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현황과 발전과제

        김영래(Kim, Young-rae) 한국NGO학회 2003 NGO연구 Vol.- No.1

        본 논문은 21세기를 맞이하여 학계는 물론 일반시민들로부터 가장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한국시민사회의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과제를 고찰하고 있다. 최근 사회를 ‘시민사회의 시대’라고 지칭할 정도로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최근 개최된 각종 국제회의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의 영향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시민운동은 2000년 4월 총선에서 부패 무능 정치인들의 낙선운동을 전개한 ‘총선시민연 대’ 활동과 더불어 발전하였으며, 2002년 12월 19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 서도 한국 비정부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들은 ‘2002 대선유권자연대’를 결성, 정책과제 발굴, 대선자금공개, 공명선거캠페인 활동을 전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NGO의 이론적 배경과 발전요인 등을 고찰하고, 한국의 사례에 주목하여 1980년대 중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출범과 더불어 그 후 참여연대 등으로 상징되는 한국 시민사회의 중요한 행위자로서 NGO의 성장, 발전과정을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주로 2003년 한국민간단체총람에 수록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가지고 한국NGO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21세기는 국가를 중심으로 하는 공공영역도 아니고, 또한 이윤 추구를 중심으로 하는 사적 영역도 아닌 제 3의 영역인 NGO가 중심 되는 사회가 될 것임으로 NGO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해야 된다. 대중의 기반을 둔 NGO, 시민사회의 대변자로서 NGO, 민주적 정치과정의 확립, NGO의 자율성 제고 등이 요구된다. 또한 NGO는 정부와의 지속적인 제도적 연계망을 구축하여야 되며, 신뢰성을 일반국민들로부터 유지 하기 위하여 철저한 투명성과 높은 수준의 도덕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정보 사회의 등장에 따른 네트워크의 확대를 통한 국제적 연계활동의 강화와 협력 체제의 구축도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the global community is to more concern about the growing influencing power of citizen’s groups. 21st century, so we called, is to be ‘age of civil society’ or ‘ag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increasing concern on ‘activities of citizens’ groups including NGOs would be a global phenomena. In Korean government and other foreign governments it is natural for NGOs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such as environment, political reforms, and consumer problems, and others. In Korea, public interest groups such as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and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have been much influenced in electoral process and other policy-making process. So the paper mai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tasks of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There seems to be no doubt the increasing citizens’ power in many areas such as political, economic , and social spheres. In conclusion, the paper proposes some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NGOs. In particular, the paper suggests increasing of the grassroots organizational ties with citizens, democratic leadership, strengthening networks both internal and external groups, professional knowledges in policy-making, and transparency of decision-making process and finance.

      • KCI등재

        시민사회 그리고 NGO NPO의 개념: 공공성을 중심으로

        김상준(Kim, Sang-jun) 한국NGO학회 2003 NGO연구 Vol.- No.1

        이 글은 ① 시민사회와 NGO NPO의 개념을 둘러싼 혼란의 원인을 규명 하고 시민사회 개념의 올바른 내용과 위상을 밝히며, ② 공공성(publicness) 에 관한 이론적 토론을 통해 NGO NPO의 활동규범과 분류기준을 제시한다. 최근 NGO연구자와 활동가들 사이에 NGO는 진보주의적 정치단체로 한정하여 보고 NPO는 비정치적 사회서비스 단체로 한정하여 보는 경향이 존재한다 (배타적 경향). 아울러 시민사회의 국가 및 시장으로부터의 분리성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경향도 존재한다(분할적 경향). 이 글은 이 양 경향의 이론적 취약성과 실천적 빈곤함을 지적한다. NGO와 NPO는 모두 정부기관과 기업을 제외한 시민사회의 일체의 자발적인 공적 결사체(voluntary civil association) 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 양자는 개념적으로 동일하다. NGO와 NPO를 협소하게 한정하여 이해하는 경향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전지구적으로 널리 관찰된 반권위주의 민주화운동의 시민사회론과 반복지국가 신자유주의 시민 사회론의 영향 아래 발생하였는데, 이 양 경향은 시민사회의 원래의 개념이 가진 포괄성과 망라성을 자신의 정치적 경향성에 맞추어 재단하고 축소하였 다. 이 글은 NGO NPO 활동의 규범적 기준으로 공공성을 강조하며, 이러한 의미에서의 공공성의 개념을 하버마스와 롤스의 이론을 원용하여 한 단계 구체화시킨다. 아울러 이렇듯 추출된 공공성의 기준(직능적/사회적 공공성, 국가 적/초국가적 공공성)은 NGO NPO 활동의 규범적 가이드라인이며 동시에 극히 다양한 NGO NPO의 유형분류 기준이 되기도 함을 보인다. Should NGOs be confined to leftist political associations and NPOs to non-political social service groups? This essays criticizes the positions that tend to narrow the scope of NGOs and NPOs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preferences. Neoliberals prefer the term NPOs and like to confine them to non-political social service groups; on the other hand, progressive groups tend to limit NGOs to progressive and political civil associations. Conceptually, however, NGO and NPO are actually the same, meaning all kinds of voluntary civil associations within the area of civil society. This essay stresses the critical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publicness for the normative standards of NGO NPO actions. Referring to John Rawls’ distinction between “the rational” and “the reasonable”, this essays argues that central character of the concept of publicness is the notion of “the reasonable”. This essay also outlines typological distinctions between vocational/social publicness and national/ transnational publicness, which can be used for the typology of NGO/NPO.

