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에 미친 문화다원주의(Pluralism) 영향 연구

        남미경(Mee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문화다원주의의 개념과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과의 연관성 및 표현특성을 분석하고, 21C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의 흐름을 모색하여 21C 사회와 소비자의 요구와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이론적 디자인 컨텐츠(Theoretical Design Content) 개발에 필요한 체계적 디자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화다원주의 개념 및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 발생과의 연관성에 관한 학술보고서, 문화다원주의 기반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표현 경향 조사, 전문 학술지 등 자료 중심의 분석과,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주된 범위와 내용에는 문화다원주의의 개념 및 문화다원주의를 기반으로 한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의 발생배경과, 문화다원주의 기반 주요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 표현 경향에 대한 분류와 제품디자인에 대한 사례 조사, 그리고 21C 포스트모더니즘 흐름에 반영된 문화다원주의 영향과 표현방식에 대한 분석 결과가 포함 되어 진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은 다양성, 상징성, 장식성, 회화성, 암시, 역사주의, 복제된 이미지 등 다수의 양식을 하나의 제품에 혼합적용 시키려는 문화적 접근방식을 사용하고, 상징과 의미회복을 통하여 대중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제품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다국적·다문화·다계층적인 양식의 표현을 즐겨 차용함으로서 문화다원주의와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포스트모더니즘디자인은 이러한 표현특성과 문화다원주의로부터 기인한 ‘미학으로서의 일상’, 나아가 ‘디자이너와 소비자와의 제품을 통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21C에 이르러서 미학 지향 디자인과, 환경파괴와 인간정신의 황폐화 극복에 초점을 둔 사회적 책임 지향의 디자인 양식들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디자이너들이 자신이 지향하는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를 제품 메시지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어 향후 이러한 흐름은 지속적인 진행·발전 되어 질 것으로 고찰 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systematic·academical data for developing theoretical design content corresponding a necessity and demand by our society and consumer in 21C, through researching 21C post-modernism design trend, and analyzing the effect by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on post-modernism design an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post-modernism desig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ferences such as the reports about the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and its connectional origin of post-modernism design, papers about tendency of post-modernism design based on cultural pluralism, journals, and to review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Main scopes and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concept of cultural pluralism, a background on the outbreak of the post-modernism design based on cultural pluralism, a classification and case studies on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 tendencies of post- modernism design by effecting cultural pluralism, and an analysis of main effective factors by cultural pluralism on 21C post-modernism design and their expression on the products. As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Conn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luralism and post-modernism design has been analyzed through symbolism and meaning recovery from the distinguishable expression by multi-nationality·multi-culture·multi-class on the product to make easier understanding for general public. And cultural approaching methods are commonly applied on post-modernism design such as utilizing various styles on the product with multi-valence, symbolism, ornamentation, picturesqueness, allusion, historicism, and copied imagery. Aesthetic-oriented design, and socially-oriented design, which intends to overcome an ecocide and desolation of human spirit, in 21C came from the value of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 and designer through the product`` advanced from ‘elevating the ordinary`` on post-modernism design idea based on cultural pluralism. Further sustainable development in design area is expected by the conveyed messages on the product from the designers who attempts to put their social-valued philosophy on it.

      • KCI등재

        서양(西洋)의 머리형태(形態)에 표현(表現)된 Post-modernism에 관(關)한 연구(硏究)

        안현경 ( Hyeon Kyeong An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02 패션 비즈니스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expressed on western hair styles in the late 20th century.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modernism & the hair styles of that mage and post-modernism & the hair styles of that mage. That will re-illuminate the same beauty worth of same age as to accurate the concept of post-modernism & the hair styles of that mage. And the last, criticizing the post-modernism design and that hair design, helping to find new trend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literature research & analysis of visual materials focus on upper bust image that can know the relationship of modernism & the hair styles of that mage, and post-modernism & the hair styles of that mage. First, the literature research is composed of analysis of theses, magazines on art, clothing and cosmetology having the contents of 20th century western culture, art and hair styles. Second, the analysis of visual materials is composed of analysis of video films, slide films and photographs of books, magazines, and internet home-pages. Modern western hair styles, appeared after 1910`s, is represented as a short cut & permanent wave. That express experimentalism, functionalism, and purism, that is same as the other art`s trend of same age. Post-modern western hair styles, appeared after 1960`s, also show the same trend with same age`s. This summarized & characterized 8 categories; historical method, pluralism, negotiation, escape from the formality, recovery of humanity, ornament, connection with race, metaphor & symbolism. But post-modernism concentrating pluralism makes easy making low quality art and absence of criticism, so this thesis criticised it 5 categories; absence of ideas, absence of the social sense of responsibility, lost of one`s characteristics, decline of skills, decline of worth of usages.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교회교육

