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태도 분석

        최정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19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whole process of organ don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materials for public relations, education, and policie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 The study investigated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and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he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were 99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working for 71 nationwide organ transplant medical center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6 inquiries, which were 13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6 questions about experience of organ donations and transplanting, 25 questions about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and 2 questions about other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October 2nd to 10th of 2008 by email, mail, and fax. A total of 90 copies were collected, reaching a 91 collection rate. program SAS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obtain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Factor Analysis were run.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Positive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 ranged from 1 point to 5 points with higher points positiv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ositive attitudes was 4.21±0.56. Especially the highest (4.71±0.56) in positive attitudes was the inquiry ‘I think that the organ donation is important in that it helps terminal patients of malfunctioning organs.’ The next (4.66±0.64) is the inquiry ‘I think that the organ donation is doing good for others.’2) Negative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 ranged from 1 point to 5 points with higher points negativ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negative attitudes was 2.50±0.51. The highest (3.64±1.08) in negative attitudes was the inquiry ‘I feel a burden when I recommend the organ donation to others.’ The next negative inquiries were ‘I am afraid that I might take lawful responsibility for organ donations’ (3.23±1.19) and ‘I am willing to recommend the organ donation, but I do not bother doing so if the patient’s doctor advises not to donate.’ (2.96±1.08).3)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segment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being married (p=0.0314); academic careers with graduate schools and more (p=0.0096); signing up for an organ donation before in case the subject himself/herself is brain-dead (p=0.0002); signing up for an organ donation when a family member is brain-dead (p=<.0001); being a 1 to 5 year coordinator (p=<.0001); being satisfied with the present task (p=0.0140),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s. Being aged 30 to less than 35 (p=0.0123); being unmarried (p=0.0147); no signing up for an organ donation when a family member is brain-dead (p=0.0010); being a less than 1 year coordinator (p=0.0480); no being satisfied with the present task (p=0.0284),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attitudes. The respondents’ negative attitudes were also significant in academic careers, even though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not significant.4) Experience of the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ing segmented into: recommending the organ donation to a brain death donor family (p=<.0001); managing a brain death donor for the organ donation (p=0.0173); recommending the organ donation or making a brain death donor to the organ donation operation(p=0.0189); a patient who was ever transplanted from other brain-dead donors (p=0.0199); having a patient who ended up dead while waiting for the organ donation (p=0.0008); being trained in organ donations and transplanting (p=0.0046),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s. No recommendation of an organ donation to a brain death donor family (p=0.0047),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attitudes.5) Factor of opposition to organ donations depending on qualifications of the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 medical centers segmented into: Seoul region transplant medical center,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attitudes(p=0.0106). Factor of the burden of recommending organ donations depending on qualifications of the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 medical centers segmented into: Seoul region transplant medical center,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s(p=0.0209).6)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 segmented into four positive and four negative ones. The positive factors were usefulness in organ donations, perception of organ donations, roles played in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s, and willingness to donate organs. The negative ones were disbelief in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s, opposition to organ donations, cooperation with the medical staff, and the burden of recommending organ donations.In conclusion,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are positive compared to other groups such as nurses, but the coordinators were hesitant about organ donations by subjects themselves and their family members. They felt burdened in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s and negatively approached brain death donor worrying about possible legal responsibilities. Attitudes toward brain-dead patents’ organ don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ordinato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an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ing. Factors affecting the coordinators’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experienc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ing, and qualifications of medical centers the subjects work for.Th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will function as materials for public relations, education, and policie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will also contribute to training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and establishing policies in order to change coordinators’ attitudes towards organ donations in a positive way. 이 연구는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장기기증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홍보, 교육 및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전국 71개 장기이식의료기관에 근무하는 99명의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로, 일반적 특성을 묻는 13문항,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경험을 묻는 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묻는 25문항, 기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견을 묻는 2문항을 포함한 총 46개 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전자메일, 우편, 팩스로 2008년 10월 2일에서 10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9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91%),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 ANOVA, factor analysis를 시행하였다.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1)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1점부터 5점 사이의 점수로 계산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태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태도의 전체 평균점수는 4.21±0.56점이었으며, ‘나는 장기기증은 말기부전 상태의 환자를 돕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4.71±0.56)는 항목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나는 장기기증은 타인에게 선을 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4.66±0.64)는 항목이었다.2)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1점부터 5점 사이의 점수로 계산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태도가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부정적인 태도의 전체 평균과 표준편차는 2.50±0.51점이었으며, ‘나는 장기기증을 권유할 경우 정서적인 부담을 느낀다'(3.65±1.08)는 항목이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나는 장기이식과 관련된 법적 책임에 대해 우려가 된다‘(3.23±1.19), ’나는 기증을 권하고 싶으나 주치의가 장기기증을 권하지 않으면 굳이 하지 않는다‘(2.96±1.08)는 항목이었다.3)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요인 분석에서 긍정적인 태도는 장기기증의 유익, 장기기증에 관한 인식, 장기기증과정에서의 역할, 장기기증에 관한 의지의 4개 요인으로 나누어졌으며, 부정적인 태도는 장기기증과정에 관한 불신, 장기기증에 관한 반대 인식, 의료진과의 협조, 장기기증권유에 관한 부담의 4개 요인으로 나누어졌다.4) 장기이식 코디네이터 본인이 뇌사상태가 되었을 때 장기기증을 하겠다고 장기기증 희망 등록을 한 경우는 52.2%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로서의 경력이 1년 미만인 경우 긍정적인 태도가 가장 낮았고(p=0.0123)와 부정적인 태도가 가장 높았으며(p=0.0480), 현재 자신의 업무에 만족하는 경우에 긍정적인 태도가 높았고(p=0.0140),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부정적인 태도가 높았다(p=0.0284).5)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경험은 부정적인 태도보다 긍정적인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긍정적인 태도 요인 중 장기기증과정에서의 역할에서 뇌사자가 발생했을 때 뇌사자의 가족에게 장기기증 권유를 해본 경험이 있고(p=0.0047), 장기기증을 하기 위하여 뇌사 기증자를 간호하거나 관리해본 경험이 있으며(p=0.0028), 대상자가 장기기증을 권유하거나 관리한 뇌사자가 장기기증까지 이루어진 경험이 있고(p=0.0008), 대상자가 관리하는 환자가 뇌사자 장기이식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p=0.0119)에 더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또한 뇌사자의 가족에게 장기기증을 권유를 해본 경험이 있는 경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p=<.0001), 장기기증을 권유해본 경험이 없는 경우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p=0.0047).6)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의료기관의 자격요건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태도의 요인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대상자가 근무하는 의료기관이 1권역(서울, 경기, 인천, 강원, 제주)에 위치한 경우 장기기증에 관한 반대 인식에서 가장 부정적인 태도가 높았고(p=0.0106), 장기기증권유에 관한 부담에서 가장 부정적인 태도가 낮았다(p=0.0209).결론적으로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다른 간호사군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장기기증과정에서 정서적인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법적 책임에 대해 우려하여, 뇌사자 발생시 소극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일반적 특성과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경험, 대상자가 근무하는 의료기관의 자격요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뇌사자의 장기기증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홍보, 교육 및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교육 및 정책의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THE EFFECTS OF PREVIOUS CONSIDERATION OF ORGAN DONA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REWARD ON REGISTERING FOR ORGAN DONATION

