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용재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제 목 : 계획철도망의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추진방안 연구 본 연구는 대도시 교통의 문제와 산업의 향후 패러다임변화 등을 토대로 철도시설과 타교통수단의 연계관점에서 환승거점시설에 대한 기존 철도건설계획 방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건설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관점에서 철도와 타교통수단간의 연결을 위한 융합정거장의 건설방향과 대안을 제시한다. 본문에서와 같이 대도시 철도망 구성의 의의와 의미는 철도 수송체계의 다양성, 위성도시와의 연계체계, 환승거점 정거장의 필요성 등에 의해 결정된다. 현행 철도망 계획은 각기 다른 주체가 각 노선별 다른 시기에 계획·건설하여 타교통시설과의 연계뿐만 아니라 철도망 내에서의 환승과 이동에도 불편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교통에서 철도와 다른 대중교통시설과의 연계와 같은 철도시설과의 환승을 포함하고 철도시설의 특성상 고급철도, 직행철도 등의 상위철도시설, 그리고 체계 등과 같은 철도시설의 연계측면에서 시행하였다. 대상된 철도시설의 범위는 국가철도망 계획과, 서울시, 경기도 등 수도권 도시철도망 계획과 대중교통 인프라구축 계획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는 많은 철도망을 건설하였고 또 계획하고 있다. 그런데 국가철도망 계획에서의 광역철도,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등의 도시철도망의 계획은 지자체, 국가가 주체로 계획하고 건설되므로 상호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미흡하고,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관점에서 볼 때에 사업시기의 상이로 인한 환승거점 일대의 결절점 불일치, 사업비 중복투자와 매몰비용 발생, 환승거점 지역 일대가 장기간 공사장으로 변하는 등의 이용자 기대에 미치지 못함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특정의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교통의 가장 큰 문제인 환승에 대한 동일 교통수단 내뿐만 아니라 수단 간의 환승을 포함하여 환승거점 융합정거장을 구축함에 있어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환승 융합정거장의 구축을 위한 사통팔달 융합분기 설치와 3가지의 선결과제를 제시하였다. 운영적 측면에서 각 운영기관간 협약의 정비와 통합적 조직, 운영전문회사의 설립, 운영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기술적 측면에서 철도선로ㆍ선형분야, 전기ㆍ통신ㆍ신호 등 시스템 분야의 인터페이스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철도 관련법 정비와 그 관련 제도정비와 재원조달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내용을 중심으로 환승거점 융합정거장 범위를 국가철도 5개 노선과 자치단체 도시철도 3개의 기존선과 신설선이 혼재 계획되어 미완성 상태인 서울시 영동대로 일대에 복합환승센터에 대해 사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업비 절감, 통행시간 단축, 일자리 창출과 생산유발, 재원조달의 탄력성, 재원의 계획적 조달과 집행, 사업기간의 절감, 도시정책적 일치성, 교통허브지역 부상으로 지역발전 견인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바는 제1차 산업혁명의 중심인 증기기관차 운영시대의 철도가 중심이 된 1차 기계문명에서 2차 산업혁명의 대량화, 3차 산업혁명에서의 정보화를 거쳐 4차 산업혁명이 주목하는 융합의 관점을 반영한 융합정거장의 구축이다. 이를 위해서는 계획철도망을 바탕으로 환승거점을 중심으로 융합정거장 구축에 대한 연구 및 투자가 우선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하며,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운영적, 기술적, 정책적 철도융합 연구는 ICT와 함께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 ODA 초청연수 활용 방안 : 베트남 철도 시장에서 서울교통공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상윤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최근 세계 철도 시장은 선진국 시장 중심에서 개발도상국 시장으로 영역이 넓어지면서 차량, 철도 부품과 시설, 시스템의 판매에서 운영과 관리까지 더해지는 추세로 변하고 있다. 사업의 규모는 더욱 커지고, 기술과 운영의 깊이는 더욱 깊고 세밀해지고 있다. 철도 선진국에서는 자금의 규모가 커진 것은 ODA로, 기술과 운영의 깊이와 세밀함은 해외 시장 진출을 전담하는 전문기관(철도사업 통합 추진체계)의 설립으로 대응하고 있다. ODA의 대표적인 예로는 일본의 JICA, 전문기관으로는 프랑스의 SYSTRA, 일본의 JARTS, JIC 가 있다. 이에 대해 한국은 개발도상국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한 경험을 활용하고 단일 국가에 역량을 집중하는 ODA의 전략적 대응과 2009년 한국철도협회를 설립하여 해외 철도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고 해외 철도 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 형성으로 철도 선진국을 뒤쫓고 있다. 오늘날 세계 철도 시장 진출을 위한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한국의 철도 관련 기관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인력, 경험, 자본을 짜내어 전력을 다해 맞서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17년 5월 서울시의 도시철도 양대 운영 기관인 1,2,3,4 호선의 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메트로와 5,6,7,8 호선의 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서울교통공사(영문명 SeoulMetro)로 통합 되었다. 통합된 서울교통공사의 규모는 하루 평균 이용객 680만 명, 8개 구간 노선 총 연장 300km, 보유 차량 3571량으로 세계에서 4 번째의 단일 도시철도 운영기업으로 성장 했다. 큰 기업에는 큰 안목과 큰 비전을 갖추어야 한다. 서울교통공사 또한 한국의 철도 운영기관으로 한국 철도의 해외 진출에 그 규모에 걸맞은 책임을 갖아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구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의 초청연수 담당자의 인터뷰,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하여 하노이 국립 기술대학교 대학생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 과정에 대한 조사, 이외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서울교통공사가 시도 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통공사의 개선된 정책의 제안에 앞서 철도 수출의 두 축이 되고 있는 ODA 와 철도사업 통합 추진체계의 동향에 대해 분석하고 한국의 대응과 전략을 파악 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과 서울교통공사의 해외철도 시장 진출을 살펴 서로 겹치는 부분에서는 서로 협력하여 힘을 모으고 아직 활용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서울교통공사가 먼저 시도 할 수 있는 다음의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하나, 기존 단기 초청연수에 서울교통공사 만의 독립적인 연수 사업이 아닌, 한국철도공사와 철도시설관리 공단과의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 둘, 단기 초청연수에서 조금 더 나가. 