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불암 종가 소장 주요 기록물의 서지적 분석 : 백불암 최흥원 활동시기를 중심으로

        최기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ttempted a bibliographic analysis of the revised editions of 'Tonggangrok’, 'Yeokjungilgi', 'Bangyesoorok', the materials of ‘Buindong Dongyak’, and the publication and manuscript of literary works among the old documents held by the head family of Baekbulam clan. The Baekbulam family has been inhabited by descendants for more than 400 years since Iphyangjo Choi Dong-jip moved the residence to Otgol valley in Daegu in 1616 and formed a new family clan. This family houses 1,354 old books and 13,000 old documents, as well as book collections’ printing woodblocks and other folk materials. Among them, 'Tonggangnok', which shows the learning system of Seowon(Confucious Academy) in the Daegu a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Yeokjungilgi' recorded by Choi Heung-won, materials related to Buindong Dongyak, and Choi Heung-won's revised edition made prior to the publication of 'Bangyesoorok', and manuscripts of literary collections published by the head family of Baekbulam clan are historical materials that require systematic investigation and research. The 'Tonggangrok', which is a material corresponding to today's academic record, contains the list of students who studied at the places such as Yeongyeong Seowon(Confucian Academy) and Seonsajae(?) from 1605 to 1613, and their subjects, their evaluations, and their attendance. Looking at the list, it can be seen that almost all Confucian scholars in the Daegu area at the time participated. This book can be seen as the most detailed record of Tonggang(Lectures) during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remaining records related to Tonggang(Lectures).

      • Systematics and Ecological Study of the Subfamily Campopleginae (Hymenoptera: Ichneumonidae) from Korea

        최진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first aim of this study is the discovery of Korean Campopleginae and taxonomic revision on the subfamily Campopleginae in Korea, and summarize available knowledges about Korean Campopleginae. Although more than 2,133 species are described around the world, just a few species were recorded from Korea and such number is very few, compare to neighbor countries, China and Japan. In this study, I provide keys to the level of genera and species, descriptions, and diagnostic figures. The second aim is to reconstruct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subfamily Campopleginae based on molecular phylogenetic approaches. The final aim is to investigate biological aspects and the biodiversity of Ichneumonidae parasitoids and the relate Campopleginae to their hosts. 자루맵시벌아과는 전세계 맵시벌과에 속하는 40개의 아과 중 뾰족맵시벌아과와 맵시벌아과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분류군으로 전세계에 2,133종 이상이 보고되어 있다. 자루맵시벌아과의 대부분은 농․임업 해충으로 알려진 나방류를 비롯한 벌목과 딱정벌레목의 알(egg)에 내부 기생하여 숙주의 발생을 지속시켰다가 숙주가 번데기가 되었을 때 밖으로 빠져 나오는 koinobiont의 형태를 취한다. 이와 같은 생태적 특징은 생물학적 방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 최근 들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전세계 보고된 자루맵시벌아과를 비롯하여 인근 국가인 중국과 일본에서 각각 138종, 178종이 보고된 것에 비해 국내에서는 자루맵시벌아과의 분류학적 연구가 거의 없어 겨우 24종만이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게다가 계통학적 연구 역시 진행된 바가 없어 형태 형질에 의해 분류된 Townes (1969)의 분류 체계를 따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분자 형질을 이용한 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가 발표되고 있어 자루맵시벌아과의 분류 체계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여 명확한 체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자루맵시벌아과를 대상으로 신종 및 미기록종 보고를 위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분자 형질을 바탕으로 한 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한국산 자루맵시벌아과의 분류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자루맵시벌아과의 숙주와 숙주의 기주식물, 그리고 자루맵시벌아과에 중복기생하는 중복기생자(hyperparasites)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5世紀 前後 國際情勢와 高句麗의 平壤遷都

