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한베트남인의 한국에서의 문화적응에 관한 고찰

        웬티탕란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Vietnamese people’s cultural adaptation in South Korea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ir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and interview the Vietnamese people living in Gwangju-Jeonnam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respondents in the survey are focused on the Vietnamese young people in 20-30 ages and many Vietnamese women who are living in Gwangju-jeonnam area as follows: Migrant workers, marriage migrant women, foreign students, high education but low income people, visitors and so on. Secondly,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Korean cultural adaptation questionnaire of the Vietnamese people in South Korea showed that Vietnamese people has used the Korean languages in the low level, and they have got the difficulty of exchanging in relation with other people. Thirdly, as a result of the one-way anova analysis methods about the Vietnamese people in South Korea, their level of occupation and Korean langu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ir Korean culture adaptation. Fourthly,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the types of adaptation of Korean culture of the Vietnamese were classified into the culture adaptation with both countries such as Vietnamese cultural adaptation type and Korean cultural adaptation type. Fifthly,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the Korean cultural adaptation of the Vietnamese people in South Korea are the low leve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ge and family members are low level in education but high in age, so they have seemed having the difficulty in Korean cultural adaptation. In conclusion, the difficulty of cultural adaptation of Vietnamese people show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ultural adaptation type of both countries are high.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olicy measures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Vietnamese people and the formation of their mutual communit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문화적응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

        박서희,조영실,김욱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9 No.1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orth Korean defectors’ cultural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on mental health were explored, and the mediating role of coping with stress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was examined. The study was conducted on North Korean defectors aged 20 or older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with a total of 210 questionnaire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as found to affect their mental health, and the maintenance of North Korean culture, which is a subtype of cultural adaptation, was found to increase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acceptance of South Korean culture was confirmed to reduce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some of the subfactors of coping with stress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the mental health of North Korean defectors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Specifically, active coping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maintaining North Korean culture and mental health (depression and anxiety), and only anxiety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acceptance of South Korean culture. It was found that passive coping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cultural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fficient support measures to enhance mental health were sought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cultural adaptation, mental health, and coping with stress in-depth, and a foundation for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was provided.

      • 다문화사회와 국제이민자 문화적응 연구 :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이론적 검토)

        강수경(Kang, Su Kyung)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1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6 No.-

        본 논문은 중도입국 청소년 중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 문화 적응 양상과 적응 과정을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선행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한국 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의 시급함과 중요성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 결과 그동안 국제이민자의 문화 적응과 관련한 국내 연구들은 크게 사회과학 분야 심리, 상담, 다문화의 관점과, 교육일반·교육행정의 관점, 한국어 교육학의 세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다.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문화 적응의 문제를 다룬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적응 양상을 다룬 연구와 문화 적응을 측정하는 도구로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국내 체류 재외동포의 문화 적응 관련 연구는 대개 사회과학 일반에서 주로 진행되었고,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비롯해 국내 체류 동포들의 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가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진행된 경우는 찾기 어려웠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체류 중인 고려인과 사할린 교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양적 및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그들의 한국어 학습과 한국문화 적응의 어려움, 요구 사항 등을 파악하고 그들의 문화 적응 과정을 진단하여 이들의 한국어학습과 한국문화 적응을 도울 수 있는 한국 문화 적응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aspects of Korea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er, targeting Russian-speaking youth among middle-age immigrants, and to develop a Korean culture adaptation program for th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omestic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immigrants have been largely conducted from three perspectives: psychology, counseling,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s in the social sciences, general education/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ere, a series of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of migrants and overseas Koreans wer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tudies related to cultural adaptation of overseas Koreans residing in Korea, which this paper intends to focus on, are mainly conducted in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psychology, counseling, and multicultural studie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in that they measure the pattern of acculturation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acculturation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or that the research results are too generalized or subjective, can be pointed out as limitations. With this awareness in mind,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n and Sakhalin adolescents residing in Korea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diagnose their cultural adaptation process. He pointed out the urgent need to develop a Korean culture adaptation program that can help students learn Korean and adapt to Korean culture.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최은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1

