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정책변화에 따른 수련활동의 의미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호순,변윤언 한국청소년학회 2006 청소년학연구 Vol.13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clear purpose to make the sense of youth activity for undergoing change systematically. For this study, I survey the purpose about looking into youth policy's system changes. This is for finding a clue for significant change with the debate on the birth, growth, and leap of youth activity, at first. The second, I tried to make the clear category classification and the legal change process of youth activity for the authentication program enforcement and understanding conceptual category of youth activity. Therefore, I found the youth train activity has position as the sub-activity field of youth activity that youth activity term became legal term from general. Finally, youth activity is stepped up through the carrying out the authentication system of youth activity based on the promotion law for youth activity. 본 연구는 청소년정책 변화에 따라 제도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청소년수련활동의 의미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청소년정책의 제도적 변화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이는 청소년육성정책의 핵심활동이었던 청소년수련활동의 태동과 성장, 도약에 대한 역사적 논의를 통해 청소년수련활동의 제도적 의미 변화를 이해하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둘째,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의 시행과 더불어 논란이 되고 있는 청소년수련활동의 개념범주를 이해하기 위해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수련활동의 법률적 변화과정 및 개념구분을 시도하였다. 청소년활동이라는 일반적인 용어가 법률상 용어에 도입되면서 청소년수련활동이 청소년활동의 하위활동영역으로 자리매김하였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것은 청소년육성정책의 우선정책인 청소년활동, 청소년활동 가운데 청소년수련활동, 이런 식의 정립과정을 거치는 바, 舊청소년기본법에서 지녔던 청소년수련활동의 본래적 층위로 보았을 때는 상위단계를 지니는 하위단계로 하향한 것처럼 보여졌다. 셋째, 청소년활동진흥법에 근거한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도 시행은 청소년활동영역 내의 청소년수련활동의 위상을 훨씬 강화하였다. 개념적으로 다양한 활동의 정책적 길목을 지키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로 인해 파생된 정책의 사각지대는 청소년수련활동의 의미를 재고하거나 제도적으로 또다시 수정절차를 거칠 수밖에 없을 만큼 혼란을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수련활동의 제도상의 의미변화는 깊이 논의되고 정립될 필요가 있는 중대한 정책 사안이라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체험활동만족 및 참여수준과 삶의 만족에 대한 종단연구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이응택,곽현,이은경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살펴보는 것이며, 나아가 이를 종단관계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학교생활적응 및 삶의 만족 변화추이를 살펴보는 것이며 학교생활적응과 삶의 만족 변화에 체험활동 만족과 참여수준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세변인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아동·청소년패널조사 3-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27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생활적응의 변화추이는 증가, 삶의 만족 변화추이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활동만족은 학교생활적응 초기와 변화에 영향을 미쳤고 삶의 만족에서는 변화에만 영향을 미쳤다. 체험활동참여수준은 학교생활적응 초기에만 영향을 미쳤고 삶의 만족에는 초기와 변화 모두에 영향을 미쳤으나 체험활동참여수준은 삶의 만족을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체험활동만족과 참여수준은 학교생활적응 초기값을 매개하여 삶의 만족 초기에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율에 있어서는 체험활동만족만이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as mediating effect of adjustment to scho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 aimed to figure out changes in adjustment to school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find whether there was mediating effect of adjustment to school on the relation between youth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 of the 3rd to 5th years performed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ange in adjustment to school enhanced as change in life satisfaction decreased. Second, youth activity affected adjustment to school in the beginning and change as it affected change in life satisfaction only. Levels of youth activity only affected adjustment to school in the beginning; levels of youth activity affected both adjustment to school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beginning, yet life satisfaction tended to decrease as levels of youth activity increased. Third, satisfaction in youth activity and levels of youth activity mediated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justment and thus affected the beginning stage of life satisfaction; the rate of change was related only to satisfaction in youth a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최형임,이재성,문영경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itgate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youth circle activity participation 2) to explore the effect of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youth circle activity satisfac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3) to explor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circle activity satisfaction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circle activity were 849. 647 were participated in inside of school youth circle activity and 170 were participated in outside of school youth circle activity. There were satisfied in circle activity. Second, outside of school youth circle activity satisfaction showed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at was the more adolescent satisfied on their outside of school youth circle activity, adolescent were better at their studies and abiding by the school regulations and were on better terms with their peers and teachers. Third, youth ego-resilience mediated the effects of youth circle activity satisfac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at was the more youth satisfied on their youth circle activity, they have a better ego-resilience,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expand of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youth circle activity and diverse programs are also necessary to boost youth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본 연구는 2010년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현황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만족도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은 총 849명으로 교내 동아리에 참여하는 학생이 679명, 교외 동아리에 참여하는 학생이 170명으로 나타났으며, 동아리활동 만족도는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교외 동아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활동을 잘 하고 학교규칙을 잘 지키며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좋아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은 동아리활동 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 역할을 하여 청소년의 교내 및 교외 동아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높아지고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청소년의 동아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학 중 동아리활동 참여를 확대하고 학교 및 부모, 지역사회 기관과의 연계를 통하여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청소년활동 실태 및 요구의 특성

