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와 관리 및 이용 등에 관한 비판적 검토

        강동욱 대검찰청 2020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8

        DNA analysis technology developed in the mid-1980s has been developed as a very effective means of personal identification, and its value in us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data in criminal investigation and criminal proof. Therefore, in most countries,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riminals is collected and databaseed and used for criminal investigations, and it is conside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lving crimes. On January 25, 2010,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was enacted in Korea. However, given that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has the nature of sensitive information as a personal informatio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individuals may be violated as well as the privacy of those who are collected. Therefore, thorough management is required for the collection, storage, and use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hat it has elements that violate the Constitution in the collec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such information. In other words, procedures such as the coll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should be stipulated by the law, not the enforcement decree, and the authority of the DNA Database Management Committee should be strengthened to enable practical supervision. In addition, the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to unify the management agency of the collected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o actively reflect the opinions of the subject of collection in the collection and registra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system is strict so that the collected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leaked, and the search institutions are diversified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DNA search, while the general public also actively considers seeking ways to utilize the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garding the dele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reason for deletion, establish a right to request deletion, and specify the deletion period. 1980년대 중반 개발된 디엔에이(DNA)분석기술은 개인식별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발전되면서 범죄수사나 범죄증명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서 그 활용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범죄자의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를 채취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범죄수사에 활용하고 있으며, 범죄해결에 상당한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1월 25일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중에 있다. 하지만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는 개인정보로서 민감정보의 성질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의 자기정보결정권은 물론, 채취대상자의 사생활침해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와 관리 및 이용에 있어서 헌법위반의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절차적 정당성의 확보와 철저한 관리와 통제가 요구된다. 즉,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 등의 절차에 대해서는 시행령이 아니라 법률에서 규정하고, 디엔에이데이터베이스관리위원회의 권한을 강화하여 실질적인 감독이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채취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관리기관을 단일화하고, 그 채취와 등록 등에 있어서 채취대상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여야 한다. 그리고 채취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가 누출되지 않도록 관리체계를 엄격하게 하고, 디엔에이검색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검색기관의 다양화하는 한편, 일반인이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활용가능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도 적극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외에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삭제에 관련하여 삭제사유의 확대, 삭제청구권의 신설, 삭제기간의 특정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

        발표논문 :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용현 ( Yong Huyn Kim ),황영구 ( Young Gu Hwang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3

