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여성살인범의 통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백창현(Baek Chang-Hy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3 No.1

          In Korea, about 16% of the whole crime is committed by female. The ratio of female in the whole murderers is about 12%. And female murders are mainly due to the quarrel between husband and wife. Until now, most of theory and study about crime is with male as the central figure, especially the study on the peculiarity of female offender has not been accomplished in effect. Taking th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about the lasting increase in the ratio of female crime, separative grasping the peculiarity of female crime is necessary. In this study, I drew the statistical peculiarities of female murderers compared with male murderers through analyzing the official statistical data.<BR>  The statistical peculiarities of female murderers dra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Outline: The ratio of female in the whole murderers is lower than the ratio of female in the others. ② Age: The ratio of low age group(under 40 years) of female murderers is higher than the ratio of low age group(under 40 years) of male murderers. ③ Occupation: Jobless man and employee a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male murderers" occupation, but Jobless man and housewife a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female murderers" occupation. ④ The motive for the crime: The chance occurrence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male murderers" motive for the crime, but the quarrel between husband and wife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female murderers" motive for the crime. ⑤ Marital relations: The ratio of divorce is higher than the ratio of cohabitation in male murderers" marital relations, but the ratio of cohabitation is higher than the ratio of divorce in female murderers" marital relations. ⑥ Criminal record: With over 5 previous convictions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male murderers" criminal record, but without previous convictions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female murderers" criminal record. ⑦ Complicity in a crime: The ratio of female murderers" complicity in a crime is higher than male murderers" complicity in a crime. And neighborhood friend or coworker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male murderers" complicity in a crime, but lover or relative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female murderers" complicity in a crime. ⑧ Disposition result: The ratio of female murderers" is higher than the ratio of male murderers" at disposition not to institute a public action(especially no suspicion). ⑨ Second offense term: The ratio of female murderers at second offense is far lower than the ratio of male murderers at second offense, and second offense of the same kind especially don"t exist at all. In the end, female murders are mainly caused by domestic violence, its prevention can be important countermeasure.   우리나라 전체 범죄의 약 16%는 여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전체 살인범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12% 정도에 달하고 있으며, 가정불화로 인한 남편살해 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범죄에 대한 대부분의 이론 및 연구는 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여성범죄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잘 이루어져 오지 않고 있다. 전체 범죄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여성범죄의 특성을 별도로 파악해볼 필요성이 높다. 여기서는 우리나라의 여성범죄 중 특히 살인범죄에 한정하여 공식적 통계자료를 통해 남성과 대비되는 통계적 특성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BR>  이 연구에서 도출된 우리나라 여성살인범의 통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개요: 전체 살인범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여타 범죄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② 연령: 여성살인범은 남성살인범에 비해 40세 이하 저연령대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난다. ③ 직업: 남성살인범의 직업은 무직자와 피고용자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나, 여성살인범의 직업은 무직자와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④ 범행동기: 남성살인범의범행동기는 우발적인 경우가 가장 많으나, 여성살인범의 범행동기는 가정불화인 경우가 가장 많다. ⑤ 혼인관계: 남성살인범의 혼인관계는 이혼이 동거보다 높으나, 여성살인범의 혼인관계는 동거가 이혼보다 높게 나타난다. ⑥ 전과: 남성살인범의 경우에는 전과 5범 이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여성살인범의 경우에는 전과가 없는 경우가 월등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⑦ 공범관계: 여성살인범은 남성살인범보다 공범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다. 또한 남성살인범의 공범과의 관계는 동네친구나 직장동료 등인 경우가 많으나, 여성살인범의 공범과의 관계는 애인이나 친ㆍ인척 등인 경우가 많다. ⑧ 처분결과: 불기소처분(특히 혐의없음)에 있어 여성살인범의 경우가 남성살인범의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난다. ⑨ 재범기간: 여성살인범은 남성살인범보다 재범자의 비율이 월등히 적게 나타나며, 특히 동종 재범은 거의 전무하다. 한편 이 연구에서 여성살인범죄의 주요 원인은 가정폭력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정폭력을 방지하는 것이 여성살인범죄에 대한 주요 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현장증거와 행동 평가를 통한 범죄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 강진 여고생 살인 사건을 중심으로