        안지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9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ree factors, previous consideration of organ dona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reward on willingness to register for organ donation to propose a strategy for promoting organ donation. Current incentive policy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an unethical policy. Based on the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s why people feel uncomfortable to receive the reward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why the reward cannot facilitate organ donation. To accomplish this, the current study examined conditions in which organ donation can occur consideri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willingness to register between those who have considered organ donation and those who did not was enormous. However, there was not a large difference in willingness to register between those who have high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Moreover, the study found that the types of reward had little influence on willingness to register. Various results could emerge when merging these variables. Among people who considered organ donation, individuals with high public self-consciousness had higher willingness to register when they received a medal rather than assistance with funeral expenses while individuals with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had higher willingness to register when receiving assistance with funeral expenses. Among people who did not consider organ donation, individuals high in public self-consciousness had higher willingness to register when receiving assistance with funeral expenses rather than a medal while individuals with low public self-consciousness had higher willingness to register when receiving a medal. These results can partly explain the reason why the incentive policy of the government failed. This is because when people decide to donate their organs, they consider their experiences, disposition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the funeral expens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ddress only economical aspect, disregarding other various factors. Therefore, promotion strategy to increase organ donation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centive policy and message design targeting various populations. Individuals should feel comfortable with donation and interventions should design strategies based on individuals’ sta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templating organ donation. If reasonable incentives are given after people become aware of the need to donate organs and acknowledge specific information about organ donation, then the donation will be facilitated.

      • Investigating organ donation-related behaviors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and construal level theory (CLT)

        오유정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8

        Posthumous organ donation is a gift that can save many living people in need.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donated organs is too small. Hence, increasing the number of potential organ donors on the registry can act as an aid to reduce the disparity between demand and supply. In the study, three alternative behaviors critical to cadaveric organ donation were selected: 1) signing up on the donor registry, 2) engaging in a family talk on organ donation, and 3) visiting organ donation websites.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individuals’ changes in the three organ donation-relevant behaviors by assessing the validity of two theories: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and construal level theory (CLT), building the notion that a general framework incorporating the two theories could be fruitfully applied to organ donation setting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conditions: control condition, high-level construal condition, and low-level construal condition. They were assessed at 3 time periods: baseline (time 1), 2 weeks (time 2), and 1 month (time 3). Participants in the high or low-level condition were assigned to two experiments, which were created by manipulating construal levels. The data from the sample of 189 individuals provided partial support on the internal validation of TTM for organ donation behaviors. In predicting stage changes, decisional balance was more likely to predict earlier stage transitions, while self-efficacy was salient in the later stage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onstrual levels and stages of change were not found in the study. Yet, surprisingly, it was discovered that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al balance and stages of change. The study provides here the first evidence that examined the usefulness of the TTM and CLT simultaneously in the organ donation setting. “Time” was the central concept that brought CLT and TTM together in one integrative model.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vention materials used in the study could be employed within various age, racial, and ethnic settings, and hopefully provide a new direction for future organ donation campaigns.

      •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Among Saudi Arabians

        Alkaltham, Abdulaziz Fahad Wayne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32317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e specific aim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udi Arabians’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and acculturation. The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audis who were more acculturated to Western culture would be more positive about organ donation.A self-administrated Qualtric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College of the Social Sciences (approximately 12,000 faculty members, staff, and students) at Imam Muhammad ibn Saud Islamic University in Riyadh, Saudi Arabia. The instrument asked 63 questions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ulturation, and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The response rate was almost 8%, n=893. Students comprised 90.6% of respondents. Their mean age was 23.37 years, 74% were males, and the majority were raised in the Central Region of Saudi Arabia and resided in cities.Factor analysis created three scales of acculturation: Interest in Western Media & Travel, Adopt Western Cultures, and Attachment to Saudi Culture. Using factor analysis, two scales emerged to measure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Willingness to be a Living Organ Donor, and General Support for Organ Donation. Two questions were also used: Willingness to Sign Donor Registry and Willingness to Share Wishes about Organ Donation with Family.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s tested the hypothesis that controlling for age, gender, participants’ education, and income, acculturation wouldpredict organ donation attitudes.All else equal, higher Interest in Western Media & Travel significantly predicted positive attitudes about increased willingness to become a live organ donor, higher general support for organ donation, greater willingness to grant permission to donate, and higher willingness to share wishes with their family about donation. Greater desire to Adopt Western Cultu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creased general support for organ donation. Increased Attachment to Saudi Culture significantly reduced general support for organ donation. Female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about organ donation. Both acculturation and organ donation attitudes are multidimensional, and their relationship depends on the type of acculturation and attitudes. Higher levels of acculturation to Western culture increased support for organ donation.