        최근에 살인·아동성폭력 등이 잇따라 일어나면서 재범의 위험성이 높은 흉악범들의 DNA를 채취하여 데이터베이스(DB)화함으로써 범죄예방 및 범인 검거에 활용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DNA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 2010년 4월 15일자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학계 및 시민사회단체 등에서는 대상범죄가 지나치게 넓다는 점, 수사단계인 구속피의자에 대해 DNA 감식시료 채취를 허용하는 것은 헌법상 무죄추정원칙에 반할 수 있다는 점, 정보의 무단유출과 오·남용될 수 있다는 점, 헌법상 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DNA 신원확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기에 앞서 이 법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법률의 명칭에 대한 문제이다.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은 범죄자를 대상으로 DNA 신원확인정보를 채취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향후 수사와 재판에 이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DNA를 통해 친자확인, 질병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너무 포괄적이다. 따라서 이 법률의 목적에 맞게 법률명을 「범죄자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DNA 신원확인정보를 위한 사무관장에 대한 문제이다. DNA 신원확인정보를 이원화하여 관리하는 것은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통해 오류를 줄임으로서 데이터베이스의 신뢰를 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DNA 신원확인정보의 관리과정에서 오·남용 등의 문제, 예산의 중복투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경찰과 검찰의 이원적 관리보다는 수사기관으로부터 완전 독립된 제3의 기관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적용 대상범죄와 적용 대상자에 대한 문제이다. DNA 신원확인정보의 대상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위헌성 시비를 줄이는 방법은 대상범죄를 법률로 정하고, 채취대상자 또한 DNA감식시료채취가 사회방위를 목적으로 하는 보안처분의 성격을 가진다고 본다면 다른 보안처분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법원의 판결로서 DNA감식시료의 채취 대상자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넷째, DNA 감식시료채취영장에 대한 문제이다. 채취대상자의 동의를 받은 경우에 영장없이 유전자감식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대한 인권침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영장주의를 전면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 DNA 감식시료의 폐기 및 삭제에 대한 문제이다. DNA 신원확인정보를 삭제 및 폐기는 개인의 DNA정보가 유출되거나 범죄의 조작가능성 등이 있기 때문에 DNA정보관리자의 폐기 여부에 대한 감독 및 폐기절차 등은 대통령령이 아닌 명확하게 법률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섯째, DNA신원확인정보 데이터베이스관리위원회에 대한 문제이다. 위원들은 이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민간위원 참여 수가 과반수 이상이 되도록 법적으로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당사자 통지에 대한 문제이다. DNA 감식시료의 채취, 수록, 폐기, 삭제 등에 대해 당사자에게 관련된 사항을 통지하는 방법과 절차 등은 법률상 명문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 등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으로 위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cently with the murder and child sexual violence increasing, as of April 15, 2010, Law about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which specifies that DNA of the brutal criminals with a high second conviction rate should be taken, data-based and used for preventing crimes and arresting criminal-is being enforced. However, academic authorities and civic groups argue that the relevant crimes are too wide and collecting the accused`s DNA sample is against the Constitution`s Presumption of Innocence. Also, they indicate that the information would leak without permission, the information would be abused and it would infringe the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ly, I am going to examine the problems and suggest the solution in this survey in advance of the enforcement. The first is about the title of the law. Law about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imed to collect criminals` DNA and make a database to use it for investigation and trials. but it is too wide in that we can use DNA for a paternity test and identifying disease and so on. Thus, to ft the purpose of the law it is desirable that the law should be renamed as Law about The Use and management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problem is about management official responsible for the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information is divided and managed in two, we can reduce the errors through checks and balances and make the information reliable. But 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information, several problems-such as the abuse of the information and the double investment of the budget-can occur. Accordingly The third institution separated from investigative agency should be established rather than the dual management of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The third is about the applicable crime and applicable criminals. In selecting those affected by the law, we should reduce the conflict about unconstitutionality. To do so, we should specify the applicable crime and criminals by law. If DNA information collecting is to protect the society, in consideration of the fairness, the applicable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court ruling. The fourth is about writ permitting DNA information collecting. If DNA information collecting is permitted without writ in the case of admission, it results in serious human right abus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writ policy. The fifth problem is about discarding and deleting the information.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leak and manipulating the information, when it comes to discarding and deleting th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by law not by a presidential decree. The sixth problem is about Database management commission responsible for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mmission should be composed of experts in this field, and especially civic commissioners should hold a majority by law. The seventh is about the notice to the person directly concerned. It is desirable that the things concerned-such as collecting DNA information, recording it and deleting it-should be noticed by law. Also, the method and procedure about the notice should be defined by law. Detailed method and procedure should be defined by a presidential decree.

      • KCI등재

        DNA신원확인정보의 실효적 보호에 관한 연구: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장을 중심으로