장기적인 성과를 위한 베트남 대학생을 초청하는 학사, 석사의 학위 과정 신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양대 도시철도 운영 기관인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로의 통합 이후 해외철도시장 진출 방향성에 관해 알아보았다. 보다 큰 기업으로 성장한 서울교통공사가 대한민국 철도의 해외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스포츠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선수생활만족도의 관계연구: 대학테니스 중심으로
최재우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요 약 제목 : 스포츠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선수생활만족도의 관계연구: 대학테니스 중심으로 이 연구는 대학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대학테니스 선수들의 대학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021년 대한테니스협회에 선수 등록이 완료된 대학부 남・녀 테니스 선수 200명을 표집 대상으로 설정하고 목적표본추출방법과 편의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대학을 재학하고 있는 테니스 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연구자가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 3명과 함께 직접 배부하고 자기평가 기입법에 의거하여 설문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 가운데 응답성이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94(97%)명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테니스 선수들의 선수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은 자율성장 리더십, 목표달성 리더십, 그리고 혁신변화형 리더십이었다. 이 중 자율성장 리더십과 혁신변화형 리더십은 자율과 통제 중 자율을 공통분모로 가진다. 혁신변화형 리더십과 목표달성 리더십은 관계와 성과 중 성과를 공통분모로 가진다. 이 세 가지 리더십 중 선수생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율성장 리더십이었다. 둘째, 대학테니스 선수들의 학업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은 자율성장 리더십과 팀워크 리더십이었다. 두 리더십 유형은 성과와 관계 중 관계를 공통분모로 가진다. 두 리더십 유형 중 학업생활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율성장 리더십이었다. 셋째, 대학테니스 선수들의 전체적 대학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은 자율성장 리더십과 팀워크 리더십이었다. 두 리더십 유형은 성과와 관계 중 관계를 공통분모로 가진다. 두 리더십 유형 중 전체적 대학생활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자율성장 리더십이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업단지 인근 PM-10 및 PM-2.5 특성
강현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업단지 인근 PM-10 및 PM-2.5 특성 강 현 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환경산업공학과 지도교수 연익준 PM-10, PM-2.5는 수많은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 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기 중 가스상 대기오염물질들이 광화학 반응 등 산화반응에 의해 PM-2.5로 변환되는 2차 생성에 의한 발생은 인체 및 다방면에 매우 치명적이다. 본 연구는 중소도시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산업단지 주변 대기오염물질측정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PM-10, PM-2.5의 농도변 화 등 그 현황을 확인하고 주변 AIRKOREA의 국가측정망과의 농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통계학적 분석기법인 다중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이 PM-10, PM-2.5에 주는 기여율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내륙에 위치한 중소도시 C시의 한 지역구에 위치한 O산업 단지를 공간적 범위로 C시에서 운영하는 무인자동측정시설 중 O산 업단지 부지 내와 인근 주거지역에 위치한 무인자동측정시설의 3년 이상 수집된 대기오염물질 측정 자료를 활용하였다. 각 측정소별 월별 PM-10, PM-2.5의 측정 자료를 수집하여 변 화 추이를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PM-10, PM-2.5 변화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주변 AIRKOREA의 국가측정망 자료와 비교 결과 측정소 평균 결과가 국가측정망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PM-10과 PM-2.5 두 변수가 매우 강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황화수소와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와 질소산 화물이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PM-10과 PM-2.5 모두 질소산화물과 메틸메 르캅탄이 각각 네 측정소에서 최고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에탄올과 황산화물, 황화수소, 암모니아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 등 통계학을 이용한 상관관계 및 기여율의 추정은 자동 측정망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차후 효율적인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저감 및 대응 대책 수립 등의 한 방편으로 활용할 수 있길 기대한다.