      • KCI등재

        NGO의 기업에 대한 영향력 연구 : 그린피스의 쿨IT 캠페인을 중심으로

        황세정,이태동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4

        Why and how do NGOs influence business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mechanism of NGO's influence on business. We argue that ranking evaluation as a mechanism of information politics affects business behavior.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NGO-business relations and information politic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Greenpeace Cool IT Campaign in Korea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Greenpeace urged IT companies including Naver and Samsung SDS to use renewable energy. In the renewable energy adoption ranking report by Greenpeace, Naver, which joined the campaign, was ranked high, while Samsung SDS was ranked low as it refused to campaign and information disclosure. However, years later, Greenpeace ranked Naver low due to no additional action, while ranked Samsung SDS high due to behavioral change such as additional renewable energy adoption and information disclosure. This analysis shows that ranking evaluation is an information politics strategy to affect business behavior change. This stud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contributes to the studies of NGO politics by analyzing empirical cases of NGO influence in NGO-business relations. 왜 그리고 어떻게 NGO는 기업의 활동에 영향을 끼치는가? 본 연구는 NGO의 기업에 대한 영향력―NGO의 주장과 활동에 따라 기업의 행동이 변하고 이후 파급효과로 지속되는 것―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은 NGO의 정보 정치 전략 메커니즘인 순위 평가가 기업의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NGO-기업 관계의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그린피스의 쿨IT 캠페인 사례를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그린피스(Greenpeace)는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업의 재생가능에너지 사용을 촉구하며, 주요 타겟으로 네이버와 삼성 SDS를 선정했다. 그린피스가 조사 발표한 보고서에서 네이버는 캠페인 동참으로 상위권이었지만 삼성 SDS는 응답거부로 하위권이었다. 이후 네이버는 목표 실천을 위한 추가 조치가 없는 등 행동 변화가 없었지만, 삼성 SDS는 재생가능에너지 사용을 사칙에 넣는 등 행동 변화가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그린피스의 순위 평가가 기업의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논증하였다. 본 연구는 NGO-기업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NGO영향력의 경험적 사례 분석을 통해 NGO의 역할에 대한 정치학 연구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KCI등재

        NGO 활동가의 대북 인도적 지원 경험의 본질과 의미 : 눈 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너머를 향해’