        김국환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1 기독교교육논총 Vol.26 No.-

        Many scholars point out Korean churches have passed Church-growth era and just arrived in post-Christian era. The church growth has been declined and Christians’ religious life is getting confused. In this background the researches are required to find out the reason of these phenomena and how Korean churches to cope with those crises.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Post-modernism that is influencing modern society. Post-modernism criticises Christianism’s emphasis of absolute truth, and post-modernism also stresses religion’s universality with the viewpoint of religious pluralism. Also the post-modernism rejects Christian truths, traditions, norms, and they plunge the Christian’s inner values such as faith, hope, and love into the chaotic status. People’s basic existence is based on seeking the stabilization and peace through the trust, but post-modernism rejects absolute truths and values. This notion of the post-modernism has propelled people into the confusing and self-centered status. This post-modernism trend caused the declination of the Korean church growth, devotion, and many negative effects such as seeking the religious pluralisms in the church.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suggested several practical solutions for the churchs and church members. Korean churches should have responsibilities of the churchs, fidelities of the Gospels, and formations of the Christian world view to recover the Christian spiritualities. And new media such as Internet, smartphone, and twitter can be used effectively for seeking the Christian Education. Finally, Church should emphasize the personality training education to take after Jesus Christ. Through this Korean churches can prepare church’s next generations and continue the Church growth. 한국교회는 기독교 성장기를 지나 후기 기독교 시대(post-Christian era)에 접어들었음을 지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 이유는 교회 성장은 감소되고 신앙생활에는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되고 있고 한국교회는 이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후기 현대시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에 연구의 초점을 두어 연구를 하였다. 그 이유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적 종교성을 강조하는 기독교에 대하여 비판적 성향을 취하며 종교다원주의적 관점에서 종교의 보편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기독교의 진리, 전통, 규범 등을 부정함으로 믿음, 소망, 사랑과 같은 영적 가치에 혼란을 유발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인간의 존재방식은 기본적으로 신뢰에 의한 안정과 평안을 추구함에 있는데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진리와 가치를 부정하거나 거부함으로 삶에 희망을 부여하지 못하도록 진리를 의심케 하고 비판케 하며 혼돈을 조성하여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이며 폐쇄적 집단화의 해체주의를 조장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회 문화적 사고의 변화에 의하여 한국교회는 교회성장이 감소하고, 열정과 헌신이 줄어들며 예배인식의 변화와 신앙의 다양성 추구와 같은 부정적 영적 현상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회와 구성원들이 어떠한 역할과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교회의 책임과 복음의 충실성을 추구하는 공교회성의 공유와, 영적 정체성의 회복을 위한 기독교 세계관의 형성과 인터넷, 스마트폰, 트위터와 같은 유비쿼터스의 환경을 활용한 효율적 신앙교육을 모색하였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성품교육을 강화하여 교회와 성도의 정체성을 형성케 하고 이를 통하여 교회의 지속적 성장을 조성하여 다음 세대를 준비할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Post-postmodern Theories, Modernism Redux and the Post-Postmodern Framework

        ( Youngchul Suh ) 한국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 영문학 Vol.66 No.1

