있어 필수적인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W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 박사과정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중국인 대학원생들의 학업적 적응에 연구의 목적을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기간은 코로나 상황인 2020년-2021년도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2년 동안 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 온라인 및 현장 강의 관찰, 참가자와 연구자와의 대화, 참가자의 소셜미디어 웹로그 활동 등을 활용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브라운과 클라크의 주제별 분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문적인 적응 과정에 있어서, 중국 대학원생들의 학문적 기대는 학습자의 자기 성장에 대한 기대, 국내 대학 교수자에 대한 기대, 국내 대학 교육 환경에 대한 기대를 포함하여 3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중국 유학생들의 학문적 기대는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 동기를 촉진 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드러냈다. 둘째, 중국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에서 직면하는 학문적 어려움은, 한국어나 영어를 배워야 되는 언어적 장벽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더불어서, 학부나 석사에서 본인이 전공하지 않은 전공을 박사에서 선택할 경우, 전공지식과 관련된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W 대학에서 학업 적응을 하기 위한 중국 대학원 유학생들의 대처 전략은 학습자의 개인적인 노력과 학습능력 활용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개인적 노력은 자기인식, 계획목표,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자기평가, 자기반성 등의 6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학생들의 학업 적응을 위한 여러 가지 제안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 유학생들이 학업적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본인이 그동안 익힌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어떻게 어려움을 해결할 지 구체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 둘째, 목표에 따라서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한다. 셋째, 중국 유학생은 스스로 내적 학습 동기를 자극하여 무엇을 공부할지 학습 목적을 명확히 확립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적응에 관련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주변 학습 환경을 지혜롭게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중국 유학생 스스로 본인의 유학생활에 대한 자기평가와 자기성찰이 필요하다. 위의 여러 가지 제안점은, 중국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에서 경험하게 되는 학업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미래의 학업 진로를 원활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Korea is one of the main destination for Asian students because it has appropriate study fees and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In fact, according to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s, the numbe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s on the rise. In the process of studying abroa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may be more challenging than their previous before.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re eager to know how achieve academic success in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academic adaptation is vital pa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academic experi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re is a group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Chinese university instructors as doctoral students who need to develop professional career competence and improve their academic level. Even university instructors i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ill have obstacles to academic adaptation in the face of new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the key factors that predict success or failure in academic adaptation from academic adapta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doctoral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explored the progress of academic adaptation of W University's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s a case study, which is an empirical survey. The study began in 2019 Fall semester and ended in 2021 Spring. During the four semesters, four in-depth interview, multiple online and on-site classroom observations, informal conversations, and social media web logs were conducted for four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and used thematic analysis by Braun and Clark. Then it determined the dimensions of academic difficulties for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 Korea's academic life. Finally, it constructed an academic adaptation strategies framework for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e study findings are listed as follows. Firstly, in academic adaptation, the academic expectations of Chinese international doctoral students a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learners' expectations for self-growth, learners' expectations for educators, and learners' expectation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 certain academic expectation can promot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Learners who are academic process-oriented have higher self-confidence in their upcoming academic career than learners who are academic result-oriented to obtaining a doctoral degree and can adapt to the academic life in the host country faster. Second, the academic difficulties faced by Chinese students in their academic careers contains two secondary dimensions: language barriers, academic challenges. Third, the coping strategies for the academic adaptation in foreign country divided into two dimensions: learners' instinct efforts and utilizing learning skills. Specifically, learners' instinct efforts were divided into six secondary dimensions: self-cognition, planning goal,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valuation, and self-reflection. These six secondary dimensions interact and constitute a circular adaptation process to deal with academic difficulties. In addition, the utilizing learning strategies are helpful for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o adapt to academic life. Therefore, this study constructs a five-step framework for academic adaptation. In the face of academic difficulties, the first step is for learners to make self-awareness and understand the knowledge and skills they have mastered. The second step is to make a plan and break it down into small goals. Then, the third step is to stimulate the internal learning motivation and establish the learning purpose. The fourth step is to help learners overcome learning difficulties in self-directed learning. The fifth step is self-evaluation. The five-step academic adaptation framework focuses on reflection, and reflection behavior repeatedly appears in each step to help learners implement better. In short, the five-step academic adaptation framework to achieve the goal of help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overcome academic difficulties and adapt to their academic careers smoothly.

