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멘토대상 멘토링 그룹코칭프로그램이 멘토역량 및 멘티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미선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63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how mentoring group coaching program for mentors affects the improvement of mentors’ competence and how improvement of mentors’ competence influences ment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research, as an official method for new employee mentoring program for freshly recruited college graduates of ‘K group’ affiliated company located in Gwacheon city to develop mentors, mentoring group coaching program for mentors was implemented.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comprised of 18 recently hired college graduated mentors and mente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d a total of 4 sessions of group coaching program, 2 hours per session for 1.5 months with the interval of 1 to 2 weeks were carried out. Preliminary inspection was done before the experiment, post inspection was given right after the experiment and after 1 month of the end of the experiment, follow up inspection was conducted. Furthermore, effects on ment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mentors’ competence were measured by mentees’ self evalu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improvement of mentor’s competence by mentoring group coaching program for mentors in the case of mentor experimental group. However, in the case of mentee experimenta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s present in psychosocial ability. Secondly, mentoring group coaching program for mentors was confirmed no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mentee’s job attitude but increase in average score was identified. Third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entoring group coaching program for mentors, continuity of mentor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continuity of mentee’s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ate is seemed to be the result of lack of examples, small number of coaching sess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ot being a person in charge in the organization of their current job, causing insufficient transition of effectiveness. Despite these limits, this research has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ly,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tructured official mentoring program in a corporation, mentoring group coaching program targeted for mentors for mentor competence development was implemented and it has its significances in that it tried to establish not only by measuring the effectiveness through mentor’s self evaluation but also measured mentor competence perceived by mentee and measured its effects and influences by these mentor competence improvement have on mentee’s job attitude. Secondly, as a suggestion to maximize corporation’s mentoring program henceforth, it was confirmed that to objectively measure performance, mentees’ performance, as well as mentors’, was to be measured. Thirdly, it has significance that it provided implication on utilizing group coaching program for developing middle manager’s leadership of enterprise education. 본 연구는 멘토대상 멘토링 그룹코칭프로그램이 멘토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또한 멘토역량 향상에 따른 멘티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그 영향이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과천시 소재 K그룹 계열사의 대졸공채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공식적 유형의 신입사원 멘토링 프로그램의 멘토 육성의 방안으로 멘토 대상 멘토링 그룹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졸공채 신입사원 19명의 멘토와 멘티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2그룹으로 나누어 멘토 실헙집단을 대상으로 약 1.5개월 동안 1주-2주 단위로 1회기 2시간씩, 총 4회기의 그룹코칭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실험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 직후 사후검사, 그리고 실험종료 1개월 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멘토역량의 측정은 멘토의 자기평가와 멘티가 지각한 멘토역량을 멘티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멘토역량의 향상에 따른 멘티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멘티의 자기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멘토대상 멘토링 그룹코칭프로그램은 멘토역량 향상에 대하여 멘토 실험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멘티 실험집단의 경우 심리사회적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멘토대상 멘토링 그룹코칭프로그램은 멘티의 직무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평균점수의 상승을 확인하였다. 