        장종진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view the international landscape of around the 5th century in order to study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平壤) by Koguryo(高句麗). In the historical academic community,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Koguryo transferred its capital to Pyongyang as part of its southward expansion policy. Also argued by some scholars were : (1) the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the control of the nobility ; (2) the will to secure an economic base on the northwest Korean Peninsula ; (3) the acquisition of human and cultural resources around Pyongyang. Previous studies has been being conducive to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yongyang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 of Koguryo in the 4~5th centuries, and to understanding the backdrop of the capital transfer.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eir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Northeast Asia's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at time and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 Pyongyang is the strategic key spot on the northwest Korean Peninsula, and it is located in where Koguryo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s for its policy to advance to Liáodōng(遼東) or the south Korean Peninsula.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of Lèlàngjùn(樂浪郡) was located in Pyongyang with a well-organized trading network, and so Koguryo had a good use of the city in terms of foreign policy and economy. In addition, Pyongyang was able to provide Koguryo with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its rule over its expanded territories. These geopolitical advantages served as important factors for Koguryo to make its efforts to secure Pyongyang and transfer its capital thereto. Koguryo set out to rule Pyongyang in a direct manner since King-Gogukwoen(故國原王) had occupied the district. However, as Baekje(百濟) transferred its capital to Hansan(漢山) and King-Geunchogo(近肖古王) showed its will to expand his nation's sphere of influence toward northern area of Han River, Koguryo and Baekje had no choice but to confront each other continuously. The two nations' rivalry was inevitable in terms of fortifying their capital defense systems and occupying Pyongyang district. In particular,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Koguryo to get Pyongyang because the city's trading network and human resources were necessary for the nation to come up with a ruling system commensurate with its expanded territories. Therefore, in order to guarantee the security of its rule to Pyonyang, Koguryo decided to transfer its capital during the period of King-Gwanggaeto(廣開土王)'s reign, and this was fueled by political landscape in Huàběi(華北), China. The change in political situation in Huàběi around A.D. 400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nsfer of capital. Koguryo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Qiánqín(前秦), but its border contacted with that of Hòuyān(後燕) after Féishuǐ-battle(肥水戰鬪). Hòuyān suffered an overwhelming defeat in Cānhépí-battle(參合陂戰鬪) in 395, and so it withdrew to Lóngchéng(龍城) having its sphere of influence shrunk around west and east areas of Liáohé(遼河). As a result, Koguryo and Hòuyān became in rivalry to secure their sphere of influence in Liáodōng. The former suffered the loss of major military bases by the latter, and it yet again recognized its vulnerability of capital defense system. In addition, Koguryo had to have a deterrent to the threat from Běiwèi(北魏), which had already been able to mobilize a 400,000-strong troop and conquerred Zhōngshān(中山), the capital of Hòuyān. Since the emergence of Běiyān(北燕), the threat from Běiwèi became stronger as the collapse of Běiyā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remaining groups of Hòuyān, was predictable since its beginning. In 423, Běiwèi launched an military outpost in Liáoxī(遼西) to show its active will to check up its eastern neighboring nations. Therefore, Koguryo thought that it should react to the eastward expansion policy by Běiwèi and push for a persistent nat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in 427, when Běiyān served as a buffer state before the reunification of Huàběi by Běiwèi, King-Changsu(長壽王) transferred the capital to Pyongyang. Since the transfer of capital, Koguryo implemented an equidistant