      • 뇌사자 가족의 장기기증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연구

        황보혜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연구는 장기기증에 동의한 가족을 대상으로 뇌사와 장기기증과 관련한 지식, 태도, 기타 요인들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03년까지 국립장기이식센터에 등록된 장기기증자의 가족(총 174명)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이용하였으며, 우편설문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사전에 전화를 통해 연구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총 168명)에 한해 우편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총 168부 중 회수된 78부(회수율 44.8%)를 최종 연구집단(Study population)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같은 기간에 계통표본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서울, 경기 지역 주민 255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장기를 기증한 뇌사자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장기 기증에 동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1. 인구학적 특성 2. 가족의 뇌사에 대한 이해도 및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3. 병원 및 의료 서비스 관련 변수 4. 장기기증 요청 과정 5. 사회정서적 및 의사소통 과정 6. 가족내 논의 7. 가족내 의사 결정 8. 뇌사자 특성의 8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장기 기증에 동의한 가족의 뇌사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장기기증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뇌사 판정기준을 알고 있는 경우는 전체의 65.4%였으며, 장기 기증시 가족 2인 이상의 동의가 필요함을 알고 있는 경우도 전체의 61.5%로 나타났다. 또한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을 찬성하는 가족이 전체의 87.2%로 나타나 뇌사 인지도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장기 기증의 배분과정이나 장기 기증 절차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으로 조사되어 뇌사자 가족들에게 장기기증 절차나 배분 과정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장기 기증에 관한 태도에서도 본인이 뇌사 상태에 처했을 경우 장기기증에 찬성하는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76.9%가 찬성한다고 답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에서의 결과 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가족이 뇌사상태에 처했을 경우에는 74.4%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잘모르겠다 라고 답한 경우가 20.5%로 자신이 뇌사상태에 처한 경우보다 가족이 뇌사 상태에 처하여 장기 기증을 할 경우 좀 더 신중한 경향을 보였다. 장기 기증 요청 과정의 경우 대부분 가족 스스로 결정한 경우가 많았으며, 그 밖에 의료인이나 장기이식코디네이터 순으로 장기 기증을 권유했다고 응답했다. 요청 없이 가족 스스로 장기 기증을 결정했다는 것은 각 병원에서 장기기증자 발굴에 소극적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뇌사 발생 후 장기 기증을 요청하는 일련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함을 뜻한다. 장기기증자 생전에 가족들과 장기기증에 관해 서로 논의한 적이 있는가를 묻는 문항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75.6%가 논의한 적이 없었다고 답했으며 가족들이 생전에 장기기증자의 기증 의사나 의견을 충분히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문항에서는 알지 못한다는 의견이 전체의 61.5%를 차지해 아직까지 장기 기증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하고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장기 기증에 관한 동의를 내리기까지 소요된 의사결정 시간은 3일 이내의 경우가 64.1%로 가장 많았고, 가족들의 논의 횟수는 3회 이하가 64.1%로 가장 많았다. 장기 기증에 동의하는 최종 결정을 내린 사람은 뇌사자의 부모가 31명(39.7%)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19명(24.4%), 뇌사자의 형제, 자매가 16명(20.5%) 뇌사자의 자녀가 8명(10.3%) 순으로 나타났다. 장기 기증에 관해 협의 할 당시 가족 중 강력한 의사결정자가 있었는가 하는 문항에서 강력하게 장기 기증을 주장한 사람이 있었다고 응답한 경우가 75.6%로 반대한 사람의 경우 35.9% 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사실은 장기 기증에 있어 가족 중 의사결정자의 역할과 가족 내 의사결정 과정이 상당히 중요함을 의미한다. 가장 강력한 의사결정자로 찬성한 사람은 부모 24명(30.8%), 형제 17명(21.8%), 배우자 11명(14.1%) 순으로 나타났으며, 반대했던 사람은 기타 친인척 15명(19.2%), 부모 6명( 7.7%), 형제 4명(5.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기기증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기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뇌사자 가족들의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형성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뇌사자 가족에게 장기 기증 절차나 과정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뇌사 발생 후 장기 기증을 요청하는 과정과 의사소통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병원에서의 뇌사자 발굴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며, 이 같은 의료인의 소극적인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인센티브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자료의 제한으로 인해 뇌사자 중 장기기증을 하지 않은 집단을 연구에 포함시키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가장 큰 한계점으로,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시행되어 어떠한 요인이 장기 기증 동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향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촉진시키고,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중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장기기증의 활성화 방안에 필요한 홍보,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basic source materials for a plan to activate organ donation from the patients with brain death, by examining knowledge of family members who consented to make an organ donation of their family member about brain death, organ donation, their attitude and other facts. A structured and developed questionnaire was sent via mail to 168 out of total 174 family members of donors listed in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from 2000 to 2003. Before we sent out questionnaire, we called each individual and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only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received questionnaire by mail. Of the 168 questionnaires sent out, a total of 78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survey yielding a response rate of 44.8 % and they were selected as a final study population and analyzed. Followings are 8 variables in this study which affect family members' decision to consent to the organ donation.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family member''s understanding on brain death and their attitude to organ donation, 3. variables related to hospital and medical service, 4. process of requesting organ donation, 5. social feeling and process of communication, 6. family discussion, 7. family decision, 8. traits of a patient with brain death. Results provide that family members' understanding about brain death was pretty high and their attitudes to organ donation were positive. 65.4% of participants knew criterion of brain death and 61.5% of them knew that at least two of the family members have to sign on the consent in order for the organ donation. Also, 87.2% of them supports the idea which consider brain death as a death implying high recognition about brain death.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of distribution process of organ donation was low which signifies lack of supplying information to the family members. 76.9% of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y would like to donate their organ when their brain is dead and the rate is higher than that of public. In addition, 74.4% of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y will agree to consent when their family members are in brain death state and 20.5% responded with "do not know." Which shows the careful tendency when they make decisions on their family members. For the process of requesting organ donation, many of the cases, the decisions were made by the family members. Physicians and organ coordinator in order asks for organ donation. It means that hospitals do passive roles in finding organ donors and the process of requesting organ donation made after the event of brain death does not be made well. To the question asking if there was a discuss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the donor about organ donation when the donor was alive, 75.6% of participants responded with "no" and 61.5% of participants claimed to "do not fully aware of the opinion of don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n't active discussions about organ donation and there is a lack of recognition about organ donation. Furthermore, there must be an immediate plan for the active organ donation. From the resul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64.1%) answered that the decision making time took less than three days and also 64.1% of respondents claimed to have had family discussion less than 3 times. Regarding about the final decision maker about organ donation, 31(39.7%) respondents indicated "parents of donor," 19(24.4%) respondents indicated "spouse of donor," 16(20.5%) respondents indicated "sibling of donor," and 8(10.3%) respondents indicated "children of donor." A response to the question if there was a strong decision maker among the family members, 75.6% of respondents claimed to have a strong decision maker who insists to donate. Conversely, 35.9% of respondents claimed to have one who is strongly negative to organ donation. According to the facts, organ don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ole of decision makers among the family members and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For the positive strong decision makers, 24(30.8%) respondents indicated "parents of donor," 17(21.8%) respondents indicated "sibling of donor," and 11(14.1%) respondents indicated "spouse of donor." Conversely, for the negative ones, 15(19.2%) indicated "relatives," 6(7.7%) indicated "parents" and 4(5.1%) indicated "sibling". Overall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olve the lack of organ donation and to activate organ donation, positive way of thinking of family member to the organ donation is the priority. In addi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hortage of information to the family members about process and procedure of organ donation and that communication processes and requests for the organ donation after the event of brain death do not work. Furthermore, no efforts are made to find the patients with brain death. To ameliorate the passive attitude of physicians, setting an incentive system is readily required. Sampling of this study is limited to family members of donor and not including the group of family members who have not dono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gure out which variable affects the most on the organ donation decision making. Th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es will provide indicator which helps to stimulate the important positive factors and to diminish the important negative factors in decision making. Furthermore, those studies can be used as basic knowledge in marketing and education to activate the organ donation plan.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이진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5