        문성호,박승곤,윤동엽,정지윤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4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orean youth activity condition and needs assessment, and t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he data was analyzed using 3,39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17 cities and provinces by 9 activity areas and the specific programs of Youth Activity Accreditation System. Nine tenths of youth participated in youth activity and over 80% of them wanted to participate in youth activity. Youth wanted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more than the activity who they experienced in the 8 activity areas except Health activit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tion and requirement in the specific program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class, they had different ideas about interesting programs. Therefore, youth activity is needed to reorganize activity areas and the specific programs. Also, we have to expand outdoors activities and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youth when we plan programs. We need to provide accurate and diverse information focused on youth facility for youth.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활동의 실태와 요구를 확인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도의 9개 활동 영역과 그 세부활동을 적용하여 전국 17개 시·도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청소년 3,394명의 청소년활동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들의 10명 중 9명은 청소년활동에 참여하였고, 80% 이상은 참여를 희망하였다. 건강·보건활동을 제외한 나머지 8개 영역에서 청소년들은 경험한 것보다 더 많은 활동에 참여하기를 원하였다. 영역별 청소년들이 참여한 세부활동과 참여를 원하는 세부활동은 차이를 보였다. 성별 및 교급에 따라 참여한 청소년활동 영역이나 세부활동은 유사하였지만, 앞으로 하고 싶은 활동은 각각 달랐다. 향후 청소년활동은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영역과 세부활동이 재편될 필요가 있다. 현장 및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보다 활동성 있는 청소년활동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의 개별적 특성과 요구에 맞는 활동 역시 적극 반영되어야 하며, 청소년활동시설 중심의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요구된다.

      • 청소년활동론 정립을 위한 시론

        전명기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3 No.2

        This study reviewed on youth service issues after 1990 in Korea, and criticized a matter of youth policy. After National Youth Basic Plan, Korean youth policy regarded youth activity as the core value of policy. This policy trend promoted voluntary engagement of youth in several programs and services offered by policy agencies. But this trend hindered shaping of discourse on Youth Work, because policy emphasis on youth activity as activity for themselves and activity itself restricted Youth Work agenda. In this study, I defined Youth Work as combination of ‘various youth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to satisfy their developmental needs, insist their opinion to make successful transition to independent citizenship, and have sufficient influence’ and ‘supports and encouragements of adult with partnership’. With this definition on Youth Work, we can carry out discussion on Youth Work discourse by integrating youth-initiated activities, supports for youth, and adult-initiated works for youth activities. In this context, I also proposed to take shape of attributes characteristic of service models of Youth work.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청소년활동에 관한 논의들이 청소년 자신의 활동(youth activity)에만 국한되었음을 밝히고, 제한된 범위의 정형화된 활동만을 청소년활동으로 인식하는 데 따른 한계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청소년활동이 청소년들의 실생활의 삶의 필요에 부응하고 또한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청소년활동을 “청소년이 현재의 성장 발달에 필요한 욕구를 충족하면서 독립적인 사회성원으로 이행해가는 시기에 필요한 그들의 주장을 펼치고 영향력을 가지며 건전한 사회성원이 되기 위한 다양한 기회에 참여하여 활동하고, 이러한 청소년 자신의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성인들의 동반적 지원”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청소년활동에 대한 정의는 청소년활동이 ‘자율적 참여’와 성인-청소년의 진정한 교류 소통을 전제로 한 ‘청소년의 활동’(by youth) 또는 청소년에 의한 활동(youth-initiated activity), 그리고 ‘청소년 지원활동’(for youth) 또는 성인에 의한 활동(adult-initiated)을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청소년활동론은 ‘지원’, ‘조장과 진흥’, 그리고 ‘구제’와 같은 실질적인 서비스 영역을 갖고, 이에 필요한 실천적 기법을 심화 발전시켜갈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았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청소년활동 관련 사업 제공 또는 실행의 주요 주체인 공공, 사회운동, 민간사업 등 각기 특성을 달리하는 사업 주체별 역할 수행 모델도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정책 연구

