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참전재향군인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상태와 관련요인 분석

        정문용(Moon Yong Chung),서일(Il Suh),정일진(Il Jin Jeong),김동기(Dong Ki Kim),민경호(Kyung Ho M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2 사회정신의학 Vol.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전과 월남전 참전 국가 유공자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이들 집단의 여러 특징 변인들을 관찰함으로써 이들 인자들이 질병발생에 대하여 상호 관련 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서울에 있는 한국보훈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전상환자 304명을 대상으로 1994년 9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전투 노출 척도 (Combat Exposure Scale), 미시시피 척도(Mississippi Scale for Combat Related PTSD), 우울 특정 도구(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및 정신과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변인들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분석방법인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한국전 참전 집단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은 204명중 18명으로 8.8%였고 월남전 참전집단에서 100명중 23명으로 23%였다. 한국전 참전 집단에서 결혼상태에 따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여부가 차이를 보였는데 독신상태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p<0.05) 월남전 참전집단에서 독신상태, 무직, 교육정도 고졸이상, 과거 정신과적 치료경험 등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군에서 비환자군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련된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한국전 참전집단에서는 독신상태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월남전 참전 집단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독신상태, 수입이 낮을수록 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결 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감수성과 취약성을 가진 개체들에서 만성적, 치료 저항적 경과를 가져오기 쉬운 질환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결혼상태, 직업유무 및 교육정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유의한 상호관련이 있었으며, 이들 참전 국가유공자의 건강한 사회 재적응을 위하여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본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a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Korean War veterans and Vietnam War Veterans who had been hospitalized at Korea Veterans Hospital, an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or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I also collected and analysed these data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management of the disorder and healthy social readjustment of the veterans. Methods:Two hundred and four Korean War veterans and one hundred Vietnam War veterans were collected consecutively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hospital. These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psychiatric interview and measurement instruments by psychiatrist for eighteen months since September, 1994. Results:The current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Korea War veterans and Vietnam War veterans were 8.8% and 23%, respective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of Korea War veterans.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previous psychiatric trea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Vietnam War veteran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 found that marital status in Korean War veterans, and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low income in Vietnam War vetera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Conclusion: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chronic and treatment-resistant illness especially to the individuals who are sensitive and vulnerabl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must consider these variables for the health social readjustment of war veterans in the future.

      • KCI등재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서울 지역 종사자를 중심으로

        김근홍(Kim, Keun-Hong),양재석(Yang, Jae-seok),이경진(Lee, Gyeong-jin),김정연(Kim, Jeong-yeon)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돌봄 서비스를 수행하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는 사회안전망 서비스 구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그러나 독거노인생활관리사들이 독거노인들을 관리하면서 나타나는 역할갈등이나 그들의 욕구와 불만 들을 직접적으로 받아들이고 해결하는 상황에서 받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나 압박감이 높다는 실천 현장의 목소리가 많다. 따라서 독거노인 돌봄 서비스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라도 독거노인생활관리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개입 필요성 연구는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대상으로 외상 경험 및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장애현황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 지역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대상으로 외상경험 여부, 외상경험 유형, 외상후 스트레스 진단, 외상경험에 대한 대처 실태 등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 중 186명 (37.57%)이 부분 혹은 완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대처 실태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의미 있는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갖고 있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발견하고 이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외상 경험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 셋째, 외상 경험을 하였거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군으로 진단을 받은 독거노인생활관리사를 위한 지원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넷째,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전문가 양성 및 배치가 필요하다. 다섯째, 의료기관과의 네트 워크를 구축하여 신속한 진단과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Life Manager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LMEPLAs) in Seoul regarding their traumatic experience and the status of thei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so how they are coping with it in order to find out ways to improve it. As a study method, we investigated LMEPLAs in Seoul through a self-administered survey regarding whether they had faced any traumatic experience, types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 diagnosi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status of their coping with trauma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186 respondents (37.57%) have been found to indicate either partial or complet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but the status of their coping with it is very poo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our discussion. First, it is needed to find out life managers suffering fro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build up a system to manage them consistently. Secon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education about traumatic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management. Third, it is urgently needed to build up a system to support life managers who have faced any traumatic experience or been diagnosed to hav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urth, it is demanded to cultivate and arrange experts equipped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technique. Fifth, it is needed for them to build a network with medical institutes to receive a prompt diagnosis and specialized treatment.