셋째, 멘토대상 멘토링 그룹코칭프로그램의 종료 후 멘토역량과 조직몰입의 지속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멘티의 직무만족에 대한 효과의 지속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것은 표본수가 적고 짧은 코칭 회기수와 코칭 후 현업으로 돌아가 자신이 속한 조직 내에서 책임자가 아니라는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효과의 전이가 충분히 일어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업 내 구조화된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멘토를 대상으로 멘토역량 개발을 위한 멘토링 그룹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멘토의 자기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측정했을 뿐만 아니라, 멘티가 지각한 멘토역량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측정했다는 점과 이러한 멘토역량 향상이 멘티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규명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둘째, 향후 기업의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프로그램을 제안할 경우 이에 대한 객관적인 성과측정을 위해서는 멘토 뿐만 아니라 멘티에게도 그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업 교육의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개발에 그룹코칭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강원도 초·중 통합운영학교의 운영성과에 관한 연구

        김미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강원도 초·중 통합운영학교의 운영실태를 조사하여 앞으로 통합운영을 시행하고자 하는 학교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 통합운영학교의 추진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초·중 통합운영학교의 운영실제는 어떠한가? 셋째, 초·중 통합운영학교의 교육적·행정적 운영성과는 무엇인가? 넷째, 초·중 통합운영학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면담과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조사·분석하였다. 통합운영학교의 학교 구성원으로서 근무하면서 겪는 통합 후의 상황을 면담의 방법을 사용하여 내부자의 입장에서 기술하고 분석하려는 데 중점을 두고 통합운영학교에서 보관하고 있는 각종 공문서와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통합운영학교의 운영 실태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초·중 통합운영학교의 필요성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인적·물적 자원을 교류하여 더욱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의 기회를 학생들에게 부여할 수 있고 농·어촌 지역의 학생수 격감에 따른 교사 간 수업시수 격차를 줄이며 시설을 공유함으로써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었다. 통합운영학교의 교육적 운영성과는 초등학교의 예·체능교과 중심의 연계로 인해 초등학생의 학습 의욕 증진과 중학생의 학습부진아 지도에 효과가 있었다. 통합운영학교의 행정적 운영성과는 중등에서 초등으로의 교사 지원과 교구 구입비의 실질적인 증대효과 및 예산절감, 학교 시설 공동 활용의 성과가 있었다.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면서 나타난 문제점은 학교운영단위가 일원화되지 못하였고, 학교 간 수업지원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며 교육과정이 통합되어 운영되지 못하였다. 또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시설이나 교구 운영 면에서의 저조한 통합 효과, 통합운영학교의 인식부족으로 인한 경영의 미흡 등으로 나타났다. 통합운영학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은 통합운영학교의 운영단위를 일원화하여 교원 조직의 적극적인 참여와 학교경영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This study deals with collecting and analysing data about schooling progresses in a new arrange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our educational systems in Kangwon province. The term 'a combined-school' here means a school which provides elementary and middle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new system and to garner information, which will be useful to administrators and school for making decisions regarding the unity of the two schools. This study involves the following subjects: First, what is the progress in the combined school? Second, how is the combined school managed? Third, what are th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achievements in the combined school? Last, what would be improved for the efficacy of the system? To explore these subjects, the investigator worked in the combined school, conducted diverse surveys with the school personnel, and collected data from the institute.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s: The majority of educators positively understand the needs for the unity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 unity can provide a better educations and a variety of classes to pupils. Teachers could be given flexibility to change their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curricula. The unity also can be cost-effective by sharing the facility. The combined-school increases educational achievements. Focusing on arts and sport classes with connection to others for the elementary students in the school encourages their learning intention. The schooling process is effective for slow learners belonging to the middle school. Administrative achievement includes a better financial support for the needs of teachers and the maintenance of the schools by sharing common stuff and facility. A few problems are also observed. Unify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two school units is not fully developed. New curricula for the combined schools are not established. The lack of awareness for the reform leads to difficulty in general management of the school. Unifying the management of the two school units is a priorit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bined school.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school personnel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form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be apt to the challenge to the educational reform. The combined-school must seek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education systems.

