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國 晉中 民家 宅門 裝飾 特性 研究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87

        在中國古建築中宅門經歷了漫長的衍變過程,中國最早的門大約出現在新石器時代晚期的半地穴房屋中.在考古發掘所見的古建築遺址以及墓葬的壁畫·雕刻中可以推測復原遠古時代的宅門.唐宋時期是中國古代建築的一個高峯,特別是宋代商品經濟的發展極大地豐富了門的種類,宅門的形制已經基本固定.進入明清時期,中國古代建築技術發展至頂峯,人們把注意力更多的集中到對宅門的裝飾上.宅門作爲身份地位的象徵被賦予等級上的意義在秦漢已經出現.隨着中央集權的不斷加強,到了明清時期更是對此做出了明文規定.這一時期晉中地區商業發達,金融業蒸蒸日上,積累到財富的晉商們興建了一大批富麗堂皇的宅院,又因爲平遙·太谷·祁縣等古城區保存相對完整,使得晉中地區保留了大量的明清古民居,這些民居規模大小不一,涵蓋了社會上的各個階層. 本文通過宅門構件和附屬品的表現,系統性的整理記錄遺存的歷史信息和分析其獨特的藝術價值,並總結其遺產保護對現今社會的意義、宅門文化精神傳承的意義以及對現今建築的指導的意義. 首先介紹了晉中地區明清民居的地理位置和氣候情況,瞭解該地區宅門空間形態表現爲:高牆窄院·以磚木結構居多·院落組合形態多樣·外觀雄偉·內部構件裝飾精緻.晉中地區選址主要遵循“近水向陽”,“負陰抱阳”.该地区居民为了生活平安吉祥,一般正房建在最北端,宅门设置在东南或者正南方,属于最吉祥的地方.通过宅院风水和方位,晋中地区宅门根据位置可以分为宅院大门·内院门·房屋门. 其次本文通過文獻調查·現場調查·統計分析·相關分析對平遙·榆次·太谷·祁縣·介休·張壁古堡村五座明清古縣城·一座明清古村落和馬家大院·常家莊園·曹家大院·孔祥熙故居·渠家大院·王家大院六座晉商大院進行實地調查,對晉中明清民居宅門的形制特徵·尺寸大小·附屬物有了一個全面的認識.在此基礎上,通過考察統計共 有266處民居宅門中,堡門共有8處,從堡門的大小和形態上可以明顯看出宅院主人的社會地位.古城民居大部分處於社會普通地位,其家族宅院並沒有堡門,因此堡門也是代表其家族的社會和經濟地位的標誌之一.古城民居宅院大門共66處,晉商民居宅院大門僅24處,根據宅門的數量統計可以看出,晉中地區貧富差距懸殊.晉商民居宅門內院門36處,而古城民居內院門僅有24處,晉商民居房屋門有45處,古城民居房屋門18處,這兩項數據足以證明古城民居宅院的規模較小.而晉商民居大院在統計中並沒有出現店鋪大門,仅在古城民居可以看到24處店鋪的板門,在該地區古城民居的宅院和店鋪多爲一體. 在此通過調查統計分析該地區具有4種類型宅門,即:獨立柱擔樑式·懸山起脊式·半坡屋頂式(木結構)·半坡屋頂式(砖結構).不同類型的宅門,構件有明顯的區別,表現顯著. 通過調查分析了34處宅門,該地區宅門普遍具有22種構件.其中平草磚·房檐角·瓦當·滴水·樑頭小花板·枋·雀替·掛落·垂頭·犀頭·門墩石這11種構件在不同種類的宅門中都具備,是宅門不可缺少的11種構件.半坡屋頂式的宅門具有樑頭·門簪·柱基石這3種類型構件,其中僅有半坡屋頂式木結構的宅門具折柱和護門鐵.這兩種構件的功能都起支撐主樑和保護門板的作用.獨立柱擔樑式·懸山起脊式這兩種在宅院主門位置選用較少,多數體現院落連接的作用.因此構件的選用並不是十分豐富,通過統計4種類型的宅門,出現數量所進行的相關性檢驗.不難看出,出現的數量具有一定的相關性性質.其中呈現高相關性的有犀頭與滴水,數量相關性係數爲0.939,接近1.犀頭與滴水構件幾乎是同時出現. 本論文再次詳細統計分析了22種構件的表現元素,共計61個即長壽平安:寶瓶·菊花·雲紋·松樹·仙鶴·仙人·仙鹿·壽桃·童子;福祿壽喜:蝙蝠·葫蘆·福字·壽字紋·香爐·石榴;權利富貴:牡丹·蟠龍紋·如意紋·葡萄·雙龍戲珠·鳳凰·卷草龍紋·拐字龍紋;除邪鎮宅:開口鴟吻獸·獅面紋·虎面紋·螭首·獅子·椒圖·閉嘴鴟吻獸·麒麟;儒教文化和品德高尚:竹子·梅蘭竹菊·琴棋書畫;宗教文化:蓮蓬·仰俯蓮花·聯珠紋等,宅門的表現元素內容清晰. 其中高相關性的主要有犀頭與折柱的表現元素,相關性係數爲1;犀頭·折柱與滴水,相關性係數爲0.939;平草磚與枋,相關性係數爲0.684.可以說兩種構件的會出現相同表現元素;犀頭·折柱與滴水的表現元素. 總體比較而言晉商民居與古城民居宅門構件相比,共同出現了雀替這種構件,是該時期的一種特色.斗栱·抱頭樑樑頭·門簪·折柱·檁這五種構件僅在晉商大院中出現,這些構件選用的材料豐富有,通過統計裝飾元素得知這5種構件裝飾較爲複雜,工藝要求精湛,構件製作較爲,造價頗高,因此晉中古城民居中並未出現. 最後本文分析了宅門的相關附屬品,匾額和楹聯.從數量上對比來看,晉商宅院相關功名事蹟的匾聯較多,對家族子弟的教誨和影響較大,其宅院主人更注重子孫後代對儒學的學習,期望子孫後代延續家族的榮耀,從而看出晉商民居的居民比較講究“以儒養商”,所以子孫爲官者也有很多.可以說這些門匾充分折射出晉商“儒、商、官”三位一體的文化精華. 宅門的形制和裝飾受到社會背景的深刻影響,除了人們的財富和地位之外,人們在修建宅門時也加入了對禮制、道德的尊崇、對吉祥幸福的祈盼和對仕途地位的嚮往.現今社會,延續了宅門的文化精神,融入現代建築理念,都市新中式樓盤門庭在保有古建築元素的同時融入現代裝飾風格,形成了中國新一線城市獨具特色的景觀. 저택의 대문은 긴 변용 과정을 거쳤으며 중국 최초의 문은 신석기 시대 말기의 반지혈(半地穴) 집에 등장되었다. 고고학 발굴로 보이는 고도, 건축유적, 그리고 무덤의 벽화, 조각에서는 태초시대 저택문을 추측하여 복원할 수 있다. 당송(唐宋) 시기는 중국 고대 건축의 최고점이었는데, 특히 송나라 상품경제의 발전은 문의 종류를 크게 풍부하게 하여 저택문의 형태가 이미 기본적으로 고정되었다. 명청(明清) 시대에 접어들어 중국 고대 건축기술이 정점에 이르자 사람들의 관심은 저택 문에 대한 장식에 더 집중되었다. 저택이 신분 지위의 상징으로서 등급이 부여된 의미는 진한(秦漢)에서 이미 나타났다. 중앙 집권이 강화되면서 명청시대에는 명문 규칙이 나타났다. 이 시기 진중(晉中)지역은 상업이 발달하고 금융업이 번성하면서 부를 축적한 진상(晉商)들이 호화로운 저택을 지었고, 평요(平遙), 태고(太穀)·치현(祁縣) 등 고도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 명청 시기의 가옥이 많이 남아 있었다. 규모는 다양하고 사회 각 계층을 망라하였다. 저택문의 부재와 부속품의 표현을 통해 역사적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문화재 보호가 현대 사회에 미치는 의미, 저택문 문화 정신이 계승하는 의미, 그리고 현대 건축에 대한 지도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진중지역 명청 민가의 지리적 위치와 기후 상황을 소개하고, 저택문의 형태 표현을 파악하였다. 각각 높은 담장 좁은 마당, 벽돌 목조가 많고, 마당의 조합 형태가 다양하며, 웅장한 외관과 정교한 내부 부재가 있다. 진중 지역의 입지 선정은 `근수향양(近水向陽)', `부음포양(負陰抱陽)'이라는 양식을 주로 따른다. 이 지역 주민들은 장수 평안으로는 생활을 위해 본채는 최북단에 짓고, 문은 동남쪽 또는 정남쪽에 배치하여 가장 상서로운 곳에 속한다. 저택의 풍수와 방위를 통해 진중지역 저택문은 위치에 따라 저택 대문, 안마당 문, 방문으로 나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본 논문은 문헌조사와 현지조사 방법을 통해 평요(平遙)·유차(榆次)·태곡(太穀)·치현(祁縣)·개휴(介休)·장벽고보촌(張壁古堡村)의 5개 명청 옛현성(古縣城)과 1개 명청 옛마을 그리고 마가대원(馬家大院), 상가장원(常家莊園), 조가대원(曹家大院), 공상희(孔祥熙) 가옥, 거가대원(渠家大院), 왕가대원(王家大院)의 6개 조사대상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진중 지역의 명청 시기의 민가 저택문의 형식, 크기, 부속품에 대해 전면적 인식이 생겼다. 이 기초에는 조사를 통해 집계된 266곳의 민가 저택문 중 보문(堡门)은 모두 8곳으로 보문(堡门)의 크기와 형태를 보면 집주인의 사회적 위상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고성의 민가는 사회 위상이 대부분으로 일반적이고 가족 저택에는 보문(堡门)이 없으므로 보문(堡门)이 그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대표하는 징표 중 하나이기도 하다. 고성 민가 저택문은 총66곳인데 진상 민가 저택문은 24곳에 불과하며, 저택문 수량에 따라 진중 지역의 빈부격차를 알 수 있다. 진상 민가 저택문의 안마당 문은 36곳인데 비해 고성 민가 안마당 문은 24곳에 불과하고, 진상 민가 방문은 45곳, 고성민가 방문은 18곳에 불과하다. 이 두 데이터는 고성 민가 저택의 규모가 작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반면 진상 민가 저택은 집계상 점포 대문이 없고, 고성민가에서 점포의 판문(板門)은 24곳으로 보았다. 이 지역 고성 민가의 주민 저택문과 점포 대문이 대부분으로 일치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진중지역에는 저택의 배치와 저택의 개념, 그리고 진중지역 저택문의 형성에 근거하여 4가지 유형이 집계되었다. 각각 독립 기둥 담량식(獨立柱擔梁式), 현산기척식(懸山起脊式), 반파지붕식(半坡屋頂式)(목조 구조), 반파지붕식(벽돌 구조)으로 저택문에 따라 부재가 확연히 다르다. 34곳의 저택문 조사를 통해 집계된 이 지역 저택문은 22종의 부재를 갖추고 있다. 평초(平草)벽돌, 처마끝, 와당, 암막새(滴水), 들보머리 소화판(小花板), 방(枋), 작체(雀替), 걸이(掛落), 수두(垂頭), 지두(犀頭), 문돈석(門墩石) 등 11종의 부재가 다양한 종류의 저택문에 모두 갖춰져 있고, 없어서는 안 될 11종의 부재이다. 반파지붕 형태의 저택문은 들보머리와 문잠(門簪), 기둥초석 등 3가지 유형의 부재를 갖추고 있고, 이 중 반파지붕식 목조 구조의 저택문에는 절주(折柱)와 호문철(護門鐵)이 있다. 두 부재는 모두 대들보를 받치고 문짝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독립기둥 담량식(擔梁式), 현산기척식(懸山起脊式) 이 두 가지는 저택 주문에 사용하기 드물고 마당을 연결하는 역할을 많이 한다. 이로 인해 부재의 선택이 풍부하지 않다. 4종 저택문, 22종 부재를 통계하는 것으로 그 중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그 중에 높은 상관관계로 나타난 것은 지두와 암막새로 수량의 상관계수는 0.939이며, 1에 가깝다. 지두와 암막새는 거의 함께 나타났다. 본 논문은 22가지 부재의 표현 요소를 다시 상세하게 기술 통계 분석했고, 모두 61개지이다. 장수 평안: 보병(寶瓶), 국화, 구름 무늬, 소나무, 선학(仙鶴), 선인, 선사슴(仙鹿), 수도(壽桃), 동자(童子) 있다. 복록수희(福祿壽喜): 박쥐, 조롱박, 복(福)자, 수(壽)자 무늬, 향로, 석류가 있다. 권리 부귀: 모란, 반용(蟠龍)무늬, 여의(如意)무늬, 포도, 쌍룡희주(雙龍戲珠), 봉황, 권초(卷草) 용무늬, 괘자(拐字) 용무늬가 있다. 액막이: 입을 연 치문(鴟吻), 사면(獅面)무늬, 호면(虎面)무늬, 이무기 머리, 사자, 초도(椒圖), 입 다문 치문, 기린(麒麟)이 있다. 