        본 연구는 앞으로 의료인이 되어 다음 세대의 뇌사자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건강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뇌사자 장기기증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41개 의과대학 소속 학생들 중 임상실습과정을 모두 마친 본과 4학년 학생 72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특성을 묻는 11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묻는 1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묻는 16문항을 포함한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여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0월 4일부터 11월 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F-test)로 분석하였고, 관련요인분석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1)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점수는 16점 만점에 평균 8.11±2.4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대상자의 80%이상이 정답을 맞힌 문항은 1개로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 대기자에 대한 모든 정보는 국가(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서 통합 관리한다(81%)’이었으며 정답률이 20%이하로 낮은 문항은 ‘뇌사 장기기증자의 장례비는 장기이식자가 부담한다(19%)’와 ‘잠재뇌사자를 진단한 담당의사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신고하여야 한다(11%)’이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범주별로 구분했을 경우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학적 지식은 3점 만점에 1.5±0.79점, 법률적 지식은 9점 만점에 5.0±1.79점,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은 4점 만점에 1.7±0.89점 이었다.2)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0±0.49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내가 만약 장기를 기증한다면 타인에게 선을 행한 것이다(91%)’와 ‘나는 뇌사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이 의학적으로 바람직한 수술이라고 생각한다(86%)’ 문항에 대해 80%이상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사람의 죽음을 사람이 판단하는 것은 실수의 여지가 있다(73%)’, ‘환자의 가족이 기증요청을 받는다면 의료진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53%)’순으로 50%이상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는 성별,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정도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장기기증 희망카드 소지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태도에 있어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대상자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지식에 대한 요인으로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뇌사관련 정보 획득 경로 특성(전문적 경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범주별 지식 특성 중 의학적 지식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5)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반면(r=0.055, p=0.142), 범주별 지식에 있어서 의학적 지식(r=0.135, p=0.001)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r=-0.075, p=0.043)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대체로 낮은 비율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전달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학과특성을 고려하여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의 경로를 전문적 경로인 의대교육과정에 관련교육내용 보충, 실습 프로그램 마련 등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래의 의료인인 의과대학생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필요성과 과정, 역할을 이해하고 개인적인 신념을 확고히 하며 나아가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ho will be in charg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s health specialists in the future. It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y to activat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the study,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723 medical students who have finished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41 medical schools in Korea.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3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of general features, 16 questions of the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16 questions of the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4th of October in 2007 to the 7th of November in 200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F-test) by SAS program, for relating facto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r correlation by Pearson Correla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score of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on the average 8.11±2.4 of 16, that is, 58%. The item that over 80% of respondents chose the right answer was the only one question, that is, ‘The government(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should manage organ donation and all the information of recipients for transplantation(81%)’, and the items below 20% were that ‘Recipients should pay all the money for donor's funeral service(19%)’ and ‘The doctor diagnosed potential brain death should report to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11%)’. Whe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ubjects'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results showed 1.5±0.79 of 3 in medical knowledge, 5.±1.79 of 9 in legal knowledge and 1.7±0.89 of 4 in decision processing of brain death.2) In the analysis of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average score was 3.40±0.49 of 5, which seemed they were relatively optimistic. Over 8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in two questions, those are, ‘If I donated organs, I would do good to other people(91%)’ and ‘I agree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transplantation are desirable medical treatments(86%)’, In contrary, it showed that over 50% had a pessimistic attitude to two questions, which are, ‘There might be a mistake to make a determination of person's death by human beings(73%)’ and ‘If family were requested organ donation, they would express their hostility to the medical staff(53%)’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gender and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other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ways to gain the information of it, and whether one accepts to organ donation or have the donor card or not. In the case of attitude,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ay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organ donation and whether one accepts organ donation.4) In the analysis of the knowledge of general features, the important factors were confirmed statistically by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d the way to get the information for organ donation. And in the attitude, the medical knowledge and the progress of brain death were more meaningful among other factors statistically.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respon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not valuable statistically(r=0.055, p=0.142),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knowledge(r=0.135, p=0.001) and the knowledge about progress of brain death(r=-0.075, p=0.043), were valuable statistically.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pretty low. That is wh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were needed for improving their knowledge. For the strategy, they should be added to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program about organ donation. In addition, medical students w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progress and the rol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rough this program. Eventually, they would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organ donation and contribute to expand it.