      • 헤어스타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헤어태도에 관한 연구

        김미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ACT Research on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and Hair Attitudes on Hair Style Decisions By : Kim, Mi-sun Advisor : Prof. Choe, Young-Hoon Department of Art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As our concerns for appearance have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so has the importance of hair styles. Of the various methods of expressing the value of beauty, e.g., through dresses, hair, make-up, etc., hair style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appearance because face structure and a person's image can be perceived differently by hair styles due to the proximity of hair to the face. In addition, appearance does not simply express the pursuit of beauty but it also has social meanings as a form of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expressing personal traits and characteristics, establishing positive impression and trust in relationships, and stat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identity. With more emphasis put on the importance of hair styles, a variety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However, despite the various existing hair styles there has been lack of clear distinction among them, resulting in different definitions having been used by researchers, which makes it hard to reach objective conclusions of research findings. Moreover,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in determining a person's image based on design elements for hair styl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the study sought to provide a solid basis for developing and applying hair-related design by classifying hair styles into six patterns based on artistic trends and design elements as the factors affecting hair styles. Second, as the factors of changing hair styles, the study explored affective factors and the pursuit of benefits as preceding variables in that hair styles can form a person's image to others and that research is needed on value and benefits that a person intends to get with a hair style and on personal traits since changing hair styles is affected by the person's subjective thoughts and judgment. Third,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hair style-changing behavior through path analysis by examining what kinds of attitudes the affective factors that an individual perceives through hair style experiences and his or her pursued benefits form and how the formed hair attitudes lead to actual hair style-changing behavior though intention to change hair styles. Fourth, the study sought to look into how perceived consumer satisfaction has the individual react to fads and social demand by examining the role of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hair style as mediating of hair attitudes affecting intention to change the present hair style. To analyze artistic trends and design elements of hair styles, an in-depth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using books, articles, and internet materials on hair styles, based on which actual hair style patterns were classified.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240 females in their 20's to 50's, which were used for path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affect hair style chang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hair style patterns,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and defined 6 style patterns based on prior research: modern style, romantic style, natural styles, classic style, ethnic style, and sexy style. The study also provided relevant cases and design elements of the style patterns. Second,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round (60.27%) or long (19.54%) faces, the most common face structures for Orientals. Their most common hair style was the natural style (29.91%), and their most favorite was the modern hair style (25%). The results can be understood as a fad-following phenomenon, reflecting the short hair fad shown in recent TV dramas and movies with actresses such as Kim Namjoo, Kim Hesoo, and Hwang Jungeum. As to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hair style changes was “to look pretty"(59%), which indicates that the pursuit of beauty is the strongest factor of increasing concerns for hair and fashion and that aesthetic sense bears great significance. Third, the correl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style in fashion or the preferred style was not strong enough to change hair styles. Moreover, the face structure did not play a great role in changing hair styles. The hair styles that were either in fashion or pursued in reference groups were different, and it can be speculated that their influenc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ciding on the hair style. Fourth, regarding the effect of affective factors and pursued benefits on hair attitudes, only diversion and control of the affective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and so did hair dependence and functional benefits. The results seem to be related to the novelty effect as a characteristic of fad and the aspect of going ahead of others. Affective factors and pursued benefits both negatively affected conformity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since alignment has characteristics of following social norm, it is not affected by personal psychology or internal value. Hair dependen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character pursuit, which implies that personal aesthetic value judgment can lead to actual behavior that matches a person's character because whether the hair is good or bad can affect behavior. All the psychological benefits, diversion, hair dependence, and functional benefits,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pursuit of aesthetic sense. The finding ascertains that in essence the most powerful reason for seeking beautify is to look pretty a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changing hair styles is ‘to look pretty’, which is discussed before. However, it does not seem to be affected by temporary emotions, considering that the feeling of pleasure, diversion, and control that were felt through hair style chang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Fifth, hair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ed character pursuit and the pursuit of aesthetic sense only, in the causal relationship of hair attitudes to actual behavior changes through hair style-changing intention. Character pursuit seems to lead to behavior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as something new and innovativeness that can separate an individual from others. However, the negative effect of fad pursuit suggests that people pursue a style that can make them look pretty in accordance with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blindly following the popular style. Sixth, regarding the effect of hair attitudes on the intention to change the present hair styl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hair style showe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alignment pursuit and aesthetic pursui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 for the aesthetic sense, if the present style is right for the person and makes him or her look pretty, the individual maintains the style without any chang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attitudes toward hair styles are affected in part by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attributes (affective and psychological pursuit of benefits) and that the desire for aesthetic pursuit is most strongly based on subjective judgment. In addition, the finding that the personal style changes by fad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ctual fad itself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for marketing to modify the popular style and present it with its variations that can meet the individual's subjective judgment. Finally, the effect of the reference group on fad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in future studies in line with eliciting behavior changes.

