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정책 연구

        조남억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4

        Our society have thought about to change school system to 5 days a week and this will bring pros and cons. This is very big changes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Schools have to re-schedule for the class hours arrangement and because of time shrinking, student would not have time to enjoy their club activities. To minimize these problems social clubs have to put effort to change school based club activities to social based activities, in another word group activities should be introduced and encouraged. This research studies how the five days a week school hours system will affect on youth activity policy and make recommendation how we could minimize the problems it might occur. This report is focusing on 3 main topics. First, changes of students' life (mostly focus on group activities) after accepting five days a week school hour system. Second, survey results of how it is going to affect on student's group activities when the five days a week school hour enforced. Third, to implement 5 days a week school hours successfully what should be prepared and done. First of all, new policies and new structuring for youth group activities. Secondly, strategies for building new facilities and encourage society's involvement. Thirdly, build youth groups' to be specialized and unique. Fourth, secure and develop more youth group activity leaders and developers. And lastly, school facilities consignment during weekends. In the future, we have to give more thought on "how we could develop Youth Activities successfully." To achieve this all of the staffs on youth involved department should draw big pictures now and study frequently and try every possible way to make the situation better without any confusion. 우리 사회는 주5일 근무(수업)제라는 시대적 대 전환기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주5일 수업제의 도입은 청소년들의 삶의 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를 수반한다는 점에서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특히 청소년단체활동의 경우 주5일 수업제로 인해 수업일수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특별활동 자체가 축소 또는 제외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꾸준한 접촉과 연계를 통해 활동의 중심축을 자연스럽게 학교에서 지역사회로 이동하는 정책적 노력 즉, 단체활동의 활동체질을 바꾸는 노력이 구체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5일 수업제의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정책의 변화 방향과 대응 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해 청소년단체를 중심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첫째, 주5일 수업제의 실시에 따른 청소년에 대한 인식의 전환의 필요성과 청소년단체활동의 변화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고, 둘째, 주5일 수업제 실시 이전과 이후의 청소년활동에 대한부분을 비교 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의 주5일 수업제에 따른 활동에 대한 의식변화에 대해 분석해 보고, 셋째, 주5일 수업제에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정책의 발전 방향을 청소년단체활동 중심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주5일 수업제는 시범학교운영을 통해 준비되고 2005년 3월부터 전국적으로 월1회 실시되었으며, 2006년에는 월2회 실시를 예고한바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청소년활동의 변화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3년 의식조사 자료와 2005년 실태조사 자료 중 활동부분을 비교해 봄으로써 청소년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청소년활동정책의 활성화를 위해서 청소년단체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단체활동 체질 개선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둘째, 청소년활동을 위한 단체·시설의 전략적 공존. 셋째, 청소년단체활동 지도자 확보. 넷째, 청소년활동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들이다. 정책적 노력으로는 첫째, 청소년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둘째, 청소년업무의 행정조직 강화 노력, 셋째, 청소년활동지원을 위한 재정확보 노력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형성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조남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oretically review participation in youth group activities and its potential as social capital.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focused on such groups voluntarily selected and joined by them as youth circles, organizations and autonomous groups rather than such traditional social capitals given to them as families, hometowns, school ties, and thereby, examined the potential of their voluntary group activities as social capital.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youth group activities would be levels and types of participation, parents' concern and support, and that youth group dynamics(group cohesion, group norms, etc.,)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parameter. After all, the researcher could construct a research model explaining about the effectiv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ies and its potential as social capital characterized by social trust, reciprocal norms and productive network. 본 연구는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형성 가능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형성 가능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강한연대 중심의 사회적 자본 즉, 혈연, 지연, 학연 등과 같이 청소년 스스로 선택이 불가능 한 영역 보다는 청소년 동아리, 단체, 자치조직 등과 같이 자발적 참여와 선택을 통해 형성 가능한 약한 연대 중심의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 집단활동 중 동아리, 단체, 자치조직은 청소년기에 주로 참여하는 집단활동의 형태로써 참여 수준, 참여 유형 그리고 부모의 관심과 지지 등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집단역동성(집단응집력, 집단규범)은 매개변인으로써의 역할이 예상되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신뢰, 호혜적 규범, 생산적 네트워크로 설명되어지는 사회적 자본과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와의 실질적인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의 사회적 가치와 필요성을 재인식하고, 청소년 집단활동 참여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통해 성공적인 성인으로의 이행 및 자립에 필요한 역량 개발 가능성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을 제공한 것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국외 청소년의회 사례를 통한 청소년참여 활성화 연구