      • KCI등재

        경험 심리치료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 단일 사례연구

        김은실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 a single case study, whether experiential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clients suffering fro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witnessing a suicid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28-year-old female who was diagnos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had symptoms of insomnia, nightmares, headache, anxiety, and suicidal thoughts. Experimental psychotherapy based on psychodrama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5 times. Each session proceeded in the order of 'warm-up', 'main drama', and 'share', which are the basic frameworks of psychological drama, and the main contents were ‘program structuring and stabiliza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recognizing external and internal receptive senses’, ‘building resources’, ‘dealing with unresolved behaviors and emotions in the event of trauma’, and ‘strengthening the sense of self-control.’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main symptoms, the pre and post-score changes of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anxiety scales were examined, and the changes in th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ere examined through behavioral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the posttraumatic stress scale score decreased from 40 to 7, and the anxiety scale score decreased from 29 to 12. In addition, hyper-arousal symptoms (headache, insomnia, anxiety) and intrusion symptoms (nightmares, flashbacks, suicidal thought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reduced. Finally, it was helpful for daily adaptation by reducing avoidance behavior caused by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tial psycho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hyper-arousal and intrusion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 연구의 목적은 자살을 목격한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는 연구 참여자에게 경험 심리치료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단일 사례연구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28세, 여)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진단을 받았으며, 불면증, 악몽, 두통, 불안감, 자살 충동의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에게 5회의 심리극에 기반한 경험 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매 회기는 ‘웜업(warm-up)’, ‘본극’, ‘나누기’ 순으로 진행되었고, 주요 내용은 ‘프로그램 구조화 및 자율신경계 안정화하기’, ‘외부 및 내부 수용 감각 인식하기’, ‘자원 구축하기’, ‘외상 시 미완성 행동 및 감정 다루기’, ‘자기통제감 강화하기’이었다. 연구 참여자의 주 증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외상 후 스트레스 척도와 불안 척도, 그리고 행동 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척도 점수는 40에서 7로 감소하였으며, 불안 척도 점수는 29에서 12로 감소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과각성 증상(두통, 불면증, 불안)과 침투 증상(악몽, 플래쉬백, 자살사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회피 행동 감소로 일상 적응에 도움이 되었다. 이는 경험 심리치료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과각성과 침투 증상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위기상황 스트레스 해소 교육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분석

        최혜경,김지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alysis in Korea fire officers for the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to obtain the purpose, following variables were used; 3 independent variables(work burden, stress, stress response), 1 intermediating variable(on-scene stress), and 1 dependent variable (physical symptoms). The respondents were 970 fire officers in Korea from March to December in 2007 by using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Data was analyzed by SPSS 14.0 and AMOS 7.0 programs. Data cleaning was done for the exact data input.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were analyzed. The general peculiarity of the respondents was shown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In order to fulfill this study, the researchers proposed the hypothesis as follows : Work burden and stress will influence upon on-scene stress. Work burden, stress, on-scene stress and stress response will influence upon physical symptoms. Through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 analysis, the lower the level of work burden, stress and on-scene stress was, the lower the level of physical symptoms becam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stress response was, the lower the level of physical symptoms became.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이 현장에서 겪는 충격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분석을 통해 위기상황 스트레스 해소 교육 프로그램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업무부담감,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응) 3개, 매개변인(현장충격 스트레스) 1개, 종속변인(신체적 증상)으로 구성하여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전국 970명 소방공무원으로 2007년 3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4.0과 AMOS 7.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정확한 코딩데이터의 입력확인을 위해 데이터클리닝(data cleaning) 작업을 실시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Cronbach's 검증을 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한 연구가설은 선행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업무 부담감과 스트레스는 현장충격 스트레스에, 업무부담감, 스트레스, 현장충격스트레스, 스트레스대응은 신체적 증상에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업무부담감, 스트레스, 현장충격 스트레스가 낮고, 스트레스 대응이 높을 때 신체적 증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불안장애