유교 문화와 고상한 품성은 대나무, 매란죽국(梅蘭竹菊), 금기서화(琴棋書畫)가 있다. 종교문화는 연방(莲蓬), 앙부(仰俯)연꽃, 련주(聯珠)무늬가 있다. 저택의 표현 요소 내용이 뚜렷하다. 그 중에 가장 높은 상관성을 가진 것은 지두와 절주로 상관계수는 1이다. 지두, 절두가 암막새와의 상관계수는 0.939아다. 평초 벽돌이 방과의 상관계수는 0.684로 상관성이 높다. 지두 절주와 암막새와의 표현요소이다. 전반적으로 진상 민가는 고성 민가의 주저택문 부재에 비해 작체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이 시기의 특징이다. 두공·포두들보머리·문잠·절주·도리 등 5가지 부재는 진상의 마당에서만 볼 수 있고, 이 부재는 재료가 풍부하다. 5가지 부재는 복잡한 장식과 정교한 공법, 부재 제작비 높음 등을 장식 민가에서는 나타나지만 진중 민가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논문은 마지막으로 저택문의 관련 부속품인 편액(匾額)과 영련(楹聯)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편액과 영련의 유형 수량을 비교해 보면 진상 민가는 공훈사적, 입덕수신(立德修身), 예교 등의 내용을 담은 편액이 많다. 집주인은 후손들이 가문의 영광을 이어가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상민가의 주민들은 `유학으로 상인을 육성한다'는 것을 중시하기 때문에 자손이 관리로 되는 사람도 많았다. 이들 편액은 진상의 `유·상·관'이 삼위일체(三位一體)된 문화의 정수를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저택문의 형제(形制)와 장식이 사회 배경의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사람들의 재부와 위상 외에도 저택문을 건축할 때 예법, 도덕(道德)에 대한 숭배, 길함, 행복에 대한 기원, 정치 지위에 대한 동경을 담았다. 현대 사회에는 그들 저택문의 문화 정신을 물려받고 현대 건축 이념에 녹아들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신중식(新中式) 건물의 문정(門亭)은 옛 건축 요소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장식양식이 녹여들어 중국 신일선(新一線) 도시의 독특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The Chinese traditional house-door has a long process of evolution in Chinese ancient architecture. The earliest doors in China history were probably found in the semi-crypt houses of the late Neolithic Age. In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of the ancient city, architectural sites as well as the tomb fresco, sculpture can be speculated to restore the ancient times of the house gate.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ere the peak of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economy in the Song Dynasty greatly enriched the types of doors, 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house doors were basically fix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ancient Chinese architectural technology reached its peak, and people paid more attention to the decoration of the house door.As a symbol of status, the house door has been endowed with hierarchical significance in the Qin and Han Dynasties. With the continuous strengthening of the central authority,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s to make clear regulations. When the time to Jin Zhongwith, business developed during this period, the financial sector is booming, to accumulate wealth of jin merchants who has built a large number of palatial house, again because of ping Yao ancient city, TaiGu, relatively intact, Jinzhong area, has retained a lot of the Ming and Quite ing dynasties ancient dwellings, these houses have different size, covers all levels of society.This paper systematically records the historical information of the remains and analyzes its unique artistic value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door components and accessories, and summarizes and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heritage protection, the significance of inheriting culture and the significance of guiding today's architecture. This paper first introduces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climate of the Ming and Qing residential buildings in Jinzhong Area, and understands that the spatial forms of the residential doors in this area are as follows: high-strength narrow courtyard, mostly brick and wood structure, various courtyard combination forms, magnificent appearance and exquisite interior decoration. Jinzhong Area site selection mainly follows the principle of "close to the water facing the sun” and "negative Yin embracing the Yang”.In order to live a safe and auspicious life, the residents in this area usually build their main house at the northernmost end and set their house door in the southeast or due south, which is the most auspicious place. According to the geomantic omen and location of the courtyard, the gates in Jinzhong Area can be divided into courtyard gate, inner courtyard gate and house gate. Secondly, through literature survey, on-the-spot investigation,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is paper conducts on-the-spot investigation on five ancient Ming and Qing counties in Pingyao, Yuci, Taigu, Qixian, Jiexiu and Zhangbi Gubao villages, one ancient Ming and Qing village and six Shanxi Merchants' courtyards including Majia courtyard, Changjia manor, caojia courtyard, former residence of Kong Xiangxi, qujia courtyard and Wangjia courtyard, We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hape characteristics, size and accessories of the residential door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Jinzhong. On this ba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8 castle gates out of 266 houses in the study area, and the social status of the house owner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size and shape of the castle gate. Most of the dwellings in the ancient city are in the ordinary social status, and there is no Fort gate in the family house, so the fort gate is also one of the symbols representing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There are 66 gates in the ancient city and only 24 gates in Shanxi Merchants' house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number of gates, we can see that there is a