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성찰의 개념 규정과 번역ㆍ역번역 문제 - 국어학적 고찰과 동양적 어원을 바탕으로 -

        장만식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3 No.-

        이 논문은 연구자의 논문, ‘자아성찰과 자기성찰 용어 사용 양상 및 제언’의 후속 논문이다. 연구자는 용어 ‘자아’와 ‘자기’, ‘성찰’, ‘자아성찰’ 등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고, 번역, 역번역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찰했다. 국어학적 고찰뿐만 아니라 동양적 어원과 심리학적 전통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우리말의 ‘자아’와 ‘자기’의 쓰임과 용법뿐만 아니라 프로이드와 융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 검토하였다. 둘째, 동양적 어원과 심리학적 전통에서 ‘성찰’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그 어원을 찾고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 속에서 서양의 대표적인 철학자, 심리학자들의 개념을 비교하였다. 셋째, 이러한 논의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용어 ‘자아성찰’의 개념과 의미를 규정하였다. 넷째, ‘자아성찰’의 번역․역번역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Self-examination’, ‘Self-reflection’, ‘Self- introspection’, ‘Self-finding’ 등을 자아성찰로 번역하거나 아니면, ‘자아성찰’을 ‘Ego-examination’, ‘Ego-reflection’, ‘Ego-introspection’, ‘Ego-examination’, ‘Ego-finding’ 등으로 역번역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a follow-up paper of 'The study of the Aspects of use of ‘ego- introspection' and ‘self-introspection' terms and Suggestion' paper. Researchers examined how to define the terms 'ego', 'self', 'introspection', and 'self-introspection' and their translation and reverse translation problems. In addition to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It was discussed based on the oriental origin and the psychological tradition. First, we examined the concept and meaning of Freud and Jung as well as the usage and usage of 'ego' and 'self' in Korean. Second, In the oriental origin and psychological tradition, I have searched for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introspection' and examined its meaning. In this context, Researchers compared the concepts of representative Western philosophers and psychologists. Third, the concept and meaning of the term 'ego-introspection' are defined by taking these discussions together. Fourth, I examined the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problems of 'ego-introspection'. So it suggested to translate ‘Self-examination’, ‘Self-reflection’, ‘Self-introspection’, ‘Self-finding’ into ‘自我省察’ and it suggested to reverse translate '自我省察' into ‘Ego-examination’, ‘Ego-reflection’, ‘Ego-introspection’, ‘Ego-examination’, ‘Ego- finding’

      • KCI등재

        신명기의 역사적 사유와 신학

        한동구 한국구약학회 2011 구약논단 Vol.17 No.1

        이 논문은 신명기의 ‘역사적 계명 서론’(die historisierende Gebotseinleitung)을 잠언이나 기원전 8세기의 예언서와 비교함으로 구약성서의 역사적 사유의 출발점과 그 이후의 발전과정을 살핀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오경의 역사상 초기 단계의 역사상을 호렙(산) 전승에서 찾고 있다. 이를 위해 기원점의 역사적 필요성을 검토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origin of the historical introspection particularly found in the book of Deuteronomy and its development. It supposes that the origi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ized induction of commandments” (die historisierende Gebotseinleitung) often expressed in the book. Proving the suppos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ized induction of commandments”. Together with this, the origin of the historical introspection was also figured out.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First, a kind of complete introspection is manifest in Deuteronomy. Especially, in the historicized induction of commandments, was the entire life in the Promised Land subject to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And it i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attested in the 8th century (BCE) prophecies. Deuteronomy takes the whole nation as a subject to introspection and also the entire history at the Promised Land with serious reflection. Second, Deuteronomy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introspection which is very fundamental and historical, and unfound in the 8th century prophets. Deuteronomy reviews the entire problem from the very beginning; that is, it takes the life at the (Promised) Land, the beginning of all problems, as subject to introspection. Third, what the historicized induction of commandments basically says is that YHWH God gave the land as gift. This confession presents that God is the owner of the land and what happened in the land are all willed by God. The historical introspection of Deuteronomy was elaborated much more in the exilic period. At this time Israel lost her nation and temple. With the collapse of the temple Israel lost their official space of worship, furthermore, the room for commutation with God. In fact it was a loss of focal point of the nation. Hence they needed something new that keeps the centrality of Jerusalem with official worship unavailable. They needed a new beginning as a focal point, and it was elaborated that Israel is derived from (mountain) Horeb(Deut 1: 2, 6, 19). With the national catastrophe they sought to inherit the tradition of centralization of worship and a new focal point. It became the “beginning” of history, which was followed by the expansion of the historical introspection of Deuteronomy. And this historical nature is what embedded in the early development of Pentateuch.