        오윤성(Oh, Yoon Su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21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0 No.1

        사법처리에 있어서 정확한 범행 동기 파악이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다. 그러나 범죄학적 측면에서 본다면 정확한 범행 동기 규명은 매우 중요하다. 범행 동기 파악에서 중요한 선행 과정은 현장 증거 확보와 범행 과정을 통한 살인 성격 규명이다. 향후 유사사건 발생에 대비하여 자료와 경험의 축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범행 동기 파악을 위해서는 현장 증거와 범행 과정상 드러난 범행 수법 혹은 서명행위와의 연관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2018년 6월 발생한 강진 여고생 납치 살인은 범행 대상을 친한 친구 딸을 선택하였다는 점에서 특이한 사건이다. 범행 과정이 치밀하고 계획적이었고 현장 조작과 증거인멸 과정이 후속되었다. 이어 범행 의도가 드러나자 유력 용의자가 극단적 선택을 하여 정확한 범행 동기가 밝혀지지 못한 채 공소권 없음으로 사건이 종결되고 말았다. 현장에 남겨진 증거들과 범행 흔적에도 불구하고 범행 동기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분석할 수 있는 기회가 결과적으로 사라져 버린 셈이다. 표면적으로는 피해자가 한 명인 단일 살인으로 간주되는 사건이나 현장 증거와 범행 과정 등을 고려하였을 때, 사건의 성격에 대해 여러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살인사건의 초범으로 보기 어려운 점, 현장 조작과 시신 처리 등 계획적 연쇄 살인범죄의 특징들과 일치하는 부분들이 많다. 따라서 사건 발생 단계별 행동 평가를 통해 사건의 성격과 범행 동기, 연쇄살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judicial processing, it is not essential to accurately identify the motives of the crime. However, from the criminological point of view, the precise identification of criminal behavior is a very important factor. An important precedent process in identifying the motive of a crime is securing crime scene evidence and identifying the classification of murder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crime. Because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ata and experiences in preparation for the occurrence of similar crimes in the future. In order to identify the motive of the crime, linkage analysis between the evidence on the crime scene and the modus operandi or signature must be preceded. The kidnapping and murder of a high school girl in Gangjin area, which took place in June 2018, is a peculiar murder case in that offender selected a close friend s daughter as the target of the crime. The crime process was meticulous and deliberate, and after crime scene manipulation and evidence destruction were followed, the intent of the criminal was revealed, and within a few hours a suspect took suicide. The criminal case was ended without the proclamation rights. Eventually, there was no identification the exact motive of the crime. In spite of the evidence and traces of the crime left on the crime scene, the opportunity to analyze the crime without identifying the motive of the crime has disappeared as a result. Superficially, this murder case is a single murder with one victim. However, considering the evidence and the crime process, various questions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 nature of the murder case. It is a fact that there are many aspects that are difficult to consider as the first offender in the murder case, and that there are many part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ned serial murder crime, such as crime scene manipulation and body handling. Therefor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of the murder, the motive of the criminal behaviour, and the possibility of serial killing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behavior at each stage of murder.

      • KCI등재

        여성 살인범들의 범행 수법 비교연구

        박주애(Park, Ju ae),김동현(Kim, Dong hyun),곽대경(Kwack, Dae ky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2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0 No.2