        Since the 1990s, postmodernism has undergone the distinctively visible changes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and digital technology, as some theorists and critics claim that postmodernism is dead. Consequently, they have proposed many post-postmodern theories on this issue: remodernism, neomodernism, trans-postmodernism, performatism, altermodernism, digimodernism, metamodernism, transmodernism, and post-postmodernism not as a comprehensive term but as a cultural theory. As revealed from the rise and development of post-postmodern theories, they emerge as a result of the return to modernism. Therefore, modernism redux is examined to discover how it interacts with postmodernism in each theory: the return to modernism; and the integration or synthesis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this context, metanarratives, one of the modern attributes, work as a common factor in the post-postmodern theories. From this study in terms of metanarratives, the post-postmodern framework, while echoing Charles Jencks’s critical modernism and Philip Galanter’s complexism, is expected to reach the goal of unveiling how the modern and postmodern attributes are integrated and synthesized into a new cultural entity on a new dimensional stage through interaction at the time of a paradigm shift. In consequence, the post-postmodern framework is revealed as an evolutionary system where the modern and postmodern attributes operate to create post-postmodernism, a new 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mechanism of evolutionary process within the post-postmodern framework will continue to shape the cultural sensibilities years to come.

      • KCI우수등재

        Post-postmodern Theories, Modernism Redux and the Post-Postmodern Framework

        서영철 한국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 영문학 Vol.66 No.1

        Since the 1990s, postmodernism has undergone the distinctively visible changes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and digital technology, as some theorists and critics claim that postmodernism is dead. Consequently, they have proposed many post-postmodern theories on this issue: remodern�ism, neomodernism, trans-postmodernism, performatism, altermodernism, digimodernism, metamodernism, transmodernism, and post-postmodernism not as a comprehensive term but as a cultural theory. As revealed from the rise and development of post-postmodern theories, they emerge as a result of the return to modernism. Therefore, modernism redux is examined to discover how it interacts with postmodernism in each theory: the return to modernism; and the integration or synthesis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this context, metanarratives, one of the modern attributes, work as a common factor in the post-postmodern theories. From this study in terms of metanarratives, the post-postmodern framework, while echoing Charles Jencks’s critical modernism and Philip Galanter’s complexism, is expected to reach the goal of unveiling how the modern and postmodern attributes are integrated and synthesized into a new cultural entity on a new dimensional stage through interaction at the time of a paradigm shift. In consequence, the post-postmodern framework is revealed as an evolutionary system where the modern and postmodern attributes operate to create post-postmodernism, a new cultural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mechanism of evolutionary process within the post-postmodern framework will continue to shape the cultural sensibilities years to come.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시대에서 老佛사상과 그 철학의 정립