        조남억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4

        Our society have thought about to change school system to 5 days a week and this will bring pros and cons. This is very big changes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Schools have to re-schedule for the class hours arrangement and because of time shrinking, student would not have time to enjoy their club activities. To minimize these problems social clubs have to put effort to change school based club activities to social based activities, in another word group activities should be introduced and encouraged. This research studies how the five days a week school hours system will affect on youth activity policy and make recommendation how we could minimize the problems it might occur. This report is focusing on 3 main topics. First, changes of students' life (mostly focus on group activities) after accepting five days a week school hour system. Second, survey results of how it is going to affect on student's group activities when the five days a week school hour enforced. Third, to implement 5 days a week school hours successfully what should be prepared and done. First of all, new policies and new structuring for youth group activities. Secondly, strategies for building new facilities and encourage society's involvement. Thirdly, build youth groups' to be specialized and unique. Fourth, secure and develop more youth group activity leaders and developers. And lastly, school facilities consignment during weekends. In the future, we have to give more thought on "how we could develop Youth Activities successfully." To achieve this all of the staffs on youth involved department should draw big pictures now and study frequently and try every possible way to make the situation better without any confusion. 우리 사회는 주5일 근무(수업)제라는 시대적 대 전환기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주5일 수업제의 도입은 청소년들의 삶의 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를 수반한다는 점에서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특히 청소년단체활동의 경우 주5일 수업제로 인해 수업일수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특별활동 자체가 축소 또는 제외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꾸준한 접촉과 연계를 통해 활동의 중심축을 자연스럽게 학교에서 지역사회로 이동하는 정책적 노력 즉, 단체활동의 활동체질을 바꾸는 노력이 구체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5일 수업제의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정책의 변화 방향과 대응 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해 청소년단체를 중심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첫째, 주5일 수업제의 실시에 따른 청소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의 필요성과 청소년단체활동의 변화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고, 둘째, 주5일 수업제 실시 이전과 이후의 청소년활동에 대한부분을 비교 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의 주5일 수업제에 따른 활동에 대한 의식변화에 대해 분석해 보고, 셋째, 주5일 수업제에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정책의 발전 방향을 청소년단체활동 중심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주5일 수업제는 시범학교운영을 통해 준비되고 2005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월1회 실시되었으며, 2006년에는 월2회 실시를 예고한바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청소년활동의 변화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3년 의식조사 자료와 2005년 실태조사 자료 중 활동부분을 비교해 봄으로써 청소년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정책의 활성화를 위해서 청소년단체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단체활동 체질 개선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둘째, 청소년활동을 위한 단체·시설의 전략적 공존. 셋째, 청소년단체활동 지도자 확보. 넷째, 청소년활동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들이다. 정책적 노력으로는 첫째, 청소년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둘째, 청소년업무의 행정조직 강화 노력, 셋째, 청소년활동지원을 위한 재정확보 노력이다.

