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자간 명의신탁에서 횡령죄의 성․부에 관한 재검토

        조광훈 안암법학회 2020 안암 법학 Vol.0 No.61

        Excepting some tile trust permited by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s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tile trust is ilegal in principle. Ilegal tile trust has become a hotbed of every posible ilegality and evasion of law including evasion of taxes through registration of real estates under a borowed-name.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s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includes strong legal and politcal wil to eradicate the foregoing. But the judicial precedent is that misapropriation as wel as embezlement are not established in the intermediate omision tile trust and tile trust of contract. The precedent of the past recognized the status of keping real estates of others and considered that embezlement is established in the intermediate omision tile trust, but after that, the precedent says entrustment and trust relationship in embezlement can be admited as long as it deserves protection and is now denying embezlement considering such tile trust is ilegal entrustment relationship ilegal unles otherwise permited by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s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Notwithstanding the aforementioned, embezlement is admited in bilateral tile trust as truste stil have status keping real estates of others. In as sense that tile trust not permited by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s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is a hotbed of ilegality including speculative investment in real estates and evasion of taxes, however, granting a status of custodian to truste goes against the purpose of legislation of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s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and is considered inapropriate as it is an antisocial legal act and must be invalid. Therefore, if we aply the theory of ilegality comparison and al the theories of civil law such as antisocial legal act in Article 103, payment in ilegal cause in Article 746 and false representation in Article 104 to the relationship of bilateral tile trust, it is considered apropriate to deny establishment of embezlement by denying grant of status of custodian for keping real estates to truste. 부동산실명법에서 허용하고 있는 몇 개의 명의신탁을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명의신탁은 불법이다. 이렇게 불법적인 명의신탁은 등기를 차명으로 해 놓고 조세포탈을 비롯하여 온갖 불법과 탈법의 온상이 되어왔다. 부동산실명법에는 이를 근절하고자 하는 강력한 법 정책적 의지가 담겨있다. 그런데 중간생략명의신탁과 계약명의신탁에서는 횡령죄는 물론이고배임죄도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 현재 판례의 입장이다. 기존에는 중간생략명의신탁에서는 수탁자를 타인의 부동산을 보관하는 지위를 인정하여 횡령죄가 성립한다고 보았으나 그 후 횡령죄에서 말하는 위탁신임관계는 보호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에 한하여 인정할 수 있다고 하여 부동산실명법에서 허용하지 않는 명의신탁은 원칙적으로 불법적인 위탁관계로 보아 횡령죄를 부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자간 명의신탁에서는 수탁자를 여전히 타인의 부동산을 보관하는 자의 지위에 있다고 보아 횡령죄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실명법에서 허용하고 있지 않는 명의신탁은 부동산 투기와 조세 및 탈세를 비롯한 불법의 온상이라는 점에서 수탁자에게 보관자의 지위를 인정하는 것은 부동산실명법의 입법취지에 반함은 물론이고 반사회적 법률행위로 당연히 무효로 보아야 한다는 점에서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2자간 명의신탁 관계에서도불법성비교론, 민법 제103조의 반사회적 법률행위, 민법 제746조의 불법원인급여, 민법 제104조의 통정허위표시의 민법상 제이론을 적용하여 본다면, 수탁자에게는 타인의 부동산을 보관하는 자의 지위를 부정하여 횡령죄의 성립도 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위험사회에서의 형사소송법의 변화에 대한 검토

