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태권도장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라포형성과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만건중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8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nese taekwondo instructors on lapo forma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The rapidly growing Taekwondo market has passed the period of excessive competition as the number of Taekwondo markets has increased. In addition,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taekwondo instructors and trainees is not so strong, facing greater challenges in the teaching and taekwondo education market. As a Taekwondo gym leader, it is time for various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trainees. Therefore,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communication skills, lapo forma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thereby emphasizing the need for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he leaders and trainees, improving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ee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Taekwondo gym. Trainees who used Chinese Taekwondo gym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eligible. The final analysis was 307 cases, and the frequency analysis was SPSS26.0,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ed data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Taekwondo instructor recognized by the Chinese Taekwondo trainee, control,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coope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bond.Second, amo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aekwondo instructors recognized by Chinese taekwondo trainees,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easant interactions in the order of control,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cooperation. Third, amo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aekwondo instructors recognized by Chinese Taekwondo trainees,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control and cooperation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control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Taekwondo instructor recognized by the Chinese Taekwondo trainee, and control and expertis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Fifth, amo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aekwondo instructors recognized by Chinese Taekwondo trainees, professionalism and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nd cooperation and reli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mersion. Sixth, it was found that both pleasant interactions and personal bon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mong the lapo formation of Taekwondo instructors recognized by Chinese taekwondo trainees. Seventh, it was found that both pleasant interactions and personal bon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among the lapo formation of Taekwondo instructors recognized by Chinese taekwondo trainees. Eighth, it was found that both personal bonds and pleasant interac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mersion among the lapo formation of Taekwondo instructors recognized by Chinese taekwondo trainees.In the taekwondo industry, where competition is intensifying, Lapo was analyzed to confirm and verify the qualitative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ability and relationship. It is also meaningful when viewed empiric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Taekwondo industry, communication with trainees must be activated. Taekwondo instructors should continuously research and develop differentiated customer response plans and new training programs to induce the interest of trainees and provide continuous training.Practice. In the future, the Taekwondo industry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continuous relationships with trainees who use the Taekwondo gym, thereby enhancing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Taekwondo gym and forming a lapo between leaders and trainees. Through the conclusions drawn in this study, attracting more trainees to the Taekwondo gym between the leaders and the trainees i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Taekwondo industry. 본 연구는 중국 태권도장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라포형성과 관계의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급성장하는 태권도 시장은 수가 늘어나면서 과당 경쟁의 시기를 넘겼다. 게다가 현재 중국 태권도장 지도자와 수련자 간의 관계가 그리 탄탄하지 않아 교습과 태권도 교육 시장에서 더 큰 도전에 직면해 있다. 태권도장 지도자로서는 이런 지도자와 수련자 간의 관계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태권도장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라포형성과 관계의질 사이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태권도장 지도자와 수련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태권도장 지도자와 수련자 간의 교류, 수련자 간의 정서적 관계 증진, 둘 사이의 관계의 질 향상, 태권도장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태권도장을 이용한 수련자들이 대상이다. 최종분석은 총 307건, 빈도분석은 SPSS26.0,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은 데이터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태권도 수련자가 인지한 태권도장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 통제성, 신뢰성, 전문성, 협력성 순으로 개인적 유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태권도 수련자가 인지한 태권도장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 통제성, 신뢰성, 전문성, 협력성 순으로 즐거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태권도 수련자가 인지한 태권도장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 전문성와 신뢰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성과 협력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태권도 수련자가 인지한 태권도장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 통제성과 신뢰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성과 전문성은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태권도 수련자가 인지한 태권도장 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 전문성과 통제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성과 신뢰성은 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태권도 수련자가 인지한 태권도장 지도자의 라포형성 중 즐거운 상호작용과 개인적 유대감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국 태권도 수련자가 인지한 태권도장 지도자의 라포형성 중 즐거운 상호작용과 개인적 유대감 모두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중국 태권도 수련자가 인지한 태권도장 지도자의 라포형성 중 개인적 유대감과 즐거운 상호작용 모두 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이 치열해지는 태권도 산업에서 라포를 분석해 학문적으로나 교류 능력과 관계의 질적 관계를 확인하고 검증했다는 것이다. 역시 실증적으로 보면 의미가 있다. 태권도 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련자들과의 소통이 활성화돼야 한다. 태권도장 지도자는 차별화된 고객 응대 방안과 새로운 훈련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수련자의 흥미를 유도하고 지속적인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연습. 앞으로 태권도장을 이용하는 수련자들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태권도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이를 통해 태권도장에 대한 만족과 신뢰가 제고되어 지도자와 수련자들 간의 라포형성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통해 지도자와 수련자 사이의 태권도장에 더 많은 교육생을 유치하는 것은 태권도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입니다.

