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彩色 人物畵의 硏究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전영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한국의 전통 회화는 자연 중심의 회화였으므로 회화 속의 인물은 부수적인 역할밖에 하지 못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인본주의적 회화로 변화해 가고 있다. 이런 시대적 흐름과 맥을 같이 하여 본인의 작품에서는 인물을 단순히 그림의 소재로서 바라보는 것이 작가 자신의 자아 표현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회화는 창작을 하는 작가자신의 개성과 독창성이 아무리 뛰어나다 할지라도 작가가 살고 있는 환경을 배제할 수 없으며, 그 환경을 바탕으로 진정한 의미의 예술의 영역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다양한 경험적 특성을 회화와 한 장르 중 하나가 인물화인데 이는 사람의 행위를 주제로 한 그림을 말하며, 본인은 인물화의 전반적인 역사를 살펴보고, 그 중 채색인물화를 중점적으로 고찰하겠다. 한국의 채색 인물화는 4세기경의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시작되는데 여기서 표현된 채색 인물에서는 화려한 기법을 볼 수 있으며, 이어 삼국시대(981~1392)에도 섬세하고 수준 높은 도석 인물화를 남겼다. 조선시대(1392~1910)의 경우는 초상화와 영·정조 시대 등장한 풍속화 등이 그 맥을 잇고 있다. 근대에 이르러서는 국권피탈이란 특수한 여건 하에 ‘선전’이 개최되어 일본화의 영향을 받은 인물화가 발전하게 된다. 이때부터 현대 회화에서 보여 지는 일상생활의 묘사, 감각적인 인물 표현 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북화풍의 짙은 채색기법이 부활하였다. 이러한 채색기법의 인물화는 해방 이후 일본 문물의 잔재라는 비판 속에서 그 모습을 감추었다가 현대에 이르러 진채 형식의 인물화로 다시 나타나게 되었다. 이렇게 한국 인물화에 있어서 채색기법은 많은 변화를 거듭하며 발전하여 왔는데, 이에 따른 역사적인 고찰은 현실을 바로 직시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현대적인 감각의 인물화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채색 인물화의 현대적 모색을 위해서 그 시대에 따른 채색인물화의 예술성을 고찰하고 전통적 근거를 맥으로 시대감각에 맞는 새롭고 실험적인 표현을 시도함으로써 한국적 채색 인물화의 계승과 창조를 꾀한다는 데 있다. 즉 본인은 동양 회화 정신과 사상을 바탕으로 전통 재료 및 기법을 파악하여 전통채색화를 소화하고 새로운 조형미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작업을 해 나가고자 한다.

      • The Impact of Consumer Satisfaction, Site Brand and eWOM on Repurchase Intention in International Shopping- with Tmall International as the Background

        전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consumers can ge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quickly and accurately, which makes the switch cost and search cost of consumers continue reduce. For online sellers, how to retain customers and improve customer repurchase rate is important to increase sales and profits. In China, more and more consumers are not satisfied with buying domestic products and turn their attention to international famous-brand products. Therefore, in this environment, international shopping continues to develop. By asking people about international shopping experience in advance,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hoppers, I set consumer satisfaction, site brand and eWOM as variables that affect repurchase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to improve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 in the international shopping, as well as the impact of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on consumer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platform of this study is Tmall International, the largest international shopping platform in China. The questionnaire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 and combined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this study, through the wjx.com, and through Wechat, QQ and e-mail to send the questionnaire, and finally get the data. Questionnaires with no international shopping experience, missing answers, all the same answers or obvious rules in choosing answers will be deleted. Data analysis and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네트워크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대량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소비자의 전환 비용과 검색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온라인 판매자 입장에서는 고객을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는지, 고객 환매율을 높이는 것이 매출을 늘리고 이윤을 높이는 데 더욱 중요해 보인다. 중국에서는 국내 제품 구매에 만족하지 않고 국제 제품으로 눈을 돌리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그래서 이런 환경에서 국제 쇼핑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국제쇼핑 경력이 있는 사람에게 미리 묻고 국제쇼핑 이용자의 특징을 결합함으로써 소비자 만족, 사이트 브랜드와 인터넷 평론을 재구매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도입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쇼핑에서 고객의 재구매 의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한편, 공리적 가치와 향락적 가치가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 플랫폼은 중국 최대 국제 쇼핑 플랫폼, 티몰 인터내셔널이다. 설문지는 이전 연구에 맞춰 본 연구 실태와 함께 수정한 후 xjx.com을 통해 제작되고 위챗, QQ, 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보내 최종 데이터를 얻게 된다. 국제 쇼핑 경험이 없거나, 답이 빠지거나, 답이 전부 같거나, 답변을 선택하는 뚜렷한 법칙이 있는 설문지는 삭제될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 이동 환경에서 중위값 기반 칼만 필터링을 통한 강인한 시간동기화

