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사자 가족의 장기기증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연구

        황보혜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7

        본 연구는 장기기증에 동의한 가족을 대상으로 뇌사와 장기기증과 관련한 지식, 태도, 기타 요인들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2000년부터 2003년까지 국립장기이식센터에 등록된 장기기증자의 가족(총 174명)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이용하였으며, 우편설문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사전에 전화를 통해 연구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총 168명)에 한해 우편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총 168부 중 회수된 78부(회수율 44.8%)를 최종 연구집단(Study population)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같은 기간에 계통표본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서울, 경기 지역 주민 255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장기를 기증한 뇌사자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장기 기증에 동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1. 인구학적 특성 2. 가족의 뇌사에 대한 이해도 및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3. 병원 및 의료 서비스 관련 변수 4. 장기기증 요청 과정 5. 사회정서적 및 의사소통 과정 6. 가족내 논의 7. 가족내 의사 결정 8. 뇌사자 특성의 8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장기 기증에 동의한 가족의 뇌사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장기기증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뇌사 판정기준을 알고 있는 경우는 전체의 65.4%였으며, 장기 기증시 가족 2인 이상의 동의가 필요함을 알고 있는 경우도 전체의 61.5%로 나타났다. 또한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을 찬성하는 가족이 전체의 87.2%로 나타나 뇌사 인지도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장기 기증의 배분과정이나 장기 기증 절차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으로 조사되어 뇌사자 가족들에게 장기기증 절차나 배분 과정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장기 기증에 관한 태도에서도 본인이 뇌사 상태에 처했을 경우 장기기증에 찬성하는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76.9%가 찬성한다고 답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에서의 결과 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가족이 뇌사상태에 처했을 경우에는 74.4%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잘모르겠다 라고 답한 경우가 20.5%로 자신이 뇌사상태에 처한 경우보다 가족이 뇌사 상태에 처하여 장기 기증을 할 경우 좀 더 신중한 경향을 보였다. 장기 기증 요청 과정의 경우 대부분 가족 스스로 결정한 경우가 많았으며, 그 밖에 의료인이나 장기이식코디네이터 순으로 장기 기증을 권유했다고 응답했다. 요청 없이 가족 스스로 장기 기증을 결정했다는 것은 각 병원에서 장기기증자 발굴에 소극적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뇌사 발생 후 장기 기증을 요청하는 일련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함을 뜻한다. 장기기증자 생전에 가족들과 장기기증에 관해 서로 논의한 적이 있는가를 묻는 문항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75.6%가 논의한 적이 없었다고 답했으며 가족들이 생전에 장기기증자의 기증 의사나 의견을 충분히 알고 있었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문항에서는 알지 못한다는 의견이 전체의 61.5%를 차지해 아직까지 장기 기증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하고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장기 기증에 관한 동의를 내리기까지 소요된 의사결정 시간은 3일 이내의 경우가 64.1%로 가장 많았고, 가족들의 논의 횟수는 3회 이하가 64.1%로 가장 많았다. 장기 기증에 동의하는 최종 결정을 내린 사람은 뇌사자의 부모가 31명(39.7%)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19명(24.4%), 뇌사자의 형제, 자매가 16명(20.5%) 뇌사자의 자녀가 8명(10.3%) 순으로 나타났다. 장기 기증에 관해 협의 할 당시 가족 중 강력한 의사결정자가 있었는가 하는 문항에서 강력하게 장기 기증을 주장한 사람이 있었다고 응답한 경우가 75.6%로 반대한 사람의 경우 35.9% 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 같은 사실은 장기 기증에 있어 가족 중 의사결정자의 역할과 가족 내 의사결정 과정이 상당히 중요함을 의미한다. 가장 강력한 의사결정자로 찬성한 사람은 부모 24명(30.8%), 형제 17명(21.8%), 배우자 11명(14.1%) 순으로 나타났으며, 반대했던 사람은 기타 친인척 15명(19.2%), 부모 6명( 7.7%), 형제 4명(5.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기기증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기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뇌사자 가족들의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형성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뇌사자 가족에게 장기 기증 절차나 과정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뇌사 발생 후 장기 기증을 요청하는 과정과 의사소통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병원에서의 뇌사자 발굴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며, 이 같은 의료인의 소극적인 태도를 개선하기 위한 인센티브 마련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자료의 제한으로 인해 뇌사자 중 장기기증을 하지 않은 집단을 연구에 포함시키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가장 큰 한계점으로,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시행되어 어떠한 요인이 장기 기증 동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향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촉진시키고,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중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장기기증의 활성화 방안에 필요한 홍보,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basic source materials for a plan to activate organ donation from the patients with brain death, by examining knowledge of family members who consented to make an organ donation of their family member about brain death, organ donation, their attitude and other facts. A structured and developed questionnaire was sent via mail to 168 out of total 174 family members of donors listed in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from 2000 to 2003. Before we sent out questionnaire, we called each individual and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only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received questionnaire by mail. Of the 168 questionnaires sent out, a total of 78 participants took part in the survey yielding a response rate of 44.8 % and they were selected as a final study population and analyzed. Followings are 8 variables in this study which affect family members' decision to consent to the organ donation.