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현미 한국모자보건학회 2017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Vol.2017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한국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으로 건강 관련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개 개발의 기초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한국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학술지 발표 논문의 연도별 영역별 경향을 파악하고, 건강관련 논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건강관련 논문의 연구 방법에 따른 주요 결과를 파악함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2015년 10월까지 국내 및 국외 정기간행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 논문의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 (KMbase), 대한의학편집인협의회 (KoreaMed)를 사용하였으며, 검색어는 ‘국제결혼이주여성’, ‘ 여성 혼이민자’, ‘결혼이민자’, ‘결혼이주여성’으로 하였다. 국외 논문검색데이터베이스로는 PUBMED, PQD/CINAHL를 활용하였으며, 검색어 ‘married immigrant women’과"Korea’을 조합어로하여 검색하였다. 총 1418편이 검색되었으며 결혼이주여성과 관련 없는 논문 63편과 중복 논문 397편을 제외한 956편을 8가지 영역으로 일차 분석 하였으며, 이 중 96편의 건강관련논문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방법에 따른 각각의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00년 1월부터 2015년 10월 사이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된 여성결혼이민자 관련 논문 총 956편을 일차적으로 분석한 결과 약 20%에 해당하는 논문이 문화적응, 결혼적응, 결혼만족 등 적응에 관련된 논문이었으며, 2010년 2011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 되었으며 2012년 이후 건강영역 이외의 연구는 감소 추세였다. 건강관련 논문은 96편 (10.9%)였으며, 이들 논문을 최종 분석한 결과 89.6%가 국내발행 학회지에서 발표 되었으며, 조사연구가 80.2%였으며, 연구대상출신국가는 베트남이 가장 많았다. 정신건강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33.3%), 다음으로는 여성건강관련 논문(28.1%)이었다. 건강, 우울, 중재에 관한 문헌분석 연구가 3편 있었으며, 6편의 질적 연구 중 5편이 임신과 분만, 모성 경험에 대한 연구였으며, 9편의 실험 연구 중 5편이 여성건강관련 중재 연구였다. 결론 여성 결혼 이민자의 현재의 건강문제와 앞으로의 잠재적 건강문제를 예측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추가적 연구가 요구되며, 결혼이민여성이 가진 건강문제 해결을 위하여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좀 더 엄격한 연구 설계를 갖춘 실험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