wid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Jinzhong Area. There are 36 inner courtyard doors of Shanxi Merchants' houses, while there are only 24 inner courtyard doors of ancient cities' houses, 45 inner courtyard doors of Shanxi Merchants' houses and 18 inner courtyard doors of ancient cities' houses. These two data are enough to prove that the scale of ancient cities' houses is small. However, there are no shop doors in the residential compound of Shanxi merchants. Only 24 shop doors can be seen in the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ancient city. In this area, most of the residential buildings and shops are integrated. In this paper,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there are four types of residential doors in this area, namely: independent column beam type, hanging mountain ridge type, half slope roof type (wood structure), half slope roof type (wood structure).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in the components of different types of house doors.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34 residential gates, the residential gates in this area generally have 22 kinds of components. Among them, flat grass brick, eaves corner, tile, drip, beam head small flower board, Fang, queti, hanging, Chutou, Xitou, and doorblock stone are all available in different kinds of house doors, and they are indispensable to house doors. There are three types of components: beam head, door hairpin and column cornerstone in the half slope roof type house door. Only the half slope roof type house door has folding column and door guard iron. The functions of these two components are to support the main beam and protect the door panel. The independent column beam type and the hanging mountain ridge type are less used in the main gate position of the courtyard, and most of them reflect the role of courtyard connection. Therefore, the selection of components is not very rich. Through the statistics of four types of door, the correlation test of the number of appeared. It is not difficult to see that the quantity has a certain correlation. Among them, rhinoceros head and dripping water were highly correlated, and the quantitativ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39, close to 1. Rhinoceros head and dripping component appear almost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22 kinds of performance elements are analyzed in detail, including 61 kinds of longevity and peace: vase, chrysanthemum, cloud pattern, pine tree, crane, immortal, deer, peach and boy; Fulu Shouxi: bat, gourd, Fuzi, Shouzi, censer, pomegranate; Power and wealth: peony, flat dragon pattern, Ruyi pattern, grape, double dragon playing pearl, Phoenix, rolling grass dragon pattern, Guai character dragon pattern; In addition to evil spirits, the town houses are open mouthed gargoyle, lion face pattern, tiger face pattern, Gargoyle head, lion, Jiaotu, closed mouthed Gargoyle and unicorn; Confucian culture and noble morality: bamboo, plum, orchid, bamboo and chrysanthemum, piano, chess, calligraphy and painting; Religious culture: lotus seed, upward lotus, Lianzhu pattern, the performance elements of the door are cle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39;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0.684. It can be said that the two components will have the same presentation elements; Rhinoceros head, broken column and dripping elements. On the whole, compared with the door components of the ancient city, the Shanxi Merchants' houses and the ancient city's houses had the Queting component, which was a feature of this period. Dougong, Baotou beam head, door hairpin, folding column and purlin are only used in the courtyard of Shanxi merchants. The materials used for these components are rich.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decorative elements, the decoration of these five components is more complex, the process requirements are exquisite, the component production is relatively high, and the cost is quite high. Therefore, they do not appear in the dwellings in the ancient city of Jinzhong. Finally,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ed accessories, plaques and couplets. From the quantitative point of view, the merchants of Jin Dynasty expect more plaques and couplets related to their official deeds, which have great influence on the education and influence of the family's children, pay more attention to the study of Confucianism, and expect future generations to continue the family's glory. It can be seen that the residents of the dwellings of the merchants of Jin Dynasty pay more attention to "supporting the merchants with Confucianism”, so there are many descendants who are officials. It can be said that these plaque fully reflects the three in one cultural essence of Shanxi merchants. The shape and decoration of the door are deeply influenced by the social background. In addition to people's wealth and status, people also join in the respect of etiquette and morality, the hope for auspicious happiness and the yearning for official status when building the door. In today's society, the cultural spirit of curtilage has been extended, and modern architectural concepts have been integrated. The new Chinese style urban building courtyards, while retaining ancient architectural elements, have been integrated with modern decorative styles, forming a unique landscape of China's new first tier cities.