      • A Stud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EMI) Courses at a Korean University

        이용직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Due to the inter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many universities in East Asia provide 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EMI)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However, previous studies may not have strategically explored the perception and attitudes of EMI courses for international graduate programs. Recognizing the gap in the literature, this thesis specifically focused on Chinese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of EMI courses in a Korean university. By implementing a mixed-method research design, this study explored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English language learn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EMI courses regarding 1)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2) their self-evaluation of English language ability, and 3) their satisfaction after taking EMI courses. Data collection comprised an end-of-semester survey (n=46)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n=4).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MI courses could enhance international students'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effectively. 2. EMI courses could improve international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in terms of reading and vocabulary ability. 3. International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EMI courses and are willing to take EMI courses continuously. However, the interview analysis showed that it was challenging for a few international students to improve their English speaking ability due to limited opportunities to speak English during graduate-level courses. These study results suggest several recommendations to provide practical EMI courses for teaching diverse international students, includ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세계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 많은 대학들이 유학생들을 위한 수업방법으로 영어매개 수업(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는 대부분 영어매개 수업을 통한 국내 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나,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영어매개 수업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영어매개 수업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혼합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의 영어매개 수업을 통한 1) 본인의 콘텐츠 지식 개발 정도, 2) 본인의 영어 실력 자가 진단 평가, 3)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2022년 1학기를 통해 이뤄졌으며, 연구 데이터는 학기말 EMI수업 설문조사(n=46)와 개별 인터뷰(n=4)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에 재학 중국 유학생 유학생들은 영어매개 수업이 본인의 콘텐츠 관련 지식을 효과적으로 향상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영어매개 수업을 수강한 후 중국 대학원 유학생들은 본인의 영어 실력이 향상될 수 있다고 자가 진단했다. 셋째, 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은 영어매개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보였다. 하지만 인터뷰 결과를 살펴보면, 초급 수준의 영어 실력을 가지고 있는 중국 대학원 유학생들은 영어매개 수업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EMI 수업의 한계점도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다양한 유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영어매개 수업을 위한 여러 가지 제안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전국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6차ㆍ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수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알고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제6차와 7차의 개정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을 사항을 알아보고, 초등음악교육을 담당하는 전국 11개 교육대학교의 음악관련 교과목을 다각도로 집중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중 음악관련 교양과정과 전공과정의 교과교육, 교과교육실기, 특별 및 재량활동, 심화과정의 교과목 개설현황과 강의내용을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 비교하고, 각 교육대학교 음악관련 교과목의 강의내용을 통하여 국악 관련 교과목과 양악 관련 교과목의 비율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가창곡과 감상곡의 비율을 국악과 양악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위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교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6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 개정시 몇몇 교대의 교과목 축소 및 명칭 변화가 있었고, 그 외 교대는 기존 교과목 그대로 개설하고 있었다. 개설 교과목 중에서는 국악 관련 교과목이 상대적으로 부족 하였다. 둘째, 교과목 강의내용 분석결과, 강의내용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국악은 한 교과목 안에서 통합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반면, 양악은 세분화하여 가르치고 있어 상대적으로 양악 교과목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음악관련 교과목의 국악과 양악의 비율을 알아본 결과 제6차에서 7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전공과정과 심화과정의 국악교과목이 전공과정10%, 심화과정 4%로 확대되었지만 양악 교과목과 비교 했을 때 국악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국악과 양악 비율을 알아본 결과 6차 교육과정 때 국악의 총 비중은 국악 32.4 % 양악 67.6%, 7차 교육과정 때 국악의 총 비율은 40.7%, 양악 59.3 % 이다. 6차 교육과정 과 7차 교육과정을 비교 했을 때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 국악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정도 확대 되었다. 제6차ㆍ제7차 교육과정에서 개정 중점 사항으로 국악교육을 강조하고 있어 초등학교 교과서의 국악 관련 내용은 확대하고 있으나, 교육대학교 교육과정 교과목은 확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개정되었지만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강의내용에 큰 변화가 없었다. 즉,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음악교육과 연계성이 부족하여 초등교사가 현장 교육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교육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음악교육을 정상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성 있는 교육대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개선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hanges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resulting from the 6th and 7th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with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 recognized. This study has examined fpllowings;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related to the 6th and 7th reform has been discussed and subjects related to music of 11 Edcatiomal colleges which are in charge of music class across the nation have been analyzed with the variety of views.. To analyze them, the curriculum and realities of general and majoring courses, subject teaching practice, special and free activities, advanced class which are related to music have been aompared with each other between 6th and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and domgs for singing and songs fir appreciation. The results of yj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alities of subjects learned in colleges, some subjects of some colleges are minimized or their names are changed in the process of reform of 6th into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other colleges remain the same. The subjec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insufficient relatively. Second, in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significant changes have not been fiun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generally taught in one subject but western music is taught in detail in many different subjects, so it has been found that music education lays heavy importance for western music. Third, in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up by 10% in majoring courses and 4% in advabced courses, but the rat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us small relatively. Fourth, in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accounted for 32,4%, western music for 67.6% in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bu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40.7% and western music 59.3%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by 10%.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e 6th and 7th reform of educational curriculum is the emphasi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o the rat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has increased but the subjects of education colleges have not been enlarged. In other words, teach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are changed but learning contents of education college are not. The curriculum of 11 education colleges across the nation has the insufficient relationship with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hich means that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teaching music. Therefore, the curriculum of music department of education college should be inoruved and changed appropriate for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재 현황과 개발 방안 : 울란바타르대학교 교재를 중심으로