      •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김명희 연세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32313

        1968년 미국 하버드대학의 뇌사 정의 특별위원회((Ad Hoc Committee of the Harvard Medical School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Brain Death)에서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고 뇌사의 기준을 발표하였다. 이를 계기로 세계적으로 장기이식을 위한 장기 확보방법에 일대 방향전환이 이루어졌다. 이후 서구 여러나라들은 뇌사를 인정하는 법률을 정하고 이식용 장기를 대부분 뇌사자로부터 기증받아오고 있다. 한국의 경우도 늦은 감이 있으나 1999년 뇌사자로부터의 장기적출을 인정하는 법률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이런 법적 인정에도 불구하고 뇌사자 장기기증은 증가하지 않았고 아직도 90% 이상의 장기이식 수술이 생체기증자들에 의존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생체부분간이식 수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등 생체장기이식을 둘러싼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생체장기기증은 이식수술의 한 과정일 뿐 아니라 기증자들의 삶의 한 부분이다. 기증자들은 기증 후에도 온전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생체장기기증의 문제점들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기증자들의 기증 후 삶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생체기증은 아름다운 미담이나 또는 장기매매의 의혹이라는 양분된 시각에서만 논의되고 기증자들을 둘러싼 의학적, 윤리적, 사회적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공식적 논의나 연구가 별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이제 생체장기기증과 관련하여 진솔하고도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 같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장기이식 관련 제도들을 생체장기기증에 초점을 두어 조망해보고 윤리적 문제점들은 없는지 검토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생체장기기증과 관련한 윤리적 판단의 기준으로 채택된 생명의료윤리의 네가지 원칙을 알아보고, 현재 한국의 생체장기기증과 관련된 제도 및 현황을 파악하여 이것들이 네원칙에 부합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현재 한국의 생체장기기증제도에 윤리적인 문제점은 없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에서는 신장, 간장, 골수 등의 생체기증 만이 가능하다. 1969년 한국에서 최초로 신장이식이 실시된 이후 신장, 간장, 골수 등 생체장기기증을 한 사람들은 약 2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생체장기기증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장기를 기증하고자하는 사람은 장기이식등록기관에 등록을 한다. 이후 기증받을 환자가 정해지면 서류를 제출하여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승인을 받아 장기이식의료기관에서 장기적출수술을 시행받도록 하고 있다. 관련 법률인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이 1999년에 제정되고 2000년부터 시행되었다. 법률은 장기매매를 금지하고, 16세 이하에서의 장기적출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16세 이상의 미성년자의 경우 부모 등 4촌 이내의 친족에게 부모의 동의 아래 기증이 가능하며, 20세 이상의 성년인 경우에는 기증자가 이식받을 환자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장기이식의료기관이 장기이식등록기관을 겸할 수 있고, 장기이식등록기관이 장기이식을 받기 원하는 환자와 기증자를 모두 등록 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장기이식 비용을 장기이식을 받는 환자가 모두 부담하는 것이 원칙임을 법에 명시하고 있다. 한국의 생체장기기증 제도를 살펴본 바 장기이식의료기관에서 거의 모든 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이는 이식수술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설명을 하는 사람들이 이식을 받을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일 수 있어 객관적인 입장에서 기증자에게 적출 수술의 위험성 및 부작용 등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하지 못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미성년자의 장기기증이 부모를 비롯한 친족에게 가능하도록 하고 있어 거절했을 때의 가족 내의 갈등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인하여 자유로운 마음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기증동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자율성 존중 원칙이 훼손될 우려가 일부 존재한다. 또한 적절한 기증자 선별을 위한 신체 및 정신적 평가 과정 및 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안이 없어 기증자의 선별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적절치 못한 기증 결정으로 기증자에게 장기적출이 해가 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생체장기기증 제도는 악행금지 의무를 다하고 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또 한편으로 생체기증자들이 기증 후에 지속적인 관찰 및 건강관리를 받도록 하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기증자들이 장기 적출 후 건강에 대한 안전보장을 받지 못 할 가능성이 있어 기증자들에 대해 선행 의무를 다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정의 원칙과 관련하여 보면 비지정․비혈연기증(Non-directed unrelated donation)의 경우 수혜자를 시행기관에서 임의의 기준으로 정하고 있어 수혜자 선정에 있어서 공정성이 확보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법이 이식받는 환자가 모든 이식비용을 부담하도록 명시하여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환자를 원칙적으로 이식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하고 있어 정의 원칙이 지켜지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우리는 흔히 생체장기기증이 타인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 일부를 떼어주는 숭고한 행위라고 이야기 한다. 이러한 숭고한 행위가 제도의 미비로 본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인간을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전락시켜서는 안 될 것이다. 목적이 선하다고 모든 수단이 정당화 될 수는 없다. 아무리 좋은 결과를 얻는 행위라도 윤리적으로 옳지 않다면 가치 있는 행위라 할 수 없다. 생체장기기증이 참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그 과정은 윤리적이야 한다. 현재 한국의 생체장기기증 제도는 생명의료윤리의 네원칙 모두에 충실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에서 생체장기이식이 더욱 폭 넓은 윤리적 정당성을 얻고 참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관계자들의 생명의료윤리에 충실한 새로운 제도를 만들고자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In 1968, the Ad-hoc Committee of the Harvard Medical School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Brain Death first recognized brain death and announced the criteria for its determination. This has become globally a big turnover in securing organs, and many Western countries enacted the laws to approve brain death and such organs have been donated by people who died of brain death in most cases. In spite of the late enactment of the ''Act on Organ Transplantation Etc.'' to approve the organ in 1999, the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th has not been increased and still more than 90% of organ transplantation is depending on living donors. Recently, a rapid increase in living donor partial liver transplantation have revealed various problems on living organ donation in Korea. Living organ donation is not only a part of transplantation process but also a part of donor''s life, so that they should be able to live on a complete life after donation.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detailed medico-ethico-social discussions or approaches, but just a dichotomy between beautiful cherished work and organ sales, on living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ake a view of current organ transplant related systems focusing on living organ donation and to review whether there is any ethical problem. Thus, this study examined and applied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ethics'' to review whether the Korean organ transplantation system related to the living donor organ transplantation satisfies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ethics'', and examined whether any ethical problem may occur in the current Korean living organ donation system. Currently, only kidneys, livers, and bone marrow are approved for living organ donation and since the first kidney transplantation in Korea in 1969, about 20,000 living donors donated their organs. Regarding the living organ donation procedure, the person who wants to donate his organ first register at the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center. Then, when the patient for transplant is determined, his organ would be procured at the organ transplant medical center with the approval of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According to the ''Act on Organ Transplantation Etc.'', it prohibits organ sales and organ procurement from the children under 16 years old. However, even those under 16 can donate their organs to their parents or near relatives to cousins under the their parent''s consent, and adults over 20 can appoint the patients who would receive the transplant. In addition, an organ transplant medical center can be an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center at the same time, and an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can manage both patients and donors. Also, the act provides that any cost for organ donation is responsible for patients, not donors. First, this shows that almost every process for donation at the organ transplant medical centers or registration centers is independent, which means that the information on risks and side effects of organ procurement might be insufficiently provided to donors in an objective position since the people who provide such information would be those who care the patients. Moreover, since the donation by minors is possible for their parents as well as near relatives, the Principle of Autonomy may be infringed due to the conflicts and burdens for their families. Second, the donor selection may not be accurate since there is no specific process standard on physical and mental evaluation for appropriate donor selection. This inappropriate determination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ore harm to donors. Therefore, our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system dose not satisfy the Principle of Maleficence. On th other hand, since any follow-up system or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living donors are not provided, their health after organ procurement is not secured, which do not meet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Third, regarding the Principle of Justice, non-directed unrelated donation do not insure the fairness in beneficiary selection due to discretional criteria, and the burden of high transplant cost for patients may exclude those who can not afford, which dose not suit the Principle of Justice. We often say that living organ donation is a sublime work which donates a part of one''s own body to save someone''s life. Such a sublime work should not be degraded to the means, but the objects due to the lack of systems, and also all kinds of means can not be justified even though the objects are good. Even the acts which may produce good results cannot valuable acts if they are not ethical. The procedure should be ethical for living organ donation to be valuable. Currently, it is determined that the Korean living organ donation system is insufficient to satisfy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ethics. Therefore, all the related professionals should put their efforts to establish the new system which fully satisfies the biomedical-ethics to secure ethical justification and value on living organ donation.