        박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lues of NGO activists who gav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the problems and obstacles NGO activist face, relationships among the stakeholders in both Koreas, and NGO activists’ response to North Korea(N.K.), focusing on the humanitarian assistance to N.K. of NGO in South Korea(S.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ve NGO activists providing humanitarian assistance to N.K.. This study applied a phenomenological method of analysis derived from Giorgi(1997). NGO activist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K. had essence of practical experience, for instance, common structure of《a boarder, between and beyond with unstoppable mind》. The first subject of [communication at boundary place] described experiences NGO activists met North Korean officials. The second subject of [overcoming obstacle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K.] described obstacles of assistance to N.K.. The third subject of [a border, between & beyond] described NGO activists' challenges not only in N.K. but also in the society in S.K. and attitudes, strategies and roles of counte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several points that require in-depth understating in actual field have been stressed in the conclusion, considering relevant social issues and theories. 본 연구는 적대적인 남북관계 속에서 극심한 경제난으로 북한 주민들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삶이 위협받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북한 주민을 돕기위한 한국 개발 NGO의 대북 인도적 지원에 주목하고, 향후 대북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방북 횟수 평균 60회 이상, 사업경력 4년 이상의 한국 개발NGO 활동가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활동가 경험의 본질은《눈 감을 줄 모르는 마음으로 ‘경계, 그 너머(Between & Beyond)를 향해’》이며, 중심의미는 ‘경계적 위치에서의 소통’, ‘대북 인도적 지원의 장애물 넘기’, ‘경계, 그 너머를 향해’로 도출되었다. 대북 인도적 지원 현장 활동가가 표방하는 가치, 문제와 장애물, 한국과 북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 활동가의 대응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대북지원 사업을 위해 정부 정책적 차원, 조직적 차원, 활동가 교육훈련 차원의 개입과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지역 시민단체의 활동역량에 관한 비교연구: 대전, 대구, 광주지역 주창형 NGO의 활동차이를 중심으로

        금홍섭(Hong-Seoup Keum),이은구(Eun-Ku Lee) 한국NGO학회 2016 NGO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역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 해보는 것이다. 특히 대전, 대구, 광주지역의 NGO의 성장과 활동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조망해보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 지역NGO의 성장과 활동과 관련한 역량은 지역사회 전반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결과로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했다. 특히 지역NGO활동 역량에 대한 범주화된 각 변수에 대한 검증 결과, 전체적으로 지역NGO활동 역량에도 적지 않은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테면 대전과 대구, 그리고 광주지역NGO의 경우 사례연구에서 뿐만이 아니라, 지역 NGO의 성장과 활동에 적지않은 차이가 확인이 되었다. 다만 대구지역의 경우 지역전체 NGO가 아닌 대구참여연대로 국한했을때는 대구지역 전체의 NGO의 성장과 역량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이들 세 지역NGO에 대한 변수검증 결과 에서도 대전, 대구, 광주지역 간에 지역NGO의 형성과 성장에 확연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역사회의 재구조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더불어 지역NGO 스스로 끊임없이 자각하고 바람직한 역할 모색을 통해 성장・ 발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local NGOs. For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case studies focusing the advocacy NGOs in Daejeon, Daegu, and Gwangju. The study finds out that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NGOs of the concerned are influenced in common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ocieties. The study also finds out differences in the growth and activities of the concerned local NGO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variables(internal capacity, governance capacity, institutional capacity) are able to confirm a clear difference in the growth and formation of NGOs. The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local NGOs coupling with the local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local NGOs in Korea.

      • KCI등재

        NGO-지방정부간 파트너십 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이자성(李子成)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1

        지방분권 및 지방화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지방정부와 NGO간 파트너십 구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NGO 활동에 제약이 많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NGO참여 관련 제도 및 정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NGO 및 공무원은 파트너십 형성 및 구축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을 활성화시기 위해서는 두 집단간의 파트너십에 관한 인식과 운영의 양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에 대해 상호간에 어떻게 인식하고 실제 운영하는지를 분석하고 파트너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인식관점에서 파트너십형성, 지역NGO 종합지원, 정보제공 및 획득을 보고, 운영관점에서 정책참여, 협력ㆍ연계, NGO 지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NGO와 경상남도공무원 5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분석내용은 SPSS 15.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t-test,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파트너십 인식 분야는 NGO와 지방정부간 파트너십 형성에 있어 두 집단 모두 인식이 낮고, NGO종합기관 필요성에 대해 공무원은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정보제공 및 획득 용이성은 모두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파트너십 운영 분야는 두 집단 모두 현재 참여형태는 의제형성과정에 간담회ㆍ공청회ㆍ토론회 등의 의견제시 등의 참여방식이 많고, 협력ㆍ연계분야는 상담ㆍ교육ㆍ홍보ㆍ캠페인에 집중되어 있고, NGO 지원형태는 금전적ㆍ재정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첫째, 다양한 정책참여 통로 확보 및 참여단계 확산이다. 둘째, NGO가 정책 및 시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공개 확대와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산뿐만 아니라 교육, 운영, 활동에 대한 종합적인 NGO중간지원기구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NGO 유형별 파트너십 인식격차 완화, 협력기회 및 분야의 확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통일 NGO의 조직 평가를 통한 역량 강화 방안