      •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에 관한 연구 : 20대 싸이월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오원웅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269

        본 논문은 오늘날 일상의 삶의 공간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의 자기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이 연구를 위해 한국에서 자기표현의 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는 “싸이월드”를 이용하여 자기표현을 시도하고 있는 20대 남자 2명과 여자 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들을 통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자기표현의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목회적 돌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결과를 통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의 경험을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의 패턴’,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와 현실 공간에서의 자기와의 연관성’,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이 현실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을 위한 심리적 비용’,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 욕구의 내용’ 등 5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먼저, 본 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사이버 공간은 신체성을 결여한 심리적 공간으로서 현실 공간과는 다른 행동패턴을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의 행동패턴은 첫째, 사이버 컨텍스트에 따른 그들만의 ‘룰’을 만들고 지키려하고 둘째, 사이버 공간에서 현실과 완전히 분리된 자기표현이 아닌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오가는 순환적 자기표현을 시도하고 셋째, 현실 공간에서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전혀 낯선 사람들의 관개 개입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자기표현을 하고 넷째, 타자 지향적인 자기표현을 한다. 여기서의 타자는 불특정인이 아닌 현실 공간에서 이미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로, 사이버 공간에서l 사람들은 이들에게 호의적 자기노출을 시도한다. 둘째, 사이버 공간에서 인간은 자기표현을 통해 자기 이야기를 보존하고, 놀이를 통해 전능감을 경험함으로써 통제감을 획득하려하고, 동료 집단과 일상을 공유하고 친밀감을 강화하려 하고, 사이버 공간에서 타자의 반응을 통해 자기의 존재를 확인하려는 욕구를 실현하려고 하는데, 사이버 공간은 신체성이 결여된 심리적 공간으로써 현실 공간에서와는 다른 심리적 비용을 지불하게 되었다. 이 심리적 비용이란 첫째, 자신의 인상을 지속적으로 호의적으로 유지하려는 심리적 부담 둘째, 비의도적으로 맺게 된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 셋째, 사회적 적응을 위해 유지해온 페르조나의 경계가 무너지는 것에 대해 불안해하며 그것을 유지하려는 심리적 부담 넷째, 자기표현이 원하지 않는 대상에게 노출될 수 있다는 불안감 다섯째, 타인의 사생활을 ‘엿보기’하는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등이다. 셋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이 현실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을 통해 비의도적인 관계가 형성, 사이버 공간에서 통용되던 어법을 파괴한 언어와 부정적 관계패턴의 현실로의 침투, 과속적 ․ 허구적 친밀감의 형성이라는 부정적 영향과, 사이버 공간의 자기표현을 통한 상실했던 관계의 발견과 회복, 타자에 대한 이해 수준의 향상이라는 긍정적 영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자기표현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추구하고 실현하다가 사이버 공간에서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비용과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표현이 파생시키는 현실 공간에서의 부정적 영향이 커져감을 느끼게 되면서 사이버 공간으로부터 철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간은 사이버 공간과 현실 공간 모두에서 일관되고 안정된 자기표현을 함으로써 응집력 있는 자기를 경험하고 형성하려하고, 온라인에서 폐쇄적 자기표현 행위를 증가시키기보다 오프라인에서 형성하고 있는 인간관계를 사이버 공간에서 확인하고 강화시킴으로써 현실 공간에서의 자신의 존재를 확장하고 인간 관계망을 강화시키려 한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이버 공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목회 상담과 목회적 돌봄을 제공함에 있어서 안정적 자기형성과 몸이 개입하는 통전적 관계형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This thesis studies a self-presentation of oneself in cyberspace of which became a commonly and widely used tool for relationships. For an objective study, 2 male and 4 female in their 20s, who are active users of Cyworld, a web-site prominently holding exceeding number of users, for their self-presentation in cyberspace, a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vi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is study has undergone with an expectation of contributing towards explaining a phenomena, the self-presentation in cyberspace, with serie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ith hope of generating new profound subject matter in the field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the selected candidate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main areas, 'the self-presentation pattern within cyberspace', ' the relativity of the real self and the self in cyberspace', 'the influences of self-presentation in cyberspace, has on the reality', 'the psychological expenses or costs of self-presentation in cyberspace', and ' the contents of desire for self-presentation in cyberspace'. The summaries of each categories are as follows. Before anything else, by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behavior patterns of oneself in cyberspace, which really is a psychologically based only and no physical existence needed, has contrast to reality. The behavior patterns of oneself in cyberspace are, number one, they have their own set of rules within cyber context which they follow by, number two, they make an attempt to self-present rotatively both in off and on line, with no intention of separating oneself from reality, number three, they cut off unfamiliar users surfing into their site to protect interactions and preserve for exclusive members only for the purpose of their self-presentation, number four, they consider others more important in their self-presentation, here, others means, whom they already have some sort of relationships outside the cyber space, and can share personal agendas willingly and openly without hesitance. Secondly, oneself preserves their own story through self-presentation within cyber space, through play they experience omnipotent feelings which will make them feel in control of things, can share daily events with their peers and gain more intimacy with the peers, and from reactions of others, wish to attain the desire of self-existence affirmation, however, the notion of cyber space, no physical presence, only psychological presence, can liable psychological expensescosts. The psychological expensescosts refers to, first, heavy burden of being consistent with the well wishing behavior to make good impressions to others, second, emotional pressures of having to maintain good relationships with those, with whom they did not intend to have any relationship in the beginning, third, weigh down to keep up with and feel insecure about breaking socially unsaid boundaries, four, feeling of anxiety due to possible exposure of personal self-presentation to unwanted groups, five negative self-reflection by 'peeping' other people''s privacy. Thirdly, self-presentation in cyber space has impacts on reality. The self-presentation in cyber space can lead to unintended relationships, sabotaging viable language in cyber space and negative relationship patterns permeate in real life, negative effects of speedy and fabricated intimacy which often occurs while handling relationships in cyber space, however, sometimes good can come out of it, like improving present relationships or even exploring relationships with new findings , and lastly a positive outlook on self-presentation in cyber space which is, it can help increase level of understanding of others. By studying this subject matt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selected candidates pursue self-desires through their self-presentation in cyber space and in the course of fulfilling the desires, the experiences of psychological expensescosts and negative impacts that the self-presentation in cyber space have on reality, can get larger which will result in withdrawal from cyberspace. However, this can also bring coherent and stable self-presentation both in cyber space and in reality which hopefully will lead to experiencing and forming of cohesive self, and on top of that, it can solidate and expand real life(off-line) relationships with use of cyber space, so in actual life it enhances networking with people and gives strong feeling of self-existence, instead of boosting close ended on-line relationships . It suggests that in this era of high population of cyber space surfer, for a successful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wholistic relationship formation which involves physical intervention plus stable self-formation approach must be kept in mind.