        김강한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아주법학 Vol.13 No.3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biometrics is information that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bodies of individuals and unlike other personal information, it cannot be changed while the individual is alive and it can be used not only to identify an individual, but also information on blood relationships of the individual. Therefore, it must be protected at levels of pro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However, many disputes have been raised on Korea’s DNA Act even before its enactment because by excessively collecting and process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are biometrics of individual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rime investigation agencies and to prevent crimes, it could violate the basic constitutional rights of individual human rights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recently made the ruling that in relation to Article of the DNA Act that it was a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s it did not guarantee the procedural rights of the claimant was significant. DNA identity information is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an individual, and therefore,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should be able to exercise his or her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is the right to control how much information to whom his or her information would be shared with. Howeve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be limited by laws in the cases needed to guarantee national safety, maintain order, or for public welfare pursuant to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This means that regardless of the intent of the subject of information,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lawfully by the authorities for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for criminal investigations or crime prevention. Related to this, a provision was also provided to allow investigative agencies to collect, use, store, etc.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criminal investigation and crime prevention in the DNA Act. However, the current DNA Act excessively violates the freedom to one’s own bod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etc. due to several issues such as the massive scope of applicable crimes, lack of regulations to guarantee the procedural rights of subjects, and unlimited storage of information, etc. Accordingly, revisions should be made for the DNA Act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son for ruling of being unconstitutional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various potential violations of the Constitution that are being suggested. In detail, some areas for reform would be to minimize the crimes for collecting the information, adding conditions for risk of recurring crimes, deleting regulations on consent to collection, guarantee of right to state opinions, providing a clear basis for non-compliance procedures, indication of storage period, guarantee of rights to claim for deletion, etc. 생체정보로서의 DNA신원확인정보는 개인의 신체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정보이고, 다른 일반 개인정보와 달리 개인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며, 이를 통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혈족관계에 관한 정보까지도 파악할 수 있어, 민감정보의 보호수준으로 보호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DNA법은 제정되기 이전부터 많은 논란이 있어 왔는데, 그 이유는 수사기관이 범죄의 효율성 및 범죄예방이라는 목적을 위해 개인의 생체정보인 DNA신원확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 및 처리함으로써 개인의 인격권,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의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것이었다. 최근 헌법재판소는 DNA법 제8조와 관련하여 청구인들의 절차적 권리를 보장하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위헌결정을 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DNA신원확인정보는 개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정보주체는 본인의 DNA신원확인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처리될 것인지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권리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서 제한될 수 있고, 이는 정보주체의 의사와 상관없이 DNA신원확인정보가 범죄수사 또는 범죄예방 등 공익목적을 위해 정당하게 공권력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DNA법에서는 범죄수사와 범죄예방을 위하여 수사기관이 DNA신원확인정보를 수집, 이용, 보관 등을 할 수 있도록 근거조항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DNA법은 대상범죄의 광범위성, 대상자의 절차적 권리 보장에 관한 규정 부재, 정보의 무기한적 보관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대상자들의 신체의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을 과도하게 침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DNA법은 향후에 DNA신원확인정보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의 취지와 현재 제기되고 있는 여러 가지 위헌소지가 있는 조항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개정사항으로는 채취 대상범죄의 축소와 재범 위험성 요건 추가, 채취 동의 관련 규정 삭제, 의견진술권 보장 및 불복절차에 관한 명시적 근거 마련, 보관기간 명시 및 삭제청구권 보장 등이 있다.

      • KCI등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 및 활용의 허용 여부

        강동욱(Kang, Dong Woo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叢 Vol.27 No.2

        최근 범죄가 지능화되면서 수사나 범죄증명에 있어서 과학적 증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과학적 증거의 객관성과 정확성이 담보되면서 수사에 있어서 과학적 증거의 활용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특히, 디엔에이분석은 개인식별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식별력과 신뢰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면서 수사상 중요한 증거자료로서 그 활용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반면,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수집은 다른 범죄증거수집의 경우에 비하여 개인의 인권에 대한 침해도 크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수사에 활용할 목적으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 등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1월 25일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중에 있다. 그러나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 및 활용은 개인의 사생활침해와 더불어 개인의 자기정보결정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등, 헌법위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의견도 적지 않다. 하지만 수사실무상 디엔에이정보는 이미 범죄해결에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사례에서 범죄해결에서 실효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디엔에이법을 중심으로 하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성격 및 수사에의 활용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 및 활용에 관한 반대론에 대하여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검토함으로써 그 정당성의 논거를 제시하였다. As crimes have recently become intelligent,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evidence in investigations and criminal proofs has been emphasized, and the objectivity and accuracy of scientific evidence have been guarante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need to utilize scientific evidence in investigation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DNA analysis is considered to have the best identification and reliability in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its value of us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evidence in investig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result in significant encroachment on individuals human rights compared to other criminal evidence collections. Therefore, most countries establish and operate a database while providing legal grounds for collecting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using it for investigation. On January 25, 2010,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DNA Act) was enacted in Korea. However, many critics say that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mplies elements of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such as violation of individuals privacy as well as their right to decide their own information. However, not only is DNA information already being actively used to solve crimes, but it is also shown that actual cases produce effective results in solving crimes. Therefore, I looked at the nature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easibility of using it for investigation, focusing on the DNA Act. Based on this, the objection to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was analyzed and review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suggesting the justification.