        푸레브오치르 아디야수렝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of developing a new textbook by analyzing Korean textbook, which is used when Mongolian native speaker learns Korean language at home in Mongolia and by solving problems. There has been almost no textbook that was developed in Mongolia so far, thus the textbook,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is being mainly used. The majority of these textbooks are those that were developed mainly by having a proposition as what diverse foreigners learnt in Korea. As for the textbook, which is being used, what the grammar description and the text content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or Japanese is difficult to be said to be the textbook that was developed targeting the specific language region. A case of learning Korean language outside Korea is different from inside Korea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several aspects including the learner-group formation or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will analyze (centering on Ulaanbaatar University in Mongolia) Korean textbook, which is now being used, by grasp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actual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will examine about the contents necessary for the textbook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n Mongolia, and will present a plan for development. Chapter 1 presen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nd, this is aimed to suggest a plan for examining and developing the constituent contents of Korean textbook, which is used when Mongolian native speaker learns Korean language domestically in Mongolia. Also, a method of this study was brought forth. Namely, as for Korean textbook, there were many arguments that diverse textbooks need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a learner's type.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actually targeting learners in the Mongolian language zone. Consequently, regarding development in this textbook, there is necessity of examination based on what was researched in diverse directions. Chapter 2 examined the history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present status of Korean-language education, and assignments. What Korean-language lecture was opened at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unde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as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March 1990 did open a new chapter of Korean-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Since then, many special universities have been established. And, as Korean language is taught as a minor in local region,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me to increase considerably. In addition, it is tendency that even the middle-and-high schools, which teach Korean language, are increasing and that the additionally small-and-mid institutes, which are the ir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re gradually growing. Given examining the Korean curriculum in Mongolia, the Korean major subject is being operated in the form that was mixed function and knowledge education from the basic Korean to the advanced Korean. Chapter 3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the textbook, which is used at Ulaanbaatar University and analyzed some Korean textbooks. In other words, this university is using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University in Korea. Also, targeting Korean-language learners at Ulaanbaatar University, the survey of a response to the actually used textbook was conducted. This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September of 2007, and was surveyed targeting totally 69 students in sophomore and junior at the Korean-language department.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resented in relation to learner's goal and motive, satisfaction at the currently-used textbook, whether or not possibility of utilizing textbook when learning this textbook alone, the field that needs to be focused in the textbook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economic problem about textbook, contents of textbook, or whether or not definitude, whether or not causing a learner's interest in textbook, and which textbook do learners want. Chapter 4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bout the textbook that is being used now at Ulaanbaatar University, and whether or not being appropriate for using each textbook.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ponse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the existing textbook targeting Korean-language learners, the problems were solved, and a plan of developing the new textbook was suggested. 이 논문은 몽골어 모어 화자가 몽골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몽골에서 개발된 교재가 거의 없어서 주로 한국에서 개발된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교재들의 대부분은 주로 다양한 외국인이 한국에서 학습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된 것이다.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는 문법 설명이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일본어로 번역된 것은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교재라고 하기는 어렵다. 한국 국외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는 학습자 집단 구성이나 교과 과정을 비롯하여 여러 면에서 학습 환경이 한국 국내에서와는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제로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분석을 하고 (몽골에서의 울란바타르대학교를 중심으로)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교재에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고 개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울란바타르대학교는 다른 대학교보다 한국어 교육을 시킨 지 가장 오래된 대학교들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몽골의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학교를 시작되었고 따라서 한국어 교육 경험이 있다. 저도 전에는 이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에 다니었던 자로서 울란바타르대학교에 대하여 알고, 경험이 있다고 해서 본 연구를 울란바타르대학교 중심으로 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였고 이는 몽골어 모어 화자가 몽골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한국어교재의 구성 내용을 검토 및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즉, 한국어 교재는 학습자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는데 실제로 몽골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별로 없다. 따라서 이 교재 개발에 관해서는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된 것을 바탕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70년대에 들어와서야 시작되었다. 기존 교재 분석 연구로서 권미정(1991), 김정숙(1992)의 논의된 제안을 반영하였고 또한 본 연구의 방법, 선행 연구를 제시하였다. 기존 교재의 분석 다음에 효과적인 교재 개발과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백봉자(1988, 1991), 구장희(1991), 김영기(1991), 이정노(1991)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또한 몽골 국내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실태를 살펴보며 쟁점을 사항을 논의한 논문들이 2000년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2장에서는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 역사 및 한국어교육에 대한 현황 및 과제를 알아 보았다. 1990년 3월 한국과 몽골의 국교가 수립되면서 외무부 산하 동양학연구소에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된 것이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그 후 몽골국립대학교 (1991), 몽골국립외국어대학 (1992), 울란바타르대학 (1995), 어르흥대학교에서도 외국어학부에 한국어학과가 98년도에 개설되어 2000년대 이후 국립사범대 (2000년), 세루르크대학 (2001년), 몽한기술대학 (2002년), 몽골국립공과대학교 (2003), 지방에서는 부전공으로 가르침으로써 정규교육기관의 한국어 학습자가 상당수 늘어나게 되었다. 그 뿐 아니라 중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학교가 늘어나고, 그밖에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비정규 교육기관인 크고 작은 학원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한국어 전공과목은 기초 한국어부터 고급한국어까지 기능 및 지식 교육 혼합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3장에서는 울란바타르대학에서 사용되는 교재에 대하여 현황을 알아 보았으며, 일부 한국어 교재의 분석을 하였다. 즉, 본 대학교는 한국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에서 나온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 본 교재들은 한국에서 다양한 외국학생들을 위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몽골어권 학습자들한테 안 맞는 문제점들이 많이 나온다. 또한 교재 중 일부 교재에는 문법 설명에나 본문 내용이 영어나 일본어로 번역된 것도 있지만 이것은 특정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교재라고 하기는 어렵다. 몽골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는 학습자 집단 구성이나 교육 과정을 비롯하여 여러 면에서 학습 환경이 한국 국내에서와는 다르다. 본 대학교의 한국어학과는 1993년 울란바타르(UB)대학교에서 한글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태동되었고, 1995년 대학설립인가를 얻음으로써 몽골에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학교육을 시작했다. 200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고 한국어학과 내에 한국학과를 새로 개설하게 되었다. 2004년 통계로 한국어통역사 및 한국학 전공 이수자 수는 171명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울란바타르대학교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로 사용한 교재에 대한 반응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2007년 9월달에 실시하였으며 한국어학과 2학년, 3학년 총 6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학습자의 목적, 동기, 현재 사용되는 교재에 대한 만족, 본 교재를 혼자서 학습할 때 교재 활용 가능 여부, 앞으로 개발할 교재에 중점을 두어야 되는 분야, 교재에 대한 경제적인 문제, 교재의 내용이나 명확성 여부, 그리고 교재의 학습자 흥미 유발 여부, 학습자들이 어떤 교재를 바라고 있는가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현재 울란바타르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나 문제점과 각 교재를 사용하는데 적합 하는 것인가에 대해 검토하였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기존 교재에 대하여 실시한 반응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중국 사범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정서지능, 학업자기효능감, 전문적 헌신의 구조적 관계