        조광훈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8 No.4

        위험사회에서의 인간의 생명과 재산권을 위협하는 위험원은 계속 출현하고 있다. 이에 위험형법의 역할과 범위가 계속 확장되고 있지만, 그에 따라 선량한 국민들의 인권이 제약되고 기존의 전통적인 법치국가의 틀이 위협을 받은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위험사회에서 인간을 위협하는 위험원들을 국가형벌권의 확장과 엄격한 법집행으로 이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다스려 안전을 도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과도한 국가형벌권의 행사로 억울하게 인권을 침해당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위험사회에서 위험형법의 문제점이 계속 드러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시정하기 보다는 안전사회를 구현한다는 미명 아래 형사소송법의 적극적인 기능의 확대는 순기능 보다는 역기능이 더욱 드러나는 현상을 초래할 것이다. 위험형법의 기능이 다하지 못한다고 하여 적극적인 불심검문, 과학적 수사기법의 확장, 전자감시제도의 확대, 공소시효의 배제 및 연장, 내사의 확대, 디지털 증거에 대한 적극적인 압수수색, 유죄협상제도, 사법방해죄 제도, 중요 참고인의 출석제도, 면책조건부 증언제도의 도입하자는 주장은 수사기관을 비롯한 형사사법기관의 권한을 강조하는 제도들이다. 이와 같은 제도들은 수사기관의 권한을 강조하여 실체적 진실발견을 촉진하여 형사소송절차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나 기존의 형사소송제도의 탈정형화를 지향하게 되어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야기할 뿐이다. 오히려 위험사회에서의 형사소송법의 기능과 역할의 확대는 피의자에 대한 인권침해의 위험성과 실체적 진실주의 이념, 적정절차의 이념을 훼손시키고, 민사사건의 형사사건화 심화의 위험성을 높이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위험사회에서의 형사소송법의 운용은 그 기능을 무작정 확대하고 강조하기 보다는 인권국가에 부합하는 국가형벌권을 행사하고 사회통합을 위한 형사소송법의 정책을 수립하고 실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위험사회에서 발생하는 위험원은 형사법의 선제적인 투입보다는 법치국가의 기본원칙에 충실하는 법 운영과 적용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것이 인권국가에서 올바른 형사소송법의 올바른 운용의 모습이자, 선량한 국민들의 인권과 기본권을 보호하는 국가적 책무를 다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In risk society, risk sources that threaten the live and property of people continuously appear. The role and scope of risk criminal law is continuously expanding; however, it also results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human right of good people is restricted and the frame of traditional law-governed state is being threatened. In risk society, it is important to actively prevent risk sources that threaten people and secure the safety of society by expanding the state punishment right and strictly enforcing law;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unfair infringement of human right by excessive exercise of state punishment right. In the situation, in which such problematic issues of risk criminal law continuously appear in risk society, the active function expans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under the guise of realizing safe society will result in the increase of adverse function in criminal procedure law instead of increase of positive function. There are opinions suggesting to introduce active police questioning, expansion of scientific investigative techniques, expansion of electronic watch system, statute of limitations exclusion/extension, expansion of internal investigation, active seizure and search of digital evidence, plea bargaining system, obstruction of justice offense system, key testifier attendance system and witness immunity from prosecution system; however, these systems all reinforce the authority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including investigation agencies. These systems emphasize the authority of investigative agencies, promote the finding of substantive truth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criminal case procedure; however, they also cause many problems by departing from the standards in existing criminal procedure system. On the contrary, the expans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function and role in risk society has the infringement risk of suspect human right, damages the principle of substantive truth and the due process idea and causes the adverse effect of increasing the risk of making a civil case into a criminal cas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in risk society should not expand and emphasize the function of it. Instead, establishing and realizing criminal procedure law policies, which would enable the exercise of state punishment right in human right state and integrate society, is required. The risk sources occurring in risk society should be dealt by application of law faithful to the basic principle of law-governed state; instead of anticipative applicat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This is the right applicat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in a human right state and this is the way to fulfill the duty of state, which is protecting the human right and basic right of good people.

      • KCI등재

        형 집행정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광훈 대검찰청 2020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9

