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의 기관신뢰 및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Parents’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5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의 기관신뢰 및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의 학부모 284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의 기관신뢰 및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의 학부모 284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72점으로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부모의 기관신뢰와 교사신뢰 수준은 양호하나 기관신뢰보다 교사신뢰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기관신뢰, 교사신뢰 수준은 자녀와의 관계, 어린이집의 유형, 열린 어린이집 운영 여부, 부모참여활동 참가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가 인식한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 수준이 기관신뢰와 교사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참여활동 중 ‘의사결정의 참여’ ‘역량 경화를 위한 교육’ ‘어린이집과 가정의 연계 활동’ 이 기관신뢰에, ‘참여 활동의 일상성’ ‘운영의 융통성’이 교사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이 부모와 어린이집, 보육교사 간 보육 파트너로서의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ctivation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parents'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For this reason,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on 284 parents of...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ctivation level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parents'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For this reason,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on 284 parents of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as recognized by parents was at an average of 3.72 out of 5. Parents have good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but trust in nursery teacher is relatively higher than trust in Daycare center. Second, the level of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rust in Daycare centers, trust in nursery teach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 type of Daycare center and whether or not they had Open Daycare Center.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activation of par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recognized by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in Daycare center and nursery teacher. Particularly, the activation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education for parent's capacity development," and "family linkage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 in Daycare center, and "everydayness of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flexibility of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nursery teacher.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objectively find out that activ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uilding trust as a child care partner between parents and Daycare centers and nursery teac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애란, "취업모를 위한 On & Off-Line 통합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진옥,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이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4 (44): 37-45, 2006

      3 김은,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이기숙, "유아의 성,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어머니 양육유형과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87-212, 2010

      5 윤소영,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교육 참여도 및 요구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최형윤, "유아교육기관의 부모 교육·부모 참여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7 조미영,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활동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배지희, "유아교육과 부모참여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2 (22): 5-28, 2002

      9 송효현, "영아전담 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현황과 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157-179, 2013

      10 전우경,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 김애란, "취업모를 위한 On & Off-Line 통합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진옥,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이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4 (44): 37-45, 2006

      3 김은,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 이기숙, "유아의 성, 연령 및 가정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어머니 양육유형과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87-212, 2010

      5 윤소영,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교육 참여도 및 요구도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 최형윤, "유아교육기관의 부모 교육·부모 참여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7 조미영,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활동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배지희, "유아교육과 부모참여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2 (22): 5-28, 2002

      9 송효현, "영아전담 어린이집의 부모참여 현황과 교사의 인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157-179, 2013

      10 전우경,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1 신성숙, "영아기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부모참여 현황 및 요구도 조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2 최혜영, "열린어린이집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어린이집 원장, 교사 및 부모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5 (55): 93-103, 2017

      13 김현주, "열린어린이집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운영 실태 및 요구조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7

      14 박민정, "열린어린이집 부모참여활동에 관한 부모와 보육교사의 인식 : 인천광역시 A직장어린이집"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5 이수현, "열린어린이집 부모들의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6 보건복지부, "열린어린이집 가이드라인" 한학문화 2020

      17 보건복지부, "열린어린이집 가이드라인" 한학문화 2018

      18 보건복지부, "열린어린이집 가이드라인" 한학문화 2015

      19 보건복지부, "열린어린이집 가이드라인" 한학문화 2019

      20 임현정, "열린 어린이집 실현을 위한 부모참여도와 부모참여 요구도 분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산업복지대학원 2016

      21 김현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2 김지혜,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는 과정 및 신뢰를 형성하는 과정"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23 박태향, "어린이집운영위원회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업복지대학원 2016

      24 김경선, "어린이집에서의 부모교육 운영실태와 원장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4

      25 황은실, "어린이집 부모참여프로그램 유형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6 방승희, "어린이집 부모참여 활성화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27 김영수, "어린이집 부모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도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8 김근규, "아버지 교육에서 자녀의 권리에 관한 소고" 19 : 21-29, 2017

      29 박수혁, "아동학대 누명 교사 가해자 엄벌 청원에 30만명 훌쩍"

      30 최서영, "사립유치원 교직원과 학부모간 신뢰형성의 어려움과 협력증진과정"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31 채영희, "부모교육에 대한 맞벌이 부모의 인식과 요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8

      32 장지원, "부모-교사의 협력적 관계형성 및 상호이해를 위한 부모참여 활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3 표미숙,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관점에서 바라본 좋은 어린이집의 의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34 송영선, "국공립어린이집 신뢰에 관한 연구 : 신뢰 측정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35 안지혜, "교사와 부모 간 프로젝트 일지 공유의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36 이숙정, "교사신뢰척도 개발 및 교사신뢰와 학교효과 변인의 관계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7 이혜영, "교사가 생각하는"열린어린이집"부모참여의 의미와 개선방안"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2017

      38 이부미, "공동육아의 기록 '날적이'에 대한 교육적 분석" 3 (3): 139-170, 1999

      39 임효선, "가정 연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참여 실태 및 인식 요구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0 OECD, "Starting strong Ⅲ: A Quality toolbox for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2012

      41 Owen, M. T.,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15 (15): 413-428, 2000

      42 보건복지부, "2020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3-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부모교육학회 -> 열린부모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Open Parent Education: SOP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