      • KCI등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형사상 활용에 따른 법률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성대(Lee, Sungdae) 미국헌법학회 2016 美國憲法硏究 Vol.27 No.2

        갈수록 흉포화되어 가고 있는 현대의 범죄현상들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디엔에이정보 등을 활용하는 과학수사(Forensic Science)가 필요하다는 점에는 이론이 없을 것이다. 2010. 1. 25. 법률 제9944호로 제정되어 2010.7.26. 시행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디엔에이법’)」은 이러한 필요에 치우친 나머지 인권침해의 가능성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보호장치를 마련함에 소홀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동법이 제정된 이후 개인정보의 보호에 대한 일반법인 (통합)개인정보보호법이 제정되었고,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도 개인정보이므로 양법률 사이의 관계를 전제로 일반법인 개인정보보호법의 가치체계 속에서 디엔에이법의 문제점을 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여기에서 디엔에이법이 시행된 이후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다시금 동법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형사상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활용과 관련한 법률적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디엔에이 신원확인정보의 활용가능성과 미국을 중심으로하는 제외국의 활용현황(Ⅱ)을 살펴보았으며, 현행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Ⅲ)을 검토하였다. 특히 인간의 존엄성, 정보자기결정권 그리고 무죄추정의 원칙 등과의 관계에서 디엔에이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법률이론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현행 법률의 체계적 정비방안과 제도의 개선방안(Ⅳ)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 ① 법률목적의 명확화, ② 디엔에이정보 수집대상의 합리적 축소, ③ 통합개인정보보호법과의 관계에서의 체계정합적 정비라는 세 가지가 가장 시급한 과제에 속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개인정보보호법과의 관계에서 체계적 정합성을 확보하는 문제는 개인정보보호법이 등장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되고 있는 단골소재들 중 하나로서 디엔에이법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엔에이법은 개인정보 중에서도 민감정보로 취급되어야할 내밀한 정보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섬세한 검토가 필요한 분야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Forensic science that makes use of DNA information is needed to take proper actions against modern crime phenomenon that has become ferocious. Act on Use and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called DNA law) that was enacted by law No. 9944 on January 25, 2010 to be effective from July 26, 2010 considered such a need too much to neglect protective devices against infringement upon human rights. Since enactment of the law, act on (integrated) personal information of common corpora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is subject to relations of both laws to have valu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of common corporation and to investigate problems of DNA law. At time elapse after enactment, DNA law is needed to review. The study investigated legal problems and reformation of use of cri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udy investigated possibility of the use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 of the information in USA and other countries(Ⅱ) and legal problems(Ⅲ)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udy investigated systematic maintenance and reformation of the law(Ⅳ). At discussion, three problems should be urgently solved: ① Clarification of legal purposes, ② reasonable lessening of DNA information collection, ③ systematic consistency at rela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Systematic consistency at rela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was thought to be important, and DNA law had sensitive inform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require careful investigation. Technical development could give benefit when laws were reformed at rapid changes of scientific technology: If not, negative effect could be made to create surveillance society.