        이단단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중국 사범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정서지능, 학업자기효 능감 및 전문적 헌신의 구조 관계를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 고등기육기관에 재학 중인 사범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중국 충칭시, 산시성, 허난성의 사범대학교에 재학 중인 사범대학생을 선 정하였다. 향후 데이터 분석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 지 작성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셜 플랫폼 채널을 통해 설문지를 테스 트 대상자에게 전송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총 1,135 개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1,120 개(회수율 98.67%)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1120 개 의 설문지는 모두 유효였으며, 모두 이 연구에서 분석에 이용되었다. 이 연구의 측정도구는 1)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2) 정서지능 측정 도구, 3) 학업자기효능감 측정도구, 4) 전문적 헌신 측정도구이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사범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중 친구 지지수준이 가장 높 고 타인 지지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사범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1) 중국 사범대학생의 성별 사회 적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2) 중국 사범대학생의 출생지별 사회 적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3) 중국 사범대학생의 학년별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4) 중국 사범대학생의 전공별 사회적 지 지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5) 중국 사범대학생의 교사직 자원 여부별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6)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학원 진 학 의도별 사회적 지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7) 중국 사범대학생 의 가정 경제 상황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중국 사범대학생의 정서지능 중 타인 정서 조절 수준이 가장 높고 정서 지각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사범대학생 의 정서지능 차이를 분석한 결과, (1) 중국 사범대학생의 성별은 정서 지능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2) 중국 사범대학생의 출생지별 정서지 능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3) 중국 사범대학생의 학년별 정서지능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4) 중국 사범대학생의 전공별 정서지능에 유의 한 차이가 있다. (5) 중국 사범대학생의 교사직 자원 여부별 정서지능 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6) 중국 사범대학생의 대학원 진학 의도에 따른 정서지능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7) 중국 사범대학생 가정 경제 상황에 따른 정서지능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셋째, 중국 사범대학생의 학업자기효능감 중 학습능력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높고 학습행위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중국사범대학생의 학업자기효능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1) 중국사범대학생의 성별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2) 중 국사범대학생의 출생지별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3) 중국사범대학생의 학년별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4) 중국사범대학생의 전공별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5) 중국사범대학생의 교사직 자원 여부별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 이 가 없다. (6) 중국사범대학생의 교사직 자원 여부별 학업자기효능 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7) 중국 사범대학생의 가정 경제 상황에 따른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넷째, 중국 사범대학생의 전문적 헌신 중 정서적 헌신 수준은 가장 높고 지속적 헌신 수준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사범대학 생의 전문적 헌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1) 중국사범대학생의 성별 전문적 헌신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2) 중국사범대학생의 출생지별 전문적 헌신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3) 중국사범대학생의 학년별 전 문적 헌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4) 중국사범대학생의 전공별 전문 적 헌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5) 중국사범대학생의 교사직 자원여 부별 전문적 헌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6) 중국사범대학생의 대학 원 진학 의도별 전문적 헌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7) 중국사범대학 생의 가정 경제상황에 따라 전문적 헌신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다섯째, 중국 사범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전문적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자기효능감은 연쇄적 매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중국 사범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정서지능, 학업자기효 능감, 전문적 헌신의 전반적인 수준 및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 함으로써 중국 사범대학교에서 교사를 양성하는 데 기초 자료로 제 공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교는 교사 양성 교육 체계를 강화하고, 그 들의 사회적 지지, 정서지능, 학업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 한 현실적인 교육 체계와 교육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생의 전문적 헌신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학업 종료 후 교사로서의 직업을 선택할 의향을 높이고, 중국 기초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commitment of Chinese normal students. The study took undergraduate normal students from Chinese Universities as participants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participants, majoring in Education, Literature, Mathematics, Chemistry, English,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English, Mathematics, Geographic Science, Physical Science, Music Education, and Art Education. were normal students from several Normal Universities. The study employed an online questionnaire system to facilitate subsequent data analysis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to participants through various social media platforms. 113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120 valid samples were retained after excluding invalid questionnaires.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include 1)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Measurement Tool; 2) the Emotional Intelligence Measurement Tool; 3) the Academic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 4) the Professional Commitment Measurement Tool.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iendship support possessed the highest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Chinese normal universities, while support from others was the lowest.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Chinese normal student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y gender; (2)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y birthplace; (3)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y grade; (4)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y majors; (5)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y normal major application preference; (6)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y Postgraduate Entrance Examination intention;(7)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y normal students’ family financial situation. Second, as for Chinese normal students'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emotional management levels were highest, while emotional perception was lowest.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hinese norma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gender; (2) There is no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birthplace; (3)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grade; (4)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major; (5) There is no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normal major application preference; (6)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Postgraduate Entrance Examination intention; (7) There is no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y family financial situation. Third, as for Chinese normal students'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self-efficacy in learning ability was highest, conversely self-efficacy in learning behavior was lowest. The differences in Chinese norma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y gender; (2) There is no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y birthplace; (3)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y grade; (4)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y major; (5) There is no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y normal major application preference; (6)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y Postgraduate Entrance Examination intention; (7)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by family financial situation. Fourth, as for Chinese normal students' level of professional commitment, affective commitment was highest, while continuance commitment was lowest. The differences in the Chinese normal students' level of professional commitment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in professional commitment by gender; (2) There is no difference in professional commitment by birthplace; (3) There is a difference in professional commitment by grade; (4) There is a difference in professional commitment by major; (5) There is a difference in professional commitment by normal major application preference; (6) There is a difference in professional commitment by Postgraduate Entrance Examination intention ;(7) There is a difference in professional commitment by family financial situation. Fif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play a chained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professional commitment among Chinese normal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level of understanding in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o provide foundational support for the cultivation of normal students in Chinese normal universities.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improve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by developing practical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of social suppor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ly through these measures can we inspire students to thrive in their professional commitment, encouraging them to pursue a teaching career after completing their studies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basic education in China.