        본고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과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학습자 현황 및 요구 분석을 위해 한국문화적응척도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문화교육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작업으로 부산 지역에 위치한 D대학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적응척도’를 측정하였다. 각 하위 요인 간의 문화적응의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생활문화 이해 및 친숙도’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 >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 > ‘한국어에 대한 친숙도’ > ‘한국어의 사회적인 활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으로의 유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으로 보통 한류를 비롯한 한국 대중문화를 주목한다. 이를 감안하다면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가 가장 높은 적응력을 보일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본 척도의 측정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와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에 대해 긍정적 적응의 양상을 보였다. 한편 현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및 요구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의 경험 및 만족도에 관한 부분과 학습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내용이었다.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과 관련하여 ‘한국사람 및 다른 사람과의 교류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비중이 높았다.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이 사람들과의 교류에 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그리고 한국문화적응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결과, ‘한국인과의 사회 교류 및 대인관계 프로그램’ 과 ‘한국의 일상(전통)문화 이해 및 체험 프로그램’ 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화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인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과 요구를 고려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다양한 사례가 이어지길 바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and learners’ demand for a cultural adaptation program. Korean cultural adaptation criteria and a survey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and demand and a cultural educational program design was proposed. To analyze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Criteria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for foreign students” was employed on foreign students of B university located in Bus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cultural adaptation situation between each subordinate element indicated the following sequence: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ustoms” >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pop culture” > “Familiarity with the Korean language” > “Social uti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survey on programs considered most necessary for Korean cultural adaptability revealed increasing demand for “Program on social interchange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and “Program on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posed various Korean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a variety of concrete program development features to ensure adaptability continues,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emand of foreign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감은장아기>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

        이은희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This study originated from the critical belief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foreign learners to have Korean cultural education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adapt themselves to it, and that the answer could be found from a study of Gameunjangagi, which is a myth of the God of Fate. Gameunjangagi lived an independent life by answering “because of my luck” to his father’s question of “You are living well, thanks to whom?” The exploratory narration of Gameunjangagi, who established his identity based on trust in himself, is a meaningful tale that helps learners engage in selfexamination. Particularly, the Gameunjangagi myth contains cultural elements that can facilitate foreign learners’ cultural adaptation. With the use of these cultural elements, a lesson was designed and then applied in an actual classroom setting. Our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myth illustrates the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luck. Through teaching/learning measures integrated with language and culture, the meaning of luck in the Korean culture could be understood. Seco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number 3 is repetitively shown in the Gameunjangagi myth. Even though numbers are used in every culture, their symbolic meaning is different in each country, so the effect of comparison is huge. Therefore, cultural comparison was performed. Third, learners could then think about cultural adaptation. In the actual class, the learners formed a bond of sympathy and encouraged one other by presenting th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their efforts to overcome them.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Gameunjangagi myth is an educational tool that can be helpful for providing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individual growth of learners. 외국인 학습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에 비례해 중도 탈락률 또한 높아져 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고 한국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특화된 한국문화교육이 요 구된다. 이에 본고는 <감은장아기> 신화가 이를 위한 유용한 교육제재로 기 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내 복에 잘 산다고 당당하게 말하며 삶의 주인으로 서 주체적으로 삶을 운용해 나가는 <감은장아기> 서사는 그 자체만으로도 읽 기자료로서 손색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감은장아기> 신화에서 추출할 수 있는 ‘복’, 숫자 ‘3’, ‘쌀밥’이라는 문화요소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도 상당히 유용한 문화요소이다. 더욱이 감은장아기의 쌀밥 대접 장면은 낯선 문화를 대하는 등장인물 간의 상반된 태도와 그에 따른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문화적응 문제에 대한 해법을 학습자가 간 접경험하고 이를 내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감은장아기> 신화에 나타난 문화요소를 활용해 한국문화에 대한 외국인 학 습자의 이해를 높이며, 문화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수업 을 계획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해 보았다. <감은장아기> 신화를 활용해 한국문화교육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함 축적이고 복합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한국인의 ‘복’에 대한 인식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동일한 숫자가 갖는 상이한 의미를 문화비교 활동을 통해 확 인함으로써 문화의 다양성, 문화 간 차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었으며, 쌀밥 대 접 장면을 통해 이질적인 문화에 대응하는 자세 및 문화적응 방법에 대해 구체 적으로 논의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학습자들은 쉽게 접해볼 수 없었던 무속신화 <감은장아기>를 활용한 문화수업에 흥미를 보였으며 매 활동마다 능동적이고 열정적으로 참여하며 한국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나 문화교육 수업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난 것 을 볼 때 <감은장아기> 신화는 한국문화 이해뿐만 아니라 한국문화 적응, 개인 성장에도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교육제재로서 가치를 갖는다고 하겠다. 이 러한 점은 앞으로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검증해 나가야 할 것 이다.