      • KCI등재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디엔에이법의 입법개선 방안

        김혜경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5

        2018년 헌법재판소는 디엔에이법상 디엔에이채취영장 발부와 관련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하였다. 헌법불합치 결정에 관련된 중대한 기본권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이외에도 재판청구권 및 재판절차진술권이다. 그런데 영장발부 절차에서 채취대상자에게 디엔에이감식시료 채취영장 발부과정상 자신의 의견을 진술할 수 있는 기회를 절차적으로 보장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부 후 그 영장 발부에 대하여 불복할 수 있는 절차적 기회를 보장하지도 않고, 또한 채취행위 자체에 대한 위법확인청구절차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해당 조문들은 앞서 언급한 기본권들을 침해하며, 채취대상자는 범죄수사 및 범죄예방에 객체로 전락하게 된다는 점에서 공익과 사익간의 법익 균형성도 인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헌법재판소는 인권에 대한 보다 높은 시각에서, 수사자료의 확보 및 형사절차만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던 형사법 영역에 경종을 울리고, 개인의 기본권 보장과 비례성의 원칙을 존중할 것을 요구하였다. 형사절차와 관련된 법들은 기본권침해적 요소를 내포하지 않을 수 없지만, 지금까지 법률상 인권존중과의 양립가능성에 관하여 섬세하고 정치하게 법률정비를 하지 않았음에 대한 질타인 셈이다. 여기에서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분석하면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및 신체의 자유, 재판청구권 등 관련 기본권들이 보장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면서 이를 반영한 개정 법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의 책무 규정을 인권을 중심으로 서술할 것과, 제5조의 대상범죄군에 대한 선정기준을 정립하고 그에 부합하도록 대상범죄군을 정비할 것 및 사회적 법익을 해하는 죄에 해당하는 노사관계법 및 집시법과의 경합범은 제외할 것을 제안하였다. 가장 핵심적인 채취영장청구와 관련하여서는 인신구속에 관한 형사소송법상의 영장실질심사제도 및 구속적부심제도의 차용을 제안하여, 신설규정의 보다 구체적으로 정비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엔에이신원정보의 삭제 규정에 대하여 법률에 의한 삭제, 직권에 의한 삭제, 청구에 의한 삭제를 병행하고, 법률에 의한 삭제는 무죄나 기소가 없어서 범죄혐의가 없음이 확증된 때에는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담당자에게 지체 없이 삭제하여야 할 의무를 부과하는 형식으로 규정하고 청구에 의한 삭제는 재범위험성을 고려하여 정비하고자 하였다. Constitutional court sentenced unconformity-decisions on adjudication on a constitutional complaint for § 8 of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DNA Act) in Aug. 2018. In Korea, Constitutional court has the power only to declare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by unconformity-decisions the Constitutional Court exercises the power to decide the validity of the unconstitutional statutes. According of DNA Act,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contribute to investigations and prevention of crimes and the protection of citizens’ rights and interests by providing for matters necessary for the collection,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But the aim of this act is only effective criminal investigation. So effective criminal investigation as purpose should be preserved to Proportional Principle But DNA database is a risk of violating the right to privacy, especially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In this unconformity-decisions Constitutional court ordered the revision of Act of DNA. A public prosecutor may collect DNA samples from a person subject to collection of DNA samples under Article 5 or 6, with a warrant issued by the competent district court judge at the request of the public prosecutor(article 8). But there are no method of dissatisfaction against warrant to collect DNA samples to detained suspects, etc. which made the same article as unconstitutionality. So it was said that legislative should new dissatisfaction system as like Examination of criminal suspect and review of legality of arrest and detention in Criminal Procedure Act. If examination of criminal suspect were accepted in DNA Act, Upon receiving a request for a warrant of detention of a criminal suspect under Article 8, a judge shall hold a hearing to examine the criminal suspect without delay. And after issue of warrant of collecting DNA samples, detained suspects are able to request the competent court to review the legality of collecting DNA samples. In addition to this article of unconformity-decisions Constitutional court, DNA Act have many unconstitutional articles, for example Article 12 (Destruction of DNA Samples) and Article 13 (Erasure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ccording Article 13,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should be stored until a prisoner or a detained suspect is dead but this article infringes on fundamental rights seriously.

