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노인의 긍정노후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승곤 한국노인복지학회 2022 노인복지연구 Vol.7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a perception of positive aging in the elderly in Korea. For this, theories and concepts of self-integration, wisdom, self-realization, successful aging,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were explored that presented positive tasks and goals in old age, and two concepts of life meaning and life goal, and the results of the two survey of the elderly in Korea, and the results of the open questionnaire for 48 elderly people were included in the selection of components.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select six categories and 156 semantic units. A total of 21 academic and practice field experts participated and went through content validity three times, and they extracted 57 semantic units and confirmed 30 questions again.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20 elderly survey data of 65 years of age or older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16 questions from 4 factors selected the final Positive Aging Scale. It consists of pursuing a healthy life(five questions), pursuing a death acceptance(three questions), pursuing a new goal(four questions), and pursuing a transcendent life(four questions). Finally, the survey data of 302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nstruct validity and the concurrent validity were appropriate. 본 연구는 노년기의 어떠한 긍정적 변화를 지향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긍정노후인식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점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노년기 긍정적 변화를 설명하거나 긍정적 과업 및 목표를 제시한 자아통합, 지혜, 자아실현, 성공적 노화, 초월, 영성, 그리고 추가로 생애 의미와 삶의 목표 등의개념과 이를 토대로 국내외에서 개발된 31개 척도의 내용 및 구성요인 등을 살펴보았다. 한국 노인들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노인 대상 실태조사의 결과와 48명의 노인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의 결과를 포함하였다. 이를 통해 6개 범주에서 총 156개의 의미 단위를 선정할 수 있었다. 전문가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3차례 확인하였고최종 30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대구, 경북의 65세 이상 노인 12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진행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4개 요인에서 16개 문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건강한 삶 추구’, ‘죽음 수용 추구’, ‘새로운 목표 추구’, ‘초월적 삶 추구’로명명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302명을 다시 설문 조사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분석한결과, 구성타당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렴 및 변별타당도 역시 적합한 수준을보였다. 신뢰도도 타당한 것이 검증되었고 삶의 만족도 및 우울 척도와의 상관관계를통해 살펴본 공인타당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는 학계 및 실천현장에서 노년기 긍정적 변화를 측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긍정노후인식의 매개효과 분석

        박승곤,김수정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3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ging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Research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But to make a different change, we need a new variable that can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nd respond to depression. Positive aging perception is meaningful in this respec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We confirmed positive aging perception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before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factors of positive aging percep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factor were confirmed together. · Research method: The data from 302 elderly people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ere analyz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hrough t-test and ANOVA.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model 4 Bootstrapping of PROCESS Macro 4.1. · Research results: In the positive aging perception, the pursuit of a healthy life was the highest, the pursuit of new goals was the lowe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 economic level, job in the positive aging perception. Depression of the elderly wa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ging perception awareness mediated it.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aging perception, the pursuit of new goals and the pursuit of transcendent lif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ositive aging perception and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Korea,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necessary but lack of research.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긍정노후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 연구 배경: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이 가지는 중요성은 강조되었지만, 기존과 다른 변화를 위해서는 이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변인이 필요해졌다. 이 점에서 긍정노후인식은 우울에 대응할 수 있는 변인으로 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에 논의되지 않았던 노인의 긍정노후인식을 확인하고 우울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새롭게 살펴보았다. 동시에 긍정노후인식의 하위요인의 특성과 요인별 매개효과를 함께 확인하였다. · 연구방법: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t-test와 ANOVA 등을 통해 그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PROCESS Macro 4.1의 model 4 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긍정노후인식에서 건강한 삶 추구가 가장 높았고 새로운 목표 추구는 낮았다. 노인의 우울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긍정노후인식은 이를 매개하였다. 긍정노후인식의 4가지 하위요인 중 새로운 목표 추구와 초월적 삶 추구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그동안 필요성은 제기되었지만 연구가 부족했던 한국 노인의 긍정노후인식에 대한 특성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한 정책적 변화와 프로그램의 개발, 전문가 재교육 등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동반자의 역할수행에 관한 질적 분석