      • 열차입환 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체력 분석

        김미선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철도종사자 중 열차입환 중 종사자들의 업무 특성상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발행의 예방을 위한 기초체력을 분석 제공하여 산업재해발생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 및 재발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 안전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수송실무교육에 참여한 열차입환 종사자 대상으로 신체조성(체지방률, 근육량) 및 건강관련 기초체력을 측정 분석하여 건강의 위험도를 제시하고 개선사항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연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험 참가의 동의서를 받은 후 30대 집단과 40대 집단으로 구성하여, 신체조성(체지방률, 근육량) 및 건강관련 기초체력인 악력, 배근력, 순발력(제자리뛰기), 유연성 측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신체조성 중 체지방률은 정상수치보다 높으면 고혈압, 당뇨, 심혈관 질환 등 발병위험을 높이고 악화시킨다.[1] 이 연구에서는 30대 집단은 정상수치로 측정되었으며(p<.001), 40대 집단에서는 정상수치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났다.(p>.579). 둘째. 신체조성 중 근육량의 수치가 정상수치보다 줄어들게 되면, 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유발과 근육량의 감소는 낙상 및 반복된 넘어짐은 골절과도 연관이 있다.[2] 30대 집단은 정상수치로 측정되었으며(p<.001). 40대 집단에서는 정상수치보다 낮은 수치가 나타났다.(p>.680). 섯째. 건강관련 기초체력 중 악력은 상세 근력 수준을 알아보는 검사로서 악력 근력 수준이 높으면 손목, 엘보, 어깨, 목 등의 근골격계질환에 걸릴 확률이 낮아지는데, 30대 집단은 평균 범위 수치로(p<.001), 40대 집단에서는 평균 범위 수치보다 낮은 수치가 나타났다(p>.410). 넷째. 건강관련 기초체력 중 배근력은 상체 및 하체근력 전신근력 수준을 알아보는 검사로서 배근력 수준이 높으면 허리(요통)의 근골격계질환에 걸릴 확률이 낮아지는데, 30대 집단은 평균 범위 수치로 측정되었으며(p<.001), 40대 집단에서는 평균 범위 수치보다 낮은 수치가 나타났다(p>.410). 다섯째. 건강관련 기초체력 중 순발력(제자리높이뛰기)은 전신 순발력 수준을 알아보는 검사로서 순발력 수준이 높으면 근력 수준이 높아 일상생활의 상해 발생률이 감소되는데, 30대 집단은 평균범위 수치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p>.214), 40대 집단에서도 평균 범위 수치보다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p>.181). 여섯째. 건강관련 기초체력 중 유연성은 인체의 관절의 가동범위 수준을 알아보는 검사로서 유연성 수준이 높으면 인체의 근육의 힘이 강해지고, 일상생활의 상해 발생률도 감소되는데, 30대 집단은 평균 범위 수치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p>.106), 40대 집단에서도 평균 범위 수치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났다(p>.304). 연구결과 신체적 및 인체 생리학적 측면 그리고 근무연수가 짧은 30대 집단에서는 체지방 수치 및 근육량은 정상범위에 있었지만 이와 반대로 신체적 및 인체 생리학적 측면에서 노화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근무연수가 더 오래된 40대 집단에서는 체지방 수치가 높고 근육량은 정상범위 보다 낮은 측정결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건강관련 기초체력 역시 40대 집단에서 30대 집단보다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건강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열차분리 및 연결 작업 특성상 장시간 반복되는 동작 및 부적절한 작업자세로 신체에 영향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발생이 다분히 내포하고 있는 열차입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기초 체력을 분석하고 제시하여 근골격계질환 발생의 예방을 위한 업무환경 개선과 건강관리를 위한 복지혜택을 국가 및 한국철도공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산업재해 및 휴먼에러를 사전에 예방하고 철도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인천지역초등학생들의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및 영양지식과의 관계

        김미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 및 영양지식의 정도를 주거지역(도시형, 농촌형)에 따라 조사, 비교하여 식행동, 식이자기효능감, 영양지식과의 관련성을 통해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학생 대상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인천에 소재한 도시지역 3개 학교와 농촌지역 5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녀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조사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ver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행동을 일반적 특성에 따라 비교한 결과 도시형에서 아버지 학력이 높을 경우 식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p<0.05), 직장에 어머니만 다니는 경우가 아버지나 두 분 모두 직장을 다니는 경우에 비해 식행동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인의 체형에 대한 희망은 농촌형에서 약간 살찌기를 원하거나 약간 살빼기를 원하는 학생이 많이 살찌기나 많이 살빼기를 원하는 학생에 비해 식행동 점수가 높았다(p<0.05). 운동은 주 1회 이상 하는 경우가 안하는 경우와 불규칙적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식행동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영양지식원은 기타, 부모님, 학교, 대중매체, 받은 적 없다 순으로 나타났고(p<0.05), 부모님이 식습관을 지도하는 경우가 학교에서 식습관을 지도하는 경우에 비해 식행동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이자기효능감을 일반적 특성에 따라 비교한 결과 농촌형에서 아버지,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 경우 식이자기효능감이 높은 결과가 나왔다. 도시형에서 비만한 형제가 있을 경우와 약간 살찌기를 원하는 학생이 식이자기효능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부모님이 식습관을 지도하는 경우가 학교에 비해 식이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주거지역에 따른 영양지식 총점은 도시형이 농촌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도시형에서 아버지,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 경우 영양지식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p<0.001)(p<0.05), 본인의 체형에 대한 인식은 매우 뚱뚱하다고 답한 학생이 매우 말랐다고 말한 학생에 비해 영양지식이 높게 나타났고(p<0.05), 본인의 신장에 대한 인식에서는 약간 작다고 말한 학생이 보통이다 라고 말한 학생에 비해 영양지식이 높았다(p<0.05). 