      •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등장에 따른 20-30대의 관계 맺기 방식 변화 : 20-30대 비혼 이성애자를 중심으로

        심성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264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smartphone-base matchmaking service referred to as 'social dating app' and its users. Targeting the major membership of the service,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this study examines the emergence of social dating apps, its use,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 and its form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employed in the form of in-depth interviews of social dating app users and business insiders as well as research of relevant literature. This allows an analysis of the subjective user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and an observation of how they construct their desire for forming a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Also analyzed is the social dating 'market' with interviews with the service providers. The non-married in their 20s and 30s, dubbed as the 'Sampo(Giving up three things in life) Generation' and reputedly giving up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are effectively the main customer base of the exploding social dating app market. Thus, this study, designating the generation as 'Sampo Generation', began as an attempt to interpret their existential desire for romantic and marital relationship, largely dismissed or ignored by the existing discourses which simply reduce the generation as a helpless entity who has 'given up' getting married. The study reconstructs, on a rather personal level of analysis, a narrative of how their desire is formed and on what ground their style and forma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which has been largely overlooked to date. The highly personal-level observation the changes also has its value in terms of generation research in that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racking changes in the set of values regarding relationship and marriage among this generation.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the social implication and impact of the social dating apps, which are being accepted as a new 'dating tool/culture' among the non-married population in their 20s and 30s. The emergence and use of 'social dating app' and its impact on how the generation considers romantic relationship and marriage will be put under scrutiny, followed by an observation on the shifting forms of relationship creation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online dating tool. This dissertation, five chapters in all, is composed of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ntroduction, describes the background of research, the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subejct and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t i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chapter, sta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xisting academic work. The third chapter examines social causes of the growth of the social dating service before classifying the service into different levels. The fourth chapter observes the use of the social dating apps by the subject group Sampo Generation, the non-married populace in their 20s and 30s, and how it is changing their relationship as well as its incepient stage. The conclusion in the chapter five sums up the main body of the study, presents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본 논문은 ‘소셜 데이팅 앱social dating app’이라 불리는 스마트폰 기반의 매치 메이킹match making 서비스 및 그 사용자에 대한 연구이다. 소셜 데이팅 서비스 주요 사용자인 20-30대를 대상으로 소셜 데이팅 앱의 등장과 사용에 따라 이들의 만남과 관계 맺기의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실제 소셜 데이팅 앱 사용자 및 소셜 데이팅 서비스 관계자를 심층 인터뷰하고 관련 문헌을 연구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주관적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소셜 데이팅 앱 ‘시장’에서 사용자로 위치한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애 및 결혼과 관련된 관계 맺기 욕망을 구성해 나가는지를 관찰했다. 더불어 소셜 데이팅 ‘시장’과 그에 대한 분석도 서비스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함께 살펴보았다. 소위 연애와 결혼을 ‘포기’했다고 알려진 ‘3포 세대’에 위치하는 20-30대의 비혼들은 사실상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소셜 데이팅 앱 시장의 주요 고객층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3포 세대’라고 20-30대를 명명하며, 이들을 단순히 결혼을 ‘포기’한 무기력한 주체로 한정시켜온 기존의 담론들이 읽어내지 못하는 이들의 실존하는 연애 및 결혼 욕망을 읽어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들의 욕망이 구성되는 과정과 연애 및 관계 맺기에 대한 방식이 변화하는 계기들을 좀 더 개인적인 차원에서 들여다봄으로써 삭제되어온 20-30대의 연애 방식과 관계 맺기에 대한 서사를 구성한다. 이 세대의 연애 및 관계 맺기 방식의 변화를 지극히 사적인 차원에서부터 관찰하는 것은, 이들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추적해 볼 수 있는 시작점으로써, 세대연구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20-30대의 비혼들 사이에서 새로운 ‘데이팅 툴/문화’로 자리 잡아가는 소셜 데이팅 앱의 사회적 의미와 효과를 분석한다. ‘소셜 데이팅 앱’의 등장과 사용이 20-30대의 관계 맺기와 연애 및 결혼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용자들의 만남 방식과 온라인 데이팅 툴에 대한 인식 변화를 관찰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자가 소셜 데이팅 앱 및 그 사용자를 연구하게 된 배경과 문제제기,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은 문헌연구로,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에 대해 서술한다. 제3장은 소셜 데이팅 서비스의 사회적 성장 배경을 온라인 데이팅 서비스의 성장 및 활용과 함께 살펴보고, 소셜 데이팅의 층위를 분류한다. 제4장에서는 소위 ‘3포 세대’라 불리는 20-30대의 비혼들이 소셜 데이팅 앱을 사용하면서 그들의 만남과 관계 맺기 방식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나아가 그들의 연애는 어떻게 변하는 지를 살펴본다. 제5장은 결론으로, 본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 향후 과제를 제언할 것이다.