      • KCI등재

        한국전통문화 경험과 외국인 유학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김재은(Kim Jae-Eun),윤필규(Yoon Pil-Kyu),이민선(Lee Mi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전통문화 중 신체활동중심의 전통문화 체험을 통해 한국의 사회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2016년 9월∼2017년 4월까지 총 12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참여관찰,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은 발달된 나라에서 유학을 경험하고 싶다는 것과 한국을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기회의 땅으로 생각하여 유학을 결정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언어소통으로 인한 학업수행 어려움, 한국 대학생들의 서열문화의 강조, 한국 사람들의 문화사대주의 의식과 그로인한 차별로 한국의 사회문화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전통문화중 신체활동으로 구성된 경험으로 한국 사회문화를 쉽게 배우고 문화의 깊이와 다양성을 알게 되었으며 가치를 깨달았다. 신체활동에 의한 한국전통문화 경험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언어학습, 한국 대학생들과 교류, 유학생들의 커뮤니티 구성, 유학생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어 한국의 사회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하며 안정적인 유학생활을 지속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adaptation process for Korean social culture of foreign students through their experience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cused on physical activities. From September 2016 to April 2017, fifteen foreign students in total were chosen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study wa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observations on them, document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applying case study methods. Foreign students had decided to study in South Korea, because they would like to study in developed country and regarded South Korea as the land of opportunity to challenge new fields. Foreign students had trouble in studying due to their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teracting with Korean students because of hierarchical culture in South Korea, and adapting to Korean social culture owing to Koreans cultural toadyism and racism. However, by experienc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mposed of physical activities, foreign students were easy to learn Korean culture and they realized the depth, diversity, and value of Korean culture. Foreign students experience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cused on physical activities was helpful in studying Korean language, interacting with Korean students, organizing a community between foreign students, and getting rid of their stress, thus finally understanding Korean social culture and adapting to it and keeping on living a stable life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류문화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과정: 한국춤을 중심으로

        김재은(Kim Jea-Eun),윤필규(Yoon Pil-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한류문화로써 한국의 전통문화인 한국춤을 경험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사회에서 문화적응과정을 분석한 연구이다. 2016년 9월∼2016년 6월까지 총 15 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참여관찰,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류문화, 학업 실천,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로 유학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언어소통, 문화차이, 무시와 차별, 경제부담 문제로 유학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문화를 경험하는 한국춤 수업을 약 1년 동안 수강하며 다양한 한국의 다양한 모습을 배우게 되었고 신체와 정신의 건강획득, 도전과 성취감, 유학생들과의 커뮤니티 형성, 한국문화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얻게 되었다. 이후 한국춤 수업의 경험들이 매개가 되어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하며 새로운 문화정체성이 형성되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춤을 비롯한 한국에서 다양한 경험을 기반으로 진로를 계획하고 설계하게 되었다.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ultural adaptation process of foreign students that experienced the Korean dance, an elemen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s part of Korean Wave culture. The subjects include total 15 foreign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m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and then analyzed in the ground theory methodology. The foreign students decided to study in South Korea for the Korean Wave culture, practice of learning, and positive images of South Korea. They, however, faced a lot of difficulties with their life in the nation as foreign students due to language barriers, cultural differences, disregard and discrimination, and economic issues. After taking a Korean dance course to experience the Korean culture for about a year, they got to learn the various aspects of the nation, acquire physical health, fulfill a challenging and achievement spirit, form a community with fellow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the nation, and obtain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Korean culture. They understood and adjusted themselves to the Korean culture and formed new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medium of experiences with the Korean dance classes. In addition, they planned and designed their careers based on the diverse experiences they had in the nation including the Korean dance.