        정한용,Jung, Han-Yong 한국생명보험의학회 2010 保險醫學會誌 Vol.29 No.1

        Anxiety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re among the most prevalent mental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Anxiety disorders can be viewed as a family of related but distinct mental disorders, which include following as classified in the text revision of fourth edition of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Disorders(DSM-IV-TR): (1)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2) agoraphobia with or without panic disorder; (3) specific phobia; (4) social phobia; (5)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6)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7) acute stress disorder; (8)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 acute intense attack of anxiety accompanied by feeling of impending doom is known as panic disorder. The term phobia refer to an excessive fear of a specific object, circumstance, or situati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s represented by a diverse group of symptoms that include intrusive thoughts, rituals, preoccupations, and compulsion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a condition marked by development of symptoms after exposure to traumatic life event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defined as excessive anxiety and worry about several events or activities for most days during at least a 6-month period.

      • KCI등재

        강력범죄피해자의 과거 정서학대 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간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김해숙,곽희정,국혜윤,임남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violent-crime victim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247 adults in the integrated support organization for violent-crime victims. Subsequentl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In particular, bootstrapping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hood emotional abuse, shame, and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violent-crime victims. Notably, shame full-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ddition, childhood emotional abuse affected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ly through shame.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further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강력범죄피해자의 과거 정서학대 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간의 관계를 수치심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강력범죄피해자 트라우마 통합지원기관에서 지원을 받은 바 있는 피해자 중 성인 24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 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매개 변수를 통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강력범죄피해자의 아동기 정서학대경험, 수치심,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학대 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간의 관계를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매개변인인 수치심을 투입하는 경우 정서학대는 수치심을 통해서만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트라우마와 현상학적 목회상담

        최광현(Choi Kwang-Hy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7

        본 논문은 <밀양>영화에서 제시하고자 했던 여러 주제 중에 트라우마에 대한 해결적 접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영화에서 보여주는 한 인간의 고통에 대해 기존의 치료적 가설과 의미체계가 갖는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현상학적 접근을 제시한다. 현상학적 접근에서의 트라우마 치료는 갈등과 문제에 놓여 있는 내담자에게 갈등과 문제를 성찰하게 하며 트라우마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이끄는데 있다. 의미의 추구는 목회상담의 중요한 방식이었으며 이것은 현상학적 접근과 만나게 한다. 이것은 상담학과 목회상담의 거대한 방향을 이끌고 있는 환원주의적이고 결정론적인 치료모델에 대해 그들이 갖고 있는 결점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트라우마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은 목회상담 안에서 영혼 돌봄의 중요한 차원으로 사용되어 왔던 인간의 실존과 그 의미에 대해 치료적인 가치를 일깨워 줄 수 있다. 상담사를 하나의 실존적인 상대자로 이해하는 현상학적 접근은 각자의 영혼이 각자의 실존적 개체성을 소유한다고 인식한다. 모든 인간의 실존은 서로 서로 실존적 의사소통을 하면서 상호주관적으로 엮어져 있다. 따라서 상담사-내담자의 실존적 소통을 통해 트라우마의 문제를 함께 풀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The meaning of suffering in Pastoral Counseling is examined by 3 perspectives: theological,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This study explores the phenomenological view of human nature related to trauma phenomenon and its implica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herapeutic approach of Phenomenology and Existential Counseling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ly, this study traces back to the theoretical, theological background of trauma. This study is directed to overcome conventional method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a good potential in using the therapeutic approach of phenomenological Pastoral Counseling to trauma.

      •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대한 통합적 치유접근 연구 - 기독교 상담과의 연관성 중심으로 -