      • Trained to Care: The Role of Obligation in Military Experience

        Hoffman, Michael J University of Michigan ProQuest Dissertations & Th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32250

        The recent wars in Iraq and Afghanistan renewed attention to US military service members and veterans, but the daily life of service members remains a mystery in both popular and scholarly writing. This dissertation explores veterans' reflections on their experiences of everyday relationships within the US military. My starting point is a sentiment echoed by many veterans: that the relationships they experience in the military are closer and more caring than any they have known since. Employ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mundane details of military training, I explore ways in which service members learn to care, which I define as an ability to appreciate and fulfill obligations to each other. I argue that the care they experience is rooted in collectivist obligations imposed by the military-obligations to work together toward shared goals amidst shared risks. Under the rubric of an Ethics of Care, I suggest that the scaffolds that we use to build care are often mundane, and always worthy of attention. I interviewed nineteen military service members, all of whom served in the 9/11 era. Not all of them deployed to combat. I started my collection of evidence with the idea that military training, and not combat, is the common denominator of military service. Employing an open-ended phenomenological interview format, I gave participants space and tim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that they found most meaningful in their experience. From the empirical evidence emerged three phenomena that became the central chapters of this dissertation. The first of these phenomena is downtime. The military often requires service members to spend vast amounts of time alongside each other, and that time is often spent chatting with each other. The second phenomenon is team organization. Service members experience highly formalized and redundant organizational structures wherein there is a high ratio of leaders-to-subordinates. The third phenomenon is training. Service members experience training constantly, and it was the single most common activity that participants discussed as the setting for relationships. Each of these phenomena yielded insights into how mundane aspects of service-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s alike-became scaffolds for relationship. Chapter Three explores the role of downtime in relationship formation. Downtime conversation provides the essential means for service members to get to know each other and to integrate into a collectivist culture. Chapter Four explores the roles of military regulation and military organization in relationship formation. The modern US military is designed around small units, and regulations articulate the obligations that leaders and subordinates have to each other. Chapter Five explores the role of training activities in relationship formation. The fundamentals of soldiering-marksmanship and physical fitness-provide opportunity for service members to understand their obligations to each other and act on those obligations. The transformation of obligation to action is essential for service members to demonstrate care for each other. The growing field of Veterans Studies is committed to exploring diverse ways in which military service and veteran experience are connected, but there is a need for qualitative work that explores the meaning of military experiences. This dissertation is a step toward a more detailed approach to the mundane experiences of military service. I also suggest that phenomenology, with its close attention to the lived experience of individuals, might serve as a model for future qualitative work in Veterans Studies.

      • SNS사용자의 성과 평가: DeLone and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의 확장

        장형윤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1963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online platform,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has been leading a new communication revolution, which totally transforms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tools. this research explores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ing, which uses internet technology in order to determine factors that lead to success, and shows the benefits of SNS. Although prior studie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benefits of SNS, almost all of them only treat the benefits as intention to u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benefits bring from SNS. A new IS model is build in the context of SNS through the DeLone and McLean's IS success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n that content quality has significant effects on use and satisfaction; site quality has positive effect on use but no effect on satisfaction; use as intermediate variable has a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sharing, relationship formation and obtain social presence.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extension of DeLone and McLean's model in SNS context and assessment benefits which users obtained in SNS.

