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COS와 관련된 논쟁과 사회과교육에의 함의

        전유정 ( Jun You J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4 한국초등교육 Vol.35 No.1

        MACOS는 브루너가 문화인류학을 중심으로 인간다움과 관련된 3개의 핵심 질문과 5개의 주제를 활용하여 구성한 교육과정이다. MACOS는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 긍정적인 평가와 비판적인 평가가 양립한다. 본 연구에서는 진보주의 교육의 비판으로 등장한 MACOS와 관련하여 주요 등장 배경과 특징, 사례 등을 탐색함으로써 학문 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적용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후 MACOS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MACOS와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적용과 관련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에서 여전히 인지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 경향이 강하므로 정서적인 측면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핵심 아이디어가 명제의 형태로 제시되어 있어 자칫 잘못하면 닫힌 탐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핵심 아이디어 제시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에게 생소한 단어가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서술하거나, 용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의 적용과 관련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개발 이후 교사에게 충분한 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실제 적용 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요소와 범주 중 일부에 치우치거나 누락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원활한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해서는 교사에 대한 지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Bruner developed MACOS, a curriculum based on three core questions and five humanities-related topics, focusing on cultural anthropology. MACOS allows for positiveandcritical evaluations of curriculum composition.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main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cases of MACOS, which emerged as a critique of progressive education. Subsequently, we examined MACOS's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and attempted to draw conclusions for the current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following implications apply to the content and application of MACOS, as well as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Some content consider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still a strong tendency to emphasize the cognitive aspect of goals, so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emotional component is necessary. Second, because the core idea is presented as a proposition, if conducted incorrectly, it may result in a closed inquiry, necessitating a discussion of the method of the core idea presentation. Third, there are instances where words unfamiliar to the teacher are used. Curriculum terms must be defined in easy-to-understand terms, or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terms are required. Next,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adequate materials must be provided to teachers following textbook development. Second, when putting it into practice, the teachers must consider the level of the students. Third, we must avoid bias or omission of certain content elements and categories cover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inally, teacher support must be prioritized for the curriculum to be implemented effectively.

      • KCI등재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문서 체재의 일관성의 기제: 호주와 일본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중심으로

        권오남 ( Oh Nam Kwon ),박수민 ( Soomin Park ),이경원 ( Kyungwo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총론과 각론의 교육과정이 일관성 있게 개발되어 있는 호주와 일본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통해 총론과 각론의 일관성의 기제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차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 총론과 각론의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 핵심역량에 따른 교과 역량 개발에 시사점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교육과정 문서 체재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조직 체계의 일관성을 분석한 후, 호주와 일본의 교육과정 문서, 교육부 및 관계 기관의 홈페이지 자료 및 협의회 보고서 등의 문헌 자료를 통해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면밀히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총론 개발 과정과 각론 개발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총론과 각론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개발될 수 있었던 일관성의 기제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coherence between gener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s of Australia and Japan, whose curriculums are developed consistently.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about connection between gener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in the revision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implies the development of subject competencies based on general competenc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coherence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in Korea, and then, analyzed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s based on documents data including the curriculum documents in Australia and Japan as well as website data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Thus, the aspects of interactions in the development of gener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were considered and the mechanisms of coherence were derived.