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family member''s understanding on brain death and their attitude to organ donation, 3. variables related to hospital and medical service, 4. process of requesting organ donation, 5. social feeling and process of communication, 6. family discussion, 7. family decision, 8. traits of a patient with brain death. Results provide that family members' understanding about brain death was pretty high and their attitudes to organ donation were positive. 65.4% of participants knew criterion of brain death and 61.5% of them knew that at least two of the family members have to sign on the consent in order for the organ donation. Also, 87.2% of them supports the idea which consider brain death as a death implying high recognition about brain death.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of distribution process of organ donation was low which signifies lack of supplying information to the family members. 76.9% of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y would like to donate their organ when their brain is dead and the rate is higher than that of public. In addition, 74.4% of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y will agree to consent when their family members are in brain death state and 20.5% responded with "do not know." Which shows the careful tendency when they make decisions on their family members. For the process of requesting organ donation, many of the cases, the decisions were made by the family members. Physicians and organ coordinator in order asks for organ donation. It means that hospitals do passive roles in finding organ donors and the process of requesting organ donation made after the event of brain death does not be made well. To the question asking if there was a discuss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the donor about organ donation when the donor was alive, 75.6% of participants responded with "no" and 61.5% of participants claimed to "do not fully aware of the opinion of don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n't active discussions about organ donation and there is a lack of recognition about organ donation. Furthermore, there must be an immediate plan for the active organ donation. From the resul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64.1%) answered that the decision making time took less than three days and also 64.1% of respondents claimed to have had family discussion less than 3 times. Regarding about the final decision maker about organ donation, 31(39.7%) respondents indicated "parents of donor," 19(24.4%) respondents indicated "spouse of donor," 16(20.5%) respondents indicated "sibling of donor," and 8(10.3%) respondents indicated "children of donor." A response to the question if there was a strong decision maker among the family members, 75.6% of respondents claimed to have a strong decision maker who insists to donate. Conversely, 35.9% of respondents claimed to have one who is strongly negative to organ donation. According to the facts, organ don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ole of decision makers among the family members and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For the positive strong decision makers, 24(30.8%) respondents indicated "parents of donor," 17(21.8%) respondents indicated "sibling of donor," and 11(14.1%) respondents indicated "spouse of donor." Conversely, for the negative ones, 15(19.2%) indicated "relatives," 6(7.7%) indicated "parents" and 4(5.1%) indicated "sibling". Overall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olve the lack of organ donation and to activate organ donation, positive way of thinking of family member to the organ donation is the priority. In addi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hortage of information to the family members about process and procedure of organ donation and that communication processes and requests for the organ donation after the event of brain death do not work. Furthermore, no efforts are made to find the patients with brain death. To ameliorate the passive attitude of physicians, setting an incentive system is readily required. Sampling of this study is limited to family members of donor and not including the group of family members who have not dono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gure out which variable affects the most on the organ donation decision making. Th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es will provide indicator which helps to stimulate the important positive factors and to diminish the important negative factors in decision making. Furthermore, those studies can be used as basic knowledge in marketing and education to activate the organ donation plan.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태도 분석