      • 黃老學의 無爲政治思想 硏究 : 『老子』와의 關聯性을 中心으로

        金肖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1973年,包含古佚書 <黃帝四經>在內的漢初帛書在湖南省長沙的馬王堆被發掘,從此之後中國古代哲學研究中的“黃老學”重新登上了學術舞臺,並由此掀起了研究“黃老學”的熱潮。這其中特別是針對被人們遺忘的“黃老學”的淵源--先秦時期“黃老學”的研究重新受到了多方關注。 本稿從上述研究成果入手,以重視“黃老學”與<老子>的關聯性為基礎,對其進行了論述探討。雖然“黃老學”與道家的關係非常密切,但從“黃老學”的命名中就可以看出,比起與莊子的關係而言,“黃老學”與老子的關係更為密切。基於此,本稿想探討的即是“黃老學”中的某些老子思想隨著歷史潮流的變動發生了怎樣的變化。研究的中心主題是“無為”,具體說就是“無為政治思想”。也就是觀察討論<老子>的無為思想在與老子緊密關聯的“黃老學”著作中如何反應出了無為政治思想。 在本論一單元中,對黃老學的歷史背景做出了簡單概括。首先,從“黃老”這一概念入手開始分析,論證“黃老”並不是順應時代而突然出現的新名詞。其次,通過論述南方道家思想傳播到北方演變成“黃老學”這一變化過程,闡明了黃老學的淵源。然後通過研究黃帝和老子並稱的時代背景與漢代初期政治的緊密相連,闡述了“黃老學”的興起過程。 本論的二單元和三單元中,通過分析與<老子>密切相關的“黃老學”著作,論述了“黃老學”思想的具體特徵。本稿所涉及的與<老子>相關聯的“黃老學”著作有五部,分別是<韓非子>, <呂氏春秋>, <淮南子>, <莊子> 外․雜篇, <老子河上公章句>。它們的共同點是從積極意義上論證了“無為”的政治哲學化。這五部著作也持有不同的哲學立場和與其相適應的獨特的展開方式,在本稿中對其也有一定程度上的涉及。通過對以上幾方面的研究,可以觀察出從戰國時代後期到漢代初期“黃老學”學術思想內部的細微變化。 結論中主要論述了“黃老學”衰退的變化過程。通過這樣的變化可以看出,雖然“黃老學”在時代的潮流中創造性的繼承和發揚了<老子>的學說,但隨著社會形勢的發展變化最終還是退出了歷史的舞臺。

      • 중국 불법행위법의 입법방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서 일어난 과학문명의 비약적 발전에 따라 대형 인전사고가 쏟아져 사회에 큰 피해를 초래하였다. 개인 간의 불법행위에 비해 집단 특히 기업이 가해자가 되는 불법행위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불법행위법이 적용되는 사례가 많아지게 되고, 또 이른바 ‘현대형 불법행위’로 인한 권리침해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한편 세계적으로 현대 민법이론이 발전함에 따라 인격권 보호를 중시하는 현대 민법관의 등장은 당연히 불법행위법의 입법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사회발전에 따른 새로운 도전에 대처하고 법현실과 법규범 사이의 괴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입법론이나 해석론의 차원으로 기존 불법행위법을 보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국 불법행위법의 입법방식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불법행위법의 보완방식과 향후 발전방향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법방식이라는 이름에서 중국 불법행위법을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그의 연혁과 변모를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또 중국 불법행위법의 특징을 보다 전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비교법적 검토의 시각에서 한중 불법행위법의 입법방식을 자세히 비교·연구한다. 마지막으로 이들 고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 불법행위법의 과제를 정리하여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탐구한다.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large-scale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frequently and caused great losses to the society. Compared with the tort between individuals, the number of torts caused by groups, especially enterprises, has been a sharp increase. There are more and more cases of applying tort law, and more and more cases of infringement of rights due to the so-called "modern tort". 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modern civil law in the world, the idea of modern civil law that attaches importance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ity right will certainly have an impact on the legislative form of the tort law.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ort law from the perspective of legislation and legal interpretation, so as to deal with the new challenges brought by social development and adjust the gap between reality and law. The study of the legislative form of China’s tort law can provide new enlightenment for the improve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tort law. Under the theme of legislative form, this paper comprehensively investigates a series of characteristics of China's tort law and deeply observes its evolution. In addition,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legislative form of the tort law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Finally, on the basis of these investigations and analysis, this paper expounds the current problems of China's tort law and probes into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 신규 고에너지화 모노머와 프리폴리머의 디자인, 합성 및 특성 평가 : Desig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High Energetic Monomers and Prepolymers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지난 반세기동안 플라스틱 복합화약(PBX)에 프리폴리머가 널리 적용되었다. 이들 프리폴리머들은 외부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서 플라스틱 복합화약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말단에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프리폴리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HTPB와 같은 비활성 프리폴리머는 기계적 특성 및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플라스틱 복합화약의 전체적인 에너지 함량을 낮추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복합화약의 감도를 낮추면서 에너지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글리시딜 아자이드 프리폴리머(glycidyl azide prepolymer, GAP)과 같은 에너지화 프리폴리머가 개발되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이들 에너지화 프리폴리머가 적용된 경우에도 향후 미래 플라스틱 복합화약에서 요구하는 정도의 안정성과 에너지 함량을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인식과 더불어 새로운 개념의 에너지화 프리폴리머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개념의 에너지화 프리폴리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화 프리폴리머를 위한 새로운 디자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1) O-헤테로고리형 화합물과 분자화약이 결합된 에너지화 모노머를 합성한 후, 개환중합에 의한 에너지화 프리폴리머 합성 및 (2) 일반적인 모노머의 중합에 의해 프리폴리머를 합성한 후, 분자화약과 프리폴리머의 반응에 의한 에너지화 프리폴리머의 합성 방법이다. 이러한 경우에 합성된 신규 에너지화 프리폴리머는 에너지화 그룹으로서 분자화약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에너지화 프리폴리머의 에너지 함량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디자인 개념에 따라 고리형 분자화약인 1,3,3-트리나이트로아제티딘(TNAZ)과 사이클로트리메틸렌트리나이트라민(RDX)를 이용하여 에너지화 모노머와 프리폴리머의 디자인에 각각 적용하였다. 우선, TNAZ 합성의 중간체인 다이나이트로아제티딘(DNAZ)를 이용하여 글리시딜 다이나이트로아제티딘(GDNAZ) 에너지화 모노머를 합성하였다. RDX의 경우에는 합성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초기 단계의 연구로서 N-나이트로-3-아제티디놀 (NAZO)를 이용하여 글리시딜 나이트로아제티디놀 (GNAZO) 에너지화 모노머를 합성하였다. 이들 합성된 GDNAZ와 GNAZO는 NMR, 원소분석 및 GC MS를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론적인 방법으로 이들 에너지화 모노머의 생성열을 계산함으로써 이들 화합물들이 고에너지화 프리폴리머로서의 적용성을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GDNAZ와 GNAZO의 경우 각각 10.9 kcal/mol 및 -29.1 kcal/mol의 가스상 생성열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GDNAZ와 GNAZO가 높은 에너지 함량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는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전술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고 에너지화 프리폴리머 합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GDNAZ와 DNAZ 화합물을 글리시딜 피롤리딘(GPy)와 피롤리딘 화합물에 대한 모델 화합물로 각각 사용하여 반응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GPy에 대한 양이온 개환중합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음이온 개환중합의 경우에도 중합반응을 조절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하이드록시기를 양 말단에 포함하는 폴리에피클로로히드린(PECH)을 중합하여 관능기를 가진 분자화약과의 후 반응을 통하여 에너지화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피롤리딘을 모델 화합물로 사용하여 PECH와 반응한 결과에 의하면, 24.1%의 피롤리딘이 프리폴리머에 치환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PECH와 DNAZ의 반응을 수행하여 31.2%의 DNAZ가 치환된 에너지화 프리폴리머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uring the past 5 decades, polymers have been used in plastic bonded explosives (PBXs), which can reduce the vulnerability to stimuli, hence improving safety performance of PBXs. Prepolymers with chain extending groups at chain ends have become more important for preparing these polymers. Inert prepolymers, such as HTPB can increase the mechanical and safety properties, however, decrease energy performance of PBXs. Energetic prepolymers, such as (glycidyl azide prepolymers), GAP,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sensitivity and enhance energy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still an increasing demand for higher energy performance of energetic prepolymers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future PBXs, leading to novel alternative candidates of energetic prepolymers. New design concept for energetic prepolymers was introduced in this thesis: (1). synthesis of energetic monomers via combination of O-heterocyclic compounds and modified explosive molecules, followed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and (2). preparation of mother prepolymers via polymerization, follow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mother prepolymers with modified explosive molecules. It was expected that novel preppolymers would employ explosive molecule moieties instead of small explosopores as energetic functional groups, hence enhancing energy content of energetic prepolymers. According to this design concept, we applied caged explosive molecules, 1,3,3-trinitroazetidine (TNAZ) and cyclotrimethylenetrinitramine (RDX) to design energetic monomers and prepolymers. Glycidyl dinitroazetidine (GDNAZ) was designed with dinitroazedine (DNAZ) as an important intermediate drived from based energetic monomers showed enlightening significance for designing future energetic monomers. In consideration of difficult modification of RDX, a simple energetic molecule, N-nitro-3-azetidinol (NAZO) was used for designing novel energetic monomer, glycidyl nitroazetidinol (GNAZO). Both GDNAZ and GNAZO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NMR, EA and GC MS. Heat of formation was calculated by theoretical method to evaluate energy performance of these novel energetic monomers. The result revealed that GDANZ and GNAZO possessed gas-phase heat of formation of 10.9 and -29.1 kcal/mol, respectively, which suggested that GDNAZ and GNAZO showed high energy property. Preparation of novel high energetic prepolymers was investigated by this desgin concept. Considering complicated synthesis of GDNAZ and DNAZ, glycidyl pyrrolidine (GPy) and pyrrolidine were applied as the model compounds for GDNAZ and DNAZ, respectively. Unfortunately, it was found that ring opening polymerization (ROP) of GPy could not proceed via cationic mechanism but did proceed via anionic mechanism however not well controlled. Therefore, preparation of energetic prepolymeri via modification of mother prepolymer with DNAZ was investigated. Well defined hydroxyl terminated polyepichlorohydrin (PECH) was synthesized as the mother prepolymer. Modification of PECH with pyrroldine as the model reaction for DNAZ was studied and confirmed with substitution degree of 24.1%. Finally, a novel energetic prepolymer containing DNAZ moiety was prepared by modification of PECH with DNAZ successfully with the substitution degree of 31.2%, and identified by NMR and FTIR.