      • KCI등재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개선 방안 탐색: A대학 운영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이경진(Kyungjin L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자가 인식하는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자들이 가지고 있는 비교과 교육과정의 의미,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A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담 자료 분석결과, 운영자들은 비교과 교육과정이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고 전공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되며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고 인식했다. 운영자들의 업무경력은 대부분 1년 이하였고 다른 업무들을 많이 맡고 있었다. 이는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운영자들은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기존의 학생 참여 프로그램을 비교과 교육과정으로 운영했고 핵심역량과 연계하고 학생들의 요구와 만족도를 고려했다. 그리고 다른 학교 사례나 관련 자료들을 참고하고 프로그램 간 연계성을 갖추려고 했다. 그러나 핵심역량 연계를 어려워했고 결과 중심의 평가와 개발 경험 부족, 부서 간 소통 부족을 문제시했다. 비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에는 참여 독려를 위한 홍보와 학생들의 반응을 중요시했다. 그러나 학생 모집이나 적극적 참여유도를 어려워했고 운영 전반에 대한 정보 부족, 운영인력 및 지원 부족, 질 관리의 어려움, 운영시스템 분산을 문제시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개선 방안으로 운영자의 핵심역량 이해 증진, 부서 간 소통 및 협력, 지원 확대, 학생 보상체계 보충, 운영인력 보충, 관리 운영시스템 일원화, 질적 성과평가 방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to improv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t a university in Korea. This study researched the perspectives of administrator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cluding the curriculum"s meaning,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extracurricular program administrators at A University i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the administrators recognized that extracurricular programs help build students’ competencies linked to the curriculum of their major, and provided a variety of learning opportunities. However, most of the administrators had less than one year’s experience in their positions and were assuming multiple roles as well. This negative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When develop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administrators linked them with core competencies, and considered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Also, the administrators tried to establish links between programs by referring to examples or related materials from other school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link core competencies, administrators lacked experience in results-oriented evaluation, and there was insu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departments. While manag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administrato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publicity to encourage student participation.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recruit students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The programs were further affected by the lack of information on overall operation, shortages of operational staff and support, difficulties with quality control, and complications with the distributed operating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administrators’ core competencies and raise awareness of the need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expand support, increase student compensation, better meet staffing requirements, unify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 and improv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 overall evaluation plan was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교 학년 간 수학 중심 통합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조재성(Jo Jae-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1년 동안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하여 5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을 실행한 내용을 담고 있다. 1학기 프로젝트 ‘벽화 미술관’과 2학기 프로젝트 ‘학교 건축가’를 통해 학생들은 배움의 경계를 학교에서 지역 공동체로 확대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장기간의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 운영의 결과, 학생들은 교과로부터 시작되는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관해 이해하게 되었고, 교사들도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수업의 책무성 및 협력의 중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을 시사한다. 첫째, 교사들이 통합교육과정을 꾸준히 경험하고 기법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의 기회를 꾸준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6학급 이하 소규모 학교를 중심으로 학년 간 통합교육과정 사례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의 경계를 넘어선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되어야 한다. 교과의 한계를 뛰어넘어 개별 교과의 형식적인 결합이 아닌 주제와 역량에 기반한 통합적 교육과정에 관한 시도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사례를 통해 통합교육과정 논의의 측면을 한 차원 더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n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the fifth and sixth grade was implemented with a focus on the math subject. Participating in the first semester project “Gallery of Murals” and the second semester project “School Architects,”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and the boundary of their learning from the school to the local community. After the long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the fifth and sixth grade, the students got to understand the articulation of the curriculum that began with subjects, and the teachers realized the accountability of lessons 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eachers need to receive a constant inflow of opportunities to have consistent experiences with an integrated curriculum and accumulate their techniques; secondly, it is needed to search and identify cases of an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different grades around small schools of six classes or fewer; and finally, there should be full-blown discussions about an integrated curriculum beyond the boundary between different subjects. There should be more attempts at an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opics and competences rather than a formal combination of individual subjects beyond their limitations. The case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a higher level of discussions about an integrated curriculum.

      • KCI등재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김자미 ( Jamee Kim ),이원규 ( Won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5

        교육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변화는 시대적 필요와 지식의 변화로 인한 필요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필요 모두를 내재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총론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을 통해 2007, 2009 개정 시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정보과 교육과정의 위상 변화, 그리고 정보 과목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첫째, 이수단위에 대한 명확성,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한 구성, 셋째,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강조되는 SW교육의 관점을 고려하고,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고등학교 정보과에 대해 어떤 편성과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Changes in education or curriculum are based on the needs of the times and needs to address changes in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by analyzing changes made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in which both needs are inherent. The study involved an analysis of the general guidelines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at involved the revision years 2007 and 2009, the composi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hange in the status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and the size of the informatics sub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veral improvements are necessary, namely (1) the units need to be better clarified, (2) career electives need to be more appropriately composed, and (3) definitions of terms need to be better clarifi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considered the viewpoint of software education emphasized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general guidelines to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examined to learn what kind of organization and operation should be proposed for high school informatic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국악 기악 교육