      • 중국 대학교원의 직무 자율성, 인식된 조직적 지원, 직무 부담, 역할 갈등이 정서적 소진을 매개로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유창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emphasis on quality education has brought new challenges to Chines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faculty. Work engagement plays a critical role in improving university faculty's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 quality.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work autonom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orkload, role conflict, and emotional exhaustion on the work engagement of university faculty in Chin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ion. This study adopted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with a sample of 521 university faculty members in China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were obtained. Firstly, work autonom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workload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niversity faculty's work engagement. Role conflict and emotional exhaustion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rk engagement. Secondly, the analysis of mediation effects reveals that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ly mediates the positive effects of work autonom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work engagement.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ly mediates the negative impacts of role conflict on work engagement. While Chinese university faculty's workload positively impacts their work engagement, emotional exhaustion negatively mediates this relationship.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contributes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the context of university faculty in China.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more nuanced classification of job demands within the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varying nature of specific job demands and contexts. The study also enriched the model by identifying th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exhaustion. The study provided practical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work engagement of Chinese university faculty. Universities in China should take steps to guarantee work autonomy among university faculty and enhance organizational support. Meanwhile, universities should assign proper workload to faculty members, and alleviate role conflict among them. Besides, universities and university faculty should actively prevent and address the issue of emotional exhaustion. Interventions should be leveraged holistically to mitigate emotional exhaustion and promote the work engagement of university faculty. 전 세계적인 교육의 질 강조는 중국 대학과 대학교원들에게 새로운 도전의식을 불러일으켰다. 그 중 직무 열의는 대학 교원의 직무 성과를 향상시키고 대학교육의 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직무요구-직무자원 모델(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적용하여 직무 자율성, 인식된 조직적 지원, 직무 부담, 역할 갈등 및 정서적 소진이 중국 대학교원의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특히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연구 설계를 채택하고 중국 대학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21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자율성, 인식된 조직적 지원과 직무 부담이 대학교원의 직무 열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 갈등과 정서적 소진은 대학교원의 직무 열의에 부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에 따르면, 정서적 소진은 직무 자율성과 인식된 조직적 지원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정적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한편으로는 정서적 소진은 역할 갈등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서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 대학교원들의 직무 부담은 직무 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적 소진의 증가함에 따라 이런 영향을 약화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요구-직무자원 모델의 관점에서 중국 대학교원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직무요구 사항과 직무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직무요구 사항을 더 자세하게 분류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 소진의 완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원의 직무 열의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인 제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대학들은 교원의 직무 자율성을 보장하고 조직적 지원을 강화하는 조치를 통해 교원의 직무 부담을 합리적으로 배분해 역할 갈등을 완화해야 한다. 또한, 대학과 대학교원은 정서적 소진 문제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함으로써 대학 교원의 직무 열의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 중국 사립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유륜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중국 사립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적경제 경영학과 사회적경제전공 유륜륜 지도교수 김동주 최근의 청년 실업 문제와 취업 난으로 인해 고용 시장이 어려워지 고 있어, 대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부합하는 진로와 일자리 를 얻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졸업생들의 취업 문제는 사립 대학의 미래뿐만 아니라 개별 학생들에게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도 관련이 깊다. 창업은 젊은 인재들 에게 품질 높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사립대학생들이 가진 주도적 성 격, 사회적 지지, 진로 적응력, 그리고 창업 자기효능감이 창업 의지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 사회적 지지, 진로적 응력과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는 어떠한가? 둘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 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는 진로 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창 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주도적 성격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여섯째, 중국 사립대학교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창업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 중국의 절강성 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학생 창업 활동을 연구 대상 으로 설정하였다. 중국 절강성에 위치한 사립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887부의 유효한 응답 데이터를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과 AMOS 25.0을 활용하여 기술적 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 그리고 매개효 과 분석 등의 다양한 통계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도적 성격은 진로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립대학 대학생 중 주도적 성격이 높을수록 진로적응 력이 높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자신의 커리어 계획을 세우 고 환경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며, 동료들과의 관계를 통해 적절한 기회를 발견하고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주도적 성격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성격을 가진 대학생들은 상황에 도전하는 성향이 강하며, 기회를 찾고 개척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창업 의지가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주도적 성격은 창업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성격을 가진 대학생들은 혁신적 사고를 통 해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창업에 필요한 능력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진로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정보, 정서적 지원을 통해 진로 관리를 도와 주고, 대학생들의 진로 적응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다섯째, 사회적 지지는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받은 대학생들은 목표를 실천하고 창업 의지를 실현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여섯째, 사회적 지지는 창업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과정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창업자의 안정감과 자신감을 키워주고, 자기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일곱째, 진로적응력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력을 갖춘 대학생들은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을 갖추어 창업 의지를 높일 수 있다. 여덟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높은 창업자기효능감을 가진 대학생들은 더 강한 신 념과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아홉째, 주도적 성격과 창업의지 간에는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능 감의 간접효과가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열 번째, 사회적 지지와 창업의지 간에도 진로적응력과 창업자기효 능감의 간접효과가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중국 정부는 창업 교육체계를 강화하여 창업 교육의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창업을 원하는 학생들을 위한 자금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 다. 대학생들을 위한 창업 자금 지원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창업 대출, 벤처 투자, 그리고 창업 보조금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창업과 관련하여 정부는 지속적인 정책적 지지와 홍보에 투자 해야 한다. 창업자들에게 유리한 창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사무실, 장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적 재산권 보호를 강 화하고 혁신과 창업을 촉진하며, 창업 등록 및 승인 절차를 간소화해 야 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첫째, 대학 창업 교육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지지 자 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창업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주도적 성격을 강조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창업 교육은 이론적 지식 뿐만 아니라 창업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학생들의 주도적인 성향을 키 우는 데 주력해야 한다. 셋째, 창업 교육과정에 진로적응력을 포함시켜야 한다. 넷째, 사립대학은 창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들의 창업 자신감을 높이는 데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주도적이고 잠재력 있는 창업가를 중점으로 한 교육 프로그 램을 마련해야 한다. 중국 사립대학생들이 선택한 창업 분야에 맞춰 맞춤형 사업가를 초청하여 멘토링하고 지도하여 학생들의 창업 의지 를 증진시킬 수 있다.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으로는 첫째, 현재 연구는 잠재적 창업가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창업 의지와 실제 창업 간의 관련성을 다루지 못하였다. 