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사동향 : 마케팅조사 현장에서 ethnography 원리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유창조 ( Chang Jo Yoo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0 조사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현장에서 진행되는 마케팅조사에서 ethnography 원리가 적용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Ethnography는 소비자의 체험이나 소비행태와 관련된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마케팅 관리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사업계에서 적용될 필요가 있는 ethnography 원리들을 소개하면서, 이의 활용가치를 요약하고, ethnography 원리들이 적용된 사례들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마케팅관리자가 조사를 진행할 때 ethnography 적용을 주저하게 되는 이유를 파악한 후 현장에서 ethnography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challenges necessity for applications of ethnography principles to marketing research in the field. Since ethnography collects in-depth data about consumers` experiences and behavioral patterns, i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s for marketers` decision making.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ethnography principles that need to be applied to marketing research, summarizes its usage values in the fields, and introduces case projects that were conducted under the guideline of ethnography principles. Finally, this study identifies the reasons why marketers hesitate using ethnography when they conduct marketing research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more active applications of ethnography in the field.

      • KCI등재

        나치시대 독일 영상민속지의 특징과 문제점

        이상현(Lee Sang-Hyun)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2 No.-

        영상민속지는 특정 민속을 일정시간 영상에 담아 제작된 민속지를 의미한다. 영상 민속지는 민속지처럼 학술적 목적으로 현지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집이지만 영상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적 혹은 이념적 목적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많다. 영상민속지는 영상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사람 혹은 집단의 삶을 영상에 담는 다큐멘터리영화의 특성과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 특성과 문제점을 드러낼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다큐멘터리영화의 초기 형태로서 영상민속지의 특색과 문제점을 가장 잘 보여주는 독일 나치시대 영상민속지이다. 민족주의 이념을 정권 유지수단으로 이용한 나치정권은 사라져가는 민속을 영상으로 보존하고 또한 이를 일반인과 학생들에게 교육시키기 위하여 영상민속지를 적극적으로 제작하였다. 이는 프로이센 정부가 민족문화 교육을 위하여 제작된 문화영화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정권의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나치시대 제작된 영상민속지의 특색과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1937년 Tubingen대학 민속학연구소에서 나치정권의 용역을 받아 제작한 영상민속지, ‘Rolandreiten in Windbergen’(빈델베그의 로란드기사(騎士) 축제)를 예로 들었다. 이 영상민속지에 대한 분석은 다큐멘터리영화의 일반적 분석 방법인 제작자의 학문적 그리고 이념적 특징, 제작 목적과 상황 등의 질적 분석과 영상에 담긴 영상 언어와 담론에 대한 양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 ethnography, in which specific ethnic customs were contained for a certain time period, especially filmed in Nazi German. The visual ethnography was composed of visual images with partly reference books for explanation, as opposed to the ethnography in composition of letters and still pictures. In ord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visual ethnograph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documentary films that normally contains specific facts in record as a visual ethnography. For the aforesaid purpose, we introduced history of documentary films briefly and described analysis method as well. Documentary films were usually composed of background, motive and purpose of production, analyses on visual language with discussions and audience’s comments. However, since the analysis objective of this study is visual ethnography in Nazi German and there. are hardly the 3rd analysis objective, this study was done on the basis of 1st and 2nd objectives. In detail, we described culture film(Kulturfilm), which had a strong influence on production of the visual ethnography in Nazi German, in connection with 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by the Preussen government and alternative education by the intellectual. In Nazi German, the visual ethnography was a practical tools for ideology indoctrination that was forced by the regime, neither regular curricular nor alternative education for students. For more specific analysis on the subject, we described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visual ethnography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ethnography study in the Nazi German. To clarify the features and questions of the filmed visual ethnography in detail, we presented ‘Roland Knight’s feast in Windbergen’, as an example, produced in the research institute for ethnography in Tubingen university, and analyzed background of its production, academic characteristics of producers and a guide book of the ethnography. Not only qualitative analysis as mentioned above but quantitative analysis was made to visual language and discussions. For instance, contents of this visual ethnography proceeds in an objective-centered way, not focusing on people in the gathering, as the feast continues. And also, we have figured out that the camera angle is fixed on Roland statue and its hitting motion.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 proved that visual ethnography in Germany was designed to present ideal masculinity related to militaristic spirit by the Nazis other than a simple visual record of ethnography. We analyzed a guide book of visual ethnography as an example for more specific authentication.