운동은 불규칙적으로 하는 학생이 안하는 학생에 비해 영양지식 점수가 높았으며(p<0.05), 영양지식원은 기타, 대중매체, 학교, 부모님, 받은 적 없다 순으로 나타났다(p<0.01). 전체 대상자의 식행동, 식이자기효능감, 영양지식 점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모두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1). 도시형 급식에서는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r=0.402, p<0.001), 식행동 과 영양지식(r=0.215, p<0.001),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r=0.192, p<0.001)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농촌형 급식에서는 식행동과 식이자기효능감(r=0.473, p<0.001), 식행동과 영양지식 (r=0.143, p<0.001),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r=0.197, p<0.001)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행동의 예측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식행동과 유의적 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난 영양지식, 식이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여 지역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전체 대상자 결과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의 점수가 높을수록 식행동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형 급식에서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이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식이자기효능감(β=0.375), 영양지식(β=0.143)의 순으로 나타났고, 농촌형 급식에서는 식이자기효능감만이 식행동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β=0.473). 위와 같이 농촌형과 도시형 모두 식행동, 식이자기효능감, 영양지식 간 에 상관관계를 갖고 있고, 도시형에서는 식이자기효능감과 영양지식이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농촌형에서는 식이자기효능감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일반적 지식보다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식을 다루는 영양교육의 개발과 지식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자신감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피교육자의 식생활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여 도시와 농촌 주거지역에 맞는 영양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우포습지의 미생물 다양성 연구

        김미선 순천대학교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l community of the surface freshwater of Woopo wetland, Republic of Korea was analyzed.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s in Woopo wetland were analyzed using 16S rRNA gene-based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pyrosequencing on June, October, December, 2010 and March, 2011. Forty-four bands were selected from DGGE profiles. Phylum Proteobacteria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Woopo wetland. Higher similarities of bacterial community were observed among summer, autumn and winter. While, that in spring was somewhat different to other seasons. From a pyrosequencing analysis, 35,546 (site 1; 16,375, site 2; 7,428, site 3; 11743) sequence reads with valid barcode were obtained from twelve samples. A total of 35,495 bacterial reads were obtained, with an average length of 473bp (min; 300bp, max.; 620bp ). Phylum Proteobacteria was the most abundant division in the bacterial community, of which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and phylum Betaproteobacteria were the most abundant. A total of 413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The isolates were affiliated with 121 genus and 218 species belong to 6 phyla such as Proteobacteria (55.7 %), Bacteroidetes (23.0 %), Actinobacteria (14.3 %), Firmicutes (6.3 %), Deinococcus-Thermus (0.5 %) and Verrucomicrobia (0.2 %).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similarity and phylogenetic data, 48 strains were supposed to novel strains. Three different methods accord with each other in the bacterial commun ity similarity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 코치와 선수의 상호작용 검사지 개발과 타당화 검증

