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통합적 인성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623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인성과 행복과의 관련성에 근거한 인성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사들에게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효과를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인성과 행복과의 관련성에 근거한 인성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사들에게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목적은 교사가 스스로의 인성을 인식하고, 인성의 함양이 행복의 증진과 연결됨을 이해하며, 통합적 인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적 태도를 형성하고, 자신의 인성이 유아교육현장에서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성찰적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참여 교사들로부터 선정된 인성덕목인 재치, 정의, 사랑, 존중, 배려였으며, 프로그램의 방식은 소모임 형태로 강연, 토론, 토의, 게임 등이 활용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 I시의 한 유치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4주간 총 8회의 프로그램을 각 60분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결과, 교사의 인성과 행복감의 전체 점수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교사들은 프로그램의 목표 중 실천적 태도를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character cultivation program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personal character and happines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character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and fitness ...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character cultivation program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personal character and happines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character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and fitness of the program by applying it to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goal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to help teachers perceive their own characters, understand that character cultivation wa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happiness, form an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ttitude for an integrated character, and develop a self-reflective attitude to apply their characters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positive manner. The program content was comprised of the character virtues selected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namely wit, justice, love, respect, and consideration. The program took a small group-based approach, making use of lectures, debates, discussions, and games. The eight-session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seven teachers from a kindergarten in I City over eight weeks with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As a result, the total scores of both teacher character and happiness rose, and the teachers reported positive effects across all the program objectives except for forming a practical attitud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행동 측정척도 탐색" 한국성인교육학회 16 (16): 105-127, 2013

      2 금교영, "한국인성교육의 사례분석과 유기체론적 통합인격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5 (5): 47-68, 2004

      3 홍혜경, "한국영유아교원의 양성을 위한 대학에서의 교과과정 현황 및 과제" 23-47, 2003

      4 성지은, "핀란드와 우리나라의 교원연수체제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조세형, "프레이리 대화교육론의 체계" 27 (27): 21-38, 2006

      6 허재복,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심리ㆍ철학적 토대." 23 (23): 103-131, 2008

      7 이인재,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도덕지능의 함양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3 (33): 197-226, 2010

      8 최미정,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01-526, 2010

      9 김새롬,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협동-리듬 창작학습 지도방안 연구 : 라이히의 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전병권, "중학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6

      1 조영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행동 측정척도 탐색" 한국성인교육학회 16 (16): 105-127, 2013

      2 금교영, "한국인성교육의 사례분석과 유기체론적 통합인격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5 (5): 47-68, 2004

      3 홍혜경, "한국영유아교원의 양성을 위한 대학에서의 교과과정 현황 및 과제" 23-47, 2003

      4 성지은, "핀란드와 우리나라의 교원연수체제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조세형, "프레이리 대화교육론의 체계" 27 (27): 21-38, 2006

      6 허재복,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심리ㆍ철학적 토대." 23 (23): 103-131, 2008

      7 이인재,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도덕지능의 함양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3 (33): 197-226, 2010

      8 최미정,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501-526, 2010

      9 김새롬,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협동-리듬 창작학습 지도방안 연구 : 라이히의 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전병권, "중학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6

      11 송선영, "인성의 근본적 단서에 관한 윤리학적 전망" 5 : 391-418, 2009

      12 강손근, "인성교육의 토대로서의 죽음에 대한 철학적 이해" 대동철학회 (41) : 25-49, 2007

      13 류청산, "인성교육을 위한 인성덕목의 요인분석" 26 (26): 139-166, 2006

      14 정종은, "인성교육을 위한 독서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도회지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15 Lickona, T., "인격교육론" 백의 1998

      16 이흥우, "인간본성론" 성경재 2000

      17 홍은경, "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Mentoring)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18 이은주,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9 김미정, "유아기 인성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훈육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181-203, 2013

      20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2009

      21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변경애,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자질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3 이은화, "유아교사론" 양서원 1995

      24 전재선,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25 김민정, "유아교사 및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26 계영애,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인성적 덕목과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5 (5): 55-75, 2001

      27 이경민, "유아 교사 자질에 대한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참여 교사의 기대와 자기평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33-152, 2005

      28 김현정, "유년기 인성 형성에 관한 러셀 견해 고찰" 교육과학연구소 36 (36): 179-197, 2005

      29 전재선,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관요구조사" 경성대학교 415-, 2010

      30 이경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73-96, 2013

      31 이은영,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33-455, 2013

      32 고연경, "예비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인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2 (2): 19-34, 2013

      33 박정옥, "영화시청이 영어이해력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방과후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대학원 2007

      34 이병래, "영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기준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방향 모색 -­영유아교사의 덕목에 관한 현직교사의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53-79, 2005

      35 김해연,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한 인성지도 방법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6 이동혈, "소방관의 직무스트레스와 다면적 인성검사의 연관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1 (21): 324-336, 2009

      37 조명한,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집문당 1998

      38 강계화, "문학텍스트를 통한 인성교육" 27 (27): 31-50, 2006

      39 최경희, "문학독서를 통한 인성지도" 한국국어교육학회 70 (70): 147-175, 2005

      40 고경순, "리코나(Thomas Lickona)의 통합적 인격교육론을 토대로 한 도덕교육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1 이제행, "동료멘토링의 홀리스틱 교육적 활용과 전략 모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4 (14): 1-20, 2010

      42 김창대, "대상관계이론의 인성교육에 대한 시사점: 목적, 내용, 방법" 교육연구소 3 (3): 109-130, 2002

      43 장봉희, "단체놀이 활동이 초등학생의 행동체력과 인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4 김진백,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강점기반 개별화교육 계획이 발달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45 조유미, "다산 철학사상에서 찾은 인성교육 : '정의로운 공동체' 형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6 권석만, "긍정심리학 :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47 박종필, "교원능력개발평가 연계 연수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19 (19): 125-156, 2012

      48 박용헌, "교사자질평정척도" 코리아테스팅센터 1971

      49 배수희, "교사의 행복감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동아대학교 2009

      50 서근원, "교사의 딜레마와 수업의 의미" 교육연구소 6 (6): 1-40, 2005

      51 정현주, "교사로 산다는 것 : 중학교 교사의 행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성대학교 2012

      52 김지현, "교사ㆍ학부모가 선호하는 유아교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3 김명자, "가정과 수업에서의 동료멘토링 활용 효과" 24 : 79-98, 2008

      54 Lickona, T., "The teacher’s role in character education" 179 (179): 63-80, 1997

      55 Fallona, C., "Manner in teaching : A study in observing and interpreting teachers’ moral virtues" 16 : 681-695, 2000

      56 Ertmer, P. A., "Instructional design expertise: How will we know it when we see it?" 45 (45): 38-43, 2005

      57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58 강정순, "Gardner의 인성지능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고찰" 6 (6): 1-23, 2007

      59 Lickona, T., "Eleven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25 (25): 93-100, 1996

      60 Berkowitz, M. W.,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11 : 55-72, 2000

      61 Seefeldt, C., "A curriculum for preschools" Merrill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