      • KCI등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위헌성에 대한 검토 -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침해를 중심으로 -

        이준일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2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DNA Act)’ is a law ena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criminal investigations and crime prevention by obtaining DNA information through the DNA testing of DNA samples. This DNA information is th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identity of individuals. Such personal information i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al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This constitutional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s not a absolutely guaranteed right, but may be limited. However,the limita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is required to comply wit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for the limitation. The DNA Act that justifies DNA sampling and testing as well as obtaining and using of DNA information of suspects arrested and prisoners for the purpose of criminal investigations and crime prevention violates the principle of warrant requirement, the equality principle,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comprehensive legislation delegation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onstitutionally required for the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especially the principle of minimal damage and the principle of balance.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은 DNA시료에 대한 DNA감식을 통하여DNA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범죄수사 및 범죄예방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제정된 법률이다. 여기서 DNA 정보는 개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정보’에 해당한다. 이러한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의해서 헌법상 보호된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도 절대적 기본권은 아니기 때문에 제한될 수 있지만헌법상 요구되는 기본권제한의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범죄수사와 범죄예방을 목적으로 수형자 등과구속피의자 등의 DNA시료를 채취ㆍ감식하고, 이를 통해 DNA정보를 획득ㆍ이용하는 국가의 행위를정당화하는 DNA법은 헌법상 보장된 ‘영장주의원칙’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평등원칙’과 ‘포괄위임입법금지원칙’ 및 기본권제한적 법률에 대해서 헌법이 요구하는 ‘과잉금지원칙’, 특히 피해의 최소성과 법익의 균형성에 위배된다.

      • KCI등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의미와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대상

        강동욱 ( Kang¸ Dong Woo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3

        오늘날 과학의 발달에 따라 과학적 증거의 정확성으로 인해 범죄수사나 범죄증명에 있어서 과학적 증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더구나 묻지마 범죄 등 동기 없는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범죄현장 등에서의 디엔에이정보의 확보는 범죄해결을 위한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다른 나라에서도 범죄자의 디엔에이정보를 채취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범죄수사에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 1월 25일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정하여 시행중에 있다. 그러나 디엔에이법은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현재의 범죄해결 보다는 장래의 범죄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런데 디엔에이법 제7조에서는 범죄현장 등에서의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채취에 관한 규정을 두고,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것에 한하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법의 성격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디엔에이법의 의미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범죄현장 등에서의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보관·이용과 관련한 기존의 논의를 중심으로 현행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범죄수사목적의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채취 등에 대해서는 형소법에서 규정하되, 적법절차를 준수하게 함으로써 수사기관에 의한 디엔에이정보의 부당한 채취와 오·남용을 최소화하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today,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evidence in criminal investigation or criminal proof is emphasized by the accuracy of scientific evidence. Moreover, securing DNA information at crime scenes and other sites is being used as a very important means to solve crimes as the number of unmotivated crimes such as crime without motive increases. Therefore, other countries are also collecting DNA information of criminals and using it as a database for criminal investigations. On January 25, 2010, the Act on the Utilization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was enacted in Korea. However, the DNA Act focuses on preventing future crimes rather than solving current crimes through the database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However, Article 7 of the DNA Act has raised controversy over the nature of the law by allowing it to be included in the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only for those whose identity has not been confirmed. Based on the review of the meaning of the DNA Act, this paper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aw based on existing discussions on the collection, storage, and use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t crime scenes, etc., and proposed measures for improvement. In particular, the collection of DNA identification samples for criminal investigation purposes must be regulated by the Criminal Procedure Act. bu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unfair collection, misuse, and abuse of DNA information by investigative agencies by ensuring compliance with due process of law.