        최정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15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whole process of organ don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materials for public relations, education, and policie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 The study investigated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and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he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were 99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working for 71 nationwide organ transplant medical center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6 inquiries, which were 13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6 questions about experience of organ donations and transplanting, 25 questions about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and 2 questions about other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October 2nd to 10th of 2008 by email, mail, and fax. A total of 90 copies were collected, reaching a 91 collection rate. program SAS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obtain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Factor Analysis were run.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Positive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 ranged from 1 point to 5 points with higher points positiv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ositive attitudes was 4.21±0.56. Especially the highest (4.71±0.56) in positive attitudes was the inquiry ‘I think that the organ donation is important in that it helps terminal patients of malfunctioning organs.’ The next (4.66±0.64) is the inquiry ‘I think that the organ donation is doing good for others.’2) Negative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 ranged from 1 point to 5 points with higher points negativ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negative attitudes was 2.50±0.51. The highest (3.64±1.08) in negative attitudes was the inquiry ‘I feel a burden when I recommend the organ donation to others.’ The next negative inquiries were ‘I am afraid that I might take lawful responsibility for organ donations’ (3.23±1.19) and ‘I am willing to recommend the organ donation, but I do not bother doing so if the patient’s doctor advises not to donate.’ (2.96±1.08).3)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segment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being married (p=0.0314); academic careers with graduate schools and more (p=0.0096); signing up for an organ donation before in case the subject himself/herself is brain-dead (p=0.0002); signing up for an organ donation when a family member is brain-dead (p=<.0001); being a 1 to 5 year coordinator (p=<.0001); being satisfied with the present task (p=0.0140),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s. Being aged 30 to less than 35 (p=0.0123); being unmarried (p=0.0147); no signing up for an organ donation when a family member is brain-dead (p=0.0010); being a less than 1 year coordinator (p=0.0480); no being satisfied with the present task (p=0.0284),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attitudes. The respondents’ negative attitudes were also significant in academic careers, even though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not significant.4) Experience of the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ing segmented into: recommending the organ donation to a brain death donor family (p=<.0001); managing a brain death donor for the organ donation (p=0.0173); recommending the organ donation or making a brain death donor to the organ donation operation(p=0.0189); a patient who was ever transplanted from other brain-dead donors (p=0.0199); having a patient who ended up dead while waiting for the organ donation (p=0.0008); being trained in organ donations and transplanting (p=0.0046),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s. No recommendation of an organ donation to a brain death donor family (p=0.0047),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attitudes.5) Factor of opposition to organ donations depending on qualifications of the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 medical centers segmented into: Seoul region transplant medical center,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attitudes(p=0.0106). Factor of the burden of recommending organ donations depending on qualifications of the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 medical centers segmented into: Seoul region transplant medical center, whose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s(p=0.0209).6)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 segmented into four positive and four negative ones. The positive factors were usefulness in organ donations, perception of organ donations, roles played in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s, and willingness to donate organs. The negative ones were disbelief in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s, opposition to organ donations, cooperation with the medical staff, and the burden of recommending organ donations.In conclusion,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attitudes toward brain death donor organ donations are positive compared to other groups such as nurses, but the coordinators were hesitant about organ donations by subjects themselves and their family members. They felt burdened in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s and negatively approached brain death donor worrying about possible legal responsibilities. Attitudes toward brain-dead patents’ organ don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ordinato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an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ing. Factors affecting the coordinators’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experienc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ing, and qualifications of medical centers the subjects work for.Th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will function as materials for public relations, education, and policie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organ don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will also contribute to training organ transplant coordinators and establishing policies in order to change coordinators’ attitudes towards organ donations in a positive way. 이 연구는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장기기증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홍보, 교육 및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전국 71개 장기이식의료기관에 근무하는 99명의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로, 일반적 특성을 묻는 13문항,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경험을 묻는 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묻는 25문항, 기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견을 묻는 2문항을 포함한 총 46개 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전자메일, 우편, 팩스로 2008년 10월 2일에서 10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9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91%),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 ANOVA, factor analysis를 시행하였다.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1)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1점부터 5점 사이의 점수로 계산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태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태도의 전체 평균점수는 4.21±0.56점이었으며, ‘나는 장기기증은 말기부전 상태의 환자를 돕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4.71±0.56)는 항목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나는 장기기증은 타인에게 선을 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4.66±0.64)는 항목이었다.2)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1점부터 5점 사이의 점수로 계산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태도가 부정적임을 의미한다. 부정적인 태도의 전체 평균과 표준편차는 2.50±0.51점이었으며, ‘나는 장기기증을 권유할 경우 정서적인 부담을 느낀다'(3.65±1.08)는 항목이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나는 장기이식과 관련된 법적 책임에 대해 우려가 된다‘(3.23±1.19), ’나는 기증을 권하고 싶으나 주치의가 장기기증을 권하지 않으면 굳이 하지 않는다‘(2.96±1.08)는 항목이었다.3)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요인 분석에서 긍정적인 태도는 장기기증의 유익, 장기기증에 관한 인식, 장기기증과정에서의 역할, 장기기증에 관한 의지의 4개 요인으로 나누어졌으며, 부정적인 태도는 장기기증과정에 관한 불신, 장기기증에 관한 반대 인식, 의료진과의 협조, 장기기증권유에 관한 부담의 4개 요인으로 나누어졌다.4) 장기이식 코디네이터 본인이 뇌사상태가 되었을 때 장기기증을 하겠다고 장기기증 희망 등록을 한 경우는 52.2%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장기이식 코디네이터로서의 경력이 1년 미만인 경우 긍정적인 태도가 가장 낮았고(p=0.0123)와 부정적인 태도가 가장 높았으며(p=0.0480), 현재 자신의 업무에 만족하는 경우에 긍정적인 태도가 높았고(p=0.0140),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부정적인 태도가 높았다(p=0.0284).5)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경험은 부정적인 태도보다 긍정적인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긍정적인 태도 요인 중 장기기증과정에서의 역할에서 뇌사자가 발생했을 때 뇌사자의 가족에게 장기기증 권유를 해본 경험이 있고(p=0.0047), 장기기증을 하기 위하여 뇌사 기증자를 간호하거나 관리해본 경험이 있으며(p=0.0028), 대상자가 장기기증을 권유하거나 관리한 뇌사자가 장기기증까지 이루어진 경험이 있고(p=0.0008), 대상자가 관리하는 환자가 뇌사자 장기이식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p=0.0119)에 더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또한 뇌사자의 가족에게 장기기증을 권유를 해본 경험이 있는 경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p=<.0001), 장기기증을 권유해본 경험이 없는 경우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p=0.0047).6)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의료기관의 자격요건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태도의 요인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대상자가 근무하는 의료기관이 1권역(서울, 경기, 인천, 강원, 제주)에 위치한 경우 장기기증에 관한 반대 인식에서 가장 부정적인 태도가 높았고(p=0.0106), 장기기증권유에 관한 부담에서 가장 부정적인 태도가 낮았다(p=0.0209).결론적으로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다른 간호사군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장기기증과정에서 정서적인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법적 책임에 대해 우려하여, 뇌사자 발생시 소극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일반적 특성과 장기기증 및 이식에 관한 경험, 대상자가 근무하는 의료기관의 자격요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뇌사자의 장기기증과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홍보, 교육 및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교육 및 정책의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이진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4