        살인은 건장한 신체조건과 강한 물리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남성들에 의해 발생하는 범죄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아 왔으며, 살인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남성들의 표본을 주로 다루어왔다. 그러나 1986년 ‘김선자 연쇄 독살 살인사건’을 시작으로 최근 ‘고유정 전 남편 살인사건’까지 여성들에 의해 벌어진 살인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으며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물리적으로 연약하다는 사회적 통념에 반하여 발생한 범죄이기 때문에 더 큰 사회적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여성 살인사건은 기존 남성의 살인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에서 큰 주목을 받은 4건의 여성 살인사건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여성 범죄이론에 대한 4건의 실제 여성 살인사건의 일치도를 파악하고, 4건의 사례를 시대 순으로 정리하여 시대에 따른 범행의 변화 형태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비교적 오래된 김선자, 엄인숙의 범행은 기존 여성 범죄이론과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최근에 발생 된 고미숙, 고유정의 범행은 이론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특이점들을 보였다. 또한 4건의 사건을 상호비교 한 결과, 범행동기, 범행 수법, 연령에서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사건마다 세부적인 차이점들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차후에 발생하게 될 여성 살인사건에 대한 올바른 수사 방향과 예방책을 제시하고, 나아가 교정기관으로 하여금 여성 살인범들에 대한 적절한 교정 처우 방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Since murder requires a strong physical condition and force, it has been strongly recognized that it is a crime caused by men,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rder have also mainly dealt with male samples. However, the murders that occurred by women, starting from the “Serial poisoning murder case of Kim Sun-ja” in 1986, and the recent “Ex- husband s murder case of Ko Yoo-jung,” shocked the whole society and received social attention. This is a crime against the conventional belief that women are physically weaker than men, which raises greater social concern. In particular, the female murder case needs to be studied because it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xisting male murde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4 female murder cases that received great attention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4 actual female murder cases with the existing female crime theory, and to understand the change patterns and mechanisms of female murder crimes according to the tim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latively old crimes of Kim Sun-ja and Eom In-sook showed a tendency to agree to the existing women s crime theory to a large extent, while the recent crimes of Ko Mi-suk and Ko Yoo-jung showed singularities that could not be confirmed in the theory.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our cases with each other, it was possible to find changes in the motive of the crime, the method of the crime, and the ag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ntended to suggest correct investigation directio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future crimes, and further suggest corrective correction methods for female murderers by correctional institutions.

      • KCI등재

        공식범죄통계상 살인범죄추세와 실제 살인범죄추세의 괴리 가능성에 관한 연구

        황지태 ( Ji Tae Hwang ) 대한범죄학회 2010 한국범죄학 Vol.4 No.1

        Even criminologists who suspects seriously the validity of official crime statistics generally tend to accept relative accuracy of official murder crime rate statistics(In Korea, it``s not Homicide Statistics), probably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re are few hidden crimes in case of murder crime. But, this paper tried to show the probability that even official murder crime rates so far have not reflected on much -maybe much more than Korean criminologists estimate- hidden crim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crime detect ability, and so there are -not small- discrepancy between official murder crime statistics and real murder crime. Further, improvements in murder crime detect ability in Korea for decades or more might have distorted the direction of murder crime rate trends. This paper presented several evidence about it. If it is true that official murder crime rates -which is generally regarded as crime having the least hidden crime- have showed distorted direction of trend for decades or more in Korea, the seriousness of distortion of other crimes would have been much more during the same periods.

      • 범죄현상에 대한 경험적 연구 방법론 성찰

        황지태 ( Ji Tae Hwang ) 한국범죄비행학회 2011 범죄와 비행 Vol.1 No.-

        본고는 과학적 범죄학 연구의 기본 토대에 대한 성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초점은 과학적 인과관계론의 핵심축의 하나인 종속변수, 즉 범죄와 범죄량(혹은 범죄발생량)에 대한 측정의 문제에 두었다. 이는 현재 국내 다수의 범죄학자들이 범죄현상 설명에 있어 범죄를 설명하고자 하는 요인(즉 독립변수)에 대해서는 지대한 관심을 보이면서도 정작 종속변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둔감한 편이라는 지적을 하는 것이기도 하다. 혹 그러한 평가가 지나친 것이라고 할지라도, 최소한 현 시점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조금이라도 자극적인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과학적 연구에서 종속변수 측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모르는 연구자는 없을 것이다. 그에 대한 측정이 크게 잘못 되어 있을 경우 독립변수를 아무리 정교하게 측정한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인과론적 이론을 구축하고 검증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범죄학이론의 최종적인 검증방식은 결국 특정한 요인 (독립변수)이 범죄(종속변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을 어느 정도라도 보여주는 형식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문제는 범죄학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재의 종속변수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불안정하다는 것이고, 이 때문에 수많은 범죄학 연구의 기본 토대부터 흔들리는 현재까지 과학적 범죄학 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죄량 증감에 관한 종속변수의 형태는 크게 세가지 범주, 즉 공식범죄통계 자료, 범죄피해자조사 추세 자료, 범죄가해자조사 추세 자료뿐이라고 할수 있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그 외의 것을 생각해 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작금의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최소한 최근 십여간 공식범죄통계 자료에 나타난 범죄발생 추세와 범죄피해조사에서 나타난 추세가 서로 역방향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공식범죄통계는 증가 중이고, 범죄피해조사 결과는 감소하였던 것이다. 이 문제는 주로 필자의 선행 논문에서 제시했던 문제인데, 어느 것이 실제 진실이 든 간에 이러한 상황은 특정 독립변수가 범죄량 증감에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시도하는 수많은 범죄학적 분석 연구들을 혼란에 빠뜨릴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고는 이와 같은 종속변수의 불안정성에 대해 굳이 범죄피해조사 결과를 다시 제시하지 않고, 오로지 공식범죄통계 자체 내의 모순과 균열 지점들을 지적함으로써 이 문제를 재차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 공식범죄통계에서의 이른바 강간범죄와 살인범죄에서 나타난 모순과 균열에 대한 지적이다. 즉 이 두 범죄의 전체적인 발생통계에서는 범죄의 증가현상이 나타나지만 각 범죄 내의 상해사건 혹은 사망사건 통계에서는 범죄의 감소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 현상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그 하나는 그동안 범죄암수로 노출되지 않던 비교적 가벼운 범죄들이 범죄신고율 향상과 범죄통계 입력 의무화 조치 등으로 인해 해가 갈수록 더 많이 노출됨으로써 전체 수준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신고율이나 입력률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상해사건이나 사망사건과 같이 심각한 유형에 있어서는 범죄가 감소해 왔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다른 한 가지 해석은 전체 범죄발생률 통계는 여러 가지 개선책에 힘입어 그 입력률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범죄의 하위 카테고리 입력에 있어서는 입력 누락 등의 부실이 해가 갈수록 증대되어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해석하는 것이다. 현재 법률적으로도 관행적으로도 공개되지 않고 있는 범죄통계 원자료 및 그 입력 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정보 개방 없이는 어느 해석이 더 타당한지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위 어느 해석의 경우에도 범죄 추세의 실상을 파악하여 과학적 범죄연구를 수행하는데 기여하는 데 있어서는 커다란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지금이라도 범죄학 연구의 기초부터 제대로 다지게 위한 작업을 본격화해야 함은 물론이다. This paper aims to reflect fundamentally on the methodology of criminology in Korea by showing the discrepancy within Korean official crime statistics, especiaIIy statistics of rape and murder. Nobody who study criminology will not deny that in empirical criminological researches dependent variables(the measurement of crime itself) are very important as weII as independent variables. But during the recent decades there has been serious problems about which is the true trends of crime rate(dependent variables) in Korea. The official crime rates in Korea have increased almost continuaIly, but in the recent results of crime victim survey the crime rates have decreased also almost continuaIly. In such situation,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study which independent variables mainl-y explain the true cause of crime(or the changes of crime rates) in Korea I think that until now most of Korean criminologists have taken for granted. the approximate buth of the trends of official crime statistics in Korea. If so, it should be the drastic false of crime victim survey in Korea. But I assume the reverse carefully. I think that recent Korean official crime statistics have undergone great quality changes and. they may not be the real trends of recent Korean crime rate. In this paper, I presented the crucial discrepancies within statistics of rape and murder in Korean official statistics system. In overall statistics the crime rates of rape and murder have increased for ten years or more. But in the specific statistics, i.e., incidents including wounded rape victims or incidents of death in murder(In Korean offi.ciaI statistics, the murder crime category includes the incidents in which the victims did not die. It includes failed murder trial!) have decreased almost continuaIly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may be two interpretation about such statistics. The one is the possibility of the truth of recent trends which Korean crime victim survey have showd(The declines of crime rates are real). The other is the possibility of terrible and systematic omission of data of subcategories of rape and murder crime report format in the entry stage of procedure of making official crime statistics by policemen, while the overall entry rates having increased. Any of possibilities will be quite matter. H we do not solve such problems, I think the foundation of criminological researches in Korea will be very unstable. So I think it is urgent to solve such problems for the stable methodological condition.