        김형효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韓國學論集 Vol.40 No.-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여러 점에서 대조적이다. 모더니즘은 이성의 중심주의로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세상을 소유하려는 사상을 말한다. 그 점에서 모더니즘은 소유주의적이라고 불러도 괜찮겠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소유보다 오히려 존재하는 세상을 그대로 존재하도록 인정하고 노닐도록 도와주는 그런 모습을 지닌다. 그래서 두 세상보기의 차이를 능위와 무위로 읽어도 좋겠다. 그런 점에서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과 신라의 미륵반가사유상은 각각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각각 자아의 사유와 무자아의 사유인 그것의 사유로 읽어도 괜찮다고 보여 진다. 포스트모더니즘적인 그것의 사유는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그것은 이중긍정의 사유와 이중부정의 사유다. 이중긍정의 사유를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차연의 사유라 부르기도 하고 또 상관적 차이의 사유라고 말하기도 한다. 단적으로 이중긍정의 사유는 의타기적인 사유의 다른 명칭이다. 의타기적인 사유는 명사적이고 실체적인 사유를 부정하는 상관관계의 사유로서 하이데거가 말하는 비존재자적인 사유와 맞먹는다. 이런 사유는 불교와 노장적인 사유로서 일찍이 동양에서 널리 애용되어 온 사유인데 그동안 유가의 주자학적 도덕주의의 사유에 밀려 제대로 평가받지 못해 왔다. 이중부정의 사유는 이중긍정이 이원론적 사유방식으로 미끄러지지 않게끔 하는 그런 중요성을 지닌다. 왜냐하면 이중부정의 초탈이 없는 이중긍정은 자칫 이원론적 사고로 고착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중 부정적 초탈의 사유도 이중긍정의 입장이 무시되면 그 이중부정은 자칫 허무주의로 흐를 위험성을 갖게 된다. 이제 한국철학은 이 이중긍정과 이중부정의 사유를 다시 부활하는 지혜를 일깨워야 한다. 자기중심적 자아의 사유에서 무아의 사유로 사유장소를 변경해야 한국철학이 문명의 전환기에 살아남는다. 즉 대학의 철학이 종래처럼 메마른 강당철학의 교설을 버리고 생명의 살아있는 지혜를 터득하는 방향으로 철학의 방향을 틀어야 한다.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e in every aspects contrastive. Modernism is a kind of thinking way to possess materially and spiritually the world by means of ratio-centrism. The case being so, modernism may be said possessionism. On the contrary Post-modernism will recognize the world as it is and tends to admit the world to play as it desires. Therefore we can say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two philosophical attitudes as action and non-action. In these points we may say the Rodin's thinker and the Maitreya's meditator as the respective symbols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is means that those symbols correspond separately to Ego's thought and Egoless thought which could be interpreted 'It thinks'. The Post-modern philosophy of 'It thinks' is divided into two forms of thinking way: double affirmation and double negation. The thinking way in double affirmation is also called like a thinking of differance or of pertinent difference in Post-modern words. Simply to speak, the thinking way of double affirmation will be proceeded into the nature of every thing happened trusting on another in Buddhistic terminology. This thinking wa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very thing happened trusting on another corresponds to view only pertinent relation, denying substantial and nominal way of thinking. What is close to Heidegger's non-ontic thinking, namely ontological thinking. This kind of thinking is very close to taoistic thinking which has been very familiar in far East Asian tradition, but unfortunately it has not been fully estimated by Chu Hsi's moralistic tradition. The thinking of double negation prevents that the double affirmation is sliding to dualistic thinking. For without the detachment resulted from double negation, the double affirmation should be almost fixed into the two dualistic types of thoughts. And the thought of detachment by double negation would be dangerously come to nihilistic mentality, if double affirmation is neglected. In conclusion Korean philosophy has to awaken in her culture the mentality of both double affirmation and double negation, and its wisdom. Korea will continue in prosperity on a turning point in history, by changing thinking place from Ego's thinking to Egoless thinking. Korean philosophy must leave resolutely her dry scholastic philosophism in revolving philosophical orientation to acquire ontological and practical wisdom of life.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키워드로 분석한 에이프릴 그레이만의 조형언어 연구

        박지연 ( Park Ji Yeon ),손소영 ( Son So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현대 디자인이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에이프릴 그레이만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고 미국적인 포스트모더니즘을 구성하는 기초가 되었다. 아무도 손대지 않았을 때 처음 시도한 그녀의 어법은 임의적이고 우스꽝스러워 보였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그레이만의 미국식 포스트모더니즘의 구조는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것이었으며, 온갖 정보를 담은 시각 메시지들은 더 지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그레이만의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창작 활동에도 불구하고 문학이나 건축 등의 분야와 달리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이론적인 형식이나 철학을 아직 갖추지 못한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 이에 본 논문은 모더니즘과 확연히 구별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키워드를 도출해 내고, 그 중 그래픽 디자인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5가지 키워드를 토대로 그레이만의 작품에 나타나는 조형언어를 분석해 보았다. 그레이만의 작품에 나타난 조형언어를 살펴보면,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기본이 되는 명제라 할 수 있는 `주관성의 극대화`이다. 둘째, 해체주의 디자인적 맥락인 `탈중심성`이다. 셋째, 정보의 명확한 전달이 목적이었던 모더니즘과 반대로 대두되어 나타난 `모호성의 개념`이다. 넷째, 컴퓨터의 출현으로 가능해진 중첩에 의한 `공간성의 표현`이다. 다섯째, 모든 가능성을 작품으로 끌어들인 `다원적 효과`들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레이만의 조형언어들은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미국식 포스트모더니즘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디자인 도구의 변화 흐름에 따라 다양한 실험적, 독창적 작품 세계를 펼쳐나간 실험정신과 작가 정신에 존경을 표한다. 또한 21세기 후대 작품들에 영감을 준 하이퍼매개의 원형으로서, 그레이만이 현대 그래픽디자이너들의 작품에 미친 구체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As modern design stepped into digital age, April Greiman explored a new area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American style of post-modernism. When her dialogue was used first, it appeared arbitrary and ridiculous. However, it was because it was attempted first without any other`s touch. Since mid-80s, the structure of Greiman`s American style of post-modernism was a new one which no one had ever thought of, and the visual message containing all types of information was more intellectual. However, in spite of unique and innovative creative works of Greiman, it is very unfortunate that they did not establish theoretical forms or philosophies that can be defined clearly unlike such areas as literature and architecture. Thus, this study derives out the keyword of post-modernism distinct from modernism, and analyzed the figurative languages found in Greiman`s works based on the 5 key words among them which are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in graphic design. To look at the figurative languages in Greiman`s works, the first thing we can notice is `maximization of subjectivity` which is the basic proposition of post-modernism. Second, `de-centering` in the context of deconstructivistic design. Third, `concept of ambiguity` which appeared in opposition to modernism with its purpose of clear delivery of information. Fourth, `expression of spatiality` by overlapping which became available with the advent of computer. Fifth, `multi-dimensional effects` which induce all possibilities into the work. Such Greiman`s figurative languag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sitioning of American post-modernism in graphic design field. The present researcher hopes that there would be various figurative analyses on the modern designers` works, expressing respect to Greiman`s experimental mind and authorship in her unique and experimental works along with the changes in design tools.