      • KCI등재

        개별논문 : 자아 이미지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연구

        한래희 ( Lae Hee Han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대학 글쓰기 교육은 실용적 성격과 인문학적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본고는 두 측면에서 모두 활용될 수 있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대상으로 하되 글쓰기 교육의 인문학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교육방법론과 수업모형을 탐색해 보기 위한 것이다.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 활동이 중요하다는 점은 여러 차례 지적되어 왔고 실제 글쓰기 수업에서도 자주 활용되고 있는데 그것에 대한 관심에 비해 의미 있는 자기 성찰의 활성화 기제나 성찰-쓰기의 효과적 연계방안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여기서는 자기 성찰의 기제와 성찰과 쓰기의 연계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업모형을 제안해 보았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에서 본고가 특별히 주목한 것은 자기 성찰이 자기에 대한 탐구와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것, 쓰기가 사후적 정리에 그치지 않고 쓰기 자체가 새로운 성찰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런 점이 교육에 적극 반영될 수 있는 방법론적 기제로 자아 이미지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제안하였다. 성찰의 활성화 원리로 전자가, 쓰기와 성찰의 유기적 연계 방안으로 후자가 활용될 수 있음을 살펴본 후 기에 기초해 자기 성찰적 글쓰기 수업모형을 제안하는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여기서 제안한 수업 방안은 자화상 읽기→지인 인터뷰→나를 만든 사건/인물에 관한 에세이→마지막 성찰적 글 작성의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이런 일련의 성찰활동과 쓰기를 통해 자이 이미지의 확인·해체·재구성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자기 탐구와 변화를 일으키는 성찰을 가능케 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시간적 간격을 둔 성찰적 글쓰기는 서사적 정체성을 형성케 함으로써 쓰기 자체가 성찰의 과정임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런 수업을 통해 성찰활동과 성찰적 글쓰기를 한 학생들은 자기 성찰이 지속적 과정이라는 점, 현재의 자기 성찰이 또 다른 성찰적 글쓰기에 의해 해체·재구성된다는 점을 알게 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성찰적 글쓰기를 준비하게 된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성찰의 목적, 방향, 활용 방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가 뒤따를 때 자기 성찰을 위한 글쓰기 교육은 더욱 충실히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teaching learning method of 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Self image and narrative identification are the main factors of the method. Many researche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rospection in writing education. A lot of teachers think that the introspective writing is necessary part of writing class. However, discussions about the efficient method of introspection and ways to associate introspective activity with writing hasn`t been enough. 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is composed of two parts : Introspective activity and writing based on introspection.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that introspective activity should be the process of self understanding and introspective writing in itself be the change of self image in the concept of introspection. Self image and narrative identification is the key concept of this discussion. The former plays a important role in introspective activity and the latter the connection between two activity. Teaching learning method of this paper has four steps : Writing about self portrait and I, acquaintance interview, the man/event which made me what I am, the finan introspective writing. Subjects of introspection experiences the change of self image as they pass these four steps. Introspective activity cause the collapse of self image in students` mind. Repeated self reflection enables students to reconstruct the self image, which became the process of change of self understanding and the beginning of new prospect about themselves. Also students realize that writing is not the ways to express what he has found, and that they should keep up introspective activity and writing in their lifetime.

