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문의 자유와 대학의 자치 - 헌법재판소의 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이준일 헌법재판소 2012 헌법논총 Vol.23 No.-

        There can be four opin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freedom and university autonomy: the first that the former and the later are the same in the aspect of substance and function as well, the second that the former and the later are the same only in the aspect of substance, the third that the former and the later are the same only in the aspect of function, and the fourth that the former and the later are divided in the aspect of substance and function as well. It is reasonable that academic freedom hat to include substantially and functionally the autonomy of university. If the academic freedom does not include the autonomy of university, the later must be understood as institutions-guarantee (Einrichtungsgarantie). And if the autonomy of university is understood as institutions-guarantee, people who claim that their autonomy of university as basic right which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as been violated may not file a constitutional complaint. The Constitutional Court shall not apply restricted scrutiny when it control the legislation by the criteria of the autonomy of university. Therefore, the autonomy of university is required to be understood as procedure-right, not as institutions-guarantee. If the autonomy of university is understood as procedure-right, people who claim that their autonomy of university as basic right which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as been violated may file a constitutional complaint. However, power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hall not be exaggerated and violate the competence of the Parliament, bec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may apply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undersized protection (Untermaßverbet) as criteria of norm-control. In the same context, there are so few possibilities to file a constitutional complaint on the base of the autonomy of university understood as procedure-right. 학문의 자유와 대학의 자치 간의 관계는 내용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완전히 일치된다고 보는 견해, 내용적으로만 일치한다고 보는 견해, 기능적으로만 일치한다고 보는 견해, 내용적으로나 기능적으로도 완전히 분리된다고 보는 견해가 가능하다. 학문의 자유는 대학의 자치를 포함하여 양자는 내용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모두 일치한다고 보는 견해가 타당하다. 학문의 자유에 대학의 자유를 포함시키지 않는 견해는 대학의 자치를 제도보장으로 이해한다. 대학의 자치가 제도보장으로 이해되면 국민은 대학의 자치에 대한 침해를 이유로 헌법소원을 청구할 수 없다. 헌법재판소가 제도보장으로 이해된 대학의 자치를 기준으로 입법을 통제하는 경우에도 엄격한 심사를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대학의 자치는 제도보장이 아니라 절차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학의 자치가 절차권으로 이해되면 국민은 이에 대한 침해를 이유로 헌법소원을 청구할 수 있다. 그렇다고 헌법재판소의 권한이 비대화되어 의회의 권한을 침해하지는 않는다. 헌법재판소는 절차권과 같은 급부권의 경우에 과소금지원칙에 따라 심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절차권으로 이해된 대학의 자치를 근거로 국민이 헌법소원의 청구를 남발할 가능성도 적다.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다중언어 문화이미지프레임망 구축 구상

        이준서(李埈瑞),한경수(韓京洙),노웅기(盧雄基)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5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multi-lungual Cultural Image Network Element(CIFN) based on big-data framework. Our research team has already made a desktop application version Korean-Japanese CEMS at LEE & Han(2016) with a purpose of enhancing language education efficiency. Since then, we could produce several achievements which extract cultural elements from the corpus of each language. But we could find that the CEMS has several limitations i.e. 1. basically, CEMS is a desktop version application with lack of openness, 2. CEMS handles limited languages, Korean and Japanese, 3. The corpuses which CEMS depends on have only the fixed data.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out the way ou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hich CEMS has by constructing the Cultural-Image-Frame-Network.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권의 복권을 위한 구상