policy toward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China. Against this backdrop,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 had an important meaning, because it permitted Koguryo to gain the control of the central Yellow Sea, which allowed the nation to expand its bargainings with South Dynasties and restrict Baekje's foreign policy toward Běiwèi. In addition, amid the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transfer of capital stretched the length of Koguryo's national defense from borders to capital, which seemed to be a factor that deterred an aggressive war against Koguryo. If the transfer of capital is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tional landscape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when the parallel existence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produced a variety of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Koguryo tried to attain its national interests making a good use of its diplomatic ties with the dynasties. It is noteworthy to think that with a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Koguryo made efforts to gain Pyonyang's advantages.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 served as a background that made it possible for Koguryo to deter the threat from Běiwèi and push for its interests actively through an equidistant foreign policy. 이 연구의 목적은 5세기 전후 국제정세를 검토하여 平壤遷都의 배경을 살피는 데 있다. 지금까지 평양천도는 南進政策의 일환으로 단행되었다고 이해되었다. 또한 왕권강화와 귀족세력의 통제 및 한반도 서북부 일대의 경제적 기반의 확보, 그리고 평양지역의 인적․문화적 자원 획득이라는 배경도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평양이 가졌던 특성과 당시 고구려의 대․내외관계를 설명하면서 천도의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연구에서는 국제정세와 평양천도와의 관계 규명에 한계가 있었다. 평양은 한반도 서북지역의 중심지이며, 고구려가 遼東이나 한반도 남부로 진출하는 데에 거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 평양은 樂浪郡의 치소로 운영되어 발달된 교역망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고구려는 평양경영을 통해서 이를 외교․경제적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평양은 고구려가 확대된 영역 통치에 필요했던 인적자원을 제공해 줄 수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러한 지정학적 이점은 고구려가 평양지역을 확보하고 평양으로 천도하는 데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고구려는 故國原王의 평양지역 진출 이후에 이 지역을 직접 경영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백제가 漢山으로 移都를 단행하고, 近肖古王 이후 北進 의지를 드러내어 양국은 지속적으로 대결하게 되었다. 양국의 대결은 도성방어체제 및 평양지역의 확보를 위한 측면에서 불가피하였다. 특히 고구려는 확대된 영역에 걸맞은 통치체제의 마련을 위해 평양이 가지는 교역망과 그 인적자원의 확보가 필요했다. 이에 따라 고구려는 이 지역에 대한 확고한 영역화를 이루는 한 방안으로 천도를 고려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중국 華北지역의 정세와 맞물려, 廣開土王代에 천도가 결정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400년 전후 중국 화북지역의 정세변화는 특히 천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前秦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던 고구려는 肥水戰鬪 이후 後燕과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후연은 395년 參合陂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龍城으로 퇴각하였고, 그 세력권 또한 遼西․遼東 일대로 축소되었다. 이에 따라 양국은 요동에서의 세력권 확보를 위해 대결하게 되었다. 고구려는 후연에게 주요 軍鎭을 함락당하는 사건을 경험함으로써, 國內城 수도방위체계의 취약성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396년에 이미 40만이라는 대단위의 군사를 동원할 수 있었던 역량을 가졌으며, 후연의 수도 中山을 함락시켰던 北魏의 위협에도 대응책을 마련해야만 했다. 이러한 북위의 위협은 북연의 등장 이후 더 강해졌다. 후연의 잔존세력으로 이루어진 북연은 이미 성립 초기부터 멸망이 감지되었기 때문이다. 북위는 423년 무렵 護東夷校尉府를 요서에 진수시킴으로써, 東夷監護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표출하였다. 따라서 고구려로서는 이러한 북위의 동방정책에 대응하면서, 지속적인 국가발전을 도모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그 결과 장수왕은 북연이 존재하여 일종의 완충지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북위가 화북통일을 완수하기 이전 시기인 427년에 평양으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평양천도 이후 고구려는 南․北朝에 대한 兩面外交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국제관계의 전개에서 평양천도는 중요한 의의를 가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평양천도를 통해 황해 중부의 해상권을 확보함으로써, 고구려는 남조와의 교섭을 확대하고 백제의 對北魏外交를 억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북위가 남조와 대립하는 상황에서, 국경부터 수도까지 방어 從心을 길게 하여 쉽게 고구려를 공격할 수 없도록 하는 요인을 제공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국제정세를 고려해 살펴보면, 고구려가 남․북조 竝立에 따라 가변성이 많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외교관계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실리를 추구했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평양천도는 북위의 위협을 저지하면서도, 양면외교를 통해 적극적으로 실리를 추구할 수 있게 한 배경의 하나였다. 따라서 이러한 평양천도를 단행한 배경도, 고구려가 국제정세를 고려하면서 평양이 가진 이점을 획득하려고 했던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세계유산 전문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가상박물관 활용방안 연구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해석콘텐츠를 중심으로