        전영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AD-HOC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노드가 분산되어 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정보전달을 위한 노드 간 시간 동기화를 필요로 한다. 노드 간 시간 동기화를 위해서 기준 노드의 시간으로 동기화하는 방법과 이웃 노드의 시간의 평균을 계산하여 동기화하는 방법이 존재하는 데 분산 환경에서 홉 지연이 존재하여 이웃 노드 기반으로 하는 동기화가 적합하다. 하지만 분산되어 있는 노드가 이동하거나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에 이웃 노드 기반 알고리즘인 GTSP를 사용하게 되면 시간의 편차가 수렴되지 않고 발산한다. 이에 따라 이동성 환경에서 동작하기 위한 방법 등이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 환경에서의 동작과 악의적인 노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평균값 대신 Median을 사용한다. Median은 데이터 사이에 편차가 큰 경우나 이상치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수신 받은 메시지를 정렬하고 그 중간에 있는 동기화 메시지를 사용하여 동기화를 한다. 하지만 분산 환경에서 Median을 구하는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지역적인 분산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내에서 노드의 소프트웨어 속도를 빠르게 동기화할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또한 Median 대신에 Fastest Median을 사용하여 동기화의 정확도와 성능을 향상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내에 있는 노드가 가진 클럭의 속도를 빠르게 동기화하고 분산 환경에서 Fastest Median을 사용하여 Kalman filter를 이용해 동기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In distributed network environments, time synchronization is required for reliable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nodes based on AD-HOC networks. To synchronize time between nodes, there is two method. one is synchronizing with the time of a reference node, another is synchronizing the average of the time of a neighbor node.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hop delay exists, so synchronization based on neighbor nodes is suitable. However, when a distributed node moves or a failure occurs in GTSP based on neighbor node, the time variance diverges without convergence using. Accordingly, methods for operating in a mobility environment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Median is used instead of the average value to remove the malicious node and the behavior in the mobility environment. Median algorithm sorts the received messages in case there is a large deviation between data and outlier and synchronizes them using the synchronization message in the middle. However, obtaining Media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takes a long time and results in regional dispersion.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method to quickly synchronize relative skew in the network and improve the synchronization accuracy and performance by using Fastest Media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rapidly synchronizing relative skew in a network and using a Kalman filter with Fastest Median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 중국어 委婉語의 變異性 硏究

        전영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社会生活离不开语言。自人类诞生起,就有了各种各样的语言形式。各个国家的语言形式与语言符号有所不同,但是在某些表达方式上,各个国家又有相似性。比如在表达一些难以启齿的问题与敏感词汇时,人们都会不约而同的用相对温和的词语来表达自己的意思。这就是人们通常所说的委婉语。简单说来,委婉语就是不直接表达某事物或状态,而用比较温和、曲折的方式,换另一种说法指称。委婉语是一种社会文化现象,已渗透于人们日常生活的方方面面,反映广泛的社会现象或人民心理,如考虑到避讳问题、禁忌问题、礼貌问题等。研究委婉语就是为了使人们更好的了解委婉语,从而更好的利用委婉语进行交流与沟通。 委婉语是人际关系的润滑剂,使人际沟通更加顺利与通畅。委婉语在现实生活中被使用的范围很广。人们的日常交谈中会用到委婉语,文学作品中对于一些比较晦涩以及难以启齿的敏感词汇也会用委婉语来指代,电视电影作品中为了防止出现过于露骨或不文明的词汇也要用到委婉语。委婉语在语言中是不可或缺的。委婉语的作用不可小视。人们在交际与交流中希望找到一种合适的表达的方式,能够使双方顺利的完成交际。在交流中又要保证双方的愉悦性。如果使用一些较为粗俗或敏感的字眼,会给双方带来尴尬与不便。为了更好的进行交流与沟通,委婉语就产生了。 学习一门外语时,了解它的委婉语极其重要。有这样一句俗语“入境而问禁,入国而问俗,入门而问讳”,表达的就是这个意思。由于不同国家的政治,地理,生活方式,以及历史差异等方面的因素,造成各个国家在文化方面的差异。而在文化中很重要的部分-委婉语也会有所不同。因此各个国家就拥有了不尽相同的委婉语。在各个国家的语言中委婉语的使用方式,使用领域以及使用情境都不相同。 学习一门外语时,如果忽视了那门语言的委婉语就会产生笑话甚至误解。各民族习惯的不同,具有民族语言特点的委婉语在日常交际中至为重要,因此汉语学习者熟悉和掌握汉语委婉语,不仅能增强汉语的阅读理解能力,而且能明显提高学习者运用汉语进行交际的能力。所以说,在学习汉语的过程中,学习它的委婉语也极其的重要。 通過理解委婉语准确的概念,以及其多样的汇类, 实例, 使中国语学习者们不仅能提高语言表达能力, 还可以增进与不同国家之间的交流顺利沟通。

      • 경남지역 학교급식 시설·설비에 대한 영양(교)사의 인식