      • 디자인 공정에 근거한 인간과 사물의 관계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승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1961

        본 논문은 ‘인간과 사물의 관계’에 관한 고찰을 디자인 공정, 일명 디자인 프로세스(Design process)에 근거하여 회화로 전개하는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한 작품론이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디자인 제작을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연구자가 디자인을 전공하며 습득하게 되었던 작업 방식이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연구자가 회화를 표현하는 방식에서도 자연스레 영향을 끼친다. 연구자는 회화 작품을 제작할 때 본인만의 일률적인 작업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는 연구자에게 일종의 강박처럼 굳어진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절차로, 디자인의 제작 방식이 회화의 제작 방식에 재구성되어 반영되는 것이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연구자의 작업에서 회화를 위한 새로운 절차로 재편되고, 이에 따라 연구자의 작품은 디자인과 회화라는 두 매체의 작업 방식을 모두 포함하며 상호작용하고 있다. 또한 디자인을 전공하며 경험하게 된 시각 태도는 연구자의 주제로 연결된다. 디자인에서 어떠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심미적 요소뿐만이 아닌 기능적 요소와 사용자의 심리적 요구까지 반영이 된다. 이러한 디자인의 관점은 연구자가 일상 속 사물을 바라볼 때 보이지 않는 이면을 바라보게 하는 태도를 갖게 하였으며, 인간과 사물이 어떠한 관계로 이어져 세상에 존재하는지에 관한 관심으로 깊어지게 되었다. 연구자는 사물의 보이지 않는 이면에 인간과 같은 생명이 있을 것이라고 상상했다. 이는 사물이 스스로 살아 움직인다는 것의 의미가 아닌, 사물을 사용하는 사용자(인간)의 모든 습성이 사물에 그대로 투영된다는 의미이다. 만약 디자인과 제작 과정이 동일한 두 사물이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의 성향과 습관이 반영된 사물은 그 외형이 같아 보일지라도 그 내적인 성질에 변화가 생긴다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연구자의 이러한 사유는 인간과 사물이 마치 하나의 몸처럼 연결되어 존재하는 상상 속 이미지를 구상하게 한다. 이때, 상상 속 이미지를 구현하는 소재로 일상 사물과 인간의 신체 장기의 이미지를 채택하여 새로운 형상으로써 재구성하여 표현한다. 이 연구는 구상 → 이미지 수집 → 디자인(디지털 이미지 제작) → 회화 순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작업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 작업 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고찰과 함께 작업이 가지는 의미를 거시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디자인 작업 과정을 재구성하여 회화 제작 과정에 개입시키는 것은 두 분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회화 표현의 새로운 시각과 접근 방법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 work theory that analyzes the work of a researcher who develops a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bjects" into painting based on a design process, also known as a design process. The design process is a series of processes for design production, and is a work method that researchers have acquired while majoring in design. This work method naturally affects the way the researcher expresses painting. When a researcher produces a painting work, he or she goes through his or her own uniform work stage. This is a procedure based on a design process that is hardened like a kind of compulsion for researchers,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 design is reconstructed and reflected in the method of producing the painting. The design process is reorganized from the researcher's work to a new procedure for painting, and accordingly, the researcher's work is interacting with both media's work methods of design and painting. In addition, the visual attitude experienced while majoring in design leads to the subject of the researcher. In order to design any product or service in design, not only aesthetic elements but also functional elements and user's psychological needs are reflected. This design perspective led researchers to look at the invisible side of things in their daily lives, and this attitude led to interest in what relationship humans and objects are in the world. The researcher imagined that there would be human-like life behind the invisible side of things. This does not mean that objects live and move on their own, but it means that all habits of users (human) who use objects are projected onto objects as they are. Assuming that there are two objects with the same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we have the belief that objects that reflect the user's tendencies and habits change their internal properties even if they look the same. This reason of the researcher makes us conceive an imaginary image in which humans and objects are connected as if they were one body. At this time, images of everyday objects and human body organs are adopted as materials that embody imaginary images and reconstructed and expressed into new sh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 series of work processes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concept → image collection → design (digital image production) → painting,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work macroscopically along with consideration to understand the work method. Reconstructing the design work process and intervening in the painting production process is meaningful in discovering and developing new perspectives and approaches to painting expression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two fields.

      • PC통신유형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형성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李秉國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15883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사회성 발달이 확대되는 고등학생들을 상대로 PC통신 이용선호 유형과 대인관계형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려 하는 것이다. 오늘날, 정보화 사회에서 PC통신이 생활화되어 가는 추세에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에 대하여 종래 논의의 비관적 관점에서는 CMC가 사회성발달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낙관적 관점에서는 사회성 발달에 채널로서의 기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는 면도 있다. 그러나 CMC 활동을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단언할 수는 없으며, 사용자의 특성, 사용환경 등 다양한 변인별로 상이한 영향을 준다는 주장이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통신 유형을 인격적 상호작용과 비인격적 상호작용이라는 기준을 중심으로 하여 통신메뉴의 선호하는 특성을 세 가지 유형 즉 지식정보추구형, 사교대화형, 게임오락형으로 분류한 후, 이 각각이 청소년의 대인관계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PC통신 이용선호유형과 일상의 사회성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PC통신 이용선호유형과 PC통신 내 대인관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일상의 사회성과 PC통신 내 대인관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의 12개 남 여, 인문, 실업계 고등학교의 1, 2학년 중 PC통신 가입자만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에 대하여 빈도분석, ANOVA분석, 등을 통해 통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C통신 이용선호유형과 일상의 사회성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사교대화형 35.46/50점은, 게임오락형 34.75점, 정보추구형 33.44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ANOVA Test결과 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는 사교대화형과 정보추구형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둘째, PC통신 이용선호유형과 PC통신 내 대인관계를 알아 본 결과, PC통신 내 대인관계의 사회성 면에서 사교대화형은 62.99/100점 정보추구형은 52.99점, 게임오락형 50.59점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ANOVA Test 결과 0.000수준 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 차이는 사교대화형과 정보추구형, 사교대화형과 게임오락형 간의 평균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다. 