      • Antioxidant Activities of Phenolic Constituents from Juncus diastrophanthus = : 별날개골풀의 항산화 페놀성 성분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ABSTRACT Antioxidant Activities of Phenolic Constituents from Juncus diastrophanthus Tao, Chao Lab. of Natural Products College of Pharmacy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Juncus diastrophanthus (Juncaceae) grows in wetlands as an annual plant in Korea, Japan and China. This plant is a monocotyledones in the genus Juncus. But, up to now,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studies of this plant has been performed little. Recently, the synthetic antioxidants like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tertiary butyl hydroquinone (TBHQ) have been limited to use because of their possible toxicity. Naturally, demand for safer and more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s has been directed our attention.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antioxidative effects from natural plants in Korea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J. diastrophanthus was found to show a potent antioxidant activity. Subsequent activity-guided chromatography of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J. diastrophanthus led to the isolation of five compounds.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lucidated as methyl 3,5-di-O-caffeoylquinate (1), luteolin-7-O-glucopyranoside (2), methyl 4,5-di-O-caffeoylquinate (3), quercetin-3-O-β-arabino- pyranoside (4), and methyl 3,4-di-O-caffeoylquinate (5) by spectroscopic techniques. Compounds 1-4 showed the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s on DPPH, and the significant riboflavin- and xanthine-originated superoxide quenching activities. Those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Korean Abstract 별날개골풀의 항산화 페놀성 성분 우석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약학전공 도 초 골풀과(Juncaceae)에 속하는 별날개골풀(Juncus diastrophanthus Buchenau)은 습지에서 자라며 한국과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근경은 짧고 뿌리는 백색이다. 꽃은 6∼7월에 녹색으로 원줄기 에서 피며, 열매는 세모진 삭과(果)를 맺는다. 높이 20∼40cm, 폭 2∼3mm로서 날개가 있고 화피편은 선형으로 3맥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내외편(內外片)이 거의 같다. 골풀속은 전통적으로 골풀목, 골풀과에 속하는 식물군이다.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골풀속은 약 300여 분류군이 있다.이 식물에 대한 문헌조사 결과 식물화학적 또는 약리학적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활성 탐색과 더불어 기초적인 식물 화학적 성분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별날개골풀의 methanol추출물을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OH 및 물로 계통 분획한 후,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던 ethyl acetate 분획에서 5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을 물리화학적 성상과 기기분석 spectral data를 통해 구조를 확인한 결과 methyl 3,5-di-O-caffeoylquinate(1), luteolin-7-O-glucopyranoside(2), methyl 4,5-di-O-caffeoylquinate(3), quercetin-3-O-β-arabino- pyranoside(4) 및 methyl 3,4-di-O-caffeoylquinate(5)로 각각 확인·동정되었다. 이상 5종의 화합물은 본 식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며, 분리된 화합물 5종은 모두 DPPH radical 소거 효능을 보여주었고, quinic acid유도체가 flavonoid화합물보다 다소 강한 은 riboflavin과 xanthine으로 유래된 superoxide에 대해 강한 소거 효능을 보여 주었다.

      • 랫트 각막 알칼리 화상 모델에서 솔코세릴의 효과

        이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각막은 안구의 투명한 조직으로, 빛의 전달과 굴절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구조와 생리에 의해 그 기능이 유지된다. 하지만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기계적 및 화학적 손상에 취약하며 특히 화학화상은 그 종류와 정도에 따라 영구적 시력 상실까지 일으킬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화학화상 중에서도 알칼리에 의한 손상의 경우 화학물질이 안구조직 내로 침투하여 더 심한 손상을 야기하며 지방성분을 비누화 시키고 기질 부종 및 신생혈관형성을 초래하여 천공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각막에 알칼리 화상을 입은 경우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만 더 큰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랫트에서 각막 알칼리 화상 모델을 수립한 후 송아지 혈액에서 분리된 무단백질, 무균, 무항원 투석액인 솔코세릴을 사용하여 치료하였을 때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적신 페이퍼디스크를 각막 중앙에 약 30초간 올려두는 방식으로 각막 알칼리 화상을 유도한 뒤 3주간 매일 2회씩 솔코세릴을 눈에 점안하여 관찰한 결과, 솔코세릴 처치 실험군에서 대조군 및 히알루론산 처치 실험군에 비해 상처치유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백내장 발생 정도 역시 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각막 신생혈관형성 정도의 경우 솔코세릴 처치 실험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각막 투명도 역시 다른 실험군에 비해 솔코세릴 처치 실험군에서 투명성이 더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 분석 결과, 솔코세릴 처치 실험군의 각막은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유지되었고, 각막에서 염증반응 관련 사이토카인 IL-1β, IL-6, 및 TNF-α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망막에서도 IL-1β의 발현이 어느정도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솔코세릴 점안액과 겔 형태가 각막 및 망막에 미치는 효과를 서로 비교하였을 때, 점안액의 경우 각막에서의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고 망막에서는 겔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가스터빈 프리스월 시스템의 유량계수 및 온도강하 효율 향상을 위한 리시버 홀 위치 최적화 연구

        장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가스터빈 프리스월 시스템의 유량계수와 온도강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산해석기법을 이용하여 리시버 홀 위치에 대한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였다. 리시버 홀의 설치 방법에 따라 3개의 설계 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이차 냉각 유로 시스템에 대한 중요한 평가 지표로서 유량 계수와 온도강하 효율을 목적 함수로 설정하였다. Optimal Space-Filling Design(OSFD) 기법을 이용하여 초기 설계점을 얻은 후, CFD 결과를 토대로 Kriging 기법을 통해 반응면을 형성하였다. 반응면을 토대로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MOGA)를 적용하여 추가 실험점을 도출하였으며 추가된 실험점의 CFD 결과를 반응면 에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MOGA에서 예측한 결과 와 CFD의 결과 오차가 0.1% 이하일 때 최적화 과정을 종료하였다. 결과적으 로, 리시버 홀의 형상 최적화 모델이 기본 모델보다 냉각 성능이 높고 유동 손실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본 모델 대비 유량계수과 온도강하 효율을 약 1.78%, 5.34%씩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조선 후기 야담에 재현된 이계 서사의 고찰 : 『요재지이』와의 대비를 겸하여

