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또래상담자의 체험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1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 또래상담자가 비전문상담가로서 겪게 되는 또래상담 체험의 내용을 밝히고, 그 체험 내용이 또래상담자 및 또래상담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래상담의...

      본 연구는 초등학생 또래상담자가 비전문상담가로서 겪게 되는 또래상담 체험의 내용을 밝히고, 그 체험 내용이 또래상담자 및 또래상담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래상담의 전 과정에서 겪는 체험을 분석하기 위해서 또래상담 전의 체험, 또래상담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체험, 그리고 그러한 체험들이 또래상담 후에 미치는 영향들을 6회기의 체험분석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초등학생 또래상담자들은 또래상담 중 공감, 수용, 정보제공, 문제해결과 같은 상황에서 또래상담을 긍정적 경험으로 느꼈고, 상담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평가했다. 또한 또래청담자가 상담의 과정에서 인정을 해주거나 고마움을 표시할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은 또래상담자가 기쁨, 뿌듯함, 행복감 등의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게 하였다. 반면 또래상담의 과정에서 스스로가 자신의 말이나 행동, 태도에 만족하지 못했을 때 또는 또래청담자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때 또래상담자들은 그 또래상담은 실패라고 생각했고 부정적 체험을 했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부정적인 경험들은 또래상담자에게 실망감,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게 하였다.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경험의 영향은 또래상담이 끝난 후에도 이어졌다. 초등학생 또래상담자는 또래상담이 긍정적인 체험으로 끝나면 개인 심리 특성,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에서도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반면 또래상담이 부정적 체험으로 끝나면 개인 심리 특성,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에서 부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즉 또래 상담에서의 체험들은 또래상담 후의 학생들의 생활에 크고 작은 영향을 끼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체험의 내용은 초등학생 또래상담자가 상담과정에서 하게 될 역할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줄 수 있다. 또한 부정적 체험을 하게 되는 또래상담자들에게 필요한 상담 및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또래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ealed the peer-counselling experiences undertaken by the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lor as a non professional counsellor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unselling experience on the peer counsellor and his/her peer-counselling ac...

      This study revealed the peer-counselling experiences undertaken by the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lor as a non professional counsellor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unselling experience on the peer counsellor and his/her peer-counselling activity. Positive or negative experiences undertaken by an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lor before and during his/her activity counselling a peer, and the influences of such experiences on the peer counsellor after his/her activity counseling a peer were researched through the method analyzing the counsellor’s experiences for total 6 sessions.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ors experience the empathy, the acceptance, the information-provision, and even feel some positive emotions even in the situation solving a problem during their activity counselling a peer. When the peer asking for a counselling to them recognized or appreciated the counselor’s counselling activity during the counselling, the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ors have some positive experiences. When they are not satisfied at their own words, behaviors or attitudes during the peer counselling session, they evaluate their counseling activity as a negative experience. When peers asking the counseling show some negative responses during the peer counselling session, the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ors consider their counselling activity as a failure and evaluated the activity as a negative exper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서론
      • 연구 방법
      • 연구 대상
      • 연구 절차
      • 요약
      • 서론
      • 연구 방법
      • 연구 대상
      • 연구 절차
      • 연구 방법
      • 용어 정의
      • 연구 결과
      • 초등학생 또래상담자가 상담을 실시하기 전의 체험
      • 초등학생 또래상담자의 또래상담과정에서의 체험
      • 초등학생 또래상담자가 상담을 실시한 후 하게 되는 체험
      •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홈페이지"

      2 노성덕, "학교 또래상담" 학지사 2014

      3 김정연, "초보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하는 어려움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일반상담자와 청소년동반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1

      4 김영희, "초등학생의 또래상담 훈련경험이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 이미향, "초등학생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또래상담자의 의사소통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박향숙, "아동의 분노 체험분석" 7 (7): 2008

      7 박성희, "수용" 학지사 2012

      8 "솔리언 또래상담 홈페이지"

      9 박성희, "상담학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4

      10 윤은주, "상담자의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1 박성희, "상담의 실제" 학지사 2001

      12 박성희, "상담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003

      13 이혜미, "또래상담이 초등학교 집단따돌림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4 김정미, "또래상담이 또래상담자 아동의 자아개념과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5 이상희, "또래상담(2판)" 학지사 2010

      16 김형일, "또래상담 훈련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성 발달 및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7 김현숙, "또래상담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3

      18 김상은, "또래상담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9 박성희, "공감" 학지사 2009

      20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또래상담 사업 운영학교 안내사항"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3 1.40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