셋째, 일상의 사회성과 PC통신 내 대인관계를 알아 본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평균적으로는 일상의 사회성 정도에 따라 PC통신 내 대인관계의 사회성은 비례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교대화형은 일상의 사회성 정도에 따라 통신 내 사회성도 비례적으로 증감을 보였으나, 게임오락형은 일상의 사회성은 높은데 반해 PC통신 내 대인관계 사회성은 가장 낮게 나타나 이중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PC통신 활동과 대인관계는 한마디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고 이용하는 선호유형에 따라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인격적인 상호작용인 사교대화형인 경우는 대인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비인격적인 일방 내지 상호작용인 정보추구형이나 게임오락형인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특히 사교대화형인 경우는 일상의 사회성도 높고 통신 내 대인관계도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오늘날 시대에 통신활동이 대인관계의 한 패턴이 되어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통신유형을 선별 이용할 수 있는 자기통제능력을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통신에 중독 되어 많은 시간과 심한 집착을 기울여 생활에 지장을 받아서는 안 된다. 또는 PC통신 자체를 부정적인 면만 염려하여 부모가 차단시키는 것보다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잘 분별하여 정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기통제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 시대에 맞게 PC통신의 문화를 잘 분석하고 관찰하여 역기능적인 면에도 관심을 갖고 청소년들의 문화가 건전하게 발전해나갈 수 있도록 끊임없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in personal computer(PC) communication and form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 about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magnified i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Today, PC communication is the keynote of life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Concerning computer media communication, usual viewers take a negative view that computer media communication causes bad influence in development of sociality, on the other hand, possibility of function as channel in development of sociality is affirmative in some positive view. But the maintenance that cannot assert that computer media communication is positive or negative and that affects from various variable of user's characteristic, user's environment and so on becomes strongly influential. S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ffirmative or negative influence on human relations in youth, I would classify the PC communication type into three classes that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and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to examine by the standard of personal communication and impersonal communication. The subjects of study are as follows: 1. Will the level of social nature be related to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2. Will connection between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in PC communication and the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be related to? 3. Will the real social nature be related to the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I came into operation to verify this study hypothesis the research of question intended for 600 humanity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reshman or junior, member of PC communication who live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mong the result of question, I collected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frequency, ANOVA and so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 between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in PC communication and real social nature,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35.46/50,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34.75,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33.44 was in order of high level of real social nature. And that was caused by difference of 0.01 in the significance level through ANOVA Test between The type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and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2. According to the result between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and the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there were in order of high level of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62.99/100,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52.99,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50.59 in sociality of personal relation in PC communication. The difference was caused by difference of mean between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and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and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It showed 0.000 in the significance level through ANOVA Test. 3. According to the result between the real social nature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re were no import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he sociality of personal relation in PC communication was in proportion to social nature on the average. Especially,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increased and decreased in proportion to real social nature with sociality in PC communication but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showed up dualism that was high in real social nature, however, was lowest in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Finally, I cannot assert that an influence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to a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is positive or negative but I think that can have an influence by the type of utility preference.