        김미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과 선행연구(정지혜, 김미선, 2009 a, b)를 바탕으로 스포츠 상황에서 나타나는 단체종목 코치와 선수의 상호작용 개념을 탐색하여 상호작용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 (Coach Athlete Relationship Questionnaire)를 개발하는데 있다. 따라서 단체종목 코치와 선수의 상호작용 검사지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상호작용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예비문항을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상호작용 하위측정 개념의 12배에 달하는 101문항(믿음: 12문항, 배려: 13문항, 전략: 10문항, 기술지도: 11문항, 노하우: 16문항, 대화: 12문항, 멘토링: 9문항, 격려: 8문항, 일체감: 10문항)으로 제작하였고, 내용타당도와 안면 타당도 과정을 거쳐 90문항(믿음: 11문항, 배려: 12문항, 전략: 8문항, 기술지도: 11문항, 노하우: 12문항, 대화: 12문항, 멘토링: 9문항, 격려: 7문항, 일체감: 8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단체종목 선수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얻어진 CARQ는 양호한 요인적재치와 안정적인 신뢰도 수준을 보여 총 5요인(대화: 6문항, 기술지도: 5문항, 믿음: 5문항, 격려: 4문항, 노하우: 4문항) 24문항이 선별되었다. 연구 2에서는 CARQ 타당화 검증을 하기위해 단체종목 선수 25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차적 측정모형과 2차적 측정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가 양호하게 나타나 상호작용 모형이 일차원적 개념일 뿐만 아니라 이차원적 개념으로도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이러한 위계적 구조 관점에서 접근은 하위요인들을 단일요인으로 간주하는 것보다 깊이 있는 설명을 해주었고, 다양한 운동 상황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해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단체종목 선수 512명을 대상으로 다집단 분석을 통한 동일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CARQ는 다양한 계층의 단체종목 선수들에게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검사지 임이 확인되었으며, 잠재평균 분석으로 상호작용 요인에 대한 성별, 수준에 따른 잠재평균 차이가 비교 검증되었다. 연구 3에서는 코치와 선수의 상호작용이 내적동기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기 위해 예측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CARQ는 내적동기와 만족도 변인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단체종목 선수 남자, 여자,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CARQ가 개발되었으며, 이후 개발된 검사지의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코치와 선수 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questionnaire that can measure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through examining the interaction of coaches and athletes of team sports in sport setting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es(Chung and Kim, 2009 a, b). Following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the concept of coach-athlet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nd preliminary items for the questionnaire were produced through an open-ended questionnaire. In study 1,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01 items (trust: 12 items, consideration: 13 items, strategy: 10 items, skill instruction: 11 items, know-how: 16 items, communication: 12 items, mentoring: 9 items, encouragement: 8 items, sense of unity: 10 items), which was 12 times more than the subcatagories of relationship concept. A total of 90 items (trust: 11 items, consideration: 12 items, strategy: 8 items, skill instruction: 11 items, know-how: 12 items, communication: 12 items, mentoring: 9 items, encouragement: 7 items, sense of unity: 8 items) were selected after analyzing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Following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data of 250 team-sport athletes, the final CARQ resulted in a total of 5 factors (communication: 6 items, instruction: 5 items, trust: 5 items, encouragement: 4 items, know-how: 4 items) consisting 24 items, which showed appropriate factor loading and acceptable reliability.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data of 250 team-sport athletes to test the CARQ measurement model. As a result, the overall fit index between the first measurement model and the second measurement model was satisfactory,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the relationship model not just as one-dimensional concept but also as two-dimensional one. This hierarchical structure approach allowed better explanation of subcatagories than single factor approach. Also it provided concrete criterion on relationships in many sport environment. The result of homogeneity test via multi-group analysis on 512 team sport athletes proved that CARQ was a questionnaire suitable for the common use of diverse class of team sport players. Latent means analysis was done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latent means of relationship factors according to sex and level. In Study 3, predictive validity was exami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ach-athlete relationship on intrinsic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 result revealed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actors were predictable by CARQ. It is also applicable to various age levels of population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athletes from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coach-athlete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further researches are discussed.