        조남억,장여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1

        Youth councils are intended to empower youth to participate and are different from existing youth participation organization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data on how and in what way the youth councils should ope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mplications for youth participation in youth councils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overseas youth councils.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initiative of the core elements of the youth council were analyzed and proposed. Youth participates in the youth council activities by participating in the agenda proposal and experiences the level of participating in suggesting the agenda by collecting information or ideas in the field of interest. In additi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agenda, which directly participat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leads to important decision-making.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Korean youth councils should be given. First, the role and authority of the youth council should be given in order to promote voluntary participation of youth.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dministrative and policy support for youth to propose youth related policies for the community. Third, in determining youth policy, all youth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make decisions without discrimination. Fourth,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for youth councilors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youth representatives.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web-site for information sharing and activation of youth council activities. Six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youth are actively involved in community issues and policies. 청소년의회는 청소년 참여의 실제적인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청소년 참여기구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과 내용으로 청소년의회가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자료가 부족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 청소년의회 사례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회 중심의 청소년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회의 핵심요소를 제도화와 주도성으로 보고 분석틀을 제안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은 청소년의회 활동에서 ‘의제제안의 참여’를 통해서 관심 분야의 정보나 아이디어를 수집하여 의제를 제안하는 수준의 참여를 경험하고, ‘의제실행의 참여’를 통해서 프로젝트나 캠페인처럼 실행과정을 경험하며, 직접적으로 정책 결정과정에 참여하는 ‘의제정책화’를 통해 중요한 의사결정을 경험하게 된다. 국외 청소년의회 사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의회 중심의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청소년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회의 명확한 역할과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 둘째, 청소년이 지역사회에 필요한 청소년 관련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행정적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모든 청소년들이 차별 없이 의사결정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 한다. 넷째, 청소년 대표로서의 역할을 책임 있게 수행하도록 청소년의원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청소년의회 활동에 대한 정보공유 및 활성화를 위한 웹사이트 구축이 필요하다. 여섯째,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의 문제나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 청소년활동정책 변화과정에 대한 성찰과 새로운 방향 모색

        조남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청소년활동정책의 변화과정에 대한 성찰과 청소년역량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청소년활동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사회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정책의 주요 영역으로 등장한 것은 1985년 ‘청소년문제개선종합대책 세부추진계획’으로 볼 수 있다. 이전의 청소년정책은 일부 문제 청소년의 교화를 중심정책으로 선택함으로써 청소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청소년육성종합계획(1988), 한국청소년기본계획(1991), 청소년육성5개년계획을 거치면서 청소년(수련)활동은 청소년정책의 핵심 영역으로 등장하지만, 여가 활동 중심의 수혜적 서비스를 주로 시행하여 사회적 역할을 찾는데 부족함이 있었다. 하지만 2005년 ‘새로운 통합적 청소년 정책’을 기점으로 청소년역량 개발의 관점으로 청소년활동을 인식하게 되면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나, 청소년활동을 통해 기대되는 성과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이는 청소년활동에 대한 새로운 정책 개발 및 지원을 위한 본격적인 청소년활동정책이 시작되었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청소년역량 개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고, 청소년활동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영역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youth activity policy in Korean society and to suggest the new policy direction focusing on the youth talent development. Since the “comprehensive measures for improving youth problems: action plans” established in 1985, youth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has emerged as a main issue of youth policy. Existing policies related youth activities cannot be the one to support general activities of youth because it was designed to educate some juvenile delinquents. Through the policies suggested afterwards such as the comprehensive plan for youth development(1988), the master plan for Korean youth(1991), and the 5-year plan for youth, youth training activities emerged as the core area of youth policies. However, it was also insufficient to help find the social role because those policies were mainly focused on providing beneficial services like leisure activiti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integrative youth plan’ considering youth activities as youth talent development, the discussion about the social consensus or the result expected from youth activities has begun, which made an important turning point to commence the aggressive youth activity policy for new policy development and support. However, the social consensus about youth talent development is still not enough. Thus, it needs to discuss and research more about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youth activity.

      • KCI등재

        청소년의 국제교류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조남억,김고은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for youth in enhancing self-efficacy, team work,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wareness of global citizenship. To this end, a group of students were divided into test group (17 students who have involved i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and control (18 students who have not involved i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and did a survey on the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analyz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ex of participants were: 6 males and 11 females in test group; and 7 males and 11 females in control group. The finding showed that team work and awareness of global citizenship of th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have improved, and in particular, it showed notable increase of interest in global issues,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global matters, and global mind. These changes mean a significant milestone for the students to adapt to the globalized world with active international exchange, and such team-based activ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eam work of youth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Based on this finding, I proposed measures to mak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for youth to continue or to be further developed.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국제교류활동 프로그램의 자기효능감, 팀워크, 대인관계, 세계시민의식의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제교류활동에 참여한 학생 17명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 18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참여청소년들의 성별은 실험집단이 남자 6명, 여자 11명, 통제집단이 남자 7명, 여자 11명이었다. 연구결과, 국제교류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의 팀워크와 세계시민의식이 향상되었으며, 세계시민의식 중에서도 세계적 문제에 대한 흥미와 관심, 세계적 문제해결에 대한 참여의식, 세계지향적인 태도가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국제교류활동이 세계화 되는 시대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중요한 초석이 되며, 팀 기반 활동들이 학생들의 상호작용 및 의견 조율을 통한 팀워크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교류활동의 지속성 유지나, 구체적인 행동프로그램, 사후 프로그램 등의 확충 방안을 제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를 활용한 국제교류 프로그램 효과성의 포괄적 검증이 필요하며, 다양한 연령의 청소년에 적용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기의 페이스북 활용을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에 관한 연구