        박승곤,김수정,문성호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동반자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를 질적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년 이상의 활동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시간제와 전일제 청소년동반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두 개 이상의 자료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공통되는 범주의 속성을 찾아내는 지속적 비교방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였다. 청소년동반자들의 역할수행 경험을 분석한 결과, 3개의 범주와 8개의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인 ‘찾아가는 서비스’는 ‘찾아가는 서비스와 상담에 대한 딜레마’, ‘안전에 대한 불안감’, 그리고 ‘불합리한 업무여건’이라는 3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두 번째 범주인 ‘자원연계 서비스’는 ‘연계시스템 활용의 적극성 부족’과 ‘청소년동반자의 인식 및 접근방식의 차이’라는 2개의 하위영역, 마지막 범주인 ‘지원체계 및 환경’은 ‘실적위주의 사례운영 및 배정’, ‘경직된 조직문화’, 그리고 ‘배려 없는 근무환경’이라는 3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동반자 사업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for examining what Youth Companions' difficulty are in their role performance. For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2 Youth Companions who have been doing for more than one year of field experienc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snowball sampling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as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rough data analysis, 3 categories and 8 sub-categories were found. First category was 'visiting service' and had 3 sub-categories that were 'dilemma between visiting service and counselling', 'anxiety about the safety', and 'irrational activity condition'. Second category was 'resource connection service' and had 2 sub-categories that were 'lack activeness of system application' and 'difference of cognition and approach'. And last category was 'supporting system and environment' and included 3 sub-categories that were 'unsystematic case management', 'uncomfortable organization culture', and 'thoughtless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plan for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Youth Companion Project.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지역별 차이 분석

        박승곤,김수정,문성호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4

        This study was for examining the regional disparities of youth social capital. For this, we analyzed the disparities of youth social capital which was divided into metropolitan, small and medium-sized city, and rural a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2,351 middle school student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nd social capital was analyzed by family, school, and community capita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Rural area's youth realized lower ego-resilience and health cognition than metropolitan, small and medium-sized city's youth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etropolitan's youth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family income and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but rural area's youth the lowest in the family capital. And metropolitan's youth also recognized better study activity, peer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in the school capital, but rural area's youth appeared to have the best awareness about local community and participate in youth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y capital.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자본의 지역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1차년도 중학교 1학년 2,35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거주지역에 따라 이를 대도시, 중소도시, 군단위 지역 청소년으로 구분하였다. 가족, 학교, 지역사회 3개 영역에서 사회적 자본의 지역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군단위 지역 청소년이 대도시 및 중소도시 청소년보다 자아탄력성 및 건강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특성을 보였다. 가족 자본에 있어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인 가구소득 및 부모의 교육수준에서 대도시 청소년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군단위 지역 청소년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학교 자본에서는 학교생활 영역인 학습활동, 교우관계, 교사관계에서 대체적으로 대도시 청소년이 높은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래 친밀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역사회 자본에서는 군단위 지역 청소년이 대도시나 중소도시 청소년에 비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청소년활동에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이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기관 현장실습에 관한 사례연구: 사회복지 현장실습과의 비교