        본 연구는 앞으로 의료인이 되어 다음 세대의 뇌사자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건강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뇌사자 장기기증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41개 의과대학 소속 학생들 중 임상실습과정을 모두 마친 본과 4학년 학생 72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특성을 묻는 11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묻는 1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묻는 16문항을 포함한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여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0월 4일부터 11월 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F-test)로 분석하였고, 관련요인분석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1)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점수는 16점 만점에 평균 8.11±2.4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대상자의 80%이상이 정답을 맞힌 문항은 1개로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 대기자에 대한 모든 정보는 국가(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서 통합 관리한다(81%)’이었으며 정답률이 20%이하로 낮은 문항은 ‘뇌사 장기기증자의 장례비는 장기이식자가 부담한다(19%)’와 ‘잠재뇌사자를 진단한 담당의사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신고하여야 한다(11%)’이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범주별로 구분했을 경우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학적 지식은 3점 만점에 1.5±0.79점, 법률적 지식은 9점 만점에 5.0±1.79점,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은 4점 만점에 1.7±0.89점 이었다.2)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0±0.49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내가 만약 장기를 기증한다면 타인에게 선을 행한 것이다(91%)’와 ‘나는 뇌사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이 의학적으로 바람직한 수술이라고 생각한다(86%)’ 문항에 대해 80%이상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사람의 죽음을 사람이 판단하는 것은 실수의 여지가 있다(73%)’, ‘환자의 가족이 기증요청을 받는다면 의료진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53%)’순으로 50%이상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는 성별,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정도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장기기증 희망카드 소지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태도에 있어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대상자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지식에 대한 요인으로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뇌사관련 정보 획득 경로 특성(전문적 경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범주별 지식 특성 중 의학적 지식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5)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반면(r=0.055, p=0.142), 범주별 지식에 있어서 의학적 지식(r=0.135, p=0.001)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r=-0.075, p=0.043)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대체로 낮은 비율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전달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학과특성을 고려하여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의 경로를 전문적 경로인 의대교육과정에 관련교육내용 보충, 실습 프로그램 마련 등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래의 의료인인 의과대학생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필요성과 과정, 역할을 이해하고 개인적인 신념을 확고히 하며 나아가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ho will be in charg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s health specialists in the future. It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y to activat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the study,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723 medical students who have finished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41 medical schools in Korea.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3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of general features, 16 questions of the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16 questions of the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4th of October in 2007 to the 7th of November in 200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F-test) by SAS program, for relating facto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r correlation by Pearson Correla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score of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on the average 8.11±2.4 of 16, that is, 58%. The item that over 80% of respondents chose the right answer was the only one question, that is, ‘The government(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should manage organ donation and all the information of recipients for transplantation(81%)’, and the items below 20% were that ‘Recipients should pay all the money for donor's funeral service(19%)’ and ‘The doctor diagnosed potential brain death should report to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11%)’. Whe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ubjects'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results showed 1.5±0.79 of 3 in medical knowledge, 5.±1.79 of 9 in legal knowledge and 1.7±0.89 of 4 in decision processing of brain death.2) In the analysis of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average score was 3.40±0.49 of 5, which seemed they were relatively optimistic. Over 8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in two questions, those are, ‘If I donated organs, I would do good to other people(91%)’ and ‘I agree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transplantation are desirable medical treatments(86%)’, In contrary, it showed that over 50% had a pessimistic attitude to two questions, which are, ‘There might be a mistake to make a determination of person's death by human beings(73%)’ and ‘If family were requested organ donation, they would express their hostility to the medical staff(53%)’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gender and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other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ways to gain the information of it, and whether one accepts to organ donation or have the donor card or not. In the case of attitude,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ay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organ donation and whether one accepts organ donation.4) In the analysis of the knowledge of general features, the important factors were confirmed statistically by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d the way to get the information for organ donation. And in the attitude, the medical knowledge and the progress of brain death were more meaningful among other factors statistically.