김경래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이 연구는 철도 현장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철도작업자의 리스크 저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안전관리전임자에 대한 겸임 안전관리자 배치는 철도공사 안전관리자 배치 인원 중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겸임자는 본연의 업무로 인하여 안전관리자 역할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산업안전보건법과 철도안전법에서 상충되고 있어, 안전점검 때에 지적되고 있는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교육 시간 연장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안전관리자로 배치된 인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철도교통 안전관리자의 현황과 자격, 업무 등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그룹의 의견 청취와 문헌분석, 사내 리더그룹의 인터뷰를 진행하고 문제점에 관한 확인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겸임 안전관리자로 지정된 안전지도사와 안전관리자의 업무분담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안전지도사 업무가 월별 활동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산업 현장의 주의할 곳을 관리해야 한다. 그리고 운행선 인접 공사 현장의 시설물 안전점검 등 업무량 또한 안전관리자 이상으로 많아 안전관리자 업무를 겸직하기에는 한계성이 있다. 이에 안전관리자 겸임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여 겸임제도를 폐지하고 고유의 안전관리자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산업안전보건법과 철도안전법에서 철도종사자에 대한 매월 정기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요구하는 교육내용은 산업안전사고 및 예방, 유해‧위험작업환경 관리, 산업안전보건법 등 직원의 산업재해 예방 관리를 위한 위주로 되어있다. 반면, 철도안전법에서는 철도안전법령 및 안전 관련 규정, 철도 안전관리체계 및 철도 운행과 관련된 사항을 교육하게 되어있다. 그리하여 정기교육을 분기 6시간에 서로 다른 법령인 산업안전보건법과 철도안전법을 교육하는 것이다. 그러나 고용노동부 점검 때에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철도안전법 등 많은 양을 교육한 것에 대하여 인정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법 개정으로 교육 시간 연장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철도공사의 안전관리자 중 산업안전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자와 철도교통 안전관리자의 자격증 보유현황 및 자격 시험과목과 업무를 비교 분석하였다. 산업안전관리자의 직무 내용은 현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안전교육 시행, 사업장 순회 점검 및 지도 등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전반적인 안전관리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철도교통 안전관리자의 직무 내용은 교통수단의 운행‧운항 또는 항행과 관련된 산업재해가 아닌 교통사고 원인조사・분석 등 산업안전관리자와 직무 내용이 전혀 다르다. 이에 의무 고용제가 폐지되어 대체 자격증으로 철도교통 안전관리자를 고용 할 수 있게 되어있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7조(안전관리자 자격)는 조속한 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철도산업 현장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하여 실무적인 역할과 관계 법령, 정책분석 등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개선사항으로 네 가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 안전관리자의 겸임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 둘째 : 법정 정기교육 시간을 연장토록 관련법을 개정하여야 한다. 셋째 : 안전교육을 담당하는 안전관리자를 지정․운영하여야 한다. 넷째:안전관리자 선임제도는 철도교통 안전관리자 자격자를 배제하도록 개정되어야 한다. The study is designed to create a risk reduction plan for railroad workers by systematically excavating the problem points of railroad sites. It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safety staff at the railroad station. The Problems and Mountain Safety Manager of Safety Management for Safety Management More than half of the Industrial Industry Safety Health Education,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safety manager, has been placed on a safety check since it is against the Industry Safety Act and the Railroad Safety Act. Comparison of Comparison of Railroad Traffic Safety Managers Comparison, Entitlements, and Business They want to draw up a problem point, listen to the opinions of experts, conduct interviews with a group of experts, and provide recommendations on issues. Safety Reader and Safety Manager's Comparison of Business Discussions of Safety Managers. The Safety Research Management Agency is responsible for conducting monthly activity plans and implementing it. The system is designed to handle the site's activities and take care of industrial sites. Safety checks are also more than safety managers, and are more secure than security managers. There is a limit to the scope of the Safety Administrator's Region, which will repeal the Convention on Safety Manager, and the Improvement Administrati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Railroad Safety Act. The Comparison Analysis of Railway Safety Railway Comparison of Industrial Safety and Prevention, Human Resources and Human Resources. Industry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including Health Act, is one of the top priorities. Seo is training the Railway Safety Act and safety regulations, railroad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railway services to educate the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including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Railroad Association. a case of trying not