      • 증오범죄의 독립범죄유형화 및 사이코패스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철옥 ( Chul Ok Cho ) 이실학회(구 한국경찰이론과실무학회) 2009 경찰연구논집 Vol.4 No.-

        증오범죄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출현하였음에도 최근에 미국은 형사정책적으로 대응하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 개인이나 특정집단에 대한 미움이나 편견에서 비롯되는 증오는 원시사회는 물론이고 오늘날에도 상대방에 대한 저주의 원인이 되고 있지만, 특히 최근에는 상대방에게 물리적 공격을 가하는 범죄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증오범죄에 대하여 미국과 우리나라는 그 개념 자체에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증오범죄 자체를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인종, 종교, 성적 지향, 민족·국적, 신체장애 등에 관한 편견 그리고 드물게는 성 차별이 동기가 되어 저질러진 범죄에 한정하고 있다. 이러한 증오범죄는 「증오범죄통계법」을 제정하여 독립범죄 유형화하고 또한 형사처벌 역시 「증오범죄 선고 가중처벌법」에 의하여 일반범죄보다 더 무거운 처벌이 가해진다. 형사정책적으로 FBI를 중심으로 한 별도의 자료수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경찰기관은 수사전담팀과 전문수사관을 양성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증오범죄를 동기범죄로 다루지만 그렇다고 형사정책적으로 법제화한다거나 특별한 대응을 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도 증오범죄로 인정되고 있는 범죄 중에서 사회에 가장 큰 형향을 미치는 연쇄살인을 중심으로 사이코패스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연쇄살인이 법적으로 규정된 특정집단에 대한 범죄가 아닌 경우에는 증오범죄로 인정하지 않지만, 실제 연쇄살인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 개념차원에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연쇄살인범은 국가에 관계없이 사이코패스의 특징을 소유하고 있는 자들로 드러났다. Although hate crimes were encountered with the history of human, recently in case of USA is coping with criminal policy. Hatred caused by hate or bias has been in the primitive society, of course even today which has been the cause of a curse against opponents. Especially nowadays it has to be a crime against a individual or groups increasingly. These hate crimes are distinct difference in the concept between Korea and USA. In case of USA, hate crimes are confined to crimes caused by race discrimination, religious bias, sexual orientation bias, ethnic minority or nation origin, disability, in fewer states gender discrimination. these hate crimes are to be legalized as hate crimes by Hate Crime Statistics Act in 1989, and are punished more severly in comparison to other crimes by .Hate Crimes Sentencing Enhancement Act in 1994. Legally FBI is managing a special data collecting program by Hate Crime Statistics Act. Almost police department established a special unit to investigate hate crimes and has educated special investigators. Korea authorities have recognized hate crimes as motive crimes but have not legalized hate crimes or special reaction. This study appreciates the presence of hate crimes, and analyzed serial murder effecting most influences in the society. Especially serial murder was analyzed whether he is psychopath or not. In USA, serial murder is not recognized as hate crimes when it si not crimes against members of specific group prescribed legally. But actually serial murder has been committed most in USA, so case study was practised by dimension in general concept about hate crim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serial murderer has characteristics on psychopath regardless of nation.