      • KCI등재

        마케팅과 Ethnography: 학제간 연구를 위한 제언

        유창조 한국마케팅학회 2010 ASIA MARKETING JOURNAL Vol.11 No.4

        This article challenges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between anthropology and marketing for more effective applications of ethnography in marketing fields. Anthropologist, Yong Sook Lee recently submitted an article about “application of ethnography in marketing fields” to open plaza at Korean Journal of Marketing. While she provides anthropologist' perspectives about applications of ethnography in marketing fields, this article attempts to enhance the marketers' understanding about ethnography by providing marketers's perspectives about the same issues. 본 논문은 소비자행동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는 ethnography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마케팅과 문화인류학의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최근 문화인류학자인 이용숙교수가 열린 마당에 “마케팅 연구에서의 문화인류학적 접근의 활용,”이라는 논문을 기고한 바 있다. 이용숙 교수의 논문이 문화인류학자의 관점에서 마케팅 분야에서의 ethnography 활용방안을 제시한 것이라면, 이 논문은 마케팅 학자의 관점에서 ethnography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소비자행동 분야 연구자들의 ethnography에 대한 이해수준을 높이고자 한다.

      • KCI등재

        제도적 문화기술지: 왜 또 다른 연구방법인가?

        김인숙(Kim, In-So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1

        본 연구는 캐나다의 사회학자인 도로시 스미스(Dorothy Smith)가 발전시킨 ‘제도적 문화기술지 (institutional ethnography)’를 소개하고, 이 방법론이 사회복지 지식형성에 주는 유용성과 함의를 탐색하였다.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소개에서는 이 방법론의 출발점, 개인과 사회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론적 전제, ‘입장(standpoint)’, ‘문제틀(problematic)’과 같은 방법론적 장치, ‘일’과 ‘일 지식(work knowledge)’, ‘텍스트’, ‘제도적 담론’과 같은 ‘제도’를 발견할 수 있는 방법적 개념들과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기술하였다.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론은 사회복지 제도가 작동되는 실천(정책) 현장의 ‘실제 (actualities)’를 정교화하고, 제도적 변화의 구체적 지점들을 발견하게 해주며, 연구자가 선택한 사람의 입장에서 지식을 생산하게 촉진한다. 이를 통해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기존 사회복지 지식지형의 공백을 메우는 것은 물론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었다. Institutional Ethnography, a methodology, developed by Dorothy Smith in Canada. Institutional Ethnography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ethnography. Also it differs from various kinds of ethnographies such as interpretive ethnography, political ethnography, organizational ethnography, feminist ethnography, auto ethnohraphy. Institutional Ethnography explores social organization of everyday's actualities in institutional settings. This study introduuces the outline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and examines the usefullness and implications in social welfare knowledge. Usefulness and implications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follows: 1) expansion and specification of knowledges of 'organized actualities' i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fields 2) discovery of specific points for institutional changes in social welfare fields 3) production of social welfare knowledge from the standpoint of ruled, oppressed peoples.

      • KCI등재후보

        국립민속박물관의 마을민속지 작업에 관한 검토

        한양명(Han, Yang-myeo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2

        국립민속박물관은 2006년부터 매년 두 마을을 선정해서 민속지 작업을 수행해왔다. 이 글에서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 전북, 경북, 충남 등지의 마을을 조사해서 작성한 마을민속지를 대상으로 그 성과와 문제를 검토해보았다. 검토 결과,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지 작업은 여러 명의 조사자가 장기간 현지에 체류하며 다양한 분야의 민속을 조사함으로써 비교적 구체적이고 생생한 내용을 민속지에 담아 내는 한편, 부분적이나마 동시대의 민속현상에 주목하여 참여관찰의 결과를 반영한 점 등에서 종래의 민속지 작업과 구별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한국민속학에서 진행해온 기존 민속지 작업의 문제, 즉 ‘대상 중심적 접근’ 및 ‘단순한 시선과 분석의 결여’라는 관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민(民)’보다 속(俗)을 중시하는 관점, 문화요소별 접근으로 인한 탈맥락적이고 나열적인 기술, 민속지적 현재의 혼선, 조사자의 퇴위와 분석적 접근의 결여 등의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단상에 불과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속지가 마을의 모든 민속현상을 포괄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해당 마을문화의 성격과 특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적인 민속지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민속 개념의 중심에 전통문화가 놓여 있다는 동의를 전제로, 민속의 지속과 변화, 변용과 전유, 재구성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룸으로써 마을문화의 통공시적 존재양상과 의미를 해명해야 할 것이다. 셋째, ‘속(俗)’에서 ‘민(民)’으로 민속지의 중심을 이동함으로써, 유사한 ‘속’의 이면에 놓인 마을문화의 특수성을 포착해야 할 것이다. 넷째, 마을의 문화를 제대로 드러내기 위해 필요하다면, 기존 민속지의 틀을 넘어서 생애사와 자전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민속지 등 다양한 형식의 민속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nnuall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as been conducting ethnographic research about two village which was chosen for research in local governments since 2006.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result of ethnography of a village, which had been written through the village research on Jeju-do, Jeollabuk-do, Gyeongsangbuk-do, Chungcheongnam-do from 2006 until 2009. As a result of careful consideration, a work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bore fruitful results. To make this result, several investigators had to stay in the village and research folklore in various fields.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graphical and detailed folklore had been recorded on the ethnography. And, these distinguished accomplishments were achieved persevere by their efforts to make record of contemporary folklore, and these record were made by participant observation. But, these achievement could not conquer some ethnography problem, ‘access of focused on subject’ and ‘simple sight line and lack of analysis’, which had been progressing in the Korean Folkloristics. So, these ethnography could not overcome the perspective which is focused on customs than people, the description which was arrayed and decontextualized, the confusion of a age on ethnography, the absence of analytic access and evanishment of a researcher. Even despite a narrow view, I present some comment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 work of ethnography access focus on subject which is contain characteristics, get out of an imperative idea ethnography have to include all thing. Second,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concept of traditional culture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olklore, the existence and meaning of village culture will be explicate deal with maintenance and change of folklore, a change in appearance and appropriation, recomposition. Third, it will need capture the specificity of the village culture which is situated on the backside of the ‘custom’ by moving the center of ethnography to ‘people’ from ‘custom’. Fourth, I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need for reveal village culture properly beyond the framework of existing ethnography, they have to try various ways based on life history and autobiographical approach.