      • KCI등재

        Rethinking Introspection: Teachers’ Perception of Introspective Methods in L2 Research

        서재석 현대영어교육학회 2015 현대영어교육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EFL teachers’ perception of introspective methods in L2 research. To this end, a study was undertaken in which twenty pre- and in-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as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designed to view subjects’ perception as consisting of three domain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Most subjects were found to be unfamiliar with introspection as an L2 research method, and their low familiarity with introspective methods in L2 was explained by their lack of exposure to them in an academic context. They were also shown to reach a high consensus about a need to learn about introspection as a source of data in L2 research, and to have high motivation to promote their knowledge of how to deal with introspective data for their research in terms of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ough subjects had low familiarity with introspection in L2 research, they were sure about the facilitative role of introspection as a research tool in achie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students’ learning as well as their own teaching in L2.

      • KCI등재

        退溪의 自己省察 精神

        김기현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7 No.-

        It may be quite unfamiliar with the word 'introspection' when we think of Confucianism because it is generally linked with 理氣心性論. However, as self-cultivation was the first step of Confucianism, the spirit of introspection was the most important part to Confucians. They could not imagine self-improvement without introspection. For this idea, I would like to describe Toegye's studies and his life. Toegye started introspection from his heart. He tried to make his heart straight, because he knew that heart is the starting point of universal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It was not meant to be only for a sense of morality. From his clear mind, he aimed the ideal of 天人合一 that embraces all things. On the other hand, it helped him to cultivate the idea of aesthetic. We could see it from his poems more than 2,000 pieces. Toegye's spirit of introspection can be seen from his daily life also. He tried to improve his self from all the things he met in daily life. Here there always has been his humbleness of intelligence and morality. In fact there will be no introspection when conceit oneself. Toegye thought all the natural phenomenon could serve as a momentum for his self-improvement. His sense of introspection was accompanied with the sense of shame. It is because the modesty awakens his ignorance and incompetency. As Toegye had higher criteria for ideal self, he showed shame more than others. There was his sense of Heaven on the background. He would realize the meaning of human being without shame before Heaven. Here we can see his religional faith. 유교 하면 이기심성론을 떠올리는 우리들에게 자기성찰이라는 주제는 다소 생소하게 들릴 수 있다. 하지만 수신을 학문의 출발점으로 여겼던 유가에게 자기성찰의 정신은 더없이 중요한 것이었다. 자기성찰이 없는 수신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그것을 조선의 최고성리학자인 퇴계의 학문과 삶을 통해 조명하였다. 퇴계는 마음에서부터 자기성찰을 시작하였다. 그는 마음이야말로 세계 인식과 참여의 출발점임을 알아 마음을 올바르게 가지려 하였다. 그것은 단지 도덕심의 계발을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그는 명징한 마음으로 만물을 아우르는 천인합일의 이상을 지향하였다. 한편으로 그러한 마음은 심미의식을 제고시켜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그것을 2천편 이상의 그의 시들에서 확인한다. 퇴계의 자기성찰 정신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전반적으로 드러난다. 그는 일상에서 만나는 모든 일들을 자성하면서 자아향상의 계기로 받아들였다. 거기에는 그의 지적, 도덕적인 겸손이 작용하였다. 사실 자신의 지식과 행동을 자부하고 자만하는 마음속에서는 자기반성과 자아향상의 정신이 깃들 여지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자기성찰의 정신은 특히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을 때 더욱 현저하게 드러난다. 더 나아가 그에게는 자연의 모든 현상까지 자기성찰과 자아향상의 계기로 작용하였다. 퇴계의 자기성찰 정신은 부끄러움 의식을 수반하였다. 그의 겸손은 자신의 무지와 무능을 수시로 자각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는 자아의 이상을 높게 가졌던 만큼 부끄러움 의식을 남달리 많이 드러내었다. 그 배경에는 ‘하늘’ 관념이 놓여 있다. ‘하늘’이 인간에게 부여한 존재의미를 “하늘에 부끄럽지 않게” 실현하겠다는 것이었다. 그의 종교적인 심리가 여기에서 드러난다.

