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체상 및 관계불안에 따른 성 회피척도 개발

        국혜윤,윤가현 대한성학회 2014 대한성학회지 Vol.1 No.2

        본 연구는 부정적 신체상(A) 및 관계 변화의 불안(B)에 따른 성 회피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었다. 척도개발 과정에서 작성된 문항들의 적합성 검토 후 A 척 도 20문항과 B 척도 5문항을 선정했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n=664)를 토대로 한 문항분석 및 요인분석 결과, A 척도는 ‘이성과의 만남 회피’ 및 ‘성관계 회피’, B 척도는 ‘관계 목적 불안’ 및 ‘관계지속 불안’의 요인들이 추출되었다. 척도의 내적일치도 계수 는 A 척도의 두 요인에서 각각 .88 및 .86이었 고, B 척도의 두 요인에서는 각각 .69 및 .52였다. 개발된 A 척 도의 구인타당도 확인을 위해 신체존중감 척도와의 상관관계 를 살펴본 결과, A 척도의 두 하위요인 모두 체형과 관련된 외 모존중감 척도, 체중존중감 척도와는 모두 상관이 유의미했다. 또 A 척도에서의 성차를 확인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여성 이 남성보다 성 회피가 더 심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보호대상자 심리건강척도 개발 및 표준화

        국혜윤,김석웅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23 법무보호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청소년 법무보호대상자의 심리건강 상태를 현장에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청소년 보호대상자 심리건강척도(KPHI-RC-A)를 개발하고, 규준을 제작하여 표준화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연구 및 청소년 보호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해 척도의 구인을 선정하고, 예비문항을 설계하였으며, 15명의 관련 전문가들에게 실시한 2차례의 델파이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10개의 소척도, 77문항과 타당도 척도 5문항으로 구성된 2차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보호처분을 받은 청소년 265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일치도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10개의 소척도, 72문항(심리건강척도 67문항, 타당도 척도 5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검사에서는 개발된 척도를 청소년 보호대상자 321명에게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관계구조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본 척도가 타당한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표준점수를 활용하여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규준점수를 산출하였고, 척도별 성별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 규준과 더불어 성별을 구분한 고위험군 평가 기준 정보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tandardize a scale that can easily measure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released adolescent convicts in correction system. The constructs of the scale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sig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juvenile offenders. We conducted two delphi methods with 15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t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s, and created preliminary questions consisting of 10 subscale, 77 mental health measurement questions, and 5 validity measurement questions. To prove construct validit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265 juvenile offenders and a scale consisting of 10 subscale and 72 questions was ultimately develop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The developed scale was administered to 321 adolescent convi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s and validity of the scale were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score was used to calculate the standard score corresponding to the high-risk group, and the evaluation criteria information divided by gender was presented along with the overall standards. Clin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참가자의 성별, 피해 여성의 옷차림 종류와 음주량 수준에 따른 성폭력 책임 귀인의 차이

        양동옥,국혜윤,백현경,윤가현 한국여성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7 No.3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erpetrators and victims in sexual violence were blamed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der, victim’s clothing style, and levles of alcohol consumption. In Study 1, the extent of provocativeness for the clothing styles, the intoxication level by drinking alcohol, and the applicability of nonstranger rape scenarios were validated through asking the participants (41 men & 47 women) to evaluate them. In Study 2, the other participants (479 men & 465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four clothing styles and one of four drinking levels to investigate the attributions of blame and responsibility about sexual violence. Participants’ age and rape myth, hostile sexism were controlled as covariates in analyzing data. The general findings were that men blamed the perpetrator more than women, while women blamed the victim more than men. In addition, both men and women tended to blame the victim more severely when the victim drank more and put on more provocative clothe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n and women would stick to the sexual double standard.

      • KCI등재

        강력범죄피해자의 과거 정서학대 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간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김해숙,곽희정,국혜윤,임남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violent-crime victim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247 adults in the integrated support organization for violent-crime victims. Subsequentl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In particular, bootstrapping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hildhood emotional abuse, shame, and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violent-crime victims. Notably, shame full-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ddition, childhood emotional abuse affected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ly through shame.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further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강력범죄피해자의 과거 정서학대 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간의 관계를 수치심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강력범죄피해자 트라우마 통합지원기관에서 지원을 받은 바 있는 피해자 중 성인 24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 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매개 변수를 통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강력범죄피해자의 아동기 정서학대경험, 수치심,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학대 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간의 관계를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매개변인인 수치심을 투입하는 경우 정서학대는 수치심을 통해서만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대 여성 강력범죄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변증법적 행동치료 스킬훈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곽희정(Huijeong Gwak),임남열(Namyoul Lim),국혜윤(Heyun Kook),김해숙(Haesook Kim) 한국피해자학회 2021 被害者學硏究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강력범죄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스킬훈련이 효과가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기관에 방문해 개별 심리치료를 받고 있는 강력범죄(강도, 폭력, 성폭력) 피해자였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수집하였으며,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스킬훈련 프로그램의 마지막 회기 실시 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연구 주제, 질적 연구방법론, 관련분야에 식견이 있고, 연구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동료 3 명을 선정해 이들에게 연구 분석 자료와 연구 결과에 대한 검토를 요청하는 동료 검토법을사용하였고, 분석과정에서 복수의 연구자의 의견과 관점을 토대로 하여 보다 확실하고 정확한 증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강도, 폭력, 성폭력 피해자 모두 대인관계에서 다른 사람에게 원하는 것을 요청하거나 다른 사람이 내가 원하지 않는 것을 요구할 때 효과적으로 거절하는 기술과 지금 당장 변화시킬 수 없는 고통스러운 사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기술이 유용했다고 보고했다. 둘째, 범죄유형별 독특한 양상을 살펴본 결과, 강도 피해자는 사소한 자극에도 강렬한 부정적인 감정으로 발전하게 되는 경향이 있었고, DBT 스킬을통해 감정의 강도와 지속 시간을 사실에 부합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폭력 피해자는강렬한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거나 감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DBT 스킬을 사용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이 상처를 받지 않는 방식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성폭력 피해자는 관계 내에서 스스로를 보호하는 기술이 부족했고, 정서적으로 쉽게 불안정해지면서 자기파괴적인 방식으로 대응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DBT 스킬을 활용해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강력범죄피해자를 지원하는 관련 기관 종사자들이 심리치료를 실시하는 경우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관련하여 논의점 및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 skill training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is effective for victims of violent crim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argeted at victims of violent crimes (robbery,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who were visiting an institution and receiving individual psychological treatment.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last session of the skill training program of 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 The collected data is collected by selecting three colleagues who are knowledgeable in the research top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related fields being carried out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and who are judged to be able to provide their opinions on the research sufficiently. A peer review method was used in which a researcher was asked to review research analysis data and research results, and in the analysis process, based on the opinions and viewpoints of multiple researchers, more reliable and accurate evidence was sough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victims of violent crime reported that the skill of asking others for what they want or rejecting them when they ask for something they don’t want, and the skill of accepting painful facts that cannot be changed right now were usefu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unique aspects of each crime type, a robbery victim tended to develop strong negative emotions even with minor stimuli, and was able to adjust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emotions to a level consistent with the facts through DBT skills. A Victim of violence had difficulty expressing or tolerate strong negative emotions, but using the DBT skills was able to control it in a way that would not hurt herself and those around her. A sexual violent victim lacked the skills to protect herself in a relationship and tended to respond in a self-destructive way, becoming easily emotionally unstable, but was able to prevent being emotionally unstable by using her DBT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judged to be useful data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ose working in related organizations that support victims of violent crimes when they provide psychological treatment, points for discussion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in this reg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