        전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provides substantive basic data and improving methods for modernization of school foodservice based on dietitian inquiry of recognition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Gyeongnam Area. This questionnaire, which made by pilot test from June 16 to June 18, 2012, was surveyed from July 23 to Aug 31, 2012. Total 39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89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And 27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improper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53.5% of those surveyed positions were dietitian and 46.5% of those were dietitian teacher(including short-term teaching positions). In present state of current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the ratio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in elementary school was 51.6%, public school is 77.8% and urban school is 54.9%. Below 300 students and upper 801 students per one day foodservice were same 34.2%. And the highest rate of foodservice period is 11~15years as 34.2%. Second, the highest rate of washing hand equipments(for students) was 'Only hand sterilizer is available' as 38.9%. and the highest rate of using the foodservice management office is 'dietitian only use' as 57.8%. And the highest rate of sort of air-conditioning equipment was 'air-conditioning by duct as 62.2%. Third, an awareness of the school foodservice subsidiary facilities was 1.64(3 is the standard of measurement) and the smallest area was supply room as 1.47. In each position's awareness, dietitian teacher and dietitian were 1.64, in each school's awareness, middle-high school was 1.62, which is lower than elementary school is 1.66. As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of each establishment's awareness, public and private school were 1.64 equally. In the awareness of the number of students provided school foodservice per day, 'over 801 students' was the lowest as 1.54(p<.001). In case of awareness by period of school foodservice, '11~15years' were the lowest as 1.59. A satisfaction about subsidiary facilities was 2.85(5 is the standard of measurement), and the lowest is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office as 2.67. In the satisfaction by positions, 'dietitian' was 2.81 lower than 'dietitian teacher' as 2.88. In the satisfaction by each school form, middle-high school (as 2.74) was lower than elementary school, and by each establishment type, private school(as 2.74) is lower than public school. In the satisfaction by each student provided school foodservice per day, 'over 801 students' was the lowest as 2.61 (p<.01), and by each period of providing foodservice, 'below 10years' was the lowest as 2.79. Fourth, an average of awareness of school foodservice equipment was 3.45(5 is the standard of measurement), and the lowest was 'preprocessing room' as 2.99. In the awareness by each school form, middle-high school(3.37) was lower than elementary school(3.53) (p<.05), and by each establishment type, private school(3.35) is lower than public school(3.48). In the awareness by each student provided school foodservice per day, 'over 801 students' was the lowest as 3.39, and by each period of providing foodservice, 'over 16years' was the lowest as 3.44. Fifth, in case of modernizati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in current, modernization-completed school was 32.7%, lower than modernization-incompleted school(67.3%). In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of awareness about school foodservice subsidiary facilities contingent on completement of modernization, there was the meaningful ifference between modernization-completed school(1.72) and modernization-incompleted school(1.60). In an awareness about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contingent on completement of modernization, modernization-completed school(3.30) was lower than modernization-incompleted school(3.77), and 75.1% of modernization-incompleted school(139 schools) was no plan to modernize. Sixth, as divided by