      •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변화와 자아인식·사회적 발달

        황진구,허효주,안현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 KCYPS) 의 중1 패널 제1~3차년도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이 중학교 시절 3년간 체험활동 참여 정도 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중학교 1학년부터 2학년까지(2010년부터 2011년)의 2년간 참여한 체험활동 참여 정도가 중학교 3학년(2012년)에서의 사회?정서발달이나 사회 관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체험활동이 지닌 의미를 찾아보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영역별 청소년 참여정도 변화를 살펴보면, 중학교 3년간의 9개 체험활동 영역별 참여율과 시간은 전체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봉사활동과 직업체험활동은 중학교 2학년에 감소했다가 3학년에 다시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다. 대부분의 체험활동 참여율이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의 규모가 클수록, 가구 소득 규모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남자보다는 여자가, 도시규모가 클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중학교 1학년(2010년)부터 2학년(2011년)까지 2년간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 참여 시간, 참여에 따른 만족도와 중학교 3학년 시기의 다양한 자아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영역 수나 시간,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청소년의 친구와의 의사소통 능력이나 신뢰감, 학습활동, 지역사회 인식, 공동체 의식 등도 중학교 1학년부터 2학년까지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참여율, 참여시간)이 높은 집단일수록 중학교 3학년 시절의 사회적 관계의 발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youths’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over time during their middle school year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s (2010 and 2011) and thei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relationships in their third year in middle school, and ultimately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youth activities, using the first to third year survey data of the middle school year 1 panel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key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changes in youths’ participation in each area of youth activities, participation rates in the nine activity areas during the three years in middle school and the amounts of time they spent decreased over time, save for voluntary activities and vocational experience activities that decreased in the second year and rebounded in the third year. For most youth activities, the bigger the community they lived in and the higher their family income, the more youths participated in youth activities. Second, as for changes in youths’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the number of youth activity areas they were involved in the first year decreased over time.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more areas than female students did, and students in bigger cities and richer families participated in more youth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with youth activities went up over time. And fe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youth activities than male students were, and students in bigger cities and richer families were more satisfied. Thir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ime spent in, and satisfaction with youth activities involv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2010 ? 2011) and various aspects of their self-recognition in the third year showed that groups that had participated in more areas, had spent more time, and had been more satisfied had higher self-esteem, self-respect and career identity. Fourth, as for youths’ communication skills with friends, trust, academic activities,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and community spirit, groups that had more participated in youth activities (higher participation rates and longer time spent)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showed higher social relationship development in the third year.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 청소년활동정책 변화과정에 대한 성찰과 새로운 방향 모색

        조남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청소년활동정책의 변화과정에 대한 성찰과 청소년역량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청소년활동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사회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정책의 주요 영역으로 등장한 것은 1985년 ‘청소년문제개선종합대책 세부추진계획’으로 볼 수 있다. 이전의 청소년정책은 일부 문제 청소년의 교화를 중심정책으로 선택함으로써 청소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청소년육성종합계획(1988), 한국청소년기본계획(1991), 청소년육성5개년계획을 거치면서 청소년(수련)활동은 청소년정책의 핵심 영역으로 등장하지만, 여가 활동 중심의 수혜적 서비스를 주로 시행하여 사회적 역할을 찾는데 부족함이 있었다. 하지만 2005년 ‘새로운 통합적 청소년 정책’을 기점으로 청소년역량 개발의 관점으로 청소년활동을 인식하게 되면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나, 청소년활동을 통해 기대되는 성과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이는 청소년활동에 대한 새로운 정책 개발 및 지원을 위한 본격적인 청소년활동정책이 시작되었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청소년역량 개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고, 청소년활동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영역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youth activity policy in Korean society and to suggest the new policy direction focusing on the youth talent development. Since the “comprehensive measures for improving youth problems: action plans” established in 1985, youth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has emerged as a main issue of youth policy. Existing policies related youth activities cannot be the one to support general activities of youth because it was designed to educate some juvenile delinquents. Through the policies suggested afterwards such as the comprehensive plan for youth development(1988), the master plan for Korean youth(1991), and the 5-year plan for youth, youth training activities emerged as the core area of youth policies. However, it was also insufficient to help find the social role because those policies were mainly focused on providing beneficial services like leisure activiti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integrative youth plan’ considering youth activities as youth talent development, the discussion about the social consensus or the result expected from youth activities has begun, which made an important turning point to commence the aggressive youth activity policy for new policy development and support. However, the social consensus about youth talent development is still not enough. Thus, it needs to discuss and research more about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youth activity.