      • KCI등재

        노인 간병범죄 원인분석과 대책방안에 관한 연구

        박숙완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9 No.2

        A care crime called a war that ends only when death!16.4 people a year and 1.4 people a month died in caregiving murders. Of course, this is the minimum that can be counted. Experts estimate that the number of undisclosed caregivers will be much higher. Now, the crime of care has reached the stage of active intervention, no longer a subject of wait and see. At this time, Korea is also becoming an ultra-aged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countermeasures against offenders of caregivers is urgently required along with social interest in caring for murder and suicide. Therefore, I think that the issue of caring crimes to be addressed in this paper is a challenge in our society that can no longer be avoided in the tide of these times and social changes. In researching the problem of caring crimes, the concept of caring crimes should be clearly defined in the case of caring crimes in order to urge a radical change of view and prompt countermeasures for the various policies of the country. Accordingly, it is easy to grasp the trends and actual conditions of caregiving crimes, and furthermore, it is appropriate to analyze what causes caregivers to commit crimes, and then devise a method of establishing care crim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The problem areas to be addressed in this paper are caring killings and suicides by family carers. Looking at this, caring murder and companion suicide due to elderly caregiving, and caring for family members in various forms, such as killing parents after long caregivings, are most of them, focusing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auses, and characteristics. I want to review the relationship. Today, in solving the problem of caregiving crimes, it is not one of the pillars, but a mutual cooperation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refore, it aims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problem of caring crimes while maintaining a cooperative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inal justice agency, the health welfare agency, and the individual caregivers regarding the caring crime problem. “죽어야 끝나는 전쟁이라 일컫는 간병범죄” 한 해에 16.4명, 한 달에 1.4명이 간병살인으로 목숨을 잃었다. 물론 이는 집계 가능한 최소치다. 전문가들은 드러나지 않은 간병살인 건수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제 간병범죄는 더 이상 관망의 대상이 아니라 적극적 개입의 단계에 이르렀다. 우리나라도 초고령 사회로 진행 중인 현 시점에서 간병살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더불어 간병살인범죄자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의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간병범죄의 문제도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변화의 조류에 더 이상 회피할 수 없는 우리 사회의 당면과제라 생각한다. 간병범죄의 문제를 연구함에 있어서 국가의 여러 정책에 대한 시각의 근본적인 전환과 신속한 대응책을 촉구하는 차원에서 먼저 간병범죄에 있어 간병범죄의 개념이 명확히 규정되어 져야 한다. 그에 따라 간병범죄의 동향과 실태 파악이 용이하고 나아가 간병인들로 하여금 범죄에 이르게 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토대로 간병범죄 예방과 대책을 수립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영역은 가족 간병인에 의한 간병살인 및 자살이다. 이를 보면 노노 간병으로 인한 간병살인과 동반자살, 오랜 간병 돌봄 끝에 부모를 살해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 간 간병살인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여기에 초점을 두고 이론적 배경 및 원인과 특성에 따른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검토해 보고자한다. 오늘날 간병범죄의 문제해결에 있어 어느 한 축이 아닌 상호협력․보완관계에 놓여있다. 따라서 간병범죄문제에 대하여 형사사법기관과 보건복지기관 그리고 간병인의 개인 상호간에 있어서 협력적인 공조관계를 유지하면서 간병범죄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형법상 비속살해죄 신설안에 대한 연구와 미국 형법상 아동살해죄 규정의 시사점

        홍대운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1

        In recent years, cases in which parents murder their children have become a major social problem, and in order to respond to this, bills to add a provision on filicide to the Criminal Act have been proposed and are being review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Ministry of Justice. In the current criminal code of many countries, including Germany and Japan, which have a legal system that is similar to the Korean system, the crime of filicide is not stipulated or subject to aggravated punishment. However, in the penal code of twenty-six states in the United States, the concept of “child murder” is used instead of “filicide,” defined as an aggravating factor for first-degree murder. The bills to add a provision on filicide to the Criminal Act, which are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are problematic considering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grounds for the provision on the crime of killing an ascendant will be strengthened, making it difficult to abolish it. Second, there is no logical consistency between the legislative purpose and the legislative text. Third, child murder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human rights, a universal value, rather than the tradi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 based on Confucianism. Fourth, the concept of “child murder” rather than “filicide” is better aligned with the victim’s perspective. Fifth, a provision on filicide may need to be revised in the near future, since the subject of the crime is limited to ascendants. Sixth, the concept of filicide is not closely connected to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which stipulates protective measures for children and not descendant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1) to add child murder as an aggravating factor to the sentencing guidelines for murder without revising the Penal Code or 2) to create a provision that imposes aggravated punishment on child murder instead of “filicide” a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if revising the Criminal Code is inevitable.