quadrant, accessing convenience, suitability of scale etc. were placed at the first quadrant(high importance recognition, high accomplishment). Window was placed at the second quadrant(low importance, high accomplishment). Chair design, noise controller, window design etc. were placed at the third quadrant(low importance recognition, low accomplishment). Humidity control and ventilation item were placed at the fourth quadrant (high importance recognition, low accomplishment). In conclusion, a study of recognition of dietitian about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equipments in Gyeongnam Area had found that in middle high school, private school, rural, over 801 person and from 11 to 15 year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is the lowest. Especially, satisfaction of foodservice facilities was the lowest in under for 10 years. School which plan to modernization account for he majority of uncompleted modernization school. So, it was keenly necessary to improve recognition of modernization. In future, we need to ensure optimum size for modernization project. and that improve the satisfaction and efficiency of dietitian. Ultimately, we expect to better school food service.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급식 시설·설비에 대한 인식에 대한 조사를 통해 학교급식환경 개선 및 향후 진행 될 급식시설 현대화에 실질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2012년 7월 16일~18일까지 10명을 예비조사 실시 후 수정 보완하여 개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12년 7월 23일~8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터넷 업무메일로 총 391부를 배부 후 289부(회수율 73.9%)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 내용이 불충분한 14부를 제외하고 총 275부(분석율 70.3%)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항에서 조사대상자 직위형태는 영양사 53.5%, 영양교사(기간제 포함) 46.5%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소 현황으로 초등학교 51.6%, 공립 77.8%, 도시형 54.9%이 높았으며 학교급식소 운영 특성에서 1일 급식 인원(중식기준)은 ‘300명 이하’와 ‘801명 이상’ 모두 각각 34.2%로 동일하게 조사되었으며 급식실시기간은 11~15년이 38.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급식 시설 실태 중 손 씻는 시설(학생용)은 ‘손소독기만 설치’ 38.9%로 가장 높았고 급식관리실 ‘영양(교)사 단독사용’에서 57.8%로 높았으며 냉방시설은 ‘덕트에 의한 냉방’ 62.2%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 1.64(3점 척도기준)로 소모품보관실이 1.47로 가장 좁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직위형태별 인지도는 영양교사, 영양사 모두 1.64로 나타났으며 학교형태별로 살펴보면 중·고등학교(1.62)가 초등학교(1.66)보다 낮았다. 설립형태별 인지도 차이 분석 결과 공립과 사립 모두 1.64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1일 급식인원별 인지도는 801명 이상에서 1.54로 가장 낮았으며(p<.001) 급식실시기간별 인지도는 11~15년에서 1.59로 가장 낮았다.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85(5점 척도기준)로 나타났으며 급식관리실이 2.67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위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영양사 2.81로 영양교사 2.88보다 낮았다. 학교형태별 만족도는 초등학교보다 중·고등학교가 2.74로 낮았으며(p<.05) 설립 형태별에서는 사립이 2.74로 공립보다 낮았다. 1일 급식인원별 만족도는 801명 이상에서 2.61로 가장 낮았으며(p<.01) 급식실시기간별 만족도는 10년 이하에서 2.79로 가장 낮았다. 넷째, 급식 설비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 3.45(5점 척도기준)로 나타났고 전처리실이 2.99로 가장 낮았다. 학교형태별 인지도는 중·고등학교(3.37)가 초등학교(3.53)보다 낮았으며(p<.05) 설립형태별 인지도는 사립(3.35)이 공립(3.48)보다 낮게 나타났다. 1일 급식 인원별 인지도는 801명 이상에서 3.39로 가장 낮았으며 급식 실시 기간별 인지도는 16년 이상에서 3.4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급식소 현대화 실태에서 현대화 완료된 학교가 32.7%로 미완료된 학교 67.3%보다 적었다. 현대화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인지도 차이 분석 결과 현대화 완료된 학교(1.71)와 미완료된 학교(1.60)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현대화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 설비에 대한 인지도는 현대화 미완료 학교(3.30)가 완료된 학교(3.77)보다 낮았으며(p<.001) 총 185곳의 현대화 미완료 학교 중 139곳(75.1%)이 향후 현대화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사분면으로 분할한 결과, 중요도 인식이 높고 수행도가 높게 평가된 1사분면(Doing Great)영역은 위치 및 접근 편리성, 규모의 적정성, 식탁 디자인, 냉방 공급, 난방 공급, 조명 밝기, 출입문 위치, 배식구, 동선적정성 요인이 위치하였다. 2사분면(Overdone)은 중요도는 낮지만 수행도가 높아 이미 많은 노력이 투입되었다고 평가된 부분으로 창문 항목이었다. 3사분면(Low Priority)은 중요도 인식이 낮고 수행도 낮아 향후 관련 물리적 환경개선이 필요한 부문으로 건물외관 아름다움, 의자 디자인, 소음 장치, 창문 디자인, 외부벽 색, 내부벽 색, 퇴식구, 식기류, 실내조형물 설치, 분위기 항목이 위치하였다. 중요도는 높은 반면 수행도가 낮아 가장 우선적으로 노력을 집중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된 4사분면(Focus Here)에는 습도 조절, 통풍 항목이었다. 결론적으로 경남지역 학교급식 시설·설비에 대한 영양(교)사의 인지도는 중·고등학교, 사립, 농어촌·도서벽지형, 1일 급식인원 801명 이상, 급식실시기간 11~15년에서 인지도 및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오히려 가장 최근에 급식을 실시한 급식실시기간 10년 이하에서 가장 낮았다. 현대화 미완료 학교 중 향후 현대화 계획이 없는 곳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므로 영양(교)사의 급식소 현대화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차후 급식소 현대화 사업 시에는 적정인원에 알맞은 적정면적 확보가 필요할 것이며 급식시설 개선은 실질적으로 영양(교)사에게 근무환경 만족도 향상 및 업무 효율성 증가로 더 나은 급식서비스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라이브 커머스에서 방송인 표정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라이브 커머스 방송 위주로