        김선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re are various meanings and values in heritage, and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and explain properly the various values of heritage in an equal position. The Ename Charter(2008),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ICOMOS), emphasized the need for all-round activities to enhance public understanding and awareness in terms of heritage int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of heritage using digital technology can more clearly convey the authenticity and value of heritage compared to analog data, and can be visually provided by integrating various value information of heritage. Digital capacity to deal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an essential competency of professionals to interpret and explain heritage, and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can function as a way to interpret and explain heritage and an essential factor to build capacity of heritage professionals. Heritage professionals are in a position to plan and provide content to inform the general public of the value of heritage, and are in a social situation where digital capabilities must be exerci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eritage management, education and research. As such, the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y of heritage professionals is essential, and in particular, the role of practical professionals, including field managers, is important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heritage. As an effective method of building the capacity of professional manpower,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utilize content applied with digital technology. In this study, utilization of virtual museum for building capacity is presented. The target to be applied to the virtual museum was limited to Jeju World Heritage in natural among World Heritage sites, and the target of capacity building using the virtual museum was set as World Heritage professionals.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convey the contents of the study, "digital content for heritage interpretation, that is, created in digital form to increase the utility of interpretation" was named ‘interpretation content’.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 World Heritage capacity and Jeju World Heritage interpretation content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and Jeju field surveys, and research related to virtual museums was conducted together. After that,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building World Heritage capacity were derived. In add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is, a curriculum using virtual museum was planned for world heritage professionals, and an evalu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urriculum content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FGI to evaluate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need for digital capabilities of World Heritage professionals, and the signific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virtual museum proposed in this study were verified through analysis and review of the evaluation results.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content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are being proposed. In this situati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can function as an essential factor to practice building capacity.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virtual museums as an effective method of interpretation and presentation of heritage, and suggests ways to build the capabilities of World Heritage professionals. 유산에는 다양한 의미와 가치가 존재하며, 유산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를 동등한 위치에서 전달할 수 있는 올바른 해석과 설명이 중요하다.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ICOMOS)에서 채택한 에나메헌장(2008)에서는 유산 해석 측면의 대중적 이해도와 인식 제고를 위한 전방위적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유산의 해석과 설명은 아날로그 자료와 비교했을 때 유산의 진정성 및 가치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유산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 정보를 통합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다루기 위한 디지털 역량은 유산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전문인력의 필수적 역량이 될 수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유산의 해석과 설명을 위한 방안이자 유산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를 실천할 수 있는 필수적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유산 전문인력은 일반 대중에게 유산에 대한 가치를 알리기 위해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공하는 위치에 있으며, 유산의 관리부터 교육과 연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역량을 발휘해야 하는 사회적 상황에 놓여 있다. 이처럼 유산 전문인력의 디지털 활용 역량은 필수적이며, 특히 유산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서는 현장관리자를 포함한 실무 전문인력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러한 전문인력 역량강화의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콘텐츠의 적절한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역량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가상박물관에 적용할 대상은 세계유산 중에서도 제주 세계자연유산으로 한정하였고,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역량강화 대상은 세계유산 전문인력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유산 해석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즉 해석의 효용을 높일 수 있도록 디지털 형태로 제작한 것”을 ‘해석콘텐츠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제주 현지조사를 통해 세계유산 역량강화 현황 및 제주 세계유산 해석콘텐츠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역량강화 방법으로 제안한 가상박물관 관련 연구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이후 세계유산 역량강화 실태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가상박물관 활용 세계유산 전문인력 대상 역량강화 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하였으며, 교육 커리큘럼 내용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실제 세계유산 실무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FGI를 통한 교육 커리큘럼의 평가와 세계유산 전문인력의 디지털 역량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함께 실시하였으며, 평가 결과 분석 및 고찰을 통해 세계유산 전문인력의 디지털 역량 필요성을 확인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상박물관의 유의미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다양한 콘텐츠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역량강화를 실천할 수 있는 필수적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 유산 해석과 설명 방법으로써 가상박물관의 활용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세계유산 전문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韓國産 에조납작맵시벌아과(벌目. 맵시벌科)의 분류학적 재고찰