둘째, 자료수집과 자료의 다양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전국적인 표본을 추출하여 지역별 창업 활 동을 비교하는 연구가 의미 있을 것이다. 또한, 주도적 성격 및 사회 - xviii - 적 지지와 창업 의지 사이의 관계 외에도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탐구 하는 연구 모형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Recently, due to the challenges in the job market, including high youth unemployment and job scarcity,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are finding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secure desired careers and jobs that align with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The issue of post-graduation employment is not only crucial for the future of private universities but also holds significan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as a whole. Entrepreneurship is of great importance as it offers quality job opportunities for young individual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ith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how does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relate to career adaptabilit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hirdly, what is the impa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adaptabilit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Fourthly, how do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fluence entrepreneurship intention among Chines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Fifthly,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Finally,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Zhejiang Province of China, which is characterized by a thriving environment for student entrepreneurship, and collected data from students enrolled in private universities within the region. The survey resulted in 887 valid responses, which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PSS 26.0 and AMOS 25.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career adaptabilit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exhibit higher career adaptability, demonstrating a clear career plan and a proactive approach to changing their environment. Second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Those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tend to challenge the status quo rather than passively accept their roles, actively seek opportunities, and are effective in identifying and seizing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irdly, proactive persona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a proactive personality employ innovative problem-solving techniques, which lead to the discover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otential commercial opportunities, enhancing thei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our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career adaptabilit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provides information, emotional backing, and material assistance, facilitating active career management and enhancing career adaptability. Fif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enable students to pursue their goals and intentions, including entrepreneurial endeavors. Sixthly, social support positively affec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ocial support during the entrepreneurial process assists entrepreneurs in overcoming challenges, increasing self-assurance and confidence in thei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eventhly, career adapt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Higher career adaptability enables students to adapt to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and develop mor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making them more likely to have entrepreneurial intentions. Eighthly,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private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with hi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ve strong beliefs in their ability to overcome current difficulties and to achieve their goals, including starting a business. Ninthly,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well as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practical, and academic recommendations: As a policy suggestion, First,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y strengthening the establishment of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system. Second, the necessary start-up funding support policy must be prepared. The government has observed that it establishes a mechanism for supporting start-up funds for college students and provides start-up loans, venture investments, and start-up subsidies. Third, investment should be made in supporting and promoting start-up policie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low-cost offices, equipment, and services to provide a good start-up environment for founders. The government should als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ncourage innovation and start-ups, and reduce the threshold for registration and approval of start-ups. As a practical suggestion, first, the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system should be abundantly supplemented by sufficiently mobilizing various social support resour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orma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in startu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hould focus more on cultivating the proac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as well as helping college students acquire knowledge of entrepreneurship theory and entrepreneurship practice skills. Third, fostering career adaptability should be included in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Fourth, private universities should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y creating an atmosphere of start-up. Fifth, schools should focus on fostering potential entrepreneurs with strong initiativ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trengthen students' entrepreneurship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by inviting customized entrepreneurs to train and guide mentors according to the field of start-up chosen by these college students. As a proposal for future research, first, it is unclear whether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will lead to actual start-up by dealing with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rather than the actual start-up behavior because college students, who are potential founders, we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ctual start-up process Second, there are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limitations in data diversity. In the follow-up study, it would be meaningful if a comparative study by wide area was conducted by extracting a national samp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research model so that the influence of other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ing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and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measured in this study can be examined.

      • 중국 대학교의 관리 시스템 개혁에 대한 연구

        최유묘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hinese universities, the management system has been on the way to reform and improvement, and so far, th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universities still has vast room for reform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wo Chinese universities,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and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and their stag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universities, and expects to shed light on the future reform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universities. This study adopts the case study method of "two cases" and the comparative study method and conducts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characteristics, feasibility of reform, and expectations of reform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two universities.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 two universities, focused on interviewing three categories of people in both universities: administrators, faculty, and students interviewing more than forty people and observing classes, faculty meetings, regular university management meetings, university management and services, and the daily lives of students and faculty. Before conducting the study, developed a framework containing three models of university management systems, namely, government-regulated, site-based, and co-regulated, based on Western and Asian literature and based on the theory of separation of powers and checks and balances. We determined which stage of development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 two universities were at by investigating which model they preferred.