        전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 방송에서 방송인의 표정과 방송인의 어려운 상황에 대한 정보, 그리고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서로 얽혀 있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방송인의 슬픈 표정이 더 강한 구매 의도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이 방송인에 대한 동정심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방송인의 어려운 상황에 대한 정보가 방송인의 표정과 구매 의도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가 없는 경우 소비자는 방송인의 표정에 더 집중하여 슬픈 표정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지만, 정보가 있는 경우 정보가 방송인의 표정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이 커머스 분야 실무자들에게 실행 가능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방송인의 표정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촉진하며, 방송인의 표정과 동정심이 소비자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twined relationship between the anchor's express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anchor's plight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live streaming. It was experimentally demonstrated that the anchor's sad expression triggered stronger purchase intention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were driven by sympathy for the anchor. In addition, we found that information about the anchor's predica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rating the anchor's express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absence of information, consumers focus more on the anchor's expression, resulting in a more significant effect of the sad expression. Conversely, in the presence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iminishes the impact of the anchor's expression. This study provides an actionable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e-commerce, promotes in-depth research on anchor’s facial expressions, and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anchor’s facial expressions and sympathy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 봉사활동 관련 교육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 교과 시간 내 봉사활동 교육을 중심으로

        전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on valid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students'' self-esteem..The volunteer activities are known to serve to cultivate mentality and attitude towards humanity, develop a sound personality, a sense of responsibility, a potential of leadership and a sense of confidence and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nd affect leisure and hobby life positively.Students are encouraged to be engaged in volunteer activities to enhance their personality, but their volunteer activities are not substantial but formal in most cases.In order to test the following hypotheses, the researcher operated a volunteer experience learning program for the sample students;1. The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would awaken the students of the need of a volunteer activity.2. The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would conduce to improvement of students'' self-esteem.For this study, 140 middle school second graders were sampled to be divided equally into test and control groups.Both groups were educated with the program for an hour every week for 3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students'' motiv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changed.Namely, their motivation changed greatly from ''To spend the obligatory volunteer activity hours'' to ''To help others'' or ''To get an opportunity to get acquainted with friends''. After the program, the students were more spontaneous and positive for their voluntary