      • KCI등재후보

        포스트모더니즘 애니메이션 연구

        이혜원(Lee, Hye-Wo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7 애니메이션연구 Vol.3 No.2

        오늘날 우리는 개혁의 문화 속에서 살고 있다. 기술의 발달과 매체의 변화는 이전 특정 집단에만 머물러있던 변화의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모더니즘의 단일성과 보편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성과 상대성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런 현사회의 특성과 현황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문화의 중심에 서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문화를 반영하는 척도로서 비판적이고 리얼리즘적 성격을 띠는 대중문화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현시대를 미디어의 문화라고 규정지었을 때 대중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애니메이션은 사회를 반영하는 중요한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대중의 오락은 물론 예술표현의 한 장르로서 그 재현과 연출에 한계가 없고 다양한 실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바로 이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그 안에서 활용되고 포스트모더니즘 현상의 원인과 특성을 살펴보면서 현 사회의 문화 흐름과 상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러기위해 다양한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실험적이고 작가주의 성격이 다분한 유럽 단편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작품에서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문화의 지배적인 담론과 현상들을 어떤 방식과 표현으로 전달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해 사회현상을 반영하는 이데올로기의 특성들이 어떻게 애니메이션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또한 그 이데올로기가 드러난 현상의 원인들과 비판적 시각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현시대를 반영하는 분석대상의 문화로서 애니메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해석하는 새로운 시각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될 것이다. Today, we are living in the culture being reform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hanges of medias enable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Human society now break the standards-value from modernism and have a concern about the differences of plurality and relativity from post-modernism.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characters of our culture, we have to study how post-modernism has been used in the culture at the center of a society. Among them, the critical and realistic characters of the popular culture have a close association with the post-modernism. Especially the cultural near to media and that can be the reason the why we have to think that the animatio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and a reflection of society. The animation is popular entertainment and its artistic representation as a genre of art has no limits of a various experiments related to the post-modernism. This study will search that how the post-modern characters is used in animation and the phenomenon of post-modernism of our society shows the cultural trends and the current situation. For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post-modern things from Europe shortanimations that has a experimental and creative characteristic among a various animation and explore how the post-modernism animations express the dominant discourse and representation of the society and the cultural phenomenon. Researchers in this thesis try to look at the way to use the ideology which reflect the social phenomena in animation and also explore the critical vision of the phenomenon revealed from the post-modern animation. It will be a effort to build a vision of animation as the target to reflect the cultural and als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visual interpretation by animation.