      • DODM-Chain: Deceased Organ Donation Management using Blockchain

        Niyigena Clemenc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02

        Since the first successful kidney transplant in 1954, organ transplantation has been an important treatment to save the lives of patients who suffer from organ failure(s). However, organ shortage and allocation of this scarce resource are increasingly challenging and complex. The deceased organ donation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source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organ donors. To increase the number of organ donors,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organ transplantation around the world are looking to combine their efforts. A number of allocation algorithms have been used and a few blockchain-based solutions have been proposed.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many unanswered questions. For instance, transplant organizations are facing two issues in deceased organ donation management. The first issue is the lack of transparency, security, and family consent. The second issue is organ allocation policies and guidelines considerably differ depending on the country. One of the aspects of such regulations is the fact that the data from stakeholders and the matching algorithms are stored in the central point of these organizations. In this work, we proposed a blockchain-based system, DODM-Chain, for managing deceased organ donation. This solution implemented using the Ethereum blockchain together with 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 In this study, we also investigate existing organ allocation algorithms, organ donation systems, and their limitations and elaborate on how blockchain technologies could be the technology to solve some of these issues. Blockchain as a decentralization network provides the ability to connect transplant centers, donors, and recipients in a decentralized way to provide transparency. Blockchain is tamper-resistant, it is very hard to change the record of transactions. Donating an organ from a deceased donor can take a long time since the time of registration, as the blockchain enables traceability of the historical transactions, his transaction will be stored on the blockchain securely without any change and accessed at any time needed. To prevent the mistrust between deceased donors and medical professionals, only transplant centers authorized to access deceased donor kidney data. Our proposed system gives the authority to the deceased donor kidney to donate his organ to the recipient of choice by the time he still alive. The aim of this work is on deceased donor kidneys, this choice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the kidney is one of the most in-demand organ trans- plants. The developed blockchain-based system for managing deceased organ donation promised a great improvement towards the effective security, transparency, trust, and family consent between deceased organ donation parties. Integrating a system that could work in most countries and enabling organ sharing between countries are still challenging given the different allocation rules.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re a need for one algorithm that can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a global organ exchange system to manage deceased organ donation. 1954 년 첫 신장 이식 성공 이후 장기이식은 장기부전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치료법이 됐다. 그러나 장기 부족과 이부족한 자원의 할당은 점점 더 어렵고 복잡해지고 있다. 사망한 장기 기증은 장기 기증자의 수를 증가시키는 주요한 원천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장기 기증자의 수를 늘리기 위해, 전 세계의 장기 이식을 담당하는 기관들은 그들의 노력을 결합시키려 하고 있다. 수많은 할당 알고리즘이 사용되었으며 몇 가지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이 제안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풀리지 않은 많은 의문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장기 기증 관리에서 이식 조직은 두 가지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첫 번째 쟁점은 투명성, 보안성, 가족 동의의 부족이다. 두 번째 쟁점은 국가에 따라 상당히 다른 장기 할당 정책과 지침이다. 이러한 규정의 측면 중 하나는 이해관계자들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알고리즘이 이들 조직의 중심점에 저장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죽은 장기기증을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인 DODM-Chain 을 제안했다. 이 솔루션은 다음을 사용하여 구현되었습니다. 이더리움 블록 체인과 IPFS 이 함께 제공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기존의 장기 할당 알고리즘, 장기 기증 시스템 및 그한계를 조사하고 블록체인 기술이 이러한 문제의 일부를 해결하는 기술이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탈분산 네트워크로서의 블록체인은 이식센터, 기증자, 수령자를 분산적으로 연결해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블록체인은 변조 방지 기능이 있어 거래 기록을 바꾸기가 매우 어렵다. 사망한 기증자의 장기를 기증하는 것은 등록 시점 이후 오랜 시간이 걸릴수 있는데, 블록체인이 역사적 거래의 추적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그의 거래는 아무런 변화 없이 안전하게 블록체인에 저장되고,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사망한 기증자와 의료 전문가 사이의 불신을 방지하기 위해, 사망한 기증자의 신장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이식 센터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제안한 시스템은 죽은 기증자의 신장에 그가 아직 살아있을 때까지 그의 장기를 기증할 권한을 부여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망한 기증자 신장에 있습니다. 이선택은 신장이 가장 수요가 많은 장기 이식 중 하나라는 사실에 의해 정당화됩니다. 죽은 장기기증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이 개발돼 죽은 장기기증 당사자 간의 효과적인 보안, 투명성, 신뢰, 가족 동의에 대한 큰 개선이 약속됐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작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합하고 국가 간 기관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다른 할당 규칙을 고려할 때 여전히 어려운 일이다. 숨진 장기기증을 관리하기 위해 글로벌 장기교환시스템 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한 가지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 The Media Discourses on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Spain (1954-2020) and Their Implications for Spanish Nationalism : Los discursos mediaticos sobre la donacion y el trasplante de organos en Espana (1954-2019) y sus implicaciones para el nacionalismo Espanol