        Stay of sentence execution is a system to suspend execution of sentence provisionally for specific reasons in the course of sentence execution in prison (detention center) after decision of sentence of prison labor․imprisonment․detention etc. Amo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tay of sentence execution are unnecessity of the reason in the Item 2 (those aged over 70), Clause 1, Article 471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abuse of stay of sentence execution, fairness between stay of sentence execution applicants, weakening of the flexibility of stay of sentence execution due to standardized period of stay of sentence execution, difficulty in execution of remaining prison term caused by the cancellation of decision for stay of sentence execution, possibility to cause evasion of the execution of remaining prison term due to insufficiency of additional conditions at the time of decision for stay of sentence execution. Improvement plans include sufficient examination and deliberation of agenda at the stay of sentence execution deliberation committee, promotion of the efficiency of operation by subdividing the period of stay of sentence execution, deletion of the Item 2 (those aged over 70), Clause 1, Article 471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supplementation of the reason for cancellation of stay of sentence execution, establishment of a reason for rejecting repetitive application submitted for same reasons, establishment of regulation for enabling public protective or medical facilities to take over offenders without family or friends, or when family refuses to take in the offender.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establishment of regulation that enables decision for stay of sentence execution prior to commencement of execution of sentence, fast execution of remaining prison term in case decision for stay of sentence execution is cancelled, imposition of additional conditions at the time of decision for stay of sentence execution, establishment of reasons in proportion to the decision of impossibility of enforcement for those who have been notified for stay of execution of sentence for the reason of the Item 7, Clause 1, Article 471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and reason for stay of detention in a workhouse shall also be prepared. 형 집행정지 제도는 징역․금고․구류형이 확정되어 교도소(구치소) 등에서 형 집행 중, 일정한 사유로 형 집행을 잠정적으로 정지시키는 제도이다. 현행 형 집행정지 제도의 문제점으로는 형사소송법 제471조 제1항 제2호 사유(연령이 70세 이상인 자)의 불필요성, 형 집행정지 제도의 남용 문제, 형 집행정지 신청 대상자의 형평성 문제, 획일적인 형 집행정지 기간으로 인한 형 집행정지의 탄력성 약화, 형 집행정지 결정의 취소에 따른 잔형 집행의 어려움, 형 집행정지 결정시 부가조건의 미흡으로 인한 잔형 집행의 면탈을 불러올 소지가 있다. 개선방안으로는 형집행정지 심의위원회에서 안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심의, 형 집행정지 기간의 세분화로 제도 운용의 효율성 도모, 형사소송법 제471조 제1항 제2호(연령이 70세 이상인 때) 삭제, 형 집행정지 취소사유의 보완, 동일한 사유로 반복적 신청에 대한 각하 사유의 신설, 무연고자나 가족 등이 형 집행정지자의 신병 인수를 거부할 때 공공 보호시설이나 의료시설이 인계할 수 있는 규정도 신설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형 집행 개시 전에 형 집행정지 결정을 할 수 있는 규정의 신설, 형 집행정지결정이 취소된 경우, 신속한 잔형 집행, 형 집행정지 결정시 추가적인 부가요건 부여, 형사소송법 제471조 제1항 제7호 사유로 형 집행정지 결정된 자에 대한 형 집행불능 결정에 준하는 사유 신설, 노역장 유치집행 정지사유도 추가로 마련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수사기관의 객관의무에 관한 연구

        조광훈 법조협회 2005 法曹 Vol.54 No.5

        형사소송의 지도 이념인 실체적 진실 발견과 적정절차는 수사기관의 객관의무에 기초한 공정한 수사활동으로 구체화 된다. 수사기관의 객관의무가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하는 이유는 수사절차는 공판절차와는 달리 기본적으로 밀행주의가 지배하므로 수사기관이 객관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실체적 진실이 왜곡될 수 있어 형사사법정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적정절차의 원칙이 형해화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의자의 기본권을 필요 이상으로 제한하여 오히려 인권 침해의 소지를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사의 목적은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여 공소제기여부를 결정하고 공소 제기된 사건은 공소 유지로 유죄판결을 통한 정의의 실현이지만, 실체적 진실 발견을 위한 수사절차는 공정한 객관의무로부터 출발할 때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수사기관이 범죄를 인지함에도 그 목적 달성을 위한 최소한의 제한 수단을 선택하여 수사결과로 달성할 수 있는 법익과 제한되는 법익 사이에 비례성과 상당성을 고려하여 인지해야 한다. 검사는 형사소송절차에서 당사자의 지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인권을 옹호하고 공익을 대표하는 점에서 법관과 동일한 객관의무를 지니며, 대부분의 초동 수사를 담당하는 사법경찰관리도 이와 동일한 객관의무를 진다는 점에서 수사기관의 객관의무의 당위성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수사기관의 내사의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광훈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가천법학 Vol.5 No.1