        배한동 ( Han Dong Bae ) 대한정치학회 2011 大韓政治學會報 Vol.19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 통일 관련 NGO의 그동안의 활동과 역할은 통일 관련 시민 단체의 조직 역량의 낙후성이나 취약성과 무관치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그 조직 역량을 평가하고 해법을 찾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통일 관련 NGO는 조직의 구성면에서의 회원들의 폭넓은 참여를 확보하지 못하고, 재정의 자립도는 취약하여 정부의 보조금에 상당수 의존하고, 이념의 지 나친 대립, 조직 간의 과당 경쟁, 시민 사회의 신뢰 부족 등으로 활동상의 한계가 노출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의 통일 NGO가 해결해야할 과제는 시민들의 보다 폭넓은 참여 유도, 사업의 지속성을 위한 재정의 자립성 강화, 시민 단체의간의 이념 갈등의 극복 문제, 활동이나 사업의 과당 경쟁 방지 등의 구체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 관련 NGO의 자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자구적 노력이 선행 될 때 그들의 활동과 역할은 더욱 활성화 것이다. T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organizational competence of reunification NGO to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being based on critical mind that the roles and activities of the NGOs concerning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re not irrelevant with their backwardness and structural vulnerability.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ssessed the competence of NGOs on 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and finance, by carrying out the survey of the autonomy of organization, ideological tendency, solidarity, and the credibility of organization etc. There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the members of reunification NGO have not participated out of their own free will. Also it found that not only the scale of participation was too small, but also the diverse members didn`t joined the organization. Most organizations have relied on government subsidies due to the weakness of the self-reliance ratio of finance. Furthermore, the limitations of the competence of NGOs have been exposed by showing ideological confrontat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getting intensified, increasing serious competition among NGOs, repetitious work done by different departments, the lack of confidence in the civil society. To improve these problems, reunification NGOs should provide the countermeasures that extensively induce public participation and enhance the self-reliance ratio of finance. They have to make every effort to cope with ideological conflict, and to prevent excessive competition among NGOs as well. First of all, reunification NGOs should exert themselves to enhance their competence, improving their roles and functions.

      • NGO 네트워크의 성공과 실패 요인분석- 반빈곤 · 이주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오수웅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다문화사회연구 Vol.5 No.2

        This article aims to extract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and the failure of networks among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I)NGO) by analysing empirical cases. In doing so, the concept of network is revisited and varying types of partnership-relationship examined. Secondly, some cases of networks especially in the activity fields of Anti-Poverty and Immigration where two Korean (I)NGO have entered, are investigated. ['Good neighbors International', the other is 'The refuge pNan']. The analysis suggests the followings key points as important. First, size of an organization. Here, the size not only includes finance, accounting, and information exchange for local NGO, but also the extension and bureaucratization of an organization for INGO as well. Second, responsibility to a donor in partnership. Third, person-oriented networking which greatly influences the changeability of a network. Lastly, the activity fields of NGO. For regional INGO, broader and diversified activity fields can lead to a separation within a field. In conclusion, this article argued that all networks amongst (I)NGO, when they are based on the proper partnership, could serve to promote democracy of global governance when these factors are properly controlled. 이 글의 목적은 NGO 네트워크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사례분석을 통해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네트워크 개념을 정의하고 파트너십과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한국 NGO들의 반빈곤⋅이주 지원사업의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국제 NGO로서 굿네이버스 인터내셔날을, 지역 NGO로서 피난처를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NGO의 조직규모이다. 이는 재정 및 회계와 정보교환의 문제는 물론 NGO의 조직 규모의 확대와 관료화라는 특성을 포함한다. 둘째, 기부파트너에 대한 부담감이다. 이는 NGO의 자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NGO의 인물중심 네트워킹이다. 이는 네트워크의 가변성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NGO의 활동영역이다. 국제NGO의 경우 활동영역의 확대와 다양화가, 지역NGO의 경우 활동영역의 분화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글은 NGO사이에서 형성되는 모든 네트워크는, 상기한 네 가지 요인들이 적절하게 통제될 때 그리고 적절한 파트너십에 기초할 때, 글로벌 거버넌스의 민주성을 증진시키는 데에 보다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KCI등재