      • KCI등재

        Multi-Discursive Ethnography and the Re-Narration of Chinese Heritage: Stories about the Yueju Opera Performance at the Heavenly Queen Palace of Quzhou

        ( Song Hou ),( Zongjie Wu ),( Huimei Liu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6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6 No.2

        Recognizing the discursive nature of heritage and its crisis of representation, this paper proposes to use what we call “multi-discursive ethnography” as a methodological and writing strategy to renarrate and thereby remake heritage in contemporary China. Multi-discursive ethnography, as its name indicates, is a form of ethnography that encompasses multiple discourses of a subject matter and strives to facilitate dialogue among them. Scholars are required to conduct fieldwork and other research procedures to expose them to varied discourses, and then write up an ethnography by assembling and weaving together those discourses they find useful for representing dialogue and diversity. As a case study, we present a multi-discursive ethnography of the Heavenly Queen Palace (Tianhou Gong 天后宮) in Quzhou (衢州), Zhejiang Province, focusing chiefly on the Yueju opera (越劇) performances that many local people attend. Stories are told there, allowing us to rethink and reconstruct heritage beyond disciplinary knowledge and universalized meaning-making. This multi-discursive ethnography, we argue, problematizes globalized heritage discourses and invites a diverse and dialogical reconceptualization of a local past in the present by foregrounding vernacular voices and deep cultural discourse, especially with regard to li (禮),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determinate fabric of Chinese culture, and…the language through which the culture is expressed” (Hall and Ames 1998, 269).