        원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고는 『천예록(天倪錄)』과 『학산한언(鶴山閑言)』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조선 후기 야담집에 재현된 기이 서사, 특히 이계 서사를 중심으로 이에 투영된 당시 사대부들의 기이 인식, 그리고 자아 인식과 타자 인식을 고찰했다. 16ㆍ17세기, 조선에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두 번의 전란을 겪었다. 이로 인해 대량의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사대부들의 시선이 달라지면서 이들이 기이를 대하는 인식과 자세도 달라졌다. 이것은 조선 후기 야담에 기이한 이야기가 많이 수록되기 시작한 시대적 배경이자 야담집에 수록된 서사 텍스트의 관점과 지향이 변화하는 근본적인 원인이기도 하다. 기이 서사에 대한 연구가 이에 투영된 시대적, 사회적 현실에 대한 연구이자, 편저자인 사대부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인 이유라고 보는 것은 이 때문이다. 본고는 주로 서사 공간 이론을 기본적인 연구 방법으로 삼아 이계 서사를 지상별천지, 신선세계와 저승세계 세 가지로 나눠 비교적 고찰을 진행했다. 창작 배경과 목적을 보면 공통점이 있지만 이들은 공간 구성과 인물 설정 등 면에서 큰 차이가 보인다. 지상별천지는 사람의 기본적인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본적인 이상적 사회이고, 신선세계는 모든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고급적인 공간이며, 저승세계는 인간 세상의 확대공간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공간에 있어서 이계 거주자가 외래자에 대해 다른 태도를 보인다. 소외시키는 경우가 있고, 동화시키는 경우가 있고,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조선 후기 야담의 특성을 더 선명히 이해하기 위해 본고는 비슷한 시기의 중국 저작『요재지이(聊齋志異)』와의 비교를 진행했다. 양자는 시대적 배경, 공간 구성과 인물 설정 등 면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모두 보였다. 그 외에, 서사 평결의 비교를 통해서 조선 사대부와 청나라 문인의 인식 차이, 주로 기이 인식과 타자 인식의 차이를 드러냈다. 결론적으로 보면 조선 사대부가 전란의 고통과 유교적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기 위해 기이한 존재를 상상했지만결과적으로 이는 현실 사회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었다. 청나라 문인 포송령의 경우, 현실을 비판하기 위해서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존재를 창출해서 어느 정도 현실 부정의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조선 사대부들은 자신이 기이한 존재가 아니라 사회의 주류적 존재를 입증하기 위해 기이한 이야기를 기록했다. 이와 대비하여 포송령은 현실을 더 잘 반영하고 비판하기 위해 기이하거나 초월적인 존재를 자기와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이는 개인 인식의 차이가 없지 않지만 근본적으로는 시대적 배경과 사회 관념 때문에 형성된 차이라고 본다. This study takes Chynyerok and Haksanhaneon as objects of research, and discusses the bizarre stories and tales of Yadam recorded during Late Chosun Dynasty, especially those on the mysterious world. The purpose is to obtain a clear knowledge on understandings of literati and officialdom about bizarre stories, themselves and others in Chosun Dynasty.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Chosun Dynasty underwent the Japanese pirates invasion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Large numbers of injuries and deaths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understandings of literati and officialdom on life and death, as well as bizarrerie. It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bizarre stories and tales of the Yadam. It is also the essential reason for the change in tendency of narration. Therefore, research on bizarre stories also reveal the research on social reality, as well as author’s understanding on the class of literati and officialdom. As for research methods, the author takes spatial narrative theory as the basis, and conducts comparative analysis by dividing narration of the mysterious world into three types of spacial narration: Utopia, the celestial world and the underworld. Utopia can be regarded as the basic society to meet essential demands of people. The celestial world is more superb space to realize all desires. The underworld is the extended space for systems and orders of the mundane world. As for the three types of spaces, characters in the different world also indicate repulsive, receptive or indifferent attitudes. In order to study the features of Yadam during Late Chosun Dynasty better, this study compares them with Strange Tales of Liaozhai of the Qing Dynasty in China. They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historical background, space composition and character settings. Besides, comparing narrative comments can directly reveal differences in understandings’ of literati and officialdom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Qing Dynasty on bizarrerie and others. As for the conclusion, the purpose for literati and officialdom’s imagination in Chosun Dynasty is to escape from the pain caused by wars and social regulations. They did not deny the social reality in essence. In contrast, as for Pu Songling’s depiction on surreal existence, he primarily aimed to criticize and deny social reality. For literati and officialdom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y recorded bizarre stories to prove themselves as the mainstream existence of the society. Pu Songling equated himself with bizarre and surreal existence, in order to reveal and criticize reality. Such differences in personal understanding. But more importantly, they are caused by historical backgrounds and social concepts. 本文以《天倪录》及《鹤山闲言》为研究对象,对朝鲜后期野谈所载奇异叙事,主要是异界叙事进行了考察。其目的在于借此了解当时朝鲜士大夫阶层的奇异认识以及自我认识、他者认识。 16、17世纪,朝鲜先后经历了壬辰倭乱和丙子胡乱两次大规模战乱。大量的人命伤亡引发了士大夫阶层生死观的改变,也导致了其奇异认识的变化。这是朝鲜后期野谈中奇异叙事多有收录的时代背景,也是导致叙事倾向变化的根本原因。因此对奇异叙事的研究也是对其所反映出的社会现实进行研究,是对编著者士大夫阶层的认识进行研究。 在研究方法上,笔者主要以叙事空间理论为基础,将异界叙事划分为理想乡、神仙世界和冥界三种空间叙事进行具体比较分析。尽管在创作背景和创作目的上有共同之处,但三者在空间构成以及人物设定等方面存在着巨大的差异。理想乡可以看做是满足人类基本需求的基础社会,神仙世界是实现所有欲望的高级空间,冥界则成为了人世制度与秩序的扩展空间。而三种空间中,异界内人物对外来者也表现出了或排斥或接纳或无关心的态度差异。 为了更好地考察朝鲜后期野谈的特征,本文还将其与同一时期的中国著作《聊斋志异》进行了比较。二者在时代背景、空间构成、人物设定等方面既有相似之处,也表现出了巨大差异。此外,对叙事评论的比较更是直接体现出了朝鲜士大夫和清朝文人在奇异认识、他者认识上的差异。 从结论上来看,朝鲜士大夫对奇异的想象,其目的在于逃离战乱的痛苦及社会的规范,但本质上并未否定现实社会。而清朝文人蒲松龄刻画超现实的存在,其目的在于批判,存在着否定现实的倾向。朝鲜士大夫记录奇异之事,其目的在于证明自己并非奇异,是社会的主流存在。蒲松龄则将奇异的、超现实的存在与自己等同,其目的在于更好地反映与批判现实。这是个人认识的差异,但更重要的是时代背景和社会理念造就的差异。

      • 근린생활환경 변화에 따른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에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영향 : 성수동 일대와 경리단길을 중심으로