to admit to one thing, and the law on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 time shield. At the Railroad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 the Industrial Safety Administration's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said, "Industrial safety and safety law is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qualifications and qualifications of more than one person." Safety and Safety Education Planning of One Business Safety Education Plan Industry-wide safety measures are set up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including inspection checks and maps, but the contents of the railway traffic safety manager are related to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or navigation. Industrial Safety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Administration have been able to hire a railroad transportation safety manager due to a lack of industrial disasters, analysis of the cause of accidents, and keeping records and records. Article 17 (Safety Manager qualification) requires early revision, rail industry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at the site, including working-level roles and policy analysis, presented four improvements to improve. First: Safety managers should be abolished. Second: The law should be revised to extend the time of regular education. Third: The Safety Manager must be assigned a safety manager responsible for safety education. Fourth.:The Safety Manager's executive system should be revised to exclude the Rail Transportation Safety Manager credentials.
홍길호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요 약 제 목 :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지역발전의 변화 연구 우리나라 철도는 1899년 경인선의 영업개시 이후 대부분이 일제시대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건설 및 운영되어왔다. 수도권전철화사업 및 각종 산업철도 건설 등으로 산업화 시대인 1970년대 까지만 해도 철도는 여객・화물 수송에서의 지위는 확고했다. 하지만 1960년대 수립된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국가발전 기반사업으로 고속도로를 주요 운송수단으로 하는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후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더불어 도로 위주의 교통정책과 철도시설의 노후 및 서비스의 부재 등에 따른 심각한 재정 악화로 철도산업의 퇴보 시기를 겪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이르러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철도·도로 등 교통시설이 포화상태가 되었고, 도로 위주의 투자 한계에 이르게 되자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신설 철도건설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경부축의 새로운 노선 건설이 제시된 이후 지금의 경부고속철도 건설이 이루어졌으며, 고속철도는 현재까지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수서평택 고속선 등 3개 노선이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개통이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 심리를 갖고 지역개발을 위한 여러 가지 매개 변수들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하지만, 지역개발의 성과는 고속철도 개통 이후 단기간 내에 이루지지 않기 때문에 검증된 자료 확보의 한계성 등으로 고속철도 개통이 고속철도 수혜지역의 접근성 향상에는 크게 도움이 되었지만, 지역발전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건설 이후 상당한 기간이 지남에 따라 그간 축적된 성과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따른 수송수요 변화와 고속철도 서비스 지역의 사회·경제지표의 변화를 개통전과 개통후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고속철도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지역개발 정책중 하나로 고속화 철도(설계속도 250km/h 이상)의 연계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전 연구 자료 분석결과 개통후 단기간 내에는 지역발전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개통후 지역발전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경부고속철도 노선축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경부고속철도 개통시기 이전인 1994년부터 2017년까지 24년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대상지역 선정 시 도심지에서 이격되어 있는 역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여 도심내부형, 도심인접형, 도심이격형 등 3개의 형태로 구분하였으며, 광명역, 천안아산역, 경주역, 울산역 등과 같이 도심인접형 및 도심이격형 역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된 지역에 대해 고속철도 서비스 이전과 이후의 사회・경제지표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분석 항목은 재정자립도, 공시지가, 인구추이, 지역내총생산(GRDP) 등 4개 항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도심인접형으로 분류된 광명시와 아산시는 전반적으로 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역세권개발 등으로 시와 역세권 지역 모두 지역발전의 효과가 나타났다. 도심이격형인 김천구미역, 신경주역, 울산역의 경우는 역세권개발사업 진행 여부에 따라 도심인접형의 지역발전 효과보다는 크지는 않지만 역세권을 위주로 지역발전의 효과가 나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오송역의 소재지인 청주시는 고속철도 개통 후에도 지역발전의 변화가 거의 것으로 분석되었다.