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is a new type of university founded in 2010, led by the concept of the advanced management system. As a pilot university in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reform, Nanshan University's(南山大学) council system, no administrative rank, faculty hiring system, unique enrollment model, and student training model are all useful explorations in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reform. Thus, we have reason to believe that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is the fastest and farthest university on the road of exploring the reform of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from a government-regulated management system to a co-regulated management system.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a local university founded in 1905, has a long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and retains the most traditional management style of Chinese universities in terms of its management system.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Adopting the system of 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t retains the most traditional and typical management style of Chinese universities in terms of faculty hiring, administrative rank, enrollment, and student training. We have seen very few signs of reform in the management system of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in all aspec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ancheng University(韩城大学) is representative of the traditional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which is typical of the government-controlled management system. Modern Chinese universities have hardly ever been free from administrative intervention since their inception. This is determined by historical reasons and Chinese unique national conditions. In this environment, one of the keywords that cannot be bypassed in reforming Chinese universities' management system is "de-administrativeization." Thus, it can be said that one of the ultimate goals of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reform is to "de-administrate." that is, to move from a government-regulated management model to a co-regulated management model. The reform of the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has been difficult due to unique national conditions. The third president of the Nanshan University, the representative of the reform, was appoin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marks the pioneer of the reform of the Chinese university management system. However, it is still not entirely free from government control and cannot be considered a fully co-regulated system.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however, the reform exploration of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still gives inspiration to the management system reform of Chinese universities. The existing organizational structure of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is a hybrid structure. This hybrid structure is reflect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eadership model, administrative level, faculty employment, enrollment and admission, talent cultivation, and diploma awarding. From this unique and innovative management system of Nanshan University(南山大学), Chinese universities should learn from its international development direction, innovative discipline setting mode, unique talent cultivation mode, and research mode of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mbination. The reform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hinese universities has a long way to go, which needs the change of management mindset of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and the input of more ambitious people and professional scholars before it is expected to be realized slowly. 현대의 중국 대학교가 설립되면서부터 대학의 관리시스템에 대한 개선이나 보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에 있는 남산대학교와 한성대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관리시스템의 현황과 발전과정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미래 중국 대학교의 관리시스템의 개혁을 위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의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남산대학교와 한성대학교의 관리시스템의 현황, 특성, 개혁 가능성, 기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두 대학교의 관리시스템을 알아보기 위해서 행정직원, 교수/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총 40명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수업, 교사회의, 행정직원회의를 참관하였다. 그리고 학교가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과 교사, 학생의 일상생활도 동시에 관찰하였다. 사례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에 서양과 아시아의 문헌에 따라 분권제형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관리형, 학교관리형, 거버넌스형 (협치) 등 세 가지 대학교 관리시스템을 포함한 관리모델을 만들었다. 조사를 통해 남산대학교와 한성대학교가 어떤 관리시스템에 해당하는지를 고려하면서 시스템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남산대학교는 선진적 관리시스템에 의해 2010년에 건립되었다. 중국 대학교 관리시스템의 모범학교로서 남산대학교의 이사회제도, 무행정급별제도, 교사고용제도, 신입생모집제도, 학생양성제도 등을 검토하면 다른 학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남산대학교는 정부관리형에서부터 거버넌스형으로 변형된 대학교라고 할 수 있다. 한성대학교는 1905년에 건립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대학이다. 그래서 관리시스템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관리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한성대학교는 중국공산당 지도하의 학교교장 책임제로 교사고용제도, 행정급별, 신입생모집 및 학생양성제도 등에서 중국 대학교의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관리방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성대학교는 개혁할 계획이 없어 보인다. 따라서 한성대학교는 중국 전통적인 관리시스템을 가진, 전형적인 정부관리형 시스템의 학교로 볼 수 있다. 중국 근대사에서 대학교의 건립은 행정기관의 간섭을 벗어날 수 없는 실정이었다. 이는 중국의 특별한 국정으로 연유하였다. 중국 대학교의 관리시스템의 개혁이 관료화를 피하는 것이 어렵다. 심지어 중국 대학교에서 개혁의 최종목적이 탈행정화라고 말할 수 있는 정도이다. 관리시스템이 정부관리형부터 거버넌스형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개혁의 과정이다. 특수한 중국의 국정으로 인해 대학교의 개혁이 쉽지 않는 일이지만 개혁된 대표적인 사례인 남산대학교 조차 총장이 중국정부에 의해 임명된 것은 남산대학교가 여전히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비록 남산대학교를 완전한 거버넌스형이라고 부를 수 없다하더라도 그 사례는 중국의 대학들에게 몇 가지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남산대학교의 현재 조직구조는 복합적 조직구조이고, 이러한 조직구조는 리더의 모델, 행정급별제도, 교사고용제도, 신입생모집제도, 학생양성제도, 학위수여 등의 측면에서도 반영된다. 그래서 중국의 대학교들은 남산대학교의 독특한 관리시스템에서 부터 국제화된 발전 과정, 창의적인 학과 설치, 독특한 인재양성제도, 산학융합형 연구 모델 까지를 참고해야 한다. 중국 대학교의 관리시스템 개혁을 성공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정부 부처와 전문가들이 같이 노력해야 한다.

      • 중국 대학교의 혁신 지지와 대학생의 심리 자본, 목표 지향, 혁신 행동의 구조적 관계

        왕염방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novation support in Chinese Universities, psychological capital,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A convenience sampl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students in different universities of Jiangsu Province, China. To collect the sample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wjx.cn (an online survey platform) and widgets. 757 colleg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survey data was used for further analysis. The research used SPSS V.26.0 and AMOS V.24.0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data analysis, aiming to assess the general tendencies of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novation Support in Chinese Universities, Psychological Capital, Go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by calculating and providing mean values(M) and standard deviations(SD). To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and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ased on various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conducted either a t-test or One-way ANOVA. Additionally, the team perform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behavi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looking at the overall levels of various elements,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exhibited moderate to above-average levels. Among the sub-factors of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interpersonal support was the highest, while instrumental support was the lowest. Within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s' goal orientation,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the highest,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as the lowest. Among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hope was the highest, and resilience was the lowest. Within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academic learning was the highest, and academic exploration was the lowest. Second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inese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grade, major, hometown, frequency of participa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class cadre or not, entrepreneurial intentions or not,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as follows: (1) There are no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gender. (2)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grade. (3) There are