      • KCI등재

        지방지의 언어문화편 작성을 위한 새로운 모델 연구

        홍미주,백두현 한국방언학회 2014 방언학 Vol.0 No.20

        The sections on dialects in Local Ethnography copies that have been published up until today are revealing in two aspects: first, Korean linguistics has mainly analyzed regional dialects; second, the contemporary language of locals as well as the linguistic culture have been poorly described. As a result, it fails to reflect not only the language and linguistic culture as spoken by locals but also their interests. When one acknowledges that the Local Ethnography must represent the modern lives of the locals, one should observe and describe their language and linguistic culture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When one acknowledges that Local Ethnography must represent the modern lives of the locals, one should observe and describe their language and linguistic culture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order to achieve it, existing methods must be first stripped away so as to reflect anew upon the proper description method and contents organization of the Local Ethnography’s Language & Culture section. Such a study requires to analyze the sections in question from the Local Ethnography copies previously published and single out problematic aspects. Thus, as an answer to those issues and a means to improvement, a new writing model is provided here. Accordingly, the methodology of writing out this section of the Local Ethnography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principles. Firstly, the dialect’s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culture of a given region must be highlighted. Secondly, not only the traditional dialect but also the modern regional language in use must be dealt with. Thirdly, the locals’ varied languages must be described within one’s grasp. Fourthly, the objective and the reader aimed at, namely the general public, must be clearly established. Fifthly, this section should be written uniformly according to this model. Next, the new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which should be as follows. The section should begin with an overview of the region in question and review old documents dealing with this region. A third part should cover the traditional dialect and a forth should describe the modern language used by the locals as well as give an insight into their awareness of the linguistic phenomenon. Finally, the public language and names peculiar to that region should be described. 지방지의 언어문화편은 지역민의 삶이 반영되고, 지역의 언어와 언어문화에 대한 다양한 측면이 포함되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지방지의 기술 방식을 답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지방지의 언어문화편의 내용 구성 및 기술 방식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기존에 간행된 지방지 방언편의 기술 내용 및 방식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추출하고, 개선 방향을 찾아 새로운 집필 방향과 모델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지방지 언어문화편 기술을 위한 집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지의 언어문화편은 그 지역의 방언적 특징과 지역의 언어문화가 드러나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둘째, 전통 방언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는 지역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셋째, 지역민의 다양한 언어생활을 포착할 수 있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넷째, 집필의 목적과 독자를 명확히 설정하여 일반인을 위한 기술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통일된 집필 모델로 지방지의 언어문화편이 작성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새로운 언어문화편의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어의 개괄적 소개, 둘째, 지역어를 반영한 고문헌 자료 검토, 셋째, 전통 방언에 대한 기술, 넷째, 현재 지역민이 사용하는 언어와 지역민의 언어 의식에 대한 기술, 다섯째, 지역의 공공언어와 명명어에 대한 기술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소비자 행동 분석을 위한 문화인류학 연구방법의 활용방안 연구; 에스노그라피 활용방식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숙 ( Yong Sook Lee ),유창조 ( Chang Jo Yoo ),김영찬 ( Young Chan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2 조사연구 Vol.13 No.2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조사회사나 기업체 마케팅 부서에서 ``에스노그라피``라는 이름의 조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그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문제의 원인과 개선대안 찾기``를 목표로 소비자행동 연구에 적합한 에스노그라피를 적용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로 설계되었다. 즉 소비자 연구현장에서의 정성조사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와 문제의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재개발된 연구방법을 직접 실제 조사에 적용하면서, 그 과정에 대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여 개선된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발된 분석방법을 마케팅 조사 담당자에 게 소개하는 워크숍을 포함한 4가지 상황에 대한 참여관찰과, 국내 외 7개 조사회사 및 3개기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담, 서술형 설문조사, 서구 기업체에서의 소비자 행동연구의 에스노그라피 적용사례 문헌분석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결과 중 어떤 정성조사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조사회사 구성원들은 정성조사 방법들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에스노그라피가 사용되는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개선방안과 함께 논의하였다. 정성조사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방법의 활용이 계속 시도되고 정성조사 전담 직원의 확충과 교육이 늘어나고 있으나, 국내 조사회사에서 정성조사의 사용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성조사의 비중도 외국 조사회사에 비해 낮은 편이다. 또한 에스노그라피 활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한계가 나타났다: 1) 참여관찰 없이 관찰만 실시하는 경향, 2) 인터뷰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으며, 인터뷰는 에스노그라피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 3) 조사회수와 조사시간이 지나치게 짧은 경향, 4) 다양한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다단계 조사설계의 부족과 에스노그라피의 다양한 유형 중 일부만 사용됨. 결론에서는 에스노그라피 활용을 통한 소비자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소비자 행동 연구에서 학제 간 연구의 확대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둘째, 경영학 또는 마케팅 분야에서 연구방법론에 대한 교육은 주로 정량적인 측면만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와 함께 정성적인 연구방식에 대한 교육의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산업이 요구하고 있는 마케팅과 에스노그라피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모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에스노그라피를 사용하기로 한 경우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자료수집방법만이 아니라 분석방법에 대한 고민도 있어야 한다. 여섯째, 연구의뢰 회사의 에스노그라피에 대한 이해 수준을 높이는 노력을 통해서 단기적인 수요만이 아니라 장기적인 수요에 맞춘 다양한 연구단계의 조사를 보다 장기적으로 하는 조사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ethnography is used in research firms and marketers in Korea, and brings up some problems and ideas. With the objectives to find the causes of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 design an action research by applying redeveloped research methods at field and coming up with revised ways of research. Also, we have workshops, participant observations on 4 situations, interviews with researchers of 7 research firms and 3 firms, questionnaires, case analyses, and many other ways with the newly developed ethnographic methods suitable for consumer behavior researches. In this paper, we especially discuss on which qualitative methods are mainly used in domestic research firms and how researchers think about them, and also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 using ethnographic methods. Although various methods are being discussed and tested, and educated to employers, they are tended to be limited to FGD, in-depth interviews, home visiting observations/interviews, and accompanied shopping and the usage rate is low. More the les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applications of ethnography such as: 1)observation without a participation, 2) too high dependence on interview and not including interview in an ethnographic method, 3) too short days alloted to data collection, 4) lack of research constructs on using and apply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es altogether, and the use of just a few types of ethnography. To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consumers by using ethnography, we made some suggestions. Firstly, extension on systems in consumer behavior research is in need. Secondly, since education on quantitative methods is more emphasized in marketing, a complement of educat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needed. Thirdly, development of a general research model on marketing and ethnography is important, and fourthly, a question on the various uses of ethnography has to be discussed. Fifthly, not only consideration on data collecting, but investigation on analysis has to be done. And lastly, by the effort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clients, we need to develop a research model which contains various steps of researches designed for the long term demands as well as the short term demands.