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which personal communication has an affirma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but The typ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r The type of game and pleasure which impersonal one side or both sides operation hasn't. Especially, The type of social life and conversation has a high level of social nature and a good personal relationship in PC communication, and it means that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becomes a pattern of 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se results, proposals for the farther study are as follows: 1. We should cultivate students that could have self control ability that sort out and utilize the type of PC communication. Addicted PC communication that spends much time and shows serious persistence causes people inconvenience. Parents should cultivate students that could have the power of judgement in order to utilize the proper information in a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 rather than intercept the PC communication, worrying about the negative effect in PC communication in itself. 2. We should analyze and investigate the culture of PC communication to meet the contemporary needs in a period of information that is swift and changeful. Farther study should be accomplished successively in order to progress soundly the culture of youth.

      •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 연구 : 4·19 세대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복도훈 동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199483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special forms, patterns and history of Korean bildungsromans analyzing Korean bildungsromans in the 1960's published by 4‧19 generation novelists, and investigates the meaning of youth implicit in narratives of bildungsromans and 'political unconsciousness' involved in modernity. A bildungsroman is a literary genre of modern novels that embodies conflict and harmony between men and the world in various ways, which a young person wil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his formation while advancing towards the world. A youth is a symbolic form of modernity according to Franco Moretti. Endless self-innovation, mobility and uncertainty, desire of growth and development are the traits of both youth and modernity. A youth living in the modern age embodies endless 'mobility' of modernity. And he/she forms 'interiority' living in discord with the world. A youth is a symbolic sign implying 'modernity and its discontent', which bildungsromans expresses through their narratives. 'Bildung' in 'bildungsroman' is the concept which means individual's endeavor to build up of his/her character required for forming civil society and nation which have produced wealth and power and becoming a member of them. According to Hegel, 'bildung' involves the meaning of the labor of negativity. Therefore, the term of 'bildung' connoting negativity contains the criticism of civil society and nation. According to Michel Foucault, criticism, the legacy of western Enlightenment is the techinque invented not to be governed. Bildung is not only the mean of performing and polishing up these criticisms, but the very ideal of Enlightenment achieved through them. So bildungsroman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olitical mission(content) of the formation of civil society and nation, and become the adventure narrative(form) exploring the boundary of society and nation. In bildungsromans which have a lot of characteristics of adventure and exploration, plot is a most problem determining the form of bildungsroman genre. Plots of bildungsromans are divided into the 'classification' in which a youth tries to the harmony with the world and achieves the maturity and the 'transformation' in which he/she come into the conflict and discordance with the world. Bildungsroman is a novel genre created in the modern west countries and, on the other hand, has flourished also in the non-western countries experiencing the process of colonialization and decolonialization. Korean people have experienced the modernity in very different way from westerners throughout the history of enlightenment, colonialization, division of territory, war and truce and so on. And eventually Korean bildungsromans began to appear, in which modern Koreans' experiences of modernity of are represented honestly. Lee Kwang Soo's Heartlessness(1917), the first novel in Korean modern age is a bildungsroman presenting ideas of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through the main character, a young educator. Korean people who have experiences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1945), establishment of state(1948), Korean War(1950~53) encountered the shock of new modernity in the 1960's. The 1960's the age marked by the beginning of a series of phenomena like the (territorial) division system always reproducing irrationalities of Korean modern history, political democracy, and capitalistic modernization. And 4‧19 Revolution (1960), and 5‧16 military coup d'etat(1961) were the events corresponding 'the great transformations' in Korean modernity. Throughout these events, 'young people' began to rise as playing important roles starting and steering the political-economical changes of Korean society. Young people in that age have invented the cultural forms corresponding their experiences while undergoing two big events predicting drastic changes of Korean society in political-economical fields. Korean bildungsromans in the 1960's are the literary expression invented to accord with those cultural forms. This study focuses on bildungsromans written by young novelists of 4‧19 generation, through which I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youth embodying the experiences of modernity and extrac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bildungsroman genre. In the main body, this study focuses on th analysis of bildungsromans of Choi In Hoon(1936~), Kim Seung Ok(1941~), Park Tae Soon(1942~), Kim Won Il(1942~), Lee Dong Ha, (1942~). First, this study analyzes Square(1960) and Gray Man(1963~1964), Choi In Hoon's bildungsromans and