        Herrero Saenz, Rebec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ProQuest Di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32300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Spain has been the global leader in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since 1992, an achievement that has become a source of national pride, in a country where national symbols are heavily contested. In this dissertation I examine the changing meanings that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have acquired in contemporary Spain, focusing specifically on their implications for different aspects of Spanish nationalism. To do so, I employ a modified version computational grounded theory, a mixed-methods approach that combines topic modeling with interpretive analysis, to identify and interpret the narratives around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circulated by the Spanish press between 1954 to 2019. To complement this, I qualitatively analyze other documents, such as media messages produced and circulated by the Organizacion Nacional de Trasplantes (National Organization for Transplants or ONT), and the television show El Viaje de un Organo ("An organ's journey"). My analysis identifies three main themes. First, and especially during the earlier days of organ transplantation, the new procedure is represented as a series of interlocking medical, ethico-legal, and organizational puzzles and controversies that are resolved as organ transplantation morphs from a breakthrough medical experiment to a relatively routine medical practice. Second, the Spanish press presents the organ shortage as a moral crusade that different actors-including the press itself-rally behind, circulating narratives of citizen altruism and social solidarity that remind the audience of their duty to care for the needs of unknown strangers. Finally, the media has consistently employed a nationalistic tone when covering Spain's achievements in organ transplantation and procurement, and since the country became the global leader in the matter, it systematically connects Spain's success in this area with notions of national unity and state capacity. pana es el lider mundial en donacion y trasplante de organos desde 1992, un logro que se ha convertido en una fuente de orgullo nacional, en un pais donde los simbolos naciones estan fuertemente cuestionados. In esta tesis doctoral examino los significados cambiantes que la donacion y el trasplante de organos han adquirido en la Espana contemporanea, prestando especial antencion a sus implicaciones para diferentes aspectos del nacionalismo espanol. Para ello, empleo una version modificada de la teoria fundamentada computacional, una forma de metodos mixtos que combina topic modelling con analisis interpretativo, para identificar y interpretar las narrativas en torno a la donacion y el trasplante de organos puestas en circulacion por la prensa espanola entre 1954 y 2019. Para complementar este analisis, analizo cualitativamente otros documentos, tales como los mensajes mediaticos producidos y puestos en circulacion por la Organizacion Nacional de Trasplantes, y la serie documental de television El Viaje de un Organo. Mi analisis identifica tres temas principales. Primero, y especialmente durante la primera epoca del trasplante de organos, el nuevo procedimiento es representado como una serie de puzzles y controversias medicas, etico-legales y logisticas interrelacionadas entre si, que se resuelven a medida que el trasplante de organos se transforma de un experimento medico en una practica medica relativamente rutinaria. Segundo, la prensa espanola presenta la escasez de organos como una cruzada moral detras de la cual se aglutinan diferentes actores-incluyendo la propia prensa-, que ponen en circulacion narratives de altruismo ciudadano y solidaridad social que le recuerdan a la audiencia su deber de interesarse por las necesidades de desconocidos. Finalmente, los medios han empleado de manera consistente un tono nacionalista en su cobertura de los logros relacionados con el trasplante de organos en Espana, y desde que el pais se convirtio en lider mundial en la material, conectan sistematicamente el exito de Espana en esta materia con nociones de unidad nacional y capacidad estatal.