      • KCI등재

        물과 省察

        조수철,신성웅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All human being can't exist by oneself. That is, all human being depend on intimate attachment for their surviv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powers and control functions are prerequisites for one's survival and these serve important function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are two kinds of powers and controls. One is positive power which helps one survive effectively. Another one is e-gative power which disturbs one's effective survival. Introspection is one of the positive power and most important process in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based on this meaning, to suggest one way of introspection. The authors reviewed the precept of water which is described in Bible and oriental classical books such as "the Analects of Confuicus (論語) ", "Tao Te Ching (道德經) ", "Mencius (맹자) ", "Chronicle (史記)",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 "University (大學) ". The author also reviewed "The History of Three Countries(삼국사기, 삼국유사) ", "The Precept of Religion", and "the modern poems" which includes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The flow of water itself is the expression of introspection. Because, water does not flow without filling a puddle. 2)Water is the symbol of "Immortality". 3)Water symbolizes "Modesty and Trust". 4)Water is the symbol of "Freedom from Greed". 5)Water symbolizes "Goodness and Beauty". 6)Water symbolizes "Naturality and Love". Immortality, Modesty and Trust, Freedom from Greed, Goodness and Beauty, and Naturality and Love are eternal, universal values which all human should seek and achieve. By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of water, we can achieve these positive aspects of human mind and spirit. KEY WORDS : Water ㆍ Bible ㆍ Oriental classics ㆍ Introspection.

      • KCI등재

        매체 활용을 통한 음식 서사 기반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K대학교 글쓰기 교재 『성찰과 표현』의 ‘잊을 수 없는 음식’ 단원 활동을 중심으로

        박성준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51

        This paper suggests a more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n that presented in chapter ‘Unforgettable Foods’ of the book Introspection and Expression(2019), a writing textbook from Kyung Hee University’s Humanitas College. In addition, this paper also aims to provide various learning models to become basis for student-centered syllabus when reorganizing the ‘writing based on food narrative’ activity from the introspective writing section. In the education scene, it is hard to find activities that let university students to simultaneously carry out writing and introspection. As the transition took place from the age of letters to the age of images, learners of today freely used I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from their childhood and used web-base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m, writing activities based on humanities are likely unfriendly. In order to facilitate introspective-expressionism writing activities, thi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nsists of self-directed experiential education syllabus to let the learner select the medium from a number of media. Not only can the learner develop sympathetic communication abilities by simultaneously ‘meaning-reading’ food narratives in movies, web-toons, pop music, and literary works, but also have the chance to read oneself with others as examples. This syllabus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realizes a convergence objective of simultaneously studying media literacy and introspective, university writing. 본 논문은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발간한 글쓰기 교재『성찰과 표현』(2019)의 ‘잊을 수 없는 음식’ 단원에서 교재 학습의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한다. 더불어, 성찰적 글쓰기 영역에서 ‘음식 서사 기반 글쓰기’ 활동을 향후 타 대학에서 글쓰기 교안으로 개편할 때, 학습자 중심 교안 구성에 토대가 될 다양한 학습 모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현장에서 대학생들이 글쓰기와 성찰을 충분하게 병행하는 활동을 기대하기란쉽지 않다. 문자 시대에서 영상 시대로 진입하면서 유년기부터 스마트폰과 같은 IT기기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웹 기반 정보 서비스를 활용해왔던 현시대의 학습자들에게 인문학적 사고 기반의 글쓰기 활동은 매우 딱딱하고 거부감이 드는 교과목으로 인지될 소지가 깊다. 본 교수-학습 방안은 ‘인지-표현주의 글쓰기’ 활동이 용이하도록, 학습자가 다매체 상황에서 실제 매체를 선정하고 독해하는 자기 주도 체험학습 위주의 교안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습자는 영화, 웹툰, 대중음악, 문학 작품 속 음식 서사의 ‘의미-읽기’를 병행하면서 공감·전유의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교안은 미디어 리터러시활동과 자기 성찰, 대학 글쓰기 활동을 동시에 학습하는 융합 목적성을 실현할 수 있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성찰적 시선을 통한 자화상(自畵像) 연구