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respon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not valuable statistically(r=0.055, p=0.142),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knowledge(r=0.135, p=0.001) and the knowledge about progress of brain death(r=-0.075, p=0.043), were valuable statistically.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pretty low. That is wh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were needed for improving their knowledge. For the strategy, they should be added to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program about organ donation. In addition, medical students w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progress and the rol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rough this program. Eventually, they would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organ donation and contribute to expand it.

      • Application of EEG suppression ratio to brain death diagnosis GyeongMo Sohn

        손경모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87

        목적: 뇌사 진단 과정은 나라마다 다르지만, 뇌사진단을 위한 보조 검 사로 뇌파검사가 가장 많이 활용되어왔다. 뇌전기비활성(ECI)은 최고 점 간 진폭이 2μV를 초과하는 뇌파활동이 없는 것으로 정의된다. 국 내에서는 뇌사 판정을 위해 ECI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뇌파검사에서 ECI가 나타나는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경우 어떻게 뇌사를 진단하는 지에 대해서 확실한 지침은 없다. 진단이 지연되면 장기 이식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전에 우리는 억제된 뇌파검사에서 억 제 비율(SR)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ECI의 시각적 분석은 주관적이어서 평가자 간 또는 평가자 내 불일치로 이어질 수 있 다. 본 연구는 억제된 뇌파 전기적 활동을 정량화 함으로써 SR이 뇌사 진단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탐색적 데이터 세트 1개와 내부 검증 세트 1개로 구 성되었다. 탐색적 데이터 세트는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HIE) 환자 256명으로 구성된 후향적 코호트와 HIE 환자 91명으로 구성된 전향적 코호트로 구성되었다. 내부 검증 세트는 공식적으로 뇌사 진단을 받은 70명의 환자로 구성된 후향적 코호트로 구성되었다. 뇌파의 억제율(SR) 은 EEG 장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Persyst® v13)를 사용하여 분석했 다. 소프트웨어는 각 EEG 리드의 데이터를 10초 에포크로 나누고 에 포크가 '억제'되는 총 기간을 계산했다(≥0.5초, <3μv 진폭으로 정의됨, Persyst® v13의 기본 임계값). SR은 최종적으로 전체시간당 백분율로 표시할 수 있다. 탐색 세트의 환자 347명 중 110명의 환자(뇌사 환자 11명 대 무반응 각성 증후군(UWS) 환자 99명)들을 대상으로 MedCalc® 버전 19.5.2를 사용한 ROC 곡선 분석을 수행했다. 그리고 뇌사에 대한 SR 값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 검증 세트에서 뇌사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뇌사의 SR 컷오프 값을 적용했다. 또한 훈련 세트 70%, 테스트 세트 30%가 포함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180 명의 환자(뇌사 환자 81명, UWS 환자 99명)를 추가로 분석했다. 지도 기계학습 모델에는 QDA(2차 판별 분석), Naive Bayes, 로지스틱 회귀, 선형 판별 분석 및 광 그래디언트 부스팅 머신이 포함되었다. 결과: 탐색 세트의 ROC(수신자 조작 특성) 곡선은 뇌사 그룹에 대해 곡선 아래 면적(AUC) 0.82(p<0.0001)로 SR>62.4%의 컷오프 값(민 감도 91%, 특이도 72%)을 나타냈다. 내부 검증 세트에 포함된 70명 의 환자의 EEG 중 96%(67/70) 환자의 EEG는 SR>70%(중앙값에 대 한 95% 신뢰 구간, SR 95% ~ SR 97%)로 나타났다. ML 모델 중 QDA 모델에서 최대 SR 지수인 >74.76인 뇌사에 대한 SR의 가장 높은 성 능과 정밀하게 정의된 SR 컷오프 값을 보여 AUC 값 0.9806 ± 0.02를 달성했다. 또한 QDA 모델은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및 F1 점수 측면 에서 각각 0.9120 ± 0.05, 0.9304 ± 0.04, 0.9120 ± 0.05 및 0.9101 ± 0.05로 다른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결론: SR은 뇌사 진단에 활용될 수 있으며 어쩌면 ECI를 대체할 가능 성도 있다. SR은 또한 적절하게 사용된다면 뇌사 진단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더 나아가 장기 이식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해서는 추가 외부 검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s: Previously we confirmed that suppression ratio (SR) can be measured quantitively in suppressed EEG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SR can be used in brain death diagnosis by quantifying suppressed EEG electrical activities. Methods: We established the exploratory set with a retrospective cohort of 256 patients with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and a prospective cohort of 91 patients with HIE. The internal validation set was established with a retrospective cohort of 70 patients officially diagnosed with brain death. The suppression ratio (SR) of background was analyzed with installed software (Persyst® v13) in EEG machine. SRs were measured for defining the cutoff value of brain death. Then, the cutoff value of SR for defining brain death was applied to 70 brain death patients in the internal validation set. Machine learning (ML) algorithm was used for further analysis. Results: ROC curve of the exploratory set indicated a cutoff value of SR>62.4% with area under the curve (AUC) 0.82 (p<0.0001) for the brain death group. Among 70 patients ’ EEGs in the internal validation set, 96% (67/70) patients’ EEGs revealed SR>70% (95% confidence interval for the median, SR 95% to SR 97%). Among the models of ML, the quadratic discriminant analysis model demonstrated the highest performance and precisely defined cutoff value of the SR for brain death that was 74.76 as the maximum SR index, achieving AUC value of 0.9806 ± 0.02. Conclusions: SR may be utilized in brain death diagnosis. Further external validation study should follow for confirmation.