      • 한국 민화의 스토리텔링 연구

        김미선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국 민화의 스토리텔링 연구 제출자 : 김미선 지도교수 : 구만채 민화(民畵)는 ‘그림으로 표현된 이야기’다.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들여다보면 ‘낯설지 않은 새로운 이야기’, ‘오래된 지혜’ 그 자체다. 민화를 스토리텔링 관점으로 고찰하고 오래전 조상들의 시간과 지금 우리의 문화 콘텐츠 연결 성을 찾고자 한다. 민화가 지닌 시의적절함과 작가의 의도가 긴 시간을 통 해 우리에게 끼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민화가 동시대 사람들에게 얼마 나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는지 생각하면서 다양한 작품감상을 통해 민화에 내재한 ‘이야기의 가치’를 발굴·공유하려고 한다. 스토리텔링의 소재이면서 그 자체로 이야깃거리인 우리 민화는 민족의 미 의식과 정서적 감정이 가식 없이 담겨 있고, 표현에 있어 형식이나 재료에 구애됨이 없다. 자유롭고 다양한 묘사로 독창적인 표현 형태를 보여주고 있 다. 요즘처럼 신문, 방송, 영화, 인스타그램, 인터넷 같은 의사 전달 매체가 없던 시대에 민화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톡톡 히 했다. 민화 작가는 당 시대를 살아가던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상식에 기 반하여 다양한 정보를 맥락이 있는 이야기로 ‘꿰매어’ 자기의 생각을 시각적 으로 표현한 것이다. 사람들은 대문이나 병풍, 혹은 살림 도구에 붙여놓고 ‘한눈에 척’ 그 말(그림)뜻을 헤아리고 이해하면서 화답했다. 스토리텔링은 소재, 내용구성, 전달 방식이라는 삼박자가 잘 맞아떨어져야 다른 사람들에게 설득력을 지닌다. 그런 측면에서 민화는 올드하거나, 그림 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사람들의 그림이라거나, 뭔가 격이 떨어지는 그림이 아니다. 오히려 시공간을 초월해 ‘창의적인 발상이 맥락을 타고 흐르는’ 하 나의 서사가 된다. 그러므로 민화는 21세기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큰 콘텐츠다. 디지털 시대의 특성에 맞는 ‘이야기하기’와도 뜻이 통한다. 스토리 텔링(Storytelling)에서의 ‘Telling’은 단순히 말한다는 의미를 넘어 구상, 설 계, 만들기 같은 실행(Doing)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금은 이야기를 생산하고 이야기를 소비하는 시대다. 정보의 융합 능력 과 의사소통이 중시된다. 현대인들에게 이야기의 설계와 표현능력은 모든 비즈니스및 문화·예술 활동의 성패를 가늠하는 기준점이 되었다. 단순히 정 보만 충실히 전달해서는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지 못한다. 전공자가 아니 더라도 인터넷을 치면 누구든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런 정보들을 얼마나 흥미롭게 전달하느냐가 관건이다. 민화는 스토리가 풍 부한 소재이며 동시에 이야기의 완결 구조를 갖는 문화유산이다. 본 연구는 적극적인 시선으로 민화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동안 우 리가 놓치고 살았던 ‘민화의 가치와 존재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외국에서는 없는 이야기도 만들어 부가가치를 만드는데, 우리는 한 시대를 풍미한 ‘살아 숨 쉬는 이야기’인데도 한구석에 밀쳐두고 외면해오지는 않았는지 묻고 답 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민화는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 지금 우리, 그리 고 앞으로 살아갈 후손들 모두를 연결해주는 이야기보따리이다. 사물을 영상과 스토리로 헤아리는 시대에 스토리텔링 매체이자 구성요소 로서 민화는 다른 문화권과 확연히 구별되는 우리만의 독특한 ‘이야기공작 소’ 밑그림 역할을 충실하게 해낼 것으로 믿는다. 바로 그 믿음이 본 논문에 서 집중한 가치이고, 우리나라의 민화를 계승, 발전, 재구성해야 하는 이유 이자 목표다.