      • KCI등재

        DNA 채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광훈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5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was enacted as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crimes that are becoming more and more ferocious and intelligent, and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system was constructed and has been operated based on the Act. However, whether DNA sampling system is being operated in line with the intent and objective of enactment of the Act remains doubtful, with excessive extensiveness of the crimes subject to DNA sampling and uncertainty as to the use of DNA sample in place. In executing a warrant on sampling against suspects who disobey demands of enforcement agency for sampling, there is still a limit in execution of a warrant due to ambiguity about how far can the enforcement agency exercise its use of force. Furthermore, excessive restriction on basic human rights of suspects and problems of abuse of collected information still remain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ddress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duce targeted crimes to suit the intent and objective of enactment of the Act, and determine those subject to DNA sampling through judgment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recidivism, character of crime, etc. To secure effectiveness of the enforcement of a warrant for sampling, it is also necessary to prevent unnecessary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nd loss of enforcement power by supplementing in detail the exercise of the use of forc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use of samples shall be clearly stipulated. DNA 법은 점차 흉포화·지능화되어가고 있는 범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이고, 이 법을 근거하여 DNA 신원확인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용되고 있다. 하지만 DNA 채취제도는 채취대상자 범죄가 지나치게 광범위하고 채취시료의 용도에 관한 불명확성으로 DNA 법 제정의 취지와 목적에 맞게 운용되고 있는지 의문이다. 또한 집행기관의 채취요구에 불응하는 대상자들에 대한 채취영장에 의한 강제집행을 함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유형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모호성으로 채취영장의 집행상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DNA 법이 제정될 당시부터 채취대상자에 대한 과도한 기본권 제한과 채취된 정보의 오·남용에 대한 문제 제기도 여전하다. 따라서 개선방안으로는 DNA 법 제정취지와 목적에 맞게 채취대상범죄를 축소하고, 재범위험성과 범죄성질 등을 고려하여 판결로 채취대상자를 확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채취영장의 집행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형력 행사에 관한 부분도 보완하여 채취대상자에 대한 불필요한 인권침해와 집행 결손력을 방지하여야 한다. 아울러 채취시료의 활용범위도 명확히 규정하여야 한다.

      • KCI등재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채취, 관리 및 검색과 영장주의

        강동욱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3 No.2

        The third amendment to the DNA Act wa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not preparing a procedure for objection to the collection of DNA test samples in the previous DNA Act. However, under the DNA Act, the collect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DNA detection samples is for the purpose of identification in the event of a future crime, and is for the main purpose of crime prevention and is not an evidence collection activity for criminal investigation purposes in the corresponding criminal case. Nevertheless, it is being criticized for obtaining a court warrant in the same way as in criminal justice procedures for the coll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also criticized for the fact that the DNA Act does not require a warrant for the ide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procedures, unlike the court's warrant for the collection of DNA detection samples.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the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der the DNA Act, the problems of the warrant system of the Act were examin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DNA Act, the 'risk of recidivism' must be specified in the DNA Act as the requirement for collecting DNA detection samples because there must be a 'risk (or possibility) of recidivism' in collecting DNA samples.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the predictability of recidivism, the nature of the DNA Act should be clarified by describing the criteria and methods of judgment, and the procedures should be supplemented to maintain the adequacy and fairness in the collection of DNA detection samples. In particular, even if the exception of warrantism is recognized by the consent of the subject of collection in the collection of DNA detection samples, the request for due process is supplemented by supplementing a procedural device that can guarantee that the consent has been made in a free state. 디엔에이법의 제3차 개정은 헌법재판소가 개정 전의 디엔에이법에서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채취에 대한 불복절차를 마련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헌법불합치를 결정을 한 것에 따른 것이었다. 하지만 디엔에이법상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신원확인정보의 채취 등은 장래 범죄가 발생한 경우에 신원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범죄예방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일뿐 범죄수사목적의 증거수집활동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에 있어서 일반 형사절차상 강제처분에 요구되는 법원의 영장을 발부받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반면, 디엔에이법에서는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채취에 대해서는 법원의 영장을 요하는 것과 달리 그 감식 및 신원확인절차에 대해서는 영장을 요하지 않고있다는 점에서 비판되기도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디엔에이법상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채취 등의 성격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디엔에이법상 영장제도에 대하여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엔에이법상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채취에 있어서 그 성격에 맞게 영장주의제도를 허가장제도로 변경하는 한편, 그 채취요건으로서 ‘재범위험성(또는 가능성)’을 추가적시함으로써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엔에이법에서 재범예측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재범위험성 판단의 기준과 방법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채취 등에 있어서적정성과 공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절차를 보완하여야 한다. 특히, 채취대상자의 동의에 의하여 디엔에이감식시료의 채취를 허용하는 경우에도그 동의가 채취대상자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진의에 의하여 행하여졌음을객관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절차적 장치를 보완함으로써 적법절차의 요청을 충족하게 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