        안덕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39

        Recently, various problems are brought up as residential spaces and commercial facilities of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have been changed into commercial and consumer spaces for urban residents. New problems like property value increase, rent price increase, relocation of the natives, and breaking away of preexisting neighborhood commercial district, which is also called as commercial gentrification phenomenon, are becoming serious issues. Not only the subject areas of this study - the entire Seongsu-dong area and Gyeongridan-gil, Samcheong-dong, Yeonnam-dong, and Haebangchon, which are Seoul areas, but also in rural areas like Jeonju Hanok Village, and Gyeongju Hwangnidangil, different conflicts are displayed. Various conflicts are on the rise in each area. These areas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the conflict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landlords, and the merchants, from the process of changing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into commercial and consumption spa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that arise from the negative impacts of the change in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into commercial and consumer space in the city. The conflict-causal structure of the cause of conflict, level, method of conflict management, and relationship quality were analyzed at the subject areas of study - Seongsu-dong and Gyeongridan-gil. In addition, changes in the conflict process of Seongsu-dong’s stakeholders from the policies of Seongdong District Office like gentrification-related ordinances and coexisting agreements, which were made to mitigate the conflicts, were analyzed as well. Through the study, suggestion on the role and functions of social capital were intended. These roles and functions sustain neighborhood living service by reducing the adverse effects of conflicts in areas with rapidly changing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as commercial and consumer space in the city, and vitalizes physical, economical, and cultural ways through the increase in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Largely,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 theoretical examination and empirical analysis. For theoretical examination, the role and functions of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were examined, and the transition aspects and problems arising from the transformation of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into commercial and consumption space were explored. Through this, diversified transition aspects of stakeholders were checked, and it was drawn that social capital type and function is effective in management and reduction of conflicts. On the other hand, the entire Seongsu-dong area, where social capital was put into, and Gyeongridan-gil, where no social capital was pu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areas for empirical analysis. The transformation process, social capital type, and commercial gentrification phenomenon of the two subject areas of the study were then investigated. Based on the conflict theories, conflict-causal structure of the cause of conflict, level, management method, an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ere analyz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o conflict-causal structure was explicated by comparing social capital types per subject area of the study. According to study results, the cause of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which come from the change in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into commercial and consumer space, were shown in sociocultural, physical, environmental, economical, and institutional conflicts. As a series of causal relationship developed from conflict cause, level, management method, and relationship quality among stakeholders, it was found out that social capital has an impact on conflict levels and conflict management methods. Moreover, according to the result on the relationship of conflict-causal structure for social conflict type, Seongsu-dong, where bridging social capital is formed, and Gyeongridan-gil, where bonding social capital is formed, displayed a difference. In the entire Seongsu-dong area, where Seongdong District put in Bridging Social capital such as gentrification control ordinance legislation, social economic system support, and resident activities promotion, a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s of integration and compromise among conflict management methods was shown. Also, it was seen that bridging social capital has an effect on reducing perceived and expressed conflicts in a conflict level. On the other hand, for Gyeongridan-gil, the bonding social capital formed in long term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 through the integration and compromise of conflict management methods. However, it could not affect the conflict-causal struc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e bridging social capital, formed through the support of public sectors and community activities, develops the causal structure relationship through the influence in conflic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which arise from the usage of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as commercial and consumer space, are as follows. First, as stakeholders are pointed out, a resolution method fit for each group such as citizen, mercantile, lessee, and civic organization, in areas undergoing changes in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as commercial and consumer space of urban citizens need to be prepared. Second, the cause of conflict from the process of using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as commercial and consumer spac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among stakeholders. Therefore, in a conflict phenomenon with several stakeholders engaging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change, removing the cause of occurrence may be an effective method. Third, the study presented that the efforts to improve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coexisting agreement for conflict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affect the integration and compromise of conflict management.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the system for integration and compromise between community members (United Kingdom’s Community Rights of Localism Act is an example, which is formed with speaking rights, construction rights, and bidding rights of the community to solve their problems on their own) are needed. Four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and diversify different community activity programs among stakeholders, as suggested earlier, to form bridging social capital based on the study result that bridging social capital reduces conflicts. Lastly, based on the study result showing that bonding social capital affects the quality of relationship, there is a need to continuously promote everyday exchange activitie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bonding social capital formed in old neighborhood living environment. 최근 근린생활환경의 주거공간과 근린상업 시설이 도시민의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변화되면서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라 불리는 부동산가격 상승, 임대료 상승, 원주민의 탈각, 기존 근린상권의 이탈 등이 새로운 도시 문제로 이슈화되고 있다. 본 연구 대상지인 성수동 일대와 경리단길 그리고 삼청동, 연남동, 해방촌 등 서울지역뿐 아니라 지방의 전주한옥마을, 경주 황리단길 등에서 다양한 갈등이 표출되고, 각 지역마다 갈등현상이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지역들은 근린생활환경이 도심의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되는 과정에서 지역주민, 건물주, 상인들 간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근린생활환경이 도심의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수동과 경리단길의 연구대상지에서 갈등원인, 갈등수준, 갈등관리방법, 관계의 질의 갈등 인과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성동구청이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젠트리피케이션 관련 조례와 상생협약 등을 시행한 정책이 성수동 이해관계자의 갈등과정에 미친 변화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근린생활환경이 도심의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급변하는 지역의 갈등의 역기능을 저감시켜 근린생활서비스가 지속되고, 지역사회 공동체의 활동과 참여가 높아져 물리적·경제적·문화적으로 활성화되는 사회적자본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크게 이론적 검토와 실증분석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검토는 근린생활환경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변화되면서 발생하는 근린생활환경의 변화양상과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다변화된 이해당사자의 갈등양상을 기존 갈등이론을 통해 알아보고, 사회적자본의 기능과 유형이 갈등관리 및 해소에 효과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실증분석은 갈등관리를 위해 사회적자본 투입이 되었던 성수동 일대와 그렇지 않았던 경리단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지의 변화과정, 사회적 자본의 형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조사하였다. 이후 갈등이론에 근거하여 갈등원인, 갈등수준, 갈등관리방법, 관계의 질의 갈등 인과구조를 분석하고, 연구대상지별 사회적 자본의 유형을 비교하여 갈등 인과구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근린생활환경이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변화되면서 나타난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원인은 사회·문화적 갈등, 물리·환경적 갈등, 경제적 갈등, 제도적 갈등으로 나타났다.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원인, 갈등수준, 갈등관리방법 그리고 관계의 질로 전개되는 일련의 인과관계로서 사회적 자본이 갈등수준과 갈등관리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유형에 따른 갈등 인과구조의 관계에 대한 결과로는 교량형 사회적 자본이 형성된 성수동과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형성된 경리단길이 차이를 나타냈다. 성동구에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조례제정, 사회적경제조직 지원, 주민활동촉진 등의 교량형 사회적 자본 형성요인이 투입된 성수동 일대는 교량형 사회적자본이 갈등관리방법의 통합과 타협의 효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교량형 사회적 자본이 갈등수준의 인지된 갈등과 표출된 갈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리단길은 오랜기간 정주를 통해 구축된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갈등관리방법의 통합과 타협에 원활히 하여 관계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갈등인과구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공공부문의 지원과 지역공동체 활동으로 형성된 교량형의 사회적 자본이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쳐 갈등 인과구조 관계를 형성하여 갈등을 완화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근린생활환경이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이용되면서 나타난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과 사회적 자본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 성과는 첫째, 이해당사자가 규명되었으므로 근린생활환경이 도시민의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변화하는 지역의 거주민, 소·상업인, 임차인, 시민단체 등으로 분화된 각각에 대한 집단별 해소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근린생활환경이 상업 및 소비공간으로 이용되는 과정상의 갈등원인이 이해당사자 간의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근린생활환경 변화 초기에 여러 이해집단이 포함되는 갈등현상에서는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셋째, 공공부문의 갈등관리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상생협약 등의 제도개선 노력이 갈등관리의 협력과 타협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연구에서 제시되었으므로 공동체 간 협력과 타협을 위한(예를 들면 국외에서 영국의 Localism Act의 Community Rights는 지역주민들이 자신들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지역공동체 발언권, 지역공동체 건설권, 지역공동체 입찰권리 등)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교량형 사회적 자본이 갈등을 저감하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량형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위해 앞서 제시한 다양한 이해당사자 간의 공동체 활동과 프로그램을 지금보다 강화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오래된 근린생활환경에서 형성된 결속형 사회적 자본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주민 간 일상의 교류활동을 지속적으로 촉진해야 하는 점도 간과하면 안 될 것이다.