activities rather than obligatory and passive.Second, the effects of voluntary activities expected by the students changed in a positive way.After the program, students were ''more grateful'', ''more pleased to help others'' and ''more active in loving neighbors''.Third, students'' mentality about volunteer activities changed much in terms of beneficiaries and contents.After the program, students were more concerned about social welfare facilities, being more willing to serve them. And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more personal and professional volunteer activities such as laboring, conversation partner and massaging.Fourth, students'' self-esteem improved.After the program, students seemed to have found a potential for themselves and use the volunteer activities as an opportunity to renew their goal of life.Fifth, students'' sense of community improved. After the program, many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be positive in helping others in trouble.Sixth, students were awakene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s curriculum and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Students supported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more than personality-centered one.All in all, the two hypotheses were supported positively by the survey.However, it is much regretable that the volunteer activities are educated only formally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Today when more and more people work for only 5 days a week and education of personality through diverse experiences is emphasized, it is deemed required at the levels of school, home, community and even government to operate a volunteer activity special teacher system, organize and activate volunteer activity groups, develop a variety of volunteer activity programs for groups or families and explore diverse beneficiaries of volunteer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봉사활동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봉사활동의 필요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는데 있다.자원봉사활동은 인간존중의 마음과 태도를 길러주고 건전한 인격형성에 도움을 주며 민주 시민으로서 책임감과 잠재적 지도력을 계발하여 자신감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증진, 여가와 취미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교육부의 1995년 5월 31일 발표된 교육개혁안에 따라 인성교육 강화의 일환으로 학생 봉사활동을 권장해 오고 있으나 그 내실면에서는 여전히 부실하여 형식적 봉사로 끝나는 경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따라서 이 연구는 교과 시간 내에 ‘봉사활동 관련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육한 결과 두 가지 연구 주제가 어떤 결론이 나는지를 직접 확인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이에 이 연구는가. 봉사활동 관련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봉사활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알게 할 것이다.나. 봉사활동 관련교육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두 가지 연구 주제로 연구 조사 대상은 서울 시내 중학교 2학년생 70명을 실험 집단으로, 70명을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약 3개월 동안 주당 한 시간씩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VTR 을 보고 소감나누기, 토론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발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설문지 조사는 3월 학기 초와 6월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먼저‘봉사활동 관련교육이 봉사활동에 도움이 되었는가’, ‘봉사활동 관련교육 후 봉사활동에 대한 태도와 마음이 달라졌는가’, ‘봉사활동 관련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봉사활동을 졸업 후에도 계속 하겠는가’의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분석해 보면 통제 집단과 비교해 볼 때, 그리고 1차 설문결과와 2차 설문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이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집단이 봉사활동 관련 교육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을 보였다.봉사활동을 하는 주된 동기에 대해서는 1차 설문 조사 결과는 두 집단 모두 ‘학교 봉사시간의 필요성 때문’이라는 동기에 응답자수가 많았다. 그러나 2차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을 돕기 위해서’, ‘친구들과의 사귀는 기회’라는 동기로 인식이 크게 변화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봉사를 통해서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고 ‘남을 돕는 기쁨을 맛보고’,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정신을 함양’하는데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봉사활동 내용 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었다. 사회 복지시설에서의 ‘일손 돕기’와 ‘말 벗 역할’과 ‘안마해드리기’와 같은 위문 형식으로 봉사가 실천되어졌다.