      • KCI등재

        전통문화 교육 자료로서 웹툰의 활용에 대한 고찰

        김정욱(Kim, Jeong-uk)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현재 국내의 문화 교육은 ‘다문화’라는 거대 담론 하에 교육 대상이 내국인이 아닌 여성결혼이민자와 그 자녀들 내지 이주근로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 과정에서 한국인은 문화교육에 있어 타자에 위치에 자리하게 되었다. 특히 전통문화의 경우는 교육대상과 상관없이 교육수요가 적어 전통의 가치를 그대로 담으면서 흥미요소를 갖춘 콘텐츠의 계발이 필요한 실정인데 본고는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자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작품을 가지고 교육 자료로 활용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했다. 네이버 웹툰 <신과 함께>는 우리 신화와 전통적인 저승관을 현대적 감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작품성과 흥행성 모두에서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삶과 죽음은 연속된 현상으로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가 어떻게 죽음을 받아들일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인생관’과 ‘사후관’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데 일생의례 중 상례는 아직까지 전통적 모습을 대부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과거와 현재의 소통에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작품에 반영된 저승관을 아는 것은 지금의 우리와 과거의 조상 모두를 이해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문화적 타자로 전락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해당 작품을 가지고 교육 자료로서의 활용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네이버 웹툰 <신과 함께>는 ‘교육목적을 가지고 창작되었다는 점’과 ‘학문적 정확성’ 그리고 ‘전통 저승관의 현대적 변용’의 측면에서 교육 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 및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는 ‘현대적 변용’이 흥미 및 공감을 진작시키는 역할도 하지만 오히려 신화원형을 파괴하여 독자로 하여금 잘못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통 저승관의 현대적 변용 과정을 세밀히 분석하여 해당 변용이 과도하게 이루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해당 문화내용 및 현대적 변용의 의미 그리고 작가의 창작의도를 살핌으로서 교육내용을 모색해 보았다. Koreans to let the world know about Korean culture. However, they neglect to learn about their own culture. The targets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 are generally not Koreans, but immigrants or migrant workers. It concern with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ironically, culture education in Korea, Korean became others. It is imperative for the nation to globalize Korean culture. But first, we have to know exactly what our Korean culture is.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The portmanteau word “webtoon” formed from the words “web” and “cartoon,” describes animated works like Singwa Hamkkie which depicts the traditional Korean understanding of hell. Ju, Ho-min who the author studied the traditional Korean conception of the afterlife for over a year before beginning to produce the webtoon. The product is especially suitable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three main reasons. First, the writer"s creative motivation fits the purpose of education. Second is cultural accuracy and third is interesting from modern adaption of traditional afterlife. However, the third of these points is problematic, since it may lead viewer to misunderstand aspects of the afterlife as traditionally represented in Korean culture. Therefore, I compare the traditional Korean understanding of the afterlife with its modern representation in Singwa Hamkkie. I find that the writer has not totally altered the original form of the traditional Korean afterlife, just made it more interesting. Nevertheless, I do find excessive changes to the modern adaption in some parts. On this basis, I analyze the cultural content and the writer"s purpose for writing this webtoon the meaning of the modern adaption, and sought learning materials of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다문화(이주민) 통합 교육 방향