      • KCI등재

        왕안이(王安憶)의 장한가와 상하이 민족지

        임춘성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2 中國現代文學 Vol.0 No.60

        This research begins from hypothesizing An-yi Wang(王安憶)’s most prominent work Changhenge(長恨歌) is an anthropological ethnography that documents Shanghai’s urban space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order to first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a literary work as an ethnograph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role of imagination and the mechanism of fictionalization, followed by a review on literature anthropology. Then an overview on the genealogy of Shanghai literature and literary Shanghai was made. History of Shanghai literature is in fact a significant part of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an independent realm. On the other hand, ‘literary Shanghai,’ a term designating Shanghai found within the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l text which represents Shanghai, is an approach similar to the notion of ‘Shanghai ethnography,’ which is why the research has reviewed several related texts. The research’s main section of ‘Changhange as a Shanghai ethnography’ looks into past results of relative studies and observes the living space from the novel, mainly longtang(弄堂), from a micro-historic point of view. In particular, in its first chapter the novel highlights shikumen(石庫門) and longtang through a distant description. Based on such detailed depiction, the research attempts to reconstruct how Shanghai’s longtang, houses and the streets have changed from 1940s through 1980s. Next the typical life and taste, as well as identity of Shanghai’s men and women were reviewed through Qi-yao Wang(王琪搖) and Mr. Cheng(程) who are the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In addition, the essence of the character’s way of living this world is summarized as ‘emptiness and vainness’. Cultural thickness of Changhenge as a Shanghai ethnography is characterized as irony and introspection. As an ethnography of literature anthropology, the novel can be interpreted as the author’s astounding satire and sarcasm on Shanghai and on false consciousness of urbanites. There are no self grounds, no soul and no history. The way of living they believed to be wise is ‘empty and vain’. The ‘beauty’ they considered elegant and beautiful are full of secularity and commercialism. Such is a reflection of rootless European culture that were heteronomously transplanted, only revealing their ‘empty and vain’ life. Life of Qi-yao Wang, who enthusiastically performs the death she witnessed at the studio for 4 decades, is ‘emptiness and vainness’ itself. Thus the text is full of ironies. However, observer’s introspection is spotted throughout the text. At times it leads us away from monotonous everyday life towards deep thoughts and at times it prevents us from being lured by superficial phenomenon but look straight into the depths of being. Furthermore it results in a reflection on Shanghai and Shanghainese, or moreover the city and people living in it. In this context, Changhenge is a thick text full of irony and introspection.

      • KCI등재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 및 연구 절차 탐색

        오영범 ( Young Beom Oh ),김영천 ( Young Chun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3 교육인류학연구 Vol.16 No.2

        이 글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특징과 연구 절차를 탐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먼저, 우리는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개념과 발달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전통적 문화기술지와의 비교를 통해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방법적 특징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문화기술지를 수행하는 절차를 연구주제 정의하기, 온라인 커뮤니티 선택하기, 자료 수집하기, 자료 분석하기, 연구 결과 보고하기의 5단계로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에 따른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인터넷 문화기술지를 적용함에 있어 민감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윤리적 고려사항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문화적 현상인 인터넷 공간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유용한 질적 연구 방법이 될 것이며 교육 문화 현상을 재조명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인터넷 문화기술지의 적용으로 밝혀진 문화 현상은 우리 삶의 모습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Internet ethnography as a new research method that has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First, the concept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Internet ethnography were throughly researched. This was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ethnography through a comparison with traditional ethnography. Finally, the procedure of Internet ethnography is suggested to comprise of four steps: definition of the research theme,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the representation of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the ethical dimension of the application of research to Internet ethnography is also considered. This paper will provide a usefu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which to systematically research Internet space and contribute to a re-illumination of educational phenomena. Also, our cultural phenomena discovered through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our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