        김기범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에조납작맵시벌아과의 분류 및 계통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 남한 전역에서 채집된 국내 소장 표본과 국외 모식표본 그리고 2001년 3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직접 채집한 개체를 포함해서 400여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산 에조납작맵시벌아과의 대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류 및 기재 결과 한국산 Enicospilini 족은 한국산 미기록 속과 종 Epirhyssa nitobei, Rhyssella furanna, Triancyra galloisi, Triancyra hirashimai를 추가하여 총 5속 8종이 확인하였다. 여러 유용한 형질을 추가하여 기록하였고, 채집지, 분포, 숙주 등을 정리하였으며, 확인된 8종과 미확인된 5종에 대한 종 검색표를 작성하여 총 5속 13종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숙주 목록을 조사, 정리하고 미기록 속인 Triacyra를 추가한 결과 딱정벌레목 8속 17종, 벌목 5속 20종을 포함해서 총 2목 13속 37종의 숙주 목록을 작성하였다.

      • 10T SRAM Computing-in-Memory Unit-Macro with Binary and Multibit MAC Operation for DNN Edge Processors

        NGUYENVANTRUO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Computing-in-memory (CIM) is a promising approach to reduce latency and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multiply-and-accumulate (MAC) operation under a memory-wall constrain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ge processors. This thesis introduces two SRAM-CIM designs supporting multibit and binary MAC operations. Design-1 presents an energy-efficient SRAM-CIM architecture that contains: 1) a 10T bit-cell SRAM array stores multiple-bit filter weight; 2) a multiple-bit MAC operation scheme with up to 4b input, 4b weight, and 8b output precision for CNN applications; 3) a successive approximatio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SAR-ADC) within cell array to increase the energy and area efficiency. In the Design-2, we developed an SRAM-CIM unit-macro for binary MAC operation supporting convolutional and fully connected layers in DNN. This design achieves compact area, high throughput and energy-efficiency, and robust operation using 10T SRAM bit-cell and circuit techniques such as dynamic VREF generator and input boosting circuit for VSA. A fabricated 28-nm unit-macro achieved 409.6 GOPS throughput, 1001.7 TOPS/W energy efficiency, and 169.9 TOPS/mm2 area efficiency.