        이준일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3

        The fact that various social fundamental rights are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seems undoubtedly evident. However, there is a consensus on what are the essential signs that define the concept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whether the nature of subjective rights can be recognized for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what are the specific screening criteria for social fundamental rights as a basis for controlling state action. First of all, since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the essential signs that define social fundamental rights, it is not easy to clearly explain the objects asserted by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who can enjoy them. The essential conceptual sign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is the right that individuals have over the objects that they can freely buy in the market without the help of the state, provided that economic and financial conditions are acceptable. These include living, housing, education, and medical care. Thus, the subject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is primarily an economically weak group, a group that can freely buy what it wants in the market without the help of the state due to economic poverty. Secondly, since the nature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lies in autonomy for objects that cannot be realized without guarantees of economic and financial conditions, the realization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is closely related to the finances of the state which must provide these conditions. However, social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given the status of controlling state policies related to social security or social welfare, in recognition of the subjective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Lastly, even if we recognize the status of the controlling criteria for judging the state action on social fundamental rights, if the concrete and reasonable criteria are established, the Constitutional Court recognizes the subjective right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actively judges the state action on the basis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Even so, that does not mean that it violates the powers of parliament and the government on finances. In the case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hould be applied, and in particular,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ly insufficient protection should be applied. As such, the social fundamental rights can be defined relatively clearly, the nature of subjective rights can be recognized, and the concrete and rational standards required for application can be proposed, so that social fundamental rights should not only remain in the constitutional right recognized on the constitution by letters, but need to be reinstated as a practical right to control the state actions. 헌법에 다양한 사회적 기본권이 보장되어 있다는 사실은 의문의 여지없이 명백해 보인다. 하지만 사회적 기본권의 개념을 정의하는 본질적 징표와 사회적 기본권에 대한 주관적 권리성의 인정 여부 및 국가작용을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적 심사기준에 대해서는 일치된 견해가 존재하지 않는다. 우선 사회적 기본권을 정의하는 본질적 징표에 대한 분명한 정의가 없다 보니 사회적 기본권에 의해 주장되는 대상과 사회적 기본권을 향유할 수 있는 주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쉽지 않다. 사회적 기본권의 본질적 개념징표는 경제적・재정적 여건만 허락된다면 국가의 도움 없이 개인들이 스스로 시장에서 자유롭게 구입할 수 있는 대상들에 대해서 가지는 권리로 그 대상으로는 생계, 주거, 교육, 의료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본권의 주체는 일차적으로 ‘경제적 약자’, 곧 경제적 빈곤으로 인하여 국가의 도움이 없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시장에서 자유롭게 구입할 수 있는 집단일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사회적 기본권의 본질은 경제적・재정적 여건의 보장 없이는 실현될 수 없는 대상들에 대한 자율성에 있기 때문에 사회적 기본권의 실현은 이러한 여건을 제공해야 하는 국가의 재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렇지만 사회적 기본권은 헌법이 보장하는 주관적 권리의 성격을 인정받아 사회보장이나 사회복지와 관련된 국가정책들을 통제할 수 있는 지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기본권에 대해서 국가작용을 판단하는 심사기준의 지위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판단기준만 마련된다면 헌법재판소가 사회적 기본권의 주관적 권리성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사회적 기본권을 기준으로 국가작용을 판단한다고 해도 그것만으로 재정에 관한 국회와 정부의 권한을 침해한다고 볼 수는 없다. 사회적 기본권의 경우에도 비례성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과소금지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처럼 사회적 기본권은 그 개념이 비교적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고, 주관적 권리의 성격이 인정될 수 있으며 적용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합리적 기준이 제시될 수 있으므로 단지 헌법전에 문자로만 인정된 권리가 아니라 국가작용을 통제할 수 있는 실천적 권리로 복권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본소득과 헌법 : 기본소득의 핵심적 특성에 따른 헌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이준일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70

        Basic income refers to a system that guarantees essential income necessary for the needs of life to all citizens by providing the same amount of cash on a regular basis without any consideration or condition. Basic income can be understood as a type of constitutional social right in that beneficiaries receive a certain amount of cash directly from the government, such as the basic pension paid to the elderly or the disability pension paid to the severely disabled. This is because the essence of constitutional social rights lies in the state’s financial support for things essential for human life, be it cash, goods, or services. It is also true that the idea of ​​basic income, which guarantees a certain amount of equal income to everyone, is misunderstood as a ‘totalitarian idea’ that contributes to the equalization or homogenization of everyone. However, basic income can be fully understood and explained in terms of ‘fundamental soci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However, in terms of the ‘universality’ of the subject or the ‘equality’ of the amount, questions may be raised about the nature of constitutional social rights included in basic income. In addition, criticism may be raised against attempts to understand basic income as a concrete way of forming constitutional social rights, given that the essence of basic income is ‘gratuitousness’ and that basic income can be combined with ‘sustainability’. However, it seems that these characteristics of universality, equality, gratuitousness, and continuity cannot serve as a decisive basis to refute the theory that basic income is a constitutional social right. This is because all constitutional social rights can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ality, equality, gratuitousness, and continuity by the legislator who specifically forms them. 기본소득(basic income)은 모든 국민에게 대가나 조건 없이 동일한 금액의 현금을 정기적으로 지급함으로써 누구에게나 생활의 수요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노인에게 지급되는 기초연금이나 중증장애인에게 지급되는 장애인연금처럼 수급권자가 직접 국가로부터 일정한 금액의 현금을 지급받는다는 점에서 기본소득은 사회적 기본권의 한 유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회적 기본권의 본질은 현금이든 물품이든 서비스든 인간다운 생활에 필수적인 대상에 대한 국가의 재정적 지원에 있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에게 일정한 금액의 동일한 소득을 보장하는 기본소득의 이념은 모든 사람의 균일화 또는 획일화에 기여하는 ‘전체주의적 발상’이라는 오해를 받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기본소득은 헌법이 보장하는 ‘사회적 기본권’의 관점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설명될 수도 있다. 다만 주체의 ‘보편성’이나 금액의 ‘균등성’이라는 측면에서 기본소득에 포함된 사회적 기본권의 성격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또한 기본소득의 본질이 ‘무상성’에 있고 기본소득이 ‘지속성’과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본소득을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적 형성방식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에 비판이 제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편성, 균등성, 무상성, 지속성이라는 특성이 기본소득을 사회적 기본권으로 구성하려는 이론을 반박하는 결정적인 근거가 될 수는 없다고 보인다. 모든 사회적 기본권은 그것을 구체적으로 형성하는 입법자에 의하여 보편성, 균등성, 무상성, 지속성의 특성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