no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major. (4)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hometown. (5)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6)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class cadre or not. (7)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entrepreneurial intentions or not. (8) There are differences in innovative behavior by academic achievement. Third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inese college students' innovation support based on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grade, major, hometown, frequency of participa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class cadre or not, entrepreneurial intentions or not,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as follows: (1) There are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gender. (2)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grade. (3)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major. (4)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hometown. (5) There are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6)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class cadre or not. (7) There are no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entrepreneurial intention or not. (8) There are differences in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by academic achievement. Fourthly,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support and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parallel mediation effects and serial mediation effects involving goal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have been identified. This means that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has an indirect impact on college students by affecting their goal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as well as their innovative behavior. The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general level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novation support in Chinese universities and the goal orientation,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Chinese college students' innovation behavior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society.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and abilities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society, and individuals. Therefore, regardless of the level of universities, innovative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in this study to improve colleg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resources they need for innovation, to assist them in establishing clear, specific, and measurable goals, to cultivate an optimistic and confident mindset, and to increase self-efficacy.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ever-changing real world, Chinese universities ought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Thereby enhancing their prospec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대학교의 혁신 지지와 대학생의 심리자본, 목표지향및 혁신 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중국 강소성(江苏省) 여러 지역의 대학생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기위한설문지는 설문조사 시스템(www.wjx.cn, 问卷星), 모바일 위챗(WeChat, 微信)을 통해 배포하였으며, 757 명의 대학생이 설문에자발적으로참여하여 수집된 자료를 모두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SPSS v.26.0 및 AMOS v.24.0 을 사용하여자료분석을 진행하였다. 대학교의 혁신 지지, 대학생의 목표지향, 심리자본 및 혁신 행동에서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평균및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대학생의혁신 행동과 대학교의 혁신 지지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확인하기위해 t-검증 또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진행하였다. 대학교의 혁신 지지, 대학생의 목표 지향, 심리 자본및혁신지지의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 분석을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요소의 전반적인 수준을 볼 때 대학교의혁신지지, 대학생의 목표 지향, 대학생의 심리 자본 및 대학생의 혁신행동은중간이상 수준이다. 대학교 혁신 지지의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지지가가장 높았고, 도구화 지지가 가장 낮았다. 대학생 목표지향의하위요인중 학습목표성향이 가장 높았고, 평가목표성향이 가장낮았다. 대학생심리 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이 가장 높았고, 근성이가장낮았다. 대학생 혁신 행동의 하위요인 중 학습학업이 가장 높았고, 학술탐구가 가장 낮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 가정 거주지, 동아리활동 참여 여부, 학생 간부 여부, 창업의도 여부, 학업성적)에따른중국 대학생의 혁신 행동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따른혁신행동 차이는 없다. (2) 학년에 따른 혁신 행동 차이가있다. (3) 전공에따른 혁신 행동 차이가 없다. (4) 가정 거주지에 따른혁신행동차이가 있다. (5) 동아리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혁신 행동차이가있다. (6) 학생 간부 여부에 따른 혁신 행동 차이가 있다. (7) 창업의도에따른 혁신 행동 차이가 있다. (8) 학업 성적에 따른 혁신행동차이가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학년, 전공, 가정 거주지, 동아리활동 참여 여부, 학생 간부 여부, 창업의도 여부, 학업성적)에 따른 중국 대학교의 혁신 지지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따른대학교혁신 지지 차이가 있다. (2) 학년에 따른 대학교 혁신지지차이가없다. (3) 전공에 따른 대학교 혁신 지지 차이가 없다. (4) 가정거주지에 따른 대학교 혁신 지지 차이가 없다. (5) 동아리 활동참여여부에따른 대학교 혁신 지지 차이가 있다. (6) 학생 간부 여부에따른대학교 혁신 지지 차이가 없다. (7) 창업 의도에 따른 대학교혁신지지차이가 없다. (8) 학업 성적에 따른 대학교 혁신 지지차이가있다. 넷째, 중국 대학교의 혁신 지지가 대학생의 혁신 행동에영향을미치는 관계에서 목표 지향과 심리 자본의 병렬 매개효과(Parallel mediation effect)와 직렬 매개효과(Serial mediation effect)가나타났다. 즉 대학교의 혁신 지지는 대학생의 목표 지향과심리자본에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대학생의 혁신 행동에영향을미친다.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의 혁신 지지와 대학생의 목표지향, 심리자본 및 혁신 행동의 전반적인 수준과 구조적 관계를살펴봄으로써현재 점점 더 경쟁사회로 되어 가는 중국 사회에서 중국대학생의혁신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대학생의 혁신 행동과 능력은 국가, 사회, 개인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학교 수준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혁신행동을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중국 대학교는 학생들에게 혁신 행동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도록노력을기울이고, 학생들이 명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데적극도움을주어야 한다. 그리고 대학생들로 하여금 낙관적이고자신감이있는긍정적 마음을 가지도록 배양하기, 대학생의 자기 효능을높이도록하는 등도 요구된다. 또한 계속 변화해 가고 있는 현실세계에적응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대학생의미래사회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중국 대학교는 대학생의 혁신행동을배양하는 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 심상훈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은하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심상훈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 및 문화 콘텐츠개발학과 김 은 하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해 살펴보고, 심상훈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논문은 실험논문으로 연구목적에 따라 전라북도 내 유아 교육기관에 등원중인 만 3∼5세에 해당하는 다문화가정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에 어떠한 유형의 심상훈련에도 참여했던 경험이 없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전 언어발달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N=20)과 통제집단(N=20)으로 나누어 무선 배치하였다. 이들 중 실험 집단에게는 SIT(Self-Imagery Training)프로그램을 활용하여 3개월간 24회기의 심상훈련을 제공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상훈련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수용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상훈련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표현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상훈련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통합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수방법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새롭게 접하게 되는 단어를 자신의 경험과 결합시켜 반복하여 머릿속으로 떠올리는 활동인 심 상훈련이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언어발달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s of Imagery Training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im Eun-ha Educational and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Woosuk University General Graduate School Supervised by Prof. Koo Hyo-jin This research examines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vestigates the effect of imagery training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subjects. This paper is an experimental thesis which targeted 4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ged 3-5 years old, who are registe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in Jeollabukdo. After implementing a language development test on children who have never been exposed to any type of imagery trainin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different groups: experimental group (N=20), control group (N=20). For the experimental group, imagery trainings were provided 24 times in 3 months by using the SIT (Self-Imagery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agery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receptive languag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imagery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expressive languag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imagery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prehensive languag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is result, the necessit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imagery training, which makes one to repeatedly visualize the combination of one’s own experience and newly learned words,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medium to stimulate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