      • 대학기록관의 감염병 도큐멘테이션 전략 개발 : 코로나19 사례를 중심으로

        김가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헤크만의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활용하여 대학의 코로나 대응과 관련된 기록의 확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재난이란 자연현상 또는 인위적인 사고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회적·경제적 피해로 어느 정도의 규모에 달하였을 경우를 가리킨다. 재난은 언제, 어떤 형태로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재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2019년 12월 코로나 발생 이후 감염병 발생 빈도가 잦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감염병 재난 대응 체계의 구축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여러 기관 중 대학은 고등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으로서 감염병이 발생한 상황에서 대학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운영하였는지를 증명하고 앞으로의 재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발생 당시의 대학 기록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헤크만(Larry Hackman)의 도큐멘테이션 전략 모델을 적용하여 감염병 재난에 대한 대학의 대응 및 미래의 재난 대비를 목적으로 하는 대학의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1, 2단계인 예비분석과 도큐멘테이션 전략 설계 단계에서 해외 대학의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조사와 대학의 코로나19 기록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사례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종합하여 도큐멘테이션 전략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사례조사를 통해 1차적으로 도큐멘테이션 영역을 도큐멘테이션 시기와 기록물의 형태 및 내용 측면에서 구체화 시켰으며 이 중 기록물의 내용 측면을 면담 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또한 코로나 관련 대학 기록의 생산 및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적합한 기록물의 확보를 위해 필요한 행동을 정의하였다. 이후 도큐멘테이션 전략안 초안을 작성하여 기록관리 전문요원에게 검토 받아 수정 작업을 거친 뒤 최종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전략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전략안을 바탕으로 미래의 감염병 발생 시 활용할 수 있는 감염병 도큐멘테이션 전략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사례를 중심으로 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재난 기록 확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대학뿐만 아니라 그와 유사한 교육 및 연구기관에서 감염병 관련 기록의 확보 계획을 수립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선례를 제공하였다. 또한 위기 상황에서 기관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기록의 기능을 조명하고, 기관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 전체의 기록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dissertation, making use of Heckman’s Documentation Strategy, is intended to propose a plan for universities to document their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Disaster is defined as a social and economic damage resulted from a natural or man-made incident that reaches a particular scale. Owing to its uncertainty of when and where it’s going to happen, preparation for such a davastating event has never been needed more. The corona pandemic which broke out December 2019, made it more important to set up an infectious disease response system as the frequency of such pandemics is expected to increase. University among other institutions as a public institution responsible for higher learning is held accountable to prove whether they functioned properly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during the pandemic and expected to secure the related documents in preparation for possible future disast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lan a possible response that universities can rely on in a pandemic situation and to set up a documentation strategy for COVID-19 with the application of Hackman’s Documentation Strategy in the hope that it can be referred to in similar disasters in the future. For this, a preliminar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on the level of designing documentation strategy, case studies for the COVID-19 documentation project of foreign universities and interviews with university employees responsible for the documentation were conducted. Based up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 a draft for a documentation strategy proposal was drawn up. Through the case studies, the area that the documentation should cover is specified in terms of the period when the documentation is made and the document forms and contents. Among these, the decision for contents was complemen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relevant experts. In addi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universities’ corona pandemic documents, required actions to secure relevant documents were determined. Then, a draft for documentation strategy was drawn up, which was examined and edited by an archivist and the final edition of the COVID-19 Documentation Strategy was produced. Based upon the COVID-19 strategy, a strategy for documentation of infectious disease was proposed so that it could be utilized for future pandemic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omes from the fact that it presents a guideline based on the case studies for the COVID-19 documentation on the way to secure disaster documents which can be referred to in future pandemics. It sets a precedent, not only for universities but also for similar institutions, that they can refer to when they set up a plan to secure document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 A Low Noise Instrumentation Amplifier FrontEnd Using Chopping for Portable Biopotential Acquisition Systems

        이현식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를 입력 받아 깨끗한 신호로 증폭시키는 amplifier 를 설계하였다. 생체 신호는 일반적으로 수 μV에서 수 mV 이내의 매우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수 kHz이하의 frequency에서 존재하기 때문에 DC 에서 갖는 electrode offset, flicker noise영향을 받는다. Offset 과 noise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chopper를 사용하였고 current consumption을 최소화 하기 위한 설계를 수행하였다. Chapter 1 에서는 생체 신호에 대해 설명하고 생체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low power, low noise instrumentation amplifier 를 제시한다. Chapter 2 는 offset 과 1/f noise 에 대한 설명과 offset 을 제거하기 위한 chopper technique에 대해 설명한다. Chapter 3 는 current feedback instrumentation amplifier (CFIA) 에 대한 설명과 설계방식을 설명하고 chopper 와 ripple reduction loop 를 사용하여 얻은 input referred noise 와 noise effect factor (NEF)를 제시한다. Chapter 4 는 chopper amplifier, PGA, SC_LPF 로 구성된 channel 을 ECG monitoring, band power extraction, impedance measurement 를 할 수 있는 channel 을 구성하였다. Chapter 5 는 본 논문의 결론을 설명한다. In this thesis, it was designed the amplifier to amplify a clean signal to receive the input of the biological signal. Biological signal, it is generally to be able to have a very small size within a few mV in μV. Moreover, since it is present in the following several kHz in frequency, electrode offset, receiving the flicker noise effects it has on DC. Using a chopper to minimize offset and noise effects were designed to minimize the current consumption. In chapter 1, it describes a biological signal, low power for amplifying the biological signal, and presents a low noise instrumentation amplifier. Chapter 2 will be described chopper technique for removing offset and 1 / f noise. Chapter 3 presents the input referred noise and the noise effect factor (NEF), which was obtained using the chopper and ripple reduction loop is described by an explanation and a method of designing a current feedback instrumentation amplifier(CFIA). Chapter 4 was constructed chopper amplifier, PGA, the ECG monitoring channel constituted by SC_LPF, band power extraction, the channel capable of an impedance measurement. Chapter 5 describes the conclusions of this 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