        김인숙 ( In Sook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성찰적 시선은 둘로 쪼개진 주체가 대상화된 자신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시선으로서 하나의 자아가 다른 자아를 인식, 판단, 지각의 대상으로 전유하는 시선의 분리에서 발생한다. 화가 역시 자화상을 그릴 때 작업의 주체로서 먼저 대상화된 자신을 거울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관찰한다. 이 과정 중에서 화가는 자신을 타자로 인식, 판단, 지각의 대상으로 전유하는 성찰적 시선에 의거하여 화면에 자신의 이상적 자아를 그리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자화상에 내포된 성찰적 시선에 주목하면서 자화상을 통한 화가의 성찰적 시선을 연구하고자 한다. 논의는 먼저 성찰적 시선의 의미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성찰성의 정의와 전개과정을 통해 성찰적 시선을 1. 시선의 시선, 2. 재현의 재현, 3. 성찰의 성찰로 분류한다. 그 후 이상의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다양한 자화상들을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는 화가들이 성찰적 시선에 의거하여 그들이 속했던 시기의 시대정신을, 자화상을 통하여 존재론적으로 실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로 하여금 화가가 세계의 기능적 중재자에 그치지 않고, 세계의 해석자임을 알 수 있게 한다. Introspective gaze, as that of a subject splitted into two observing his (objectified) self objectively, is derived from the division of the gaze in Which one self sees the other as the object of cognition, judgment, and perception. A painter also perceives his self objectified through a mirror when he draws his self-portrait as the subject of the work. In this process, the painter can draw his idea self by introspective gaze in which the painter sees his self as the other, the object of cognition, judgment, and perception.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introspective gaze of self-portrait paintings and examines painters` introspective gazes. In order to study the semantic structure of introspective gaze, I will classify it by three through the mea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introspection: 1. the gaze of gaze, 2. the representation of representation, 3. the introspection of introspection. Then I will analyze divers self-portraits applying the theoretical frame mentioned above. The result of analysis will show the spirit of the age the painters lived by the introspective gaze as well as their existential practices through the paintings of self-portrait. This study will show the role of painters not just as the functional mediators of world but as its interpreters.

      • KCI등재

        윌리엄 제임스의 내성 개념

        안세권(An, Se-gweo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윌리엄 제임스는 『심리학의 원리』에서 내성의 방법을 통해 마음의 정체를 해명하려 한 종래의 심리학자와 철학자들이 심각한 오류를 범했다고 비판한다. 제임스가 보기에 그들은 모두 내성에 대한 잘못된 가정들에서 출발하였는데, 그 첫째는 의식이 관찰하는 대상이 절대적으로 확실하다는 관점이고, 둘째는 의식이 파편처럼 작은 요소들로 나누어 질 수 있다는 관점이다. 전자는 데카르트 이후 브렌타노까지 많은 철학자와 심리학자들이 지지한 가정이고, 후자는 로크, 흄 등 연상주의에 기반을 둔 철학자들과 분트와 같은 실험심리학자들이 지지한 가정이다. 제임스는 이 두 가지 가정이 모두 틀렸음을 밝히고, 그 대안으로 〈사고의 흐름〉의 명제에 입각한 새로운 내성 개념을 제시한다. 제임스의 새로운 내성은 전통 철학 및 심리학이 주장하듯이 현재 주어진 주관적 정신 상태를 절대적 확실성을 가지고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부터 현재까지 시간적으로 확장된 의식의 공간을 변용의 방식으로 포착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제임스가 제시한 내성 개념의 특성을 살피면서 그것이 어떻게 전통적 관점이 지닌 문제점들을 극복하는지 해명한다. 그리고 제임스의 입장을 보다 명료하게 부각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스트로슨의 비판을 검토하고, 이어서 암스트롱과 로젠탈이 제시하는 입장들을 살펴본다. In his masterpiece,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William James criticizes the psychologists and philosophers who have attempted to elucidate the nature of mind by means of introspection. In his view, all of them started from the false assumptions regarding introspection. The first assumption is the view that the objects of consciousness are absolutely certain, and the second one is the view that consciousness can be divided into atomic pieces. The former was given by Descartes and his followers, and the latter by Locke, Hume, and Wundt, etc. James makes it clear why these assumptions are erroneous, and suggests his own alternative, namely the new concept of introspection which is based on the thesis of “stream of thought”. James’s new introspection is not the kind of mental activity which observes the mental states with absolute certainty, but an entirely new way of grasping the space of consciousness which is temporally extended by virtue of mod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uch highly rich concept of introspection given by James, and elucidate his positio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with the views of G. Strawson, D. M. Armstrong, D. Rosenthal.