        내사는 법적으로 완비된 제도가 아니며 수사기관이 통상의 수사를 내사로 포장하여 법적통제를 피하려는 속성 때문에 제도의 법적 불완전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내사의 법적 불완전성은 수사기관이 그 절차에서 철저한 밀행주의를 추구하는 가운데 피내사자에게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지 않고 진술을 청취하거나 임의동행을 빙자한 실질적인 강제연행 등을 비롯하여 암암리에 벌어지는 피내사자 등에 대한 인권침해의 위험성을 파생시킨다. 내사절차에서 피내사자에 대한 인권침해에 대한 높은 위험성은 내사절차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통제의 미비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수사기관의 내사절차의 개선방안은 피내사자의 인권보호를 위하여 그 개선방안이 맞춰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수사기관은 내사절차에서 객관의무와 공정성을 바탕으로 내사권이 남용되지 않도록 적정절차를 철저히 준수하고, 내사의 착수에 대한 명확한 근거의 마련으로 부당하게 내사를 착수, 진행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며 수사기관의 내부통제시스템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내사절차에서도 통상의 수사절차와 같이 형사소송법의 지도이념에 충실함으로써 피내사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피내사자에 대한 진술거부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면서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도 보장할 때 내사절차의 적정성과 합법성이 담보될 것이다. 그리고 피내사자에 대한 지명수배, 긴급체포 임의동행을 빙자한 강제연행을 철저히 금지하고, 내사사건기록에 대한 열람·등사청구권의 보장, 체포·적부심사 청구권, 형사보상청구권 등의 피의자에 준하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도 필요하다. 더불어 형사소송법상의 피의자등의 방어권은 아닐지라도 수사기관 스스로 내사절차에서 내사의 진행사실의 언론공개와 피내사자 등에 대한 출국금지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요구되기도 한다. 사법경찰관의 내사권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법경찰관의 내사활동에 대한 검사의 수사지휘권을 발동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수사기관의 불법내사에 대한 사법부의 통제를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내사를 법률로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내사의 적정성과 피내사자 등의 인권보호에 더욱 적극적인 자세를 지향하여야 한다는 점에 있다고 할 것이다. Internal investigation is not a complete system in the eyes of law and it is legally incomplete due to its properties of avoiding legal control, as the investigation agency disguises normal investigation into internal one. This legal incompleteness of internal investigation causes the riskiness of a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the investigated, which occurs in secret, including listening to statement without notifying deniability to the investigated, as the investigation agency pursuits throughout secreticism in the procedure, and the substantial forced arrest under pretence of voluntary accompany. The riskiness of a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the investigated occurs due to the imperfection of the control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in the internal investigation procedure. Hence, the improvement of internal investigation procedures must focus on the human rights of the investigated. For this, the investigation agency should thoroughly comply with the proper procedures so that the internal investigation rights will not be abused based on objectivity duty and equitability in the internal investigation procedur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clear support for the commencement of internal investigation, so that the internal investigation should not go on nor proceed in a unreasonable way, and it is also needed to enhance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bove all, the internal procedures should fully comply with to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as in the ordinary investigation procedures. Then, thereby the human rights of the investigated should be protected and the deniability for the investigated should be substantially guaranteed. The right of reception and transportation with the advocate also should be substantially guaranteed. By doing so, the properness and lawfulness will be secured. Additionally, for the investigated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prohibit open search, arrest without warrant, and forced arrest under the cloak of a voluntary accompany, , and it is also needed to secure the rights acting on a suspected person, such as offering the investigated the records on the case of the investigated, guarantying the right of inspection of books and records, and securing the rights acting on a suspect including the right of reviewing of legality for confinement, a claim on criminal indemnity, etc. Besides, even though it is not the defense right of the investigated i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the investigation agency itself is required to be cautious in unveiling the fact that internal investigation proceeds through media as in internal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in banning the investigated from travelling of, To prevent juridical police officers from abusing their rights for internal investigation, it is needed to find grounds to legally support for interfering investigation processes and to enhance the control over traditional judiciary related to unlawful internal investigation. However, it is primarily needed to be more active for the properness of internal investigation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the investigated by precisely stipulating internal investigation according to laws.