      • KCI등재

        청소년 인증수련활동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임영식,문성호,정경은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0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Youth Accredited Activity Program' for development of youth.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effect was practiced 5 territory: Science and information Activity, Culture and Art Activity, Volunteering Activity, Career Experience Activit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 For the evaluation of the this program, we employed youth accredited activity effectiveness scale.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at the point of pre and post-test were analysed and compared through the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creases in area of 'Science and information Activity', 'Culture and Art Activity', 'Volunteering Activity', 'Career Experience Activit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 between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Accredited Activity Program was confirmed. Finally, some remarks on practices in the field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indicated. 본 연구에서는 인증수련활동 참여청소년을 대상으로 활동영역별 효과성 분석을 통해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목표를 얼마나 달성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인증수련활동의 영역별 구분, 즉 과학정보활동, 문화예술활동, 봉사활동, 직업체험활동, 환경보존활동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비동일 통제집단설계를 사용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는데 사용된 도구는 2008년 개발된 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척도였다.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Wilcoxen-Test와 Mann-Whitney U test가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상자들은 각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과학정보활동 영역에서는 과학활동 능력이 향상되었고, 문화예술활동 영역에서는 문화예술 이해, 문화예술 기능, 창의성이 향상되었으며, 봉사활동 영역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책임감이 강화되었다. 직업체험활동 영역에서는 자기이해와 실천의지가 향상되었고, 환경보존활동 영역에서는 환경에 대한 책임감, 환경 감수성, 자연 친화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증수련활동 프로그램이 상당 부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인증수련활동 프로그램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인증수련활동 영역별 효과성 척도 개발

        임영식,문성호,정경은,강태신,고혜연,문호영,박옥식,조규필,진은설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program's effectiveness scale of each activity area, more strictly and objectiv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ccredited activity on present youth field. We separate as preliminary items of 7 youth activity areas which are 'Science and information Activity', 'Experience Exchange Activity', 'Adventure and Challenge Activity', 'Culture and Art Activity', 'Volunteering Activity', 'Career Experience Activit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 After verifying by professionalist's comment on preliminary validity, we have operated questionnaire of 270 items on 1,259 youths participants in 7 youth activities. Eventually, we selected the cases of 1,217 youths and analyzed them in order to descriptive statistics, Item Response Theor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of-fit indices confirm good. We readjusted number of factors with adding and removing questions according to value of SMC in order to accomplish better accurate consistency and validity. After that, we confirmed consistency of the concept, AVE and discriminant validity among sub-factors. The procedure to choose the most highly loaded items led to final items in the completed scale ;Science and Information 15 items; Experience Exchange 17 items; Adventure and Challenge 20 items; Culture and Art 19 items; Volunteering 16 items; Career Experience 21 items; Environmental Conservation 19 items.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mentioned. 본 연구는 현재 청소년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인증수련활동의 효과성을 보다 객관적이고 엄정하게 평가하기 위해, 활동 영역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역별 척도개발을 위하여 문헌검토와 인증수련활동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분석하고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과학정보활동’, ‘교류활동’, ‘모험개척활동’, ‘문화예술활동’, ‘봉사활동’, ‘직업체험활동’, ‘환경보존활동’의 7개 영역별 구성개념과 1차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1차 예비문항 가운데 전문가의 내용타당도와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pilot 테스트를 실시하여 총 270문항이 선택되었다. 이어 예비척도로 청소년 수련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 총 1,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17명(남 53.9%, 여 45.3%)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고,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IRT),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순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념 신뢰성과 AVE를 확인하고, 하위요인들 간의 변별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까지 거쳐 최종 영역별 척도(과학정보 15문항, 교류 17문항, 모험개척 20문항, 문화예술 19문항, 봉사활동 16문항, 직업체험 21문항, 환경보존 19문항)를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