        조남억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중 현재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페이스북(www.facebook.com)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활용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 나아가 기성세대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사회적 자본 확대를 위해 준비해야 할 영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청소년은 페이스북을 포함한 SNS의 등장과 더불어 빠른 매체 적응력과 유연한 소통능력으로 영향력 있는 생비자(prosumer)로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네트워크를 소유할 수 있는 SNS는 소통의 도구를 넘어 사회적 자본 축적의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기로부터 ‘페이스북 리터러시(Facebook Literacy)’를 향상시킴으로써 페이스북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생산적인 네트워크를 지속하여 사회적 자본으로 축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청소년기로부터 페이스북 리터러시의 정도에 따라 네트워크의 규모나 활용 가치가 달라지며,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게 된다. 하지만 개인정보 유출이나 성범죄로의 유입 등 페이스북의 부정적인 면도 간과할 수 없으며, 이를 개선하고 생산적인 성과물을 만들어 내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ies and uses of social capital through Facebook, currently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network services (SNS). It also explores areas requiring future attention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social capital not only by older generations but also by adolescents. Adolescents comprise the majority of users of social network services like Facebook. In the past, discussions of social capital have viewed adolescents simply as passive beneficiaries of their parents' social capital, but with the popularization of SNS, adolescents have become major participants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is has created a need for increased 'Facebook Literacy' for correctly understanding and using Facebook beginning from the adolescent years, to ensure the effective use of the service and its utility as a site for continued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The scale and use value of Facebook depends on one's level of Facebook literacy, and accordingly differences appear between users in their levels of social capital. Therefore, if users acquire better Facebook literacy from adolescence and continually employ good management, the social capital accumulated by adolescents will not only provide considerable power in developing their individual life, but their connections and online sharing may also serve as an energy to change illogical social structures.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제도적 사회자본 형성과 청소년 시민성 개발: 공공성을 중심으로

        조남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2

        This research sough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and citizenry development during the adolescence period centered on the publicness. Unlike the relational social capital centered on blood or regional ties, members are encouraged to get involved with recommended actions when it comes to the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that can be formed by participating in the official and open groups. As such, efficiency of the society’s structure is increased. At the same time, all types of negative incidents that take place in a society are improved. Thus, the member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growing as a citizens’ society desired by our society. At this time, publicness is the factor that applies jointly for the formation of the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and for the citizenry development. Publicness can b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 that pertains to all the members of the regular society instead of individuals or groups. Factors of publicness to be experienced during adolescence period can be defined as ‘openness of the participation’, ‘fairness of the procedure’ and ‘sharing of performance.’ Question of application of the elements of the publicness was analyzed, centered on the operation of the institution with the youth’ participation. In conclusion, it is critical to expand the correlation of the institutional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citizenry development in order to increase official and structured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by the adolescents. Accordingly, participation of the adolescents in the group activity is crucial since it can exert negative effect on the society wi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adolescents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Increase in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should be based on the publicness to share the performance in the society along with the personal growth.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제도적 사회자본과 시민성 개발의 관련성을 공공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혈연이나 지연 중심의 관계적 사회자본과는 달리 공식적이고 개방적인 집단에 참여함으로써 형성 가능한 제도적 사회자본은 구성원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여 사회구조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회에서 일어나는 각종 부정적인 모습들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여 우리사회가 지향하는 시민사회로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기대하게 한다. 이때 제도적 사회자본의 형성과 시민성의 개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요소는 바로 공공성이다. 공공성은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일반 사회 구성원 전체에 두루 관련되는 성질이다. 청소년기에 경험해야 할 공공성의 요소로는 ‘참여의 개방성’, ‘절차의 공정성’, ‘성과의 공유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청소년참여기구 운영을 중심으로 공공성 요소들의 적용 여부를 분석하여 보았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이 사회 속에서 공식적이고 제도적인 사회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공공성의 관점에서 제도적 사회자본의 형성과 시민성의 개발의 연관성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해 비교적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할 수 있는 청소년 집단 활동의 참여가 중요하며, 이러한 참여기회의 확대는 개인적 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성과를 공유하기 위한 공공성에 기반 한 것이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