      • The value of gradient echo imaging and susceptibility weighted imaging in brain death evaluation : 뇌사 판정에 있어서 경사 에코 기법과 자화율 강조 기법에 대한 평가

        장혁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1983

        배경 및 목적: 장기 기증이 더 활성화 됨에 따라서 정확하고 빠른 뇌사 판정 또한 더욱더 중요해 지고 있다. 뇌사 판정에 있어서 영상의학 검사는 보조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MRI의 자기공명영상에서 경사 에코 기법 (gradient echo imaging, GRE)과 자화 강조 기법 (susceptibility weighted imaging, SWI)이 뇌사진단에 얼마나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임상적으로 확진 된 10명의 뇌사 환자 (1군)과 지속적인 의식소실로 내원하였으나 뇌사로 판정 되지 않은 7명의 환자 (2군)을 대상으로 자기공명 영상과 전산화 단층 촬영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의 뇌사의 소견으로 알려진 편도탈출 (tonsillar herniation, TH), T2강조 기법 (T2 weighted imaging, T2WI)에서 혈관 내 혈류신호소실의 부재 (loss of intraarterial flow signal void), 자기공명 혈관촬영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에서 뇌 내 동맥 유동 신호의 소실 (loss of intracranial arterial flow signal intensity, LIAFSI), T2WI에서 뇌 이랑의 부종과 전반적인 뇌 피질의 고 신호강도 (cortical high signal intensity, CH), 확산 강조 기법 (diffusion weighted imaging, DWI)에서 전반적인 뇌 반구의 고신호 강도 (high signal intensity, HS)와 상응하는 겉보기 확산 계수 지도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 ADC map)에서의 신호강도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GRE와 SWI에서 양측 성 경 대뇌 와 피질 정맥 신호 (bilateral transcerebral and cortical vein sign, BTCVS) 유무를 확인 하였다. 비 조영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의 소견 또한 확인 하였다. 결과: 편도 탈출과 T2WI에서 뇌 내 동맥 유동 신호의 소실은 뇌사의 판정에 있어서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인 소견이다 (각각 p<0.001 and <0.001). DWI, MRA 그리고 GRE에서의 소견은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각각 p=0.015, 0.029 and 0.003). 하지만 T2WI에서 뇌 피질의 고 신호강도 와 SWI의 소견은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각 p=0.412 and 1.0). 비 조영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의 소견도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1.0). 결론: GRE에서 BTCVS는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GRE는 뇌사 진단에 유용하였다. SWI는 낮은 특이도로 인하여 진단적인 가치는 제한적 이었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경험, 지식, 태도 및 중재역할 자신감

        손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1978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nsive care nurses' experiences, knowledge, attitudes and role-confidence and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ttitudes and role-confidence. Methods : This study enrolled 260 intensive care nurses who worked at hospitals earmarked under HOPO in B-city, Y-city and U-city from the 20th of December, 2014 to the 13th of March, 2015. In this study, the knowledge in organ donation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6 major preceding researchs was used to examine the kowledge of intensive care nurses and the attitudes in organ donation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Ju(1995) revised by Lee(2003) was used to measured attitudes status. the role-confidence which was developed by Roels(2010) was used. Data analyzed descriptive sta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 Kowledge of participants was 9.77±3.65 out of a total of 20points. The knowledge towards organ don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F=9.00, p<.001), work position(F=2.46, p=.046), career(F=3.84, p=.010), career in intensive care unit(ICU)(F=3.75, p=.021), own way of funeral(t=2.81, p=.005), experience of caring brain dead donor(t=-2.09, p=.023), experience of being taught about organ donation(t=3.00, p=.004), experience of caring recipients for organ donation(t=2.28, p=.024). The average score of attitudes was 3.41±0.42. The attitudes towards organ dona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religion(t=-2.47, p=.014), own way of funeral(t=2.24, p=.026), signed in KONOS(t=3.35, p=.002), own willing of organ donation(F=46.30, p<.001), experience of caring brain dead donor(t=-4.79, p<.001), experience of being taught about organ donation(t=2.20, p=.029). Role-confidence of participants was 1.80±1.27 out of a total of 4 points. The role-confid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ge(F=6.70, p=.019), work position(F=5.27, p=.006), marriage(t=-2.66, p=.008), own children(t=2.19, p=.033) and signed in KONOS(t=2.66, p=.008). The knowledge status of participa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s(r=0.365, p<.001) and role-confidence(r=0.299, p=.005). The attitud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ole-confidence(r=0.408, p<.001). Conclusion : Intensive care unit nurses's understanding on reality, procedure and legal knowledge about organ transplantation is low-side. And they also show a low-side of confidence as an organ donation mediator and feel hard to mention about organ donation to brain dead donor familiy. But their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is positive. From the research result It's necessary to provide a well-organized program for ICU nurses like a providing mor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rocess of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d donor or beneficiary care otherwise a simulation as an educational purpose so that intensive care unit nurses are available to provide exact information to brain dead donor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