CIPP 평가모형을 이용한 조종사 전문교육기관 심사평가를 위한 성과지표 개발 연구
조계웅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그 동안 전 세계적으로 항공운송 수요와 조종사 수요의 증가에 따라 조종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비행학교(조종사 전문교육기관) 또한 양적으로 급격히 성장하여 왔으나,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지정 제도는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인력ㆍ장비ㆍ시설ㆍ규정 요건 등 교육과정의 “투입”을 규정하는 양적인 면에 치우쳐 있어 교육기관의 건전성, 교육과정의 품질, 교육실시 역량, 교육생 평가 등에 대한 적정성 까지는 평가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현재 조종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청년들과 관련한 취업미끼 사기, 저 품질의 교육과정 운영, 교육비 미환불 이슈 등이 기사화 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항공종사자 중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에 대한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선행연구와 다양한 민간영역의 직업훈련 지원을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시행 중인 직업능력 심사평가 제도 등을 비교하고, 항공분야 교통서비스 평가제도 등 평가와 공시를 통해 해당서비스 수요자 보호와 선택권 향상을 위한 제도에 대한 사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종사를 양성하는 전문교육기관의 질 관리 및 역량 강화를 위해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다양한 직업훈련에 관한 선행연구와 우리나라의 조종사 전문교육기관 지정 및 사후관리에 관한 절차를 비교하여 준비단계-심사단계-지정단계-관리단계인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수행되어야 할 항목을 총 13개로 정의하였고 54개의 성과지표를 적용한 조종사 전문교육기관 지정 심사평가 모델을 위한 방법을 도출하여 성과지표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주병남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철도 승강장 안전문 사고 예방대책 철도 승강장 안전문은 승객이 철도차량과의 충돌하거나 선로로 떨어지는 철도사고와 열차 지연운행 예방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안전시설이다. 승강장 안전문은 승객과 철도차량간의 유해위험요인을 제거하여 안전한 열차운행과 접촉사고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국에서는 열차운행을 수동에서 자동화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기관사 없는 열차운영(DTO, UTO)을 위해 승강장 안전문이 도입되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철도 승강장 안전문은 매년 20명 이상 발생하는 자살사고나 선로추락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우리나라 승강장 안전문은 2004년 광주도시철도 1호선에 처음 설치되었다(강희찬 외 다수, 2013). 이후 도시·광역철도 역사에서 승강장 안전시설로서 설치되어 왔다. 2020년 말 기준, 승강장 안전문 설비는 전국 도시·광역철도 985개 역사 중 99.6%에 해당하는 981개 역사에 설치되어 있다. 철도 승강장 안전문 설치에 따른 사회경제적 편익은 연간 465억원으로 보고되고 있다(한국교통연구원, 2013). 철도승강장 안전문의 설치비용은 1개 역당 10~4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어, 2020년까지 대부분의 도시·광역철도역에 설치되었다. 그 결과는 승강장에서 자살과 승강장 여객사상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효과로 보고되었다(국토교통부, 2021). 그런데 승강장 안전문의 설치 및 운영에 따른 사망사고가 2020년까지 총 8건 발생하였다. 이는 승객 또는 유지보수자가 열차와 승강장 안전문 설비의 공간에 끼이는 사고에 해당한다. 또한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승강장 안전문 설비 고장은 연간 1.5만 건 수준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철도 승강장 안전문 설치 개소 증가에 따른 것으로, 열차가 승강장으로 들어오거나 승강장에서 출발하지 못하는 열차지연 장애로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유형, 법체계, 사고사례, 외국사례 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사고예방 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주요 구성부품에 대한 표준화 및 모듈화, 승강장 안전문의 관제실 설치, 철도 현장 여건을 반영한 제도개선, 법체계의 재정비 등이다. 또한 실행력 강화를 위해 운영기관들이 고장 개선사례를 공유하고 국가 주도로 규격 표준화와 관제실 설치, 법체계에 대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항공 안전관리를 위한 UAM-PSU 인적 요인 및 TEM 연구 : 항공교통관제사 인적 오류에 의한 항공기 사고사례분석을 포함하여