defines them as critical fictions. Second, this study analyzes Illusion Notebook(1962) and Summer that I Stole(1967) of Kim Seung Ok's and defines them as irony fictions. Third, this study analyzes Formation(1966) and Halfmoon out During the Day(1969~1970) of Park Tae Soon's and defines them as anatomy and picaresque fictions. Finally, this study analyzes Festival of Darkness(1967) of Kim Won Il's and Gloomy Homecoming(1967) Lee Dong Ha's bildungsromans and defines them as self-formation fictions. In Korean bildungsromans in the 1960's, experiences of 4‧19 Revolution, 5‧16 military coup d'etat and Korean War coexists as a form of synchronism of non-synchronism(Gleichzeitigkeit des Ungleichzeitigen). Novelists who have grown up with trauma of war regarded war as destruction of human morality(Sittlichkeit). And heros of Korean bildungsromans in the 1960's go on their own way in order to recover human morality asking the development of self can be accompanied with the developement of society. In those times, young people in Korean bildungsromans began their adventure with hope of better life, but eventually they would come into conflict with the compressed growth which 'mobilized modernization' of Park Jung Hee's military dictatorship had pursued.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never did accompany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youth were separated from society or forced to become socialization(nationalization). Feeling of chronic fatigue, symptom of premature old age and sudden suicide and so on are inscribed in bildungsromans of those age, sad portraits of deserted youth. In the society(nation) compelling the compressed growth of underdevelopement, the youth was no better than phantom. According to Jed Esty's way of expression, the youth of Korean bildungsromans in the 1960's is ‘unseasonable youth' and the formation of unseasonable youth is 'phantom formation'(Marc Redfield). Korean bildungsromans in the 1960's preempts forms and contens of Korean bildungsromans and produced models of youth corresponding the experiences of modernity of Korean people's.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the ascription of meaning to genre and history of Korean bildungsromans, which will continue with further research and consideration. 이 논문은 4‧19 세대 작가들이 발표한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Bildungsroman)에 대해 분석하면서 한국 교양소설의 특수한 형식과 유형, 역사를 고찰했다. 그리고 교양서사에 내포된 젊음의 의미와 모더니티에 함축된 '정치적 무의식'(political unconscious)을 연구했다. 교양소설은 한 젊은이가 세계로 나아가는 형성의 과정에서 겪는 인간과 세계의 갈등과 조화를 다양하게 구현하는 근대소설 장르다.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가 말한 것처럼, 젊음은 모더니티의 상징적 형식이다. 끊임없는 자기혁신, 이동성과 불확실성, 성장과 발전에 대한 욕망은 젊음의 특성이자 모더니티의 특성이다. 근대를 살아가는 젊음은 모더니티의 끊임없는 ‘이동성’(mobility)을 구현한다. 그리고 세계와 불화하면서 ‘내면성’(interiority)을 형성한다. 젊음은 ‘모더니티와 그 불만’(modernity and it's discontent)을 함축하는 상징적 기호이며, 교양소설은 그러한 젊음을 표현한다. 교양소설에서 교양(Bildung)은 부와 권력을 창출하는 시민사회와 국가를 형성하고 그 일원이 되기 위해 필요한 개인의 도야를 일컫는 개념이다. 헤겔(G. W. F Hegel)의 말처럼, 교양에는 부정의 노동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부정성(negativity)을 함축하는 교양에는 시민사회와 국가에 대한 계몽주의적 비판을 담고 있다.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에 따르면 서구계몽주의의 유산인 ‘비판’은 ‘통치당하지 않으려는 기예(technique)’를 의미한다. 교양은 그러한 비판을 수행하고 연마하는 방법이며, 그를 통해 성취하려는 계몽의 이념이기도하다. 따라서 교양소설은 시민사회와 국가형성이라는 정치적 과제(내용)와도 무관하지 않으며, 사회와 국가의 경계를 답사하는 모험 서사(형식)가 된다. 모험과 탐구의 성격이 가득한 교양소설에서 플롯은 교양소설의 형식을 가늠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교양소설의 플롯은 젊음이 세계와의 화해를 시도하고 성숙에 이르는 ‘분류’(classification)와 세계와의 갈등과 불화를 전면화하는 ‘변형’(transformation)으로 나누어진다. 교양소설은 근대 서구에서 형성된 소설장르이지만, 식민과 탈식민의 과정을 겪은 비서구 국가에서도 융성한 소설장르이다. 한국인들은 개화, 피식민지, 분단과 냉전, 전쟁 등을 통해 서구인들과는 상이한 방식으로 모더니티의 경험을 겪어왔다. 그리고 근대 한국인들의 모더니티 경험에 충실한 한국 교양소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한국 근대 최초의 장편소설인 이광수(Lee Kwang Soo)의『무정』(Heartlessness, 1917)은 교육자이자 젊은이인 주인공을 통해 계몽과 문명의 이념을 표현한 교양소설이다. 식민지해방(1945)과 국가수립(1948), 6‧25 전쟁(1950~53)을 겪어온 한국인들은 1960년대에 이르러 새로운 모더니티의 충격을 경험하기에 이른다. 1960년대는 한국현대사의 모순을 재생산하는 분단체제, 정치적 민주주의, 자본주의적 근대화의 시작(beginning)에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4‧19 혁명(1960)과 5‧16 군사쿠데타(1961)는 한국의 모더니티의 ‘거대한 전환’(great transformation)에 해당하는 사건들이었다. 또한 이 사건들은 한국사회의 정치경제적 변화를 담당하고 주도하는 핵심으로 ‘청년’을 부각시켰다. 이 시대의 젊은이들은 한국사회의 심원한 정치경제적 변화를 예고하는 두 사건을 겪으면서 그러한 체험에 상응하는 문화의 형식을 고안해냈다. 그리고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은 그러한 문화의 형식에 부합하려는 문학적 표현이었다. 이 논문은 주로 4‧19 세대의 젊은 작가들의 교양소설을 분석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인들의 모더니티 경험에 충실한 젊음의 의미를 고찰하고 한국 교양소설의 유형과 장르적 특징을 추출해내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최인훈(Choi In Hoon, 1936~), 김승옥(Kim Seung Ok, 1941~), 박태순(Park Tae Soon, 1942~), 김원일(Kim Won Il, 1942~), 이동하(Lee Dong Ha, 1942~)의 교양소설을 분석했다. 첫째, 최인훈의 교양소설인『광장』Square(1960)과『회색인』Gray Man(1963~1964)을 ‘비판적 소설’(critical fiction)로 독해했다. 둘째, 김승옥의『환상수첩』Illusion Notebook(1962)과『내가 훔친 여름』Summer that I Stole(1967)을 ‘아이러니 소설’(irony fiction)로 독해했다. 셋째, 박태순의『형성』Formation(1966)과『낮에 나온 반달』Halfmoon out During the Day(1969~1970)은 ‘아나토미와 피카레스크 소설’(anatomy and picaresque fiction)로 읽었다. 마지막으로 김원일의『어둠의 축제』(Festival of Darkness, 1967)와 이동하의『우울한 귀향』Gloomy Homecoming(1967)을 ‘자기형성 소설’(self-formation fiction)로 읽었다.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은 4‧19 혁명과 5‧16 군사쿠데타 그리고 6‧25 전쟁에 대한 경험이 ‘비동시성의 동시성’(Gleichzeitigkeit des Ungleichzeitigen, synchronism of non-synchronism)의 형태로 공존한다. 전쟁에 대한 외상(trauma)의 기억을 갖고 자라난 작가들은 전쟁을 인륜성(Sittlichkeit)의 파괴로 간주했다. 그리고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의 주인공은 자아의 발전이 사회의 발전과 함께 할 수 있는가에 대해 질문을 던지면서 인륜성의 회복을 도모하고자 길을 떠난다. 이 시기 한국 교양소설의 젊은이들은 더 나은 삶에 대한 희망을 갖고 모험을 시작했지만, 박정희 군사정권의 ‘동원된 근대화’의 압축성장과 충돌하게 된다. 개인의 발전은 사회의 발전과 결코 일치하지 않았으며, 젊음은 사회로부터 절연되거나 사회화(국가화)를 강요받았다. 만성적인 피로감, 때 이른 조로(早老)와 급작스러운 자살 등은 이 시대 교양소설에 각인된 젊음의 우울한 초상이었다. 저발전의 압축 성장을 강요하는 사회(국가)에서 젊음은 환영(phantom)과도 같았다.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에서 젊음은 제드 에스티(Jed Esty)의 표현을 빌리면 ‘불모의 젊음'(unseasonable youth)이었다.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은 한국 교양소설의 형식과 내용을 선취했으며, 한국인의 모더니티 체험에 상응하는 젊음의 모델을 창출했다. 이 논문은 한국 교양소설 장르와 역사에 대한 지속될 의미부여의 첫 작업에 해당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