        여성NGO의 역할과 조직의 자율성 간의 관계 연구

        김희경(heekyo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5 No.4

        본 연구는 NGO 조직의 개념적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공공성에 주목하고, 여성NGO 조직이 이러한 공공성을 확대해가는 역할과 활동목적이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설문조사 및 인터뷰조사 자료를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NGO 조직의 주요 활동목적들이 인적, 재정적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적 자율성의 경우, 취약계층 여성의 복지증진과 인권증진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와 상근 활동가의근속연수,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활동은 월평균 회원 수, 공동체 풀뿌리여성운동은 비상근 활동가의 근속연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재정적자율성의 경우,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를 위한 활동들은 조직이외부의 간섭이나 의존 없이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를 뒷받침하는자율적 예산규모가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직의 자율적 예산규모중에서 여성의 경제적 자립 및 경제역량 강화, 여성의 건강권 확립을 위한활동들은 후원금 비중, 공동체 풀뿌리 여성운동은 회비 비중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여성NGO 조직의활동들이 활동기반이 되는 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확장되거나 제약받을 수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publicness as the fundamental role and function of NGO and aims to explore the enlargement of the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f women NGOs in Seoul to analyze women NGO’s fundamental role and autonom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omen NGOs pursue the publicness role through support activities for vulnerable social group and encourage the volunteerism of women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However, lack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are challenges to the women NGO’s fundament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women NGO’s autonomy influence on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 KCI등재

        NGO의 성장과 인적자원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상욱 韓國行政硏究院 2002 韓國行政硏究 Vol.11 No.3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이후 최근까지 우리나라 NGO가 급성장하게 된 요인을 인적자원의 특성에 주목하여 그 특징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NGO의 성장은 시민사회의 역량증가로 설명하거나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시민사회라는 관념적이고 포괄적인 용어로는 특정국가의 NGO의 성장을 비교론적으로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흔히 우리나라의 NGO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시민없는 시민운동'이라는 표현은 서구사회의 NGO와 대비되는 NGO의 주도적 인적자원의 특징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인식에서 우리나라 NGO의 성장에 주도적 영향을 미친 인적자원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서구사회와 대비되는 우리나라 NGO의 성장모형과 특징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우리나라 NGO의 성장에 주도적 역할을 한 집단은 서구사회와 같은 일반시민보다는 사회운동가나 교수, 변호사 등 사회이 주요 엘리트 집단이며, 둘째로 이는 서구사회의 NGO가 오랜 시민사회의 토대에서 출발한 Bottom-up성장모형인데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특정 엘리트그룹이 주도하는 이른바 Top-down성장모형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The abrupt end of the authoritative regime in 1987 and developments in political democratization, people's movement bega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Korean society and many civic groups have emerged since then. What accounts for a rapid growth of NGO in Korea? Differently from the voluntary sector in western society with a tradition of fullfledged civil society, Korean NGOs have been mostly established and fueled by some elite groups such as social movement activists, intelligent groups. We could call the Korean case 'the Top-down Model' contrasting the Western case of 'the Bottom-up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ding human resources and their role in the growth of NGO and to present further implications in future of Korean NGOs. We shall review various theoretical views, the growth of NGo during the 1990s,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on NGO, leading human resources, and their social backgrounds. We could reach two conclusions from the study. Firstly, the main feature of Korean NGOs' development is that activists in social movement and elite groups of experts are the important human resource although the level of civil participation on NGOs is very low compared with western countries. It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dvocacy oriented NGOs rather than the service oriented organization in Western countries. Secondly, the Top-down model of Korean NGOs, which is contrasting Western countries Bottom-up model,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and wide spread of many civic groups at their inception but it resulted in a problem of 'civil movement without civil participation'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