      • 예수교장로회 조선총회 100년을 돌아보며 : 한국의 근대화와 한국장로교회: 회고와 전망

        장동민 ( Dong Min Jang ) 한국장로교신학회 2012 장로교회와 신학 Vol.9 No.-

        본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한국장로교회가 한국의 역사에, 내용적으로 말하자면, 한국근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선교사가전하여준 복음을 받은 한국 기독교는, 복음과 더불어 근대정신을 공유하게 되었다. 미국 개신교가 가진 근면과 금욕의 덕이 자연스럽게 한국 기독교에도 정착되어 자본주의를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근대 과학을 가능하게 한 세계관이 미신적인 세계관을 대치하였다. 봉건적 신분제도를 타파하는 데도 기독교는 큰 공헌을 하였고, 민족주의가 정착되도록 하였다. 기독교=근대화라는 등식이 성립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 기독교를 비판하는 사람들의 주된 관점 가운데 하나가 한국 기독교가 한국 역사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했다고 하는 것인데, 이에 대한 응답인 셈이다. 둘째는 정말 한국 기독교(장로교)가 한국 역사의 발전에 기여한 것이 사실이라고 하면, 왜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는 것이다. ① 한국 장로교회는 기독교의 영향력을 사적인 영역으로 혹은 부드러운 방법으로 제한시켰다. 점차로 정교분리의 논리가 힘을 얻어 보수적장로교회 내에서 민주화나 노동문제, 통일이나 환경 등의 공적인 영역에서 담론을 형성해 내지 못하게 되었다. ② 신학적인 이유이든 사회학적 이유이든 장로교가 분열되어 극심한 반목과 대립 가운데 있었던 것이, 신학적으로 진보적인 장로교가 정치적으로 진보적이 되게 하였고, 신학적으로 보수적인 장로교가 정치적으로도 보수적이 되게 하는 데 일조하였다. ③ 기독교가 근대화에 기여한 바가 많을 뿐 아니라, 한국기독교가 근대정신의 상당부분을 수용한 지금, 근대화 자체를 싫어하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The goals of this thesis are two: First, to demonstrate that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s given large influences to Korean history, namely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e Korean church, having received the gospel transmitted by the American evangelical missionaries, came to share the modernist mentality with them. The virtue of diligence and temperance of the American Protestantism became a part of the Korean church, providing the spirit of Capitalism. Scientific worldview replaced superstitious worldview, prevalent among the ancient Koreans. Western Christianity made contribution to the breaking down the feudalistic status system and to the rising of modern nationalis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Christianity equals modernization among many Koreans. Second goal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answer to the question: if all the contributions of Christianity to Korean society are true, why so many scholars and the Korean people do not feel that way? It is because, ①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s limited Christian influence only to the private realm or personal ethic.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banned the formation of discussions itself such as democratization, the labor union,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r the environment issues. ② The schism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between right-wing and left-wing helped theologically liberal church to become politically liberal, and theologically conservative more conservative in the political sphere too. ③ Now that Western Christianity gave a lot of influences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and that the Korean church accommodated considerable amount of the modernist spirit, so-called post-modernism made an appearance in the Korean society. The latter criticizes modernism in many ways: it brings to the fore a dark side of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it tends to regress to the ancient Oriental worldview denying modern scientific worldview, it blames Christianity for the discrimination against non-Christians and homosexuals and it even dislikes patriotism. In short those who do not like modernism do not like Korean Christianity, since the latter has everything the former has. Through the discussion of modernization and Christianity in Korea, the tasks of the Korean Presbyterians’ social engagement. First, they have to find a way to engage social matters in the time of ‘secularization’ and to integrate the conservative and the liberal, theologically and politically. Second, they have to cope with the challenge of post-modernism which blames Christianity for all the modernist acid. They have to reconsider the equality that Christianity equals modernism: on the one hand acknowledging the universal and biblical values modernism brought, but on the other hand seeing the wrongs of modernism with critical eyes. The goals of this thesis are two: First, to demonstrate that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s given large influences to Korean history, namely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e Korean church, having received the gospel transmitted by the American evangelical missionaries, came to share the modernist mentality with them. The virtue of diligence and temperance of the American Protestantism became a part of the Korean church, providing the spirit of Capitalism. Scientific worldview replaced superstitious worldview, prevalent among the ancient Koreans. Western Christianity made contribution to the breaking down the feudalistic status system and to the rising of modern nationalis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Christianity equals modernization among many Koreans. Second goal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answer to the question: if all the contributions of Christianity to Korean society are true, why so many scholars and the Korean people do not feel that way? It is because, ①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s limited Christian influence only to the private realm or personal ethic.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banned the formation of discussions itself such as democratization, the labor union,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r the environment issues. ② The schism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between right-wing and left-wing helped theologically liberal church to become politically liberal, and theologically conservative more conservative in the political sphere too. ③ Now that Western Christianity gave a lot of influences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 and that the Korean church accommodated considerable amount of the modernist spirit, so-called post-modernism made an appearance in the Korean society. The latter criticizes modernism in many ways: it brings to the fore a dark side of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it tends to regress to the ancient Oriental worldview denying modern scientific worldview, it blames Christianity for the discrimination against non-Christians and homosexuals and it even dislikes patriotism. In short those who do not like modernism do not like Korean Christianity, since the latter has everything the former has. Through the discussion of modernization and Christianity in Korea, the tasks of the Korean Presbyterians’ social engagement. First, they have to find a way to engage social matters in the time of ‘secularization’ and to integrate the conservative and the liberal, theologically and politically. Second, they have to cope with the challenge of post-modernism which blames Christianity for all the modernist acid. They have to reconsider the equality that Christianity equals modernism: on the one hand acknowledging the universal and biblical values modernism brought, but on the other hand seeing the wrongs of modernism with critical eyes.