        김성환,백현숙 한국상담전공대학원협의회 2018 융합상담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 사회의 고질적인 정신질환의 하나인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로 고통을 받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치유접근의 청사진을 제시하 는데 있다. PTSD의 위험이 날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종교적인 편견이 나 질환에 대한 무지로 인해 제대로 된 치유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외상후스 트레스장애는 외상성 경험 자체의 심각성과 강도로 인해, 혹은 편도체를 중심으로 한 뇌의 변연시스템의 작용 등 임상적 양상의 복합성으로 인해, 단순히 하나의 영적인 접근이나 심 리적 접근에만 국한하여 접근하는 것만으로는 온전한 치유에 이르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통합적 치유의 청사진 제시를 위해, 먼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개념과 장애 를 유발하는 외상의 유형, 증상의 경과 및 동반 정신질환들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원인을 외상성사건과 심리사회적요인과 신경생리적 이해를 포함하는 생물 학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그리고 심리사회 및 정신의학적 접근으로 는 행동요법, 정신역동요법, 안구운동 민감화 재처리 요법, 약물치유요법을 그리고 기독교상 담적 통합접근으로는 성경적 인지치유요법, 성경적 정서치유요법 그리고 하나님이미지 회복 을 통한 치유요법의 통합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문헌연구를 통해 그리스 도인의 PTSD에 대한 이해와 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해 정신의학적 치유와 심리학적 치유 그리고 영적 자원을 활용하는 종교적 치유 등 폭넓은 통합적 치유접근의 다양한 차원과 방 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wholistic and integrated blueprint of therapy for the Christians who suffered from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ne of the most devastating mental illnesses in society today. Despite the increased risk of PTSD in society today, psychotherapy for the disorder of Christians has been provided to only a limited number of individuals due to religious prejudice and lack of recognition of the disorder. Enhancing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TSD, a wide range of therapeutic approaches, ie, psychiatric therapy, psychological therapy and religious therapy including utilizing spiritual resources, are explored and integrated. We examined the concept and course of PTSD and some trauma types of provoking the disorder and various comorbidities. In addition, we illuminate various causes of PTSD such as traumatic events, psycho-social factor and biological factor. Finally, we suggest two main therapeutic streams as an wholistic and integrated blueprint of therapy for PTSD, such as a psycho-socio-psychiatric approach and an integrated approach of Christian counseling. While a psycho-socio-psychiatric approach contains behavioral therapy, psycho-dynamic therapy,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Reprocessing) therapy and pharmaco-therapy, an integrated approach of Christian counseling includes a biblical cognitive therapy, a biblical emotive therapy and an therapeutic approach through biblical recovering of God-images.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음주와 음주동기

        이시은(Shi-Eun Lee),정혜경(Hae Gyung Chung),이수영(Soo Young Lee),소형석(Hyung Seok So),정문용(Moon Yong Chung),최진희(Jin Hee Choi),김태용(Tae Yong Kim)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10 중독정신의학 Vol.14 No.2

        Objectives: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a mental disorder that develops in response to catastrophic life events. Alcohol abuse or dependence is the most common co-occurring disorder among men with PTSD, and possible functional correlations are suspected.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drinking patterns and motives between patients with PTSD and a combat exposed control group. Methods:We recruited 92 veterans patients with PTSD and 79 veterans without PTSD for a control group, who had all experienced combat trauma in the Vietnam War. A detailed history of alcohol use,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Combat Exposure Scale (CES) and Drink-ing Motive Questionnaire were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Results:Patients with PTSD consumed alcohol longer and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TSD group, the AUDIT scores and coping motiv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1). The difference in coping motive was still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UDIT score using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hancement, social, and conformity motives between groups. Conclusion:Our data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atients with PTSD drink to cope with the negative affects including symptoms of PTS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of symptoms of PTSD may be important for optimizing the outcomes for patients with comorbid PTSD and alcohol use disorders.

      • KCI등재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ental Health in Women Who Escaped Prostitution and Helping Activists in Shelters

        정영은,송정민,정지혜,서호준,채정호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08 Yonsei medical journal Vol.49 No.3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mental symptoms, especially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f women who escaped prostitution, helping activists at shelters, and matched control subjects. Materials and Methods: We assessed 113 female ex-prostitutes who had been living at a shelter, 81 helping activists, and 65 control subjects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on demographic data, symptoms related to trauma and PTSD, stress-related reactions, and other mental health factors. Results: Female ex-prostitutes had significantly higher stress response, somatization, depression, fatigue, frustration, sleep, smoking and alcohol problems, and more frequent and serious PTSD symptoms than the other 2 groups. Helping activists also had significantly higher tension, sleep and smoking problems, and more frequent and serious PTSD symptoms than control subjects.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engagement in prostitution may increase the risks of exposure to violence, which may psychologically traumatize not only the prostitutes themselves but also the people who help them, and that the effects of the trauma last for a long tim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method to assess specific factors that may contribute to vicarious trauma of prostitution, and protect field workers of prostitute victims from vicarious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