      • KCI등재

        야만적 정열, 범죄의 과학-식민지기 조선 특유의 (여성)범죄라는 인종주의-

        소영현 ( So You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그간 식민지기 사회적 관심을 이끈 본부살해는 여성범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식민지 조선 특유의 범죄로 다루어졌다. 조선 특유인 본부살해의 원인은 전근대적 구습인 조혼의 폐해로 파악되었다. 본고에서는 본부살해론이 여성과 범죄를 둘러싸고 당시 만들어지던 담론적 지형에 대한 고려 없이 온전히 고찰되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본부살해론이 형성된 과정을 전지구적 지식장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생리학적 분석에 근거한 범죄학과 당대 조선 지식사회에 널리 유포된 우생학의 영향력을 겹쳐놓고 고찰했다. 범죄 발생시 여성이 가해자가 되는 경우가 많지 않으며 전체 범죄에서 여성범죄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은 편임에도, 본부살해가 사회적 관심을 불러 모으며 조선 특유의 범죄로 규정된 과정을 재조 일본인과 조선인 지식인 사이에서 공유되던 식민지기 (근대) 과학적 인식의 저변화 과정 속에서 검토했다. 근대적 사회통치술로 활용된 여성범죄론의 기능에 주목하면서 ‘우연적인 것이 실제적인 것이 되는’ 과정 즉 우연을 통치하는 법칙 형태가 구현되는 과정을 확인했다. Husband Murder had been concerned social issues during colonial Korea and had been treated as distinct crimes with high ratio among the female crimes in colonial Korea. Previous research usually said that husband murder unique to colonial Korea was the problem caused by early marriage. In this article, I presumed that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husband murder discourse without consideration of contemporary discourse topos about female related crimes. For this, I considered the viewpoints of intellectuals about husband murder at fir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intellectuals and Japanese intellectuals about husband murder through overlapping criminology with influence of eugenics at that time. And then I asked why the female crime especially husband murder had been accepted as crime type unique to colonial Korea, although female crimes had very low proportions of the entire crimes in fact. I investigated this procedure (of discourse) through the (modern) scientific awareness at that time. With considering the flow of global fields of knowledge and focusing on the functionality of female criminology used for ruling society, I revealed ‘the process of making coincidence to reality’, that is the process of making rule of controlling coincidence.

      • KCI등재

        범죄보도에 관한 양적 내용분석

        이재영(Lee, Jae-Yo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3

        범죄보도의 사회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이전에 이러한 주장이 설득력을 얻기위해서는 그보다 앞서 우리사회의 범죄사건을 미디어가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는가에 주목하여 범죄보도의 내용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실제의 범죄현실과 보도된 범죄현실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주장에 입각하여 범죄보도의 내용분석이 선행연구에서도 시도되어왔지만, 국내의 연구에서는 신문기사의 내용자체에 주목하기 보다는 기사의 면적과 헤드라인과 같은 외형에 치우치거나 자살과 학교폭력과 같은 특정범죄에 집중한 단기간의 연구에 그쳐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강력범죄의 보도 내용에 대한 양적 분석을 통해 보도실태를 알아보고 범죄유형별로 어떠한 내용이 재구성되어 보도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특정 범죄를 단기간에 연구했던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총 10년의 기간 동안 신문 3사에서 보도된 살인, 강간, 강도범죄 기사 2,058건을 수집하여 양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실제의 범죄사건 발생과 보도 현실의 차이를 알아봄과 동시에 어떤유형의 범죄에서 어떠한 내용이 재구성되어 강조되었는가를 검증가능하다. 연구결과 미디어를 통한 강력범죄 보도는 단순히 있는 그대로의 실태를 고발하기보다는 특정 범죄가 집중적으로 조명되고 특정 내용이 실제와 달리 강조되거나사회적 차원의 범죄원인 및 대책은 낮은 빈도로 보도되어 재구성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se days public perception is predominantly shaped by the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TV, and it is perception that leads to attitudes and behaviors. Consequently, the media that shapes public perception influences public opinion and policy. With respect to crime, this influence is very important. Because in most cases the public gets the information on crime from the media and its potential effect on public perception, fear of crime and public policy. For these reasons, it is needed to examine any information that is reported and compare media coverage of crime to official statistics. This study is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of crime coverage to examine how serious crimes are portrayed by a newspaper. Specifically,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actual crime incidents and newspaper coverage? And what differences are there those that reported contents of three types of crime? Previous content analyses of crime coverage were based on small samples for relatively short periods of time. In keeping with this approach, this study seeks to analyze a large sample of newspaper articles, covering several years. The analysis consisted of 2,058 serious crime(murder, rape. robbery)-related articles published by three newspapers from 2004 to 2013.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 analysis by focusing on characteristic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offender and victim, the offender-victim relationship, accomplices, drinking, recidivism, crime causes and motives, the outcomes of the cases(sentencing), the measures against cr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