      • 서도잡가 연구

        이성 서울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1839

        본 논문은 문헌자료와 음원자료를 통해 서도잡가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서도잡가의 음악적 특징과 각 악곡간의 연관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세기 풍류방이나 시정음악계를 중심으로 유통되던 음악은 20세기에 와서 극장과 음반을 통해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는 각 지역의 음악인들이 서울로 진출하기 시작하였으며, 서도지역의 음악인들도 또한 서울로 진출하였다. 1910-1920년대는 서도지역의 음악인들 중 평양날탕패가 서울로 진출하였다. 평양날탕패는 문영수, 이정화가 주축이 되어 활동했던 서도 선소리패로, 서도 산타령(입창)을 주요 레퍼토리로 연행하던 집단이었다. 그러나 20세기 초반 서울지역에서 활동하던 시절에는 다양한 장르를 연행하였으며, 서도 산타령보다 오히려 <수심가>, <배따라기>와 같은 서도잡가(좌창)를 주요 레퍼토리로 연행하였다. 이들은 주로 경기명창 박춘재와 함께 원각사, 광무대, 단성사 등의 실내극장에서 연행하였다. 1930년대는 김종조, 김주호 등의 서도창부들과 이진봉, 김옥엽 등의 경․서도 예기들이 서도잡가의 중요한 연주자로 활동하였다. 서도창부들은 서도지역을 중심으로 서도잡가, 재담소리, 독경소리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연행하던 집단으로, 1930년대 들어 서울로 진출하였다. 이들은 다양한 유형의 서도잡가를 창작하여 서도잡가의 레퍼토리 확장에 큰 역할을 하였다. 반면 경․서도 예기들은 방송을 통하여 기존의 연행되었던 서도잡가의 레퍼토리를 연행함으로써 서도잡가의 대중화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 당시에는 명창대회가 활발히 연행되었고, 라디오 방송 등이 중요한 공연 매체로 등장하였다. 1940년대는 장학선 등의 서도소리꾼들과 묵계월 등의 서울소리꾼들이 대표적인 연주자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중요무형문화재 제도로 인해 서울소리꾼들은 경기소리만을 담당하게 되었고, 장학선, 이반도화 마저 타계하면서 1970년대 이후는 김정연과 오복녀 두 사람을 중심으로 서도잡가가 연행되었다. 이 시기에는 제 2차 세계 대전, 해방, 한국전쟁 등으로 인하여 전통음악 전반에 걸쳐 침체현상을 보였고, 서도잡가 또한 이전시대에 비해 연행횟수나 음반 발매량 등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서도잡가의 레퍼토리 확장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했고, 이전 시대까지 연행된 악곡들만이 고정적으로 연행되었다. 한편, 서도잡가는 사설구조, 박자구조, 선율구조, 악곡구조 등의 음악적 특징에 따라 수심가계통과 배따라기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수심가계통에 속하는 악곡들은 <수심가> 앞에 엮음부분을 첨가하여 만든 악곡들로, ‘엮음형’ · ‘박자구조 변화형’ · ‘형식구조 변화형’의 3가지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엮음형에는 <엮음수심가>, <봉황곡>, <향산록(김정연)>, <제전>, <공명가>, <전쟁가(김종조, 김정연)>, <화용도> 등이 해당한다. 이는 <수심가> 앞에 긴 사설을 촘촘히 엮어주는 엮음부분을 추가한 유형으로, [엮음+수심가]의 구조를 가진다. 엮음부분은 각 악곡마다 사설의 길이에 따라 유동적이고, 박자구조는 3소박 기본박으로만 구성되며, 선율구조는 수심가토리를 근간으로 구성된다. 이는 엮음선율형과 종지선율형으로 구성되는데, 엮음선율형만 변화되고 종지선율형은 반복된다. 박자구조 변화형에는 <초한가>, <악양루가> 등이 해당한다. 위 악곡들도 역시 [엮음+수심가]의 구조로 구성되는데, 엮음형에 비해 엮음부분의 박자구조가 복잡해졌다. 엮음형의 비해 위 악곡들은 3소박 기본박에 혼소박 기본박이 추가되었다. 형식구조 변화형에는 <향산록(김주호)>, <전쟁가(김주호)> 등이 해당한다. 위 악곡들도 [엮음+수심가]의 구조로 구성되는데, 엮음형에 반해 엮음부분에서는 종지선율형이 생략되었고, 수심가부분에서는 3절이 생략되어, 형식구조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이렇듯 수심가계통에 속한 악곡들은 ‘엮음’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엮음’은 사설의 길이를 늘인 후, 늘어난 사설을 촘촘하게 엮어 부르는 것으로, 기존의 사설에 비해 한 마디 안에 들어가는 음절 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한 음절 당 시가를 두 배 이상으로 단축시켰다. 배따라기계통에 속한 악곡들은 <배따라기>, <자진배따라기>, <영변가>의 3곡으로, <자진배따라기>와 <영변가>는 <배따라기>를 변화시켜 만든 악곡이다. <배따라기>는 [도입+후렴+절]로 구성되며, [후렴+절]이 여러 번 반복되는 구조이다. 박자구조는 세마치장단을 중심으로 구성되고, 선율구조는 수심가토리로 구성된다. <자진배따라기> 역시 [도입+후렴+절]로 구성되며, [후렴+절]이 여러 번 반복되는 구조로, 현행으로 전승되면서 노 젓는 소리가 추가되었다. 선율구조는 <배따라기>와 같이 수심가토리로 구성되고, <배따라기>의 도입부분과 후렴부분의 선율 형을 차용하였으며, 박자구조 또한 <배따라기>와 같이 세마치장단으로 구성되는데, 다만 악곡의 템포가 빨라졌다. 즉 <자진배따라기>는 <배따라기>의 도입부분과 후렴부분의 선율 형을 차용하여, 곡의 템포를 빠르게 변화시킨 악곡이다. <영변가>는 유절형식의 악곡으로, 선율 진행에 따라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배따라기> 도입부분의 선율을 차용하여 장식음을 첨가하였고, 두 번째 부분은 이를 완전 5도 위로 이조한 형태이다. 박자구조 또한 <배따라기>, <자진배따라기>와 같이 세마치장단으로 구성된다. 즉 <영변가>는 <배따라기>의 도입부분의 선율을 차용하여, 장식음을 첨가하여 변화시킨 악곡이다. 배따라기계통에 속한 악곡들은 ‘자진’의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자진’은 사설의 길이 및 한 마디 안에 들어가는 음절 수, 사용되는 장단은 그대로이지만, 곡의 템포를 빠르게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한 음절 당 물리적인 시간을 단축시켰다. 이처럼 수심가계통에 속한 악곡들은 <수심가>를 기본으로 ‘엮음’의 방식으로 변화시켰고, 배따라기계통에 속한 악곡들은 <배따라기>를 기본으로 ‘자진’의 방식으로 변화시켜 서도잡가의 레퍼토리를 확장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서, 서도잡가는 기존에 있던 <수심가>와 <배따라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만들어진 악곡임이 밝혀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