      • KCI등재

        실무상 고소 취소를 둘러싼 법적 쟁점에 대한 검토

        조광훈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4

        A complaint is an expression of intention whereby crime victims or persons related with them report the crime fact to investigation agencies and seek the punishment. While, cancellation of complaint is a procedural act to drop such complaint. Section 1 and 2 of Clause 232 in Criminal Procedure Act are related with cancellation of complaint and prohibition of filing complaint again in offenses subject to victim’s complaint. Complaint and its cancellation in offenses subject to victim’s complaint are absolute expression of victim’s intention to sue with a view of bringing about or suspending state punishment power. That said, complaint and its cancellation in offenses indictable without victim’s complaint also work in the actual fields as a relative expression of intention to sue with a view of bringing about or suspending state punishment power. Expression of intention to cancel the complaint should be clear and unconditional. Therefore, conditional cancellation of complaint, which is a suing act under public law, can be considered to have no effect as satisfaction or non-satisfaction of the conditions in prerequisites for cancellation of complaint may undermine the clarity and stability of criminal proceedings. Though cancellation of complaint takes place by mistake, deception or cajolement, it must be considered to be effective. However, if cancellation of complaint by coercion proved by the prosecutor to have taken place through the coercion of the accused at the time of its cancellation, it should be reasonably considered null and void. Substantial judgement has to be rendered if new evidences were revealed in the case of filing complaint again following cancellation prior to the complainant’s statement as to whether or not allowing filing complaint again after its cancellation in offenses indictable without victim’s complaint. It’s also applicable in the case of the cancellation of complaint after cancelling at the complainant’s statement. And yet cancellation of complaint should be dismissed if filing complaint again were done after cancelled prior to the prosecutor’s disposal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investigation. Substantial judgement is not affected at all should the cancellation take place before or after the sentencing in the first trial after prosec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egislation, there needs to be clear regulations as to offenses subject to victim’s complaint in the Section 1 and 2, Clause 232 of Criminal Procedure Act. There also needs to have regulations to prohibit filing complaint again unless new evidences were revealed even for offenses indictable without victim’s complaint in the Section 3. 고소는 범죄피해자 또는 그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자가 수사기관에 범죄사실을 신고함으로써 범인의 처벌을 구하는 의사표시이고, 고소 취소는 이러한 고소를 철회하는 소송행위이다. 형사소송법 제232조 제1항과 제2항은 친고죄에 대한 고소 취소와 재고소 금지를 의미한다. 친고죄에서 고소와 고소 취소는 피해자 의사가 국가형벌권을 발생시키거나 소멸시키는 절대적 소송 의사표시이지만, 비친고죄에서 고소와 고소 취소도 실무상에서는 국가형벌권을 상대적으로 발생시키거나 소멸시키는 상대적 소송 의사표시로 작용한다. 고소 취소의 의사표시는 명확하고 무조건이어야 한다. 따라서 조건부 고소 취소는 공법상의 소송행위로 고소 취소의 선결요건에서 조건의 성취 또는 불성취는 형사소송 절차의 명확성과 안정성을 해치므로 그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하지만 고소 취소가 착오 ․ 기망 ․ 회유에 의하여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 효력은 그대로 발생한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강박에 의한 고소 취소는 취소 당시에 피고소인 등의 강요가 있었다는 것이 검사에 의하여 입증될 경우에는 무효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비친고죄에서 고소 취소 후 재고소의 허용여부에 관하여 고소인 진술 전에 취소하였다가 재고소하는 경우나 고소인 진술 중에 취소하였다가 재고소하는 경우는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었다면 실체적 판단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수사 완료 후 검사 처분 전에 취소하였다가 처분 후 재고소를 하는 경우는 각하해야 할 것이다. 공소제기 후 1심 선고 전이나 선고 후에 취소하는 경우는 실체적 판결을 함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입법론적으로는 형사소송법 제232조 제1항과 제2항에서는 친고죄에 대한 규정임을 명확히 하고, 무분별한 고소의 남용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3항에 비친고죄일지라도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지 않는 한 재고소를 금지하는 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 KCI등재

        DNA 채취제도와 채취영장의 법적성질과 그 쟁점

        조광훈 법제처 2021 법제 Vol.692 No.-

        DNA sampling system is for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crimes that have become more and more ferocious and intellectual. The system is based on the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DNA Act’).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regard the Clause 1, Article 5 of the DNA Act that regulates crimes subject to sampling as a non-mandatory provision. DNA sampling system shall be considered as a special disposition that administrative measure, compulsory measure and security measure are mixed. It is also considered as a system that the Risk Criminal Procedure Act is realized concretely as the system is placing emphasis on the operation to compare․analyze DNA preemptively and actively for preventing crimes. Although the system puts focus on prevention of crimes in both function of identification and the future regarding unsolved crimes that occurred in the past, it is necessary to look back whether or not the system limits basic human rights of subjects of sampling unnecessarily and to respect human and basic rights of subjects of sampling while emphasizing effectiveness of DNA sampling system. Sampling from the body of a prisoner or arrested suspect with DNA sampling warrant is rather close to the in personal compulsory measure, and sampling of specimen from the place of crime is close to the legal nature of in rem compulsory measure. Due to the characteristic, legal nature of DNA sampling warrant differs from verification warrant, detention center for judgment and permit for judgment. Collection of DNA shall be considered that it includes the process of identifying DNA. Therefore, an assertion that additional warrant for identification other than sampling warrant is not appropriate. And the assertion that a judge evaluates the risk and prediction of repeated crime while examining issuance of a sampling warrant is also inappropriate in a sense that the risk and prediction of repeated crime have already been evaluated as the Item 1 through 11 of Clause 1, Article 5 of the DNA Act regulates crimes subject to sampling. And as for sampling warrant, reasonableness․proportionality and crimes subject to sampling that are required for arrest warrant or search․seizure․verification warrant have already been stipulated on the DNA Act, so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assume that such requirements are not included in the requirements for issuance of DNA sampling warrant. Accordingly, whether or not the subject of sampling accepted request of a sampling institute for DNA collection must be one and only requirement when a judge examines issuance of a sampling warr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