김정빈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최근 도시 인구 증가, 도시화 가속화에 따른 대도시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 심화, 도로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통인프라 구축 한계, 환경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 내 항공교통관제사 역할과 유사한 교통관리 서비스 제공자(PSU)의 인적요인 및 TEM 요인에 관해 고찰하였다. PSU의 인적요인은 대표적인 인적요인 분석 및 분류시스템(HFACS)를 인용하여 AHP 기법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출하였다.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을 보유한 숙련되 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예측 가능한 PSU의 인적요인을 도출하여 ATC의 인적요인과 비교 분석한 결과 비슷한 수준의 결과가 나타났다. PSU 뿐만 아니라 UAM 이해관계자의 인적요인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며, 항공운송산업에서 활용 중인 인적요인 기법 및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PSU의 TEM 요인을 제시하고자 ATC 분야 항공 사고사례에 대해 TE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국토교통부 정상운영 안전표본조사(NOSS) TEM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버티포트, UATM 공역, 이해관계자 등의 새로운 개념 적용이 요구되며, UAM 상용화 이전에 안전하고 신뢰도 있는 교통수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운항을 도모하는 기법인 PSU 분야 TEM 개발 필요성이 제기된다.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변화 :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변화
박현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변화 박 현 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환경산업공학과 지도교수 연익준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수요증가와 에너지 고갈 및 이상고온 현상 등 으로 인한 기후변화 위기를 통하여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경험하고 있다. 인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제 가장 합리적인 신재생에 너지 산업 활성화와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변 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인구통계학적 분석, 빈도분석, 회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T-검정으로 살펴보았다. 설문은 2회로 나누어 진행 하였고, 사회기반 시스템, 환경, 도시교통공 학을 전공으로 하는 학부 21년과 23년 신입생 그룹으로 분류하여 수행하 였다. 연구 분석 결과 인구 통계학적 분석과 빈도 분석을 통해 가장 합리적 에너지로 원자력 에너지를 신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가장 선호도가 낮은 에너지원으로 LNG로 분석 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주민 수용 가능성의 표준화 개수는 -.237이고 유의확 률값은 0.022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나 주민 수용 가능성이 높다고 인 식할수록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짐이 통계적으로 입증되었 다.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관심도에 따른 원자력 안정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국제 사회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이해가 높을수록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짐이 통계학적으로 입증 되었다. 가장 합리적인 에너지 선택 시 고려인자의 전공별 차이로 일원배치 분 산 분석 결과는 도시교통공학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주민요구 수용 가 능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1년 대학생 그룹 / 23년 대학생 그룹의 학과별 선호도에 대한가장 합리적이고 유용한 에너지 인식 선호도를 학과별로 T-검정분석 결과는 23년 대학생 그룹이 21년 대학생 그룹보다 신재생에너지보다 원자력에너 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상관계수가 나타났다 환경공학 / 사회기반 시스템공학•도시교통공학 전공별 가장 합리적이 고 유용한 에너지를 T-검정 분석 결과를 통한 분석 결과 환경공학 전공 을 선택한 학생들이 원자력 발전이 다른 에너지원과 비교하여 높은 것으 로 분석되었고, 사회기반 시스템공학과 도시교통공학과를 선택한 학생들 은 원자력 발전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논문의 분석 결과 사회적 여건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이 원자력에너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이 시대의 변화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에 따른 에너지 사용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한 시대 상황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