        서은숙 ( Eun Sook Seo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7 No.1

        전체 인구의 3% 이상이 외국인인 한국의 다문화 사회는 급속도로 그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고는 이주민 및 선주민에 대한 다문화 통합 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가에 논의의 초점을 두어, 특히 이주민 가운데 언어와 문화는 비슷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을 다른 이주민들과 마찬가지로 이주민 통합 교육의 대상으로 보아 어떻게 우리사회가 이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통합을 합리적으로 이룰 것인가의 다문화 통합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북한이탈주민은 한국으로 이주한 후 특별법에 의한 단기간 동안의 지원 및 교육을 받고 자연적으로 한국 시민으로 살아간다. 그 내용은 초기정착금지급제도, 취업지원제도, 교육지원제도, 사회보장지원제도, 거주자보호제도, 주거지원제도, 민간지원 등이다. 북한이탈주민은 한국과 같은 언어, 비슷한 문화적 전통을 가지지만, 오랫동안 이질화된 환경에서 이들에게도 다른 이주민들처럼 한국어, 한국문화 이해, 글로벌 다문화 시민교육 등의 교육도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이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통합 교육은 크게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접근의 절충의 입장에서, 첫째, 동화주의 관점에서는 공동체적 연대성 교육과, 둘째, 다문화주의 관점에서는 글로벌 다문화 시민성 교육 두 가지를 다루었다. 이를 본고에서는 구절판 접근에서의 다문화 통합 교육으로 보았는데, 공동체적 연대성 교육은 한국 및 아시아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우리’ 정체성을 기르게 하는 교육이다. 글로벌 다문화 시민성 교육은 민주주의와 자유 등에 대한 교육, 다종교 교육을 통한 문화 간 이해 교육 그리고 통일 시민적 덕성 함양 교육이다. This article aims at discovering direction of education of multicultural integr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dults and young people. They supported by special law to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reared as a Korean citizen in a short term. But because they treated as same races like Korean, they received a certificate of residence right after adaptation education for 3months and several weeks. Though they don’t know Korean langage and culture very well, they live just like Korean citizen without Korean identity, and they have weak belonging to Korean society and solidarity.In philosophical dimension, our multicultural integration education goes for the union of assimilation approach and multiculturalism approach in multicultural integration. On the base of assimilation approach, we need to try to educate them communal solidarity, and on the base of multiculturalism approach, we need to try to educate them global multicultural citizenship. I suggested for this philosophy ‘Kujeolpan approach’ which means the combination communal solidarity by Asian and Korean culture identit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mmigrant multiculture in Korea can be united with major Korean major culture. Simultaneously, Korean majority culture have to infiltrate into immigrant minority multiculture. The original Korean culture mixed with immigrant multiculture in the meaning of social integration for the solidarity in order to live a Korean citizen, and this can make ‘we-identity’.In that point, lik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others in Korea, multicultural integr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ere are two kinds of direction.Firstly, we have to teach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spirit, and have them Asian cultural identity. For this kind of education, we have to teach Asian culture and spirit including specially southeast Asian culture.Secondly, we have to cultivate global multicultural citizen as a role maker for the Korean multicultural integration. In that sense, 1) they learn the basic theory of democracy and freedom etc. 2)they study global multi-religious culture in Korean migrant culture. And we have to teach them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Asian cooperate attitude. 3) North Korean defectors have to have morality for Korean unification citizenship. In order to accomplish this education, we firstly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adapting process to Korean culture that separate from their northern culture. And, we teach them the necessity for Korean unification and enforce them to effort.

      • KCI등재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한국 언어·문화 적응의 어려움에 관한 심층면담 연구

        조남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The study started with the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for overseas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Korean universities, who are having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of adap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overseas Korean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Korean universit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that meets their needs.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2-year special admissions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have the most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The researcher contacted the study participants in advance to fully explain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that, the questionnaire was sent first, and only th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interviewed. Overseas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writing, reading, grammar and orthography in the Korean language area, and in the Korean culture area,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op-down relationships due to age differences, severe competition, different forms of communication, lack of historical knowledge and distortion. In addition, they complained about the confusion of identity, loneliness, prejudice, and difficulty in writing docu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that suits the needs of overseas college students through in-depth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와 문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의 대학에 입학한 재외국민 대학생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학에 입학한 재외국민 대학생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 적응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필요에 맞는 교육 지원에 대한 시사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 언어·문화 적응에 가장 어려움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대학에 12년 특례로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었고, 면담 전 미리 연락하여 연구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였다. 그 후 질문지를 먼저 보내어 연구 참여에 대해 동의한 학생들과만 면담을 진행하였다. 재외국민 대학생들은 한국어 영역에서는 쓰기, 읽기, 문법, 맞춤법 영역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고, 한국 문화 영역에서는 나이 차로 인한 상하관계, 심한 경쟁, 다른 방식의 의사소통, 역사 지식의 부족 및 왜곡 등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정체성의 혼란, 외로움, 편견, 힘든 서류 작성 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본 연구는 심층연구를 통해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필요에 맞는 교육 지원의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