        박승곤,김수진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1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청소년기관 현장실습의 경험과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경험을 비교 분석하여 청소년기관 현장실습의 상황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 배경: 학계 및 현장의 지속적인 요구로 인한 최근 법령의 변화하여 청소년기관 현장실습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그 실태를 확인할 필요가 나타났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유사영역인 사회복지 현장실습과의 비교분석은 기존에 시도된 적이 없으므로 질적 연구를 통해 실습경험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청소년기관 현장실습과 사회복지 현장실습을 모두 경험한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5~6월 두달 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정보의 부족과 통일된 절차의 부재, 다양한 청소년지도사의 역할에 대한 탐색 부족, 슈퍼비전의 체계성 부족, 청소년기관의 실습 방향성에 대한 요청 등 4개 범주에서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는 적절한 실습처 탐색의 어려움, 초기 부정확한 정보 제공, 절차와 진행의 혼란, 적절한 평가체계의 부재로 구분되었으며, 두 번째는 실습의 초점이 청소년활동에 집중, 실습생의 정체성 모호, 시기 및 기관에 따른 경험의 차이,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분류되었다. 세 번째는 슈퍼바이저의 인적 구조에 한계와 슈퍼비전의 내용이 아쉬움으로, 마지막은 실습의 명확한 목적설정을 요구함, 기관의 긍정성에 기반을 둔 변화를 요구함으로 총 12개 하위영역이 확인되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현장실습 강화를 담은 청소년지도사 자격시험 개정에 맞춰 그 방향성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when undertaking field training for youth organizations. With that purpose, the experiences of youth field practice and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were compared. · Research background: With recent changes in laws related to youth instructor, the importance of field training is being emphasiz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youth field training.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We would like to compare it with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which is a similar field. · Research method: Ten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over two months of in-depth interview in 2023. · Research results: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view findings, 4 major topics and 12 sub-themes were derived. Results were derived in a total of four categories. These were concerns about lack of information and uniform procedures, the lack of exploration of the various roles of youth instructor, lack of systematic supervision, and direction of practice in youth organizations.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Based on those four main insights, this article outlines the corresponding research implications.

      • KCI등재

        위상응답에 의한 이차전지의 진단에 관한 연구

        박승곤,강대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9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4

        It was proposed the use of an inducive element to measure the SOH of a secondary battery by phase response.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Randles equivalent model of a secondary battery, the inductive element used as the load has a high response characteristic and increases the maximum phase response frequency band. In order to obtain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phas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secondary battery is well observed, the phase response was measured with the change of the inductance value of the inductive element, 33uH,49mohm inductive element with the maximum phase response at 631Hz was used. The phase response measurements for secondary battery with different SOH showed that the phase response for each 20% of SOH showed a difference of about 3.8(degree), enabling the SOH diagnosis of secondary battery by the phase measurement for the inductive element. 위상응답에 의해 이차전지의 SOH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도성 소자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이차전지의 Randles 등가 모델에 대하여 모의 실험한 결과 부하로 사용된 유도성 소자는 고역응답특성을 가지며 최대 위상응답주파수 대역을증가시킨다. 이차전지에 대한 위상응답특성이 잘 나타나는 주파수대역을 획득하기 위해 유도성 소자의 인덕턴스 값을변화시켜 위상응답을 측정하였으며, 631Hz에서 최대 위상응답을 보이는 33uH의 유도성 소자를 사용하였다. 각각 다른SOH를 가진 이차전지에 대하여 위상응답을 측정한 결과 SOH 20% 당 위상응답은 약 3.7° 의 차이를 보여 유도성 소자에 대한 위상측정에 의해 이차전지의 SOH를 진단할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농어촌청소년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박승곤,문성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4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rural youth based on ecosystem with self-system, microsystem, exosystem and macrosystem.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youth were surveyed with 342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ural after school academ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overall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youth was 4.98(SD=1.22). This level is above normal. Next, their gender, age, family-support, friend-support, school teacher-support, youth worker-support, supplement of youth-facility, using and distance of youth-facility and cognition about their own communit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Finally,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riend-support, family-support, teacher-support in microsystem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And using and distance of youth-facility was an important factor in ecosystem.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we ne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friend-relationship of rural youth. A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programs for parents-youth relationship, their institutional support from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opportunities of parents educations. Youth worker should offer services with local facility to overcome regional limitation. Culture welfare in rural community also should change variously.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청소년의 삶의 질을 파악하고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라 환경적 맥락을 개인체계, 미시체계, 외체계, 거시체계로 나누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농산어촌형 10개 기관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342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농어촌청소년의 삶의 질은 7점 척도에서 평균 4.98점으로서 ‘중’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성취,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청소년지도자의 지지, 청소년시설의 이용 및 거리정도,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 등이 삶의 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농어촌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미시체계에서는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 순이었으며 외체계에서는 청소년시설의 이용 및 거리정도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어촌청소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의 친구관계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또한 가족지지 강화를 위해 여가시간을 활용한 부모자녀 관계개선 프로그램 운영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동시에 지역사회 기반시설을 이용하여 부모교육 기회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문화복지를 위한 서비스의 다변화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