      • 담배 (N. benthamiana)에서의 엽록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STF와 CEP1 유전자의 기능에 관한 연구

        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39

        제 1 장 담배(Nicotiana benthamiana)의 STF(S1 domanin-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유전자에 대한 생화학적, 생리학적 기능을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기법과, cosuppression 및 overexpresssion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담배의 STF cDNA (Gene bank accession number HM012811)는 2,040 bp의 open reading fram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680개의 아미노산을 coding하고 있다. STF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chloroplast fractionation을 수행하였으며,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SiR (sulfite reductase) 단백질과의 co-localization도 관찰해 보았다. SiR 은 chloroplast nucleoid-associated protein으로써 엽록체의 스트로마에 위치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Fractionation 과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 결과, STF 단백질은 엽록체내의 스트로마와 틸라코이드 막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EMSA 를 통하여 STF는 S1 domain을 가짐으로써 비특이적인 염기서열의 single strand RNA 에 결합한다는 사실을 알았으며, yeast one hybrid assay를 통해 전사 활성 촉진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VIGS 와 cosuppression에 의한 STF silencing은 담배 잎에서의 정상적인 엽록체 발달을 저해함으로써 잎의 심각한 yellowing 표현형을 나타나게 하였다. Northern blot을 수행한 결과, silencing에 의한 STF 기능의 결핍은 색소체(plastid) 유전자들 중에서 PEP (plastid-encoded multimeric RNA polymerase)에 의한 유전자들 (PEP-dependent genes)의 전사를 감소시키는 반면, NEP (nucleus-encoded phage-type RNA polymerase)에 의한 유전자들(NEP- dependent genes)의 전사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이러한 PEP-dependent gene들의 전사수준 감소는 세포내 STF 기능의 결핍으로 인한 전사율의 저하에 의한 결과임을 chloroplast transcription run-on assay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와 부합되는 결과로써, chloroplast run-on assay를 수행할 때 충분한 양의 재조합 STF 단백질을 처리해 주면 엽록체 내 유전자들의 전사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STF 가 plastid transcription 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결과이다. 아쉽게도 STF silencing 에 의한 담배식물의 여러 가지 표현형에 비해 STF overexpression 식물은 wild type 식물과 별다른 기능적, 표현적 차이를 발견해 낼 수 없었다. STF cosuppression (이하 CS라고 표기) 식물의 etiolated seedling을 유도하여 빛에 노출시킨뒤 엽록체의 형성과정을 관찰해 보았다. 그러나 일정시간 동안 식물이 빛에 노출된 후에도 CS 식물에서는 정상적인 엽록체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빛에 의해 유도되는 plastid-gene들의 발현증가도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되어 나타났다. 결국 담배 식물체 내에서 STF 유전자의 기능결핍은 엽록체 수와 크기를 감소시키고 비정상적인 모양을 띄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위의 여러 가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STF는 고등식물에서 plastid transcription을 조절하는 전사조절인자로써의 역할을 담당하고, 나아가 엽록체의 정상적인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제 2 장 Virus-induced gene silencing 기법을 이용하여 담배의 NbCEP1 (Nicotiana benthamiana Chloroplast Envelope Protein 1) 유전자의 생리학적 기능을 연구하였다. NbCEP1 (Genbank accession number GQ477179)은 61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terminal에 위치한 chloroplast transit peptide와 한 개의 transmembrne domain 을 제외한 단백질의 대부분이 15개의 LRR (leucine-rich repeat) motif로 coding 되어있다. NbCEP1은 모든 식물 조직에서 발현되고 있으며, 빛에 의해 발현의 증가가 유도된다. 형광 단백질을 표지한 NbCEP1의 세포내 발현을 관찰해본 결과 NbCEP1 은 엽록체 막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western blot 을 통하여 이러한 사실을 다시 확인하였다. VIGS에 의하여 NbCEP1 의 발현이 억제되었을때 담배식물은 잎이 노랗게 변하는 표현형을 나타내었으며, 현미경 관찰결과 대조구에 비해 엽록체의 숫자가 감소하고, 크기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엽록체의 기능이 망가짐으로써 간접적으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도 저하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식물의 엽록소 a, b와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의 함량도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bCEP1의 세포내 기능을 밝힐 수 있는 직접적인 결과를 얻을 순 없었지만, 여러 가지 관찰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NbCEP1은 엽록체의 정상적인 기능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Ⅱ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 분석 :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전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The cultiv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recent science education can be improved by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a string of inquiry processes formed by scientific knowledge.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NGS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have come up with 8 practices of science that help students experience scientists' inquiry processes, and abilities and goals to perform inquiry activities by subdividing 8 practices of science into activities by grade clusters. 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whether students can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inquiry activities included in 4 high school chemistry Ⅱ textbooks develop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achievement standards in 9th-12th grade of 8 practices of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of inquiry and the practices of science included in 4 textbooks were 173 and 701, respectively, which one activity of inquiry included average 4 practices of science. The comparison of inquiry activities and science practices included by unit of 4 textbook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units included the great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and science practices. Second, the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4 textbooks included the most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data.’ The ‘utiliz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nd ‘discussing on the basis of evidence’ more stressed by NRC in 2013 than before were less than other practices. The ‘asking a question and prescribing a problem’ and ‘developing and using a model’ were not nearly included in science practices. Most inquiry activities included in the textbooks were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by experiment and explain the reason. Students has lacked the opportunity for forming scientific knowledge by showing information in the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such as table and graph, or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ir opinion through a critical discussion with their fellows. And they have had little opportunity for forming a hypothesis of any phenomenon and designing a model of problem solution by themselves. Third, the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inquiry activities by unit of 4 textbooks included the most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data’ in all the rest except the ‘human wellbeing and chemistry’ uni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cond-included science practices by uni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most-included science practices by the contents of unit. Fourth, the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textbooks were concentrated in one or two specific activities. Learners will repeatedly perform the specific inquiry activities. And they will not only have little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a variety of inquiry activities, but form the misconception of specific inquiry. As stated above, if the inquiry activities included in the textbooks are concentrated in some science practices, learners will have a limit in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It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the goal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at the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extbooks should boost their ability and attitude of scientific literacy and inquiry. Consequently, the inquiry activities including a variety of science practices should be come up with to help students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science textbooks. And th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help science teachers plan and perform a science lesson including the inquiry activities. 최근 과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소양의 함양은 과학 지식이 형성되는 일련의 탐구 과정을 경험하고 이해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미국연구회(NRC)의 과학 교육 기준(NGSS)은 학생들이 과학자들의 탐구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8가지 과학 실천(8 Practice of Science)을 제안하였고, 8가지 과학 실천을 학년 군별에 따른 여러 활동으로 세분화하여 탐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고등학교 화학Ⅱ교과서 4종에 포함된 탐구 활동을 8가지 과학 실천의 9-12 학년의 성취기준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통해 탐구를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종의 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은 173개, 과학 실천은 701개로 하나의 탐구 활동에 평균 4개의 과학 실천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4종 교과서의 단원 별 포함된 탐구 활동 수와 과학 실천 수를 비교한 결과, 교과서별 탐구 활동과 과학 실천이 가장 많이 포함된 단원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4종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포함된 과학 실천은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실천이 가장 많았고, 미국연구회(NRC, 2013)가 이전보다 더욱 강조하고 있는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등의 실천은 다른 실천들에 비해 부족하였고,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와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실천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의 유형은 대부분 실험 수행으로 얻은 자료를 분석하고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정보를 표, 그래프 등과 같은 수학적 표상 형태로 나타내거나 동료와의 비판적인 토론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수정·보완함으로써 과학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고, 어떤 현상에 대해 스스로 가설을 형성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모형을 설계해볼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4종 교과서의 단원별 탐구 활동에 포함된 과학 실천은 ‘인류 복지와 화학’단원을 제외한 나머지 단원 모두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두 번째로 많이 포함되어 있는 과학 실천은 단원별 차이를 보였다. 단원의 내용에 따라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과학 실천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포함된 과학 실천의 세부 활동은 한두 가지의 특정 활동에 편중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탐구 활동에서 학습자는 여러 세부 활동 중 특정 활동만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될 것이며, 다양한 탐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을 뿐 아니라, 탐구를 하는 특정 방법이 존재할 것이라는 오개념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이 일부 과학 실천에 편중되어 있으면 학습자가 과학 탐구의 과정을 경험하고 이해하는데 제한이 있을 것이며, 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통해 과학적 소양 및 탐구 능력과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과학 교과서 개발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적 탐구 과정을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과학 실천이 포함된 탐구 활동이 제시되어야 하고, 또한 과학 교사들이 탐구 활동이 포함된 과학 수업 계획 및 수행을 하는데 필요한 과학 교사 교육 및 연수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