      •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과세제도 연구

        신해진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287

        A non-profit corporation, having an aim for improving social welfare and public interest of nation, operates most of its businesses by contribution from individual or corporation. In this context, it is essential to vitalize a culture of donation in overall society so as for non-profit corporation to play their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proper oper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ffer tax incentives on contribution of individual or corporation with volition. Furthermore, transparency is a significant issue whether the donation organization manages its contributions with transparency. The government is under management of the tax incentives and securing transparency to vitalize a culture of contribution in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not enough for growing national demand on improving social welfare and public interests so there are needed more effective way for the vitalized culture of contribution to be suggested and the transparency of donation organizations. This study, hence, suggests the reforms in tax policy for vitalization of contribution and the plans for securing transparency of donation organizations. In short, by strengthening positive incentives for contribution, it is aimed to vitalize a culture of contribution. Also, with the plan for transparency in donation organization suggested, it is aimed to establish social ground for building trust on fund management, conforming to improve social welfare and public interests. As for concrete suggestions, firstly Korean government has not made enough support to the private level of contribution in taxation compared to the other countries. Also under the current Korean tax policy, there is differential tax support between the legal contribution and the designated contribution.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vel of support for private contribution and unify by eliminating the division of the type of contribution. Second, the period of deduction carried forward on legal and designated contribution, that the current law says it as 5 years, should be extended to 10 years. This suggestion is based on making balance with the period of deduction carried forward on juristic person and individual business which is 10 years. Third, there is a need for the policy that when contribution occurs the contributor donates the amount of reduced tax caused by previous contribution as well. Fourth, by reinforcing tax support for service contribution, the scope of service contribution needs to be broadened and if necessary expenses occur for private service contribution, those expenses should be included in the range of service contribution. Fifth, formality of legal will stated in Act 1060 of Civil Law should be eased in order to encourage contribution of bequest. In case a bequest is contributed in form of trust, a tax favor should be offered at the point of trust and when the beneficiary is granted the whole or the part of contributed property, it is possibly considered to apply withholding tax on income taxation. Sixth,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spot contribution so the limit in stock contribution for public corporation should be up to 20%(50% for the faithful public corporation) but also there should be restriction action for tax avoidance by stock contribution. In addition, the period of proper purpose business in fixed property should shorten which is 3 years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Seventh, it is needed to encourage for the contributor to donate tax credit generated by contribution, which is supposed to be in practice from year 2016. In last, transparency issue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encourage contribution. Not yet in Korean society, there is lack of social trust in the transparency of donation organization and the use of contribution. If it is possible for the contributors to ascertain whether their contribution is used properly and the donation organization runs its business in a transparent manner, the sound culture of making donation is able to be established in our society. For the transparency of donation organization, there are several things to be preceded including the improvement in the transparency of donation organization and the procedure of verifying public interest, the betterment in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disclosure. 우리나라는 기부행위를 촉진하고 기부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기부자에 대하여 조세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기부금단체의 정보공개를 제도화함으로써 기부자가 제공한 기부금 사용의 투명성을 담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에 이르러 사회복지 및 공익증진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국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기부문화 활성화 방안, 기부금단체에 대한 세제지원방안과 기부금단체의 투명성 확보방안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책으로서 개인 기부자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 기부금 이월공제의 확대 방안, 용역기부에 대한 세제지원 강화, 주식 및 부동산 기부 활성화 지원과 기부자의 경감세액을 이용한 기부제도의 도입 방안이 바람직하다. 첫째, 우리나라의 개인 기부금에 대한 세제상 지원은 다른 나라의 세제상 지원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기부금을 법정기부금과 지정기부금으로 구분하여 기부금의 구분에 따라 세제상 지원에 차등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개인기부금에 대한 지원수준을 높이고, 기부금 구분을 없애고 단일화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현행법상 5년으로 정하고 있는 법정기부금과 지정기부금의 이월공제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하여야 한다. 현행법상 10년으로 되어 있는 법인과 개인사업자의 결손금의 이월공제기간과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셋째, 기부자가 기부를 할 때 그가 그 기부로 인하여 받게 될 경감세액도 함께 기부하는 기부금 경감세액의 기부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용역기부의 세제지원을 강화하여 용역기부의 대상을 확대하고 개인이 용역기부를 위하여 지출한 필요경비가 있다면 이러한 필요경비도 용역기부금에 포함하여야 한다. 다섯째, 유산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민법」 제1060조의 유언의 요식성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신탁의 형태로 유산기부가 이루어진다면 신탁시점에 기부자에게 기부에 따른 세제혜택을 허용하고, 수익자가 기부재산의 원본 또는 수익의 일부를 받을 때에는 이를 소득과세의 원천징수제도의 적용을 받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하여 볼 수 있다. 여섯째, 현물기부를 통한 기부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중고물품 등 현물기부에 참여토록하고 공익법인에 대한 주식기부 한도를 20%(성실공익법인의 경우에는 50%로 한다)로 상향조정하되, 다만 공익법인에 대한 주식기부를 통하여 조세회피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이에 상응하는 제재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부동산기부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현행법상 3년으로 되어 있는 부동산의 고유목적사업 사용기간을 단축하여야 한다. 일곱째, 2016년 부터 도입되는 기부금에 대한 세액공제액을 다시 기부하도록 하는 기부금장려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기부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부금단체의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기부금단체의 투명성과 기부금의 사용에 대한 사회적 신뢰가 미흡한 실정이다. 만약, 자신이 기부한 기부금이 제대로 사용되고 기부금단체가 투명하게 운영되며, 기부자에게 기부금단체의 사업내용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면 우리 사회에 건전한 기부문화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기부금단체의 투명성 확보하기 위하여 기부금단체의 투명성과 공익성 검증체계의 개선, 기부금단체 관리체계의 개선 및 기부금단체의 정보공개 개선 등이 필요하다. 첫째, 모든 비영리법인에 대해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현행 방식은 조세지원의 타당성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공익성 검증을 통해 요건을 충족하는 비영리법인, 즉 인정 공익법인에 한하여 세제상 혜택(고유목적사업소득에 대한 법인세 비과세, 상속세·증여세 등의 과세가액 불산입, 기부자에 대한 소득세 또는 법인세의 공제 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기부금단체에 대한 공익성 검증체계가 정비된다면 공익성 검증기관으로부터 공익법인으로 인정받은 적격단체에 기부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소득세 또는 법인세 공제헤택을 부여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 경우 공익성 검증 및 공익성을 인정받은 비영리법인(인정 공익법인의)의 관리·감독을 철저히 함으로써 투명성을 제고하고, 공익성을 인정받은 비영리법인에 대한 지원 서비스도 원스톱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공익성의 검증, 공익성 검증을 통하여 공익성을 인정받은 비영리법인의 감독 및 사후관리를 전담하는 총괄관리기관이 필요하다. 미국과 같이 국세청에서 맡는 방안과 영국과 같이 독립된 위원회에서 맡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둘째, 공시대상 및 외부회계감사대상 기부금단체의 범위를 확대하고, 정보공개의 대상서류를 확대하며, 외부회계감사자료를 제출하지 않았거나 외부회계감사에서 의견거절이나 부적정 또는 한정의견을 받은 기부금단체에 대해서는 제재를 강화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