      • 초등과학과 수업에서 문제 중심학습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미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future, there would happen various, complex and new problems. Hence it needs the ability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actively with applying suitable informations. The existing school education wants students to think convergently as matching one answer to one question. But this present situation is weak to improve the ability for changes of future society. It is essential that divergent thinking approach the problems with various ways to solve it. Hence in this study, it is used that science instruction which PBL(Problem Based Learning) with inhibited and creative thinking not convergent thinking in traditional method. And it will demonstrate the theory that this way can give the student to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trait or not.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PBL science class will improve creative thinking than group of general science class. Second, the group of PBL science class will improve creative trait than group of general science class. To verify this, experimental study is conducted. Students who live in Namwon and 5th grades were divided into one comparison group and one experimental group. PBL which is developed by researcher based on John R. Savery and Thomas M. Duffy's theory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consists of pre-post hetero- group test, that contains 'creative thinking test ' and ' creative trait test '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creative thinking. Second,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creative trait. In conclusion, PBL in science teaching g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students' creative ability and self-control in learning and active participation when solving the problem independently.

      •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효능감이 아동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미선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생활복지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개인적인 자기효능감과 아동의 권리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삶의 질 향상에 그 목적을 둔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남 동부지역 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생활복지사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5년 9월 1일부터 2014년 10월 5일까지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4점 리커트(Likert)척도로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효능감 검증을 위하여 맨 휘트니(Mann­Whitney)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Wilcoxon)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권리인식과 생활복지사 효능감의 상관관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아동의 권리인식의 하위 요인 간 상관계수와 생활복지사 효능감의 하위요인 간 상관계수에 비해 두 영역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관련 요소는 인권인식 및 생활복지사 효능감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기관유형에 따른 아동의 권리인식 차이 이다. 민간기관은 법인에 비해 인권수준이 높았는데, 추가적 분석에서도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에서 법인근무가 아동의 권리인식을 낮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생활복지사 효능감 요인 중에서는 학급경영이 높을수록 생존권 인식이 높아지는 영향요인 한 가지만 나타난 것을 감안하면 아동의 권리인식에서 기관유형은 매우 특징적인 요인이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생활복지사의 직무만족과 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대인관계에 긍적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생활복지사가 개인의 삶을 긍정적으로 경험하여 인간적 성장을 추구하는 인지적, 정서적 상태 및 태도로 인간의 긍정적 특성을 강화시키고 강점들을 개방하는 것이, 지역 아동센터 아동들로 하여금 긍정적 변화의 원천들을 찾도록 도와준다는 의미를 말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생활복지사의 효능감이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향상과 나아가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밝힌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핵심어 :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 효능감, 아동권리인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recognition of children right to the Living Workers’ self-efficacy in local children community centers so that they can have better quality of life and growth of health An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231 social workers’ in Jeonnam east region.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from Sep. 1 to Oct. 5, 2015. I made up a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Likert 4 - scale.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To verify self-efficacy Mann-Whitney verification was conducted. Beside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esteem of children, Wilcoxon verification was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