      • KCI등재

        재일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에세이(글쓰기)에 나타난 민족주의/탈민족주의

        권성우(Kwon, Seong-Woo)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이 논문은 대표적인 재일 디아스포라 에세이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강상중과 서경식의 글쓰기에 나타난 민족주의/탈민족주의에 대해 탐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들의 에세이와 학술서는 한국에서 다수 번역되었다. 강상중과 서경식의 글쓰기는 한국사회에서 많은 독자를 얻었으며, 지식사회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들이 한국 언론에 발표하는 칼럼이나 에세이는 한국어로 발표된 어떤 학자의 글 못지않게 한국사회와 현실에 대한 예리한 진실과 서늘한 통찰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 사회의 경계인과 소수자에 대한 깊은 공감과 연대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강상중과 서경식의 사유와 관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민족주의/탈민족주의에 대해 치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내셔널리즘』을 비롯한 강상중의 에세이와 저서에는 곳곳에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에 대한 사유가 인상적으로 스며들어가 있다. 그는 민족주의가 발흥하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지켜보면서 탈민족주의적 입장에 깊은 공감을 보내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이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같은 사상은 강상중이 현실을 바라보는 중요한 이론적 잣대와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의 글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비롯한 포스트주의의 한계에 대한 성찰이 빠져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서경식은 탈민족주의나 포스트모더니즘이 득세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비판적이다. 그는 탈민족주의의 주장에 공감할 점과 보편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러한 사상이 여전히 필요한 민족해방운동이나 민족주의의 저항적 요소를 지우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서경식은 일본 지식사회에 팽배한 탈민족주의가 궁극적으로 일본의 자기중심적 민족주의에 대한 객관적 성찰을 보여주기 보다는 일본사회에서 배제되고 억압받는 재일조선인을 비롯한 소수자의 저항을 막는 방편으로 변질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evidence of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in the writings of Kang Sangjoong and Seo Kyungsik, who are, at present, working as representative essayists in diaspora. Their writings have been widely translated into Korean, have gained a large number of readers in the Korean society, and have exerted great influence on intellectua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viewpoints of Kang and Seo, it is necessary to examine closely the theme of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in their writings. In Kang’s essays, there are impressive speculations on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Furthermore, he deeply empathizes with post-nationalism while taking a critical view of nationalism. Post-modernism and post-colonialism are important theoretical criteria that Kang Sangjoong sees the realities with. In his writings, there is a lack of reflection on post-modernism and post-nationalism. Seo Kyungsik is critical of the reality where post-nationalism and post-modernism are expanding their power. Moreover, he thinks that there are some parts about post-nationalism that can be empathized with. However, he has determined that such allegations extinguish the resistant elements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nationalism. Seo emphasizes that post-nationalism, which is prevalent in Japanese society, ultimately has been degenerated into a means of preventing minority resistance rather than conducting reflection on Japanese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