      • KCI등재

        기억과 성찰의 변증법 : 김병익의 『시선의 저편』과 『생각의 저편』에 나타난 기억의 수사학

        우찬제 ( Wu¸ Chan-j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이 논문에서 필자는 비평가 김병익의 『시선의 저편』과 『생각의 저편』에 나타난 기억의 수사학의 구성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2010년대 김병익 산문에서 기억이 담론을 형성하는데 어떤 작용을 하는지 그 특징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두 권의 산문집은 2013년부터 2021년까지 일간지 『한겨레』에 연재한 칼럼을 정리한 책이다. 신문사 기자로 시작하여 문학 비평을 한 이력이나 글을 통해 삶의 진실을 넓고 깊게 성찰하려 했던 그의 글쓰기 스타일로 보더라도, 칼럼은 그의 장기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장르라 할 것이다. 이 두 권에는 ‘만년의 양식을 찾아서’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70대 중반에서 80대 초반의 시간대에 탐문한 글의 성격에 맞는 부제로 보인다. ‘기억’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 칼럼들의 수사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 3가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4·19 세대를 대표하는 비평가의 한 사람인 김병익은 자기 세대의 기억을 예리하게 추적하고 그것을 질서화한다. 특히 해방과 전쟁, 4·19에 대한 공통 기억을 되살리고 그 세대를 중심으로 한 경제와 지식, 과학 등 여러 분야의 압축 성장 과정을 반성적으로 성찰한다. 그러면서 새로운 세대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그들에게 기대를 거는 유연한 태도를 보인다. 둘째, 활성적 기억을 재구성하고 담론을 새롭게 생성해 나가는 역동적 과정이 나타난다. 기억을 통해 맥락을 창출하고, 맥락을 통해 기억을 성찰한다. 재구성된 기억은 저장되고 전달되는데, 그럼으로써 기억은 재생산되고 역사 속에서 지속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셋째, 김병익의 산문에서 기억은 진실 발견을 위한 방법적 성찰 기제이다. 기억과 성찰의 대화를 역동적으로 수행하는 가운데 삶의 진실에 접근하려는 산문적 수고의 결과가 바로 이 두 권의 책이다. In this thesis, I aim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ow memory plays a role in forming discourse in Kim, Byongik’s prose in the 2010s by contemplating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rhetoric of memory in Kim, Byongik’s Beyond Gaze & Beyond Thinking. The two collections of prose, Kim, Byongik’s Beyond Gaze and Beyond Thinking, are collections of columns published in The Hankyoreh, daily newspaper, from 2013 to 2021. From Kim’s early career as a press journalist to his background in literary criticism, as well as his writing style that aimed to introspect the truth of life, it can be determined that columns are the genre in which he can exhibit his greatest strengths. The collections of prose have the subtitle “Searching for the Pattern of the Evening of One´s Life”, which aligns with the period of his life in which the columns were written -his mid-70s to early 80s. In examining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lumns focusing on the theme of “memory”, I was able to arrive at three main findings. First, Kim, being one of the main literary critics representing the April 19 Revolution era, has the ability to trace recollections from his generation in detail and further establish a set order. He resuscitates collective memories of Korea’s liberation and war eras as well as the April 19 Revolution era and reflects on the process of compressed growth of Korea’s economy, knowledge, and sciences that took place in the eras. In doing so, he demonstrates a gentle, flexible attitude of identifying the possibilities of a new generation and indicating that they can be counted on. Secondly, Kim’s prose forms a dynamic process of the reconstitution of active memory and creation of new discourse. Context is created through memory, and memory is introspected through context. Through the restructured memory being preserved and passed on, memory is reproduced and further can be sustained or transformed throughout history. Thirdly, in Kim’s prose, memory serves as a methodological reflection mechanism for discovering the truth. The two collections of prose are the result of Kim’s writing to approach the truth of life, while dynamically conversing on memory and introsp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