        이상규(Lee Sang-kyu) 한국국악교육학회 2016 국악교육 Vol.42 No.42

        본 논문에서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에 이르기까지 각 교육과정에 따라 변천과정을 겪어온 음악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기악 지도 내용과 국악기 교육 내용을 정리하고, 그를 바탕으로 국악 기악 교육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음악과 내용영역의 분석 결과, 제3차 교육과정까지는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 전통적인 음악교과 활동 위주의 항목이 제시되었는데, 제4차 교육과정과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 표현 항목의 추가,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는 이해 영역의 추가,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활화 항목의 재진입 등의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악 교육에 사용되는 기본 악기의 추이를 살펴보았는데, 제2차 교육과정까지는 10여 가지의 악기명을 제시하였고,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 개별 악기명 대신 악기군으로 소개하고 있었으며, 제 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리듬악기군과 가락악기군으로 구분하고 10 여개의 개별 악기들을 병기하였다. 또한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리듬악기와 가락악기의 분류법 대신 국악기와 서양악기로 구분하고, 10 여개 이상의 악기를 제시하고 있었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리듬악기, 가락악기, 건반악기, 전자악기 등의 악기구분만 제시하며, 구체적인 악기명은 거론하지 않고 있다. 국악 기악 변천과정을 살펴본 결과,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5차 교육과정까지 국악 기악 지도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제6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기악 영역에 소고, 장구, 단소 등 일부 국악기가 기본악기로 제시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 체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교과서 체제가 검인정 교과서로 바뀐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악 영역의 악기군을 국악기와 서양악기로 구분하고, 소고, 장구, 단소, 소금을 국악 기악 권장악기로 제시하고 있지만, 학년별 권장 악기를 특정하지는 않았다. 이는 국악기와 서양악기 구분 체계를 통하여 교육 현장에서 국악기를 서양악기로 대체할 가능성을 대폭 줄이고, 실질적인 국악 기악교육이 가능하도록 한 점에서 특별해 보인다고 해석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구분 체제를 철회하고, 리듬악기, 가락악기, 건반악기, 전자악기 등의 악기구분만 제시하며, 구체적인 악기명은 거론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2015개정 교육과정은 모든 국악기를 기악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서양악기들과의 지도악기 선택을 위한 무한경쟁체제로 돌입한다는 측면도 있다고 파악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쉬운 연주법의 국악기 발굴, 교육용 유율 타악기의 개발, 국악 가락악기의 학년별 분산 배정과 수준별 지도법 개발 필요성 등을 향후 국악 기악 교육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요컨대 국악 기악 교육은 5차 교육과정까지 전혀 이루어지지 않지만, 1992년 제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국악 기악 지도가 시작되었고, 2000년대 들어 본격적인 국악기 교육 단계에 들어섰으며, 앞으로 그 역할과 비중은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classified educational contents of musical instruments and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curriculums which are in music curriculu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current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15. Based on these, some improvement plans will be shown in the study below. First, we analyzed music and content a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Up to the third curriculum, items such as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on were presented. In the 4th curriculum, expression items were added, and the 6th curriculum introduced new areas of understanding.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changes were made to reappear items of daily life. Next, we examined the trend of basic instruments used in instrumental education. In the first curriculum and the second curriculum, we presented about 10 instruments. In the third curriculum and the fourth curriculum, they were introduced as musical instruments group instead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6th curriculum and 7th curriculum, we divided into rhythm instrument group and melodic instrument group, and each musical instrument group has about 5 individual musical instruments. In addi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stead of classifying rhythm instruments and melodic instruments,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were presented and more than 10 instruments were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ourse, rhythm instruments, melodic instruments, keyboard instruments, It does not mention the specific instrument nam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there was no instruction on instrumental music from the 1st to 5th curriculum. In the 6th curriculum, some musical instruments such as Sogo, Janggu and Danso. It was presented as a musical instrument, and the system remained the same in the 7th curriculum. In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the textbook system was changed to the textbook of the inscription, and the musical instruments in the instrumental area were classified into Korean and Western musical instruments, and Sogo, Janggu, Danso and Sogeum were proposed as recommended instruments for Korean classical music. However,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division of the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is withdrawn and only the distinction of musical instruments such as rhythm instruments, melodic instruments, keyboard instruments,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is presented, and specific musical instrument names are not mentioned. Therefore, alth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utilize all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for instrumental education, it also recognizes that there is an infinite competition system for selection of musical instruments with Western instruments. Based on these discussions, it is suggested that Korean classical musical instrumen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discover easy to play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to develop melodic percussion instruments for 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by level Korean musical instruments. In short,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was not performed at all until the 5th education curriculum. In 1992, the 6th curriculu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instruction was started. In the 2000s, it entered into the stage of full-scale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education.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 내러티브의 형성에 관한 연구

        이승은(Lee Seung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내러티브 논의가 교육과정 재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 교육과정재구성 경험이 내러티브 형성과 맺는 관련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내러티브는 내적 요소들이 일관성 있게 구조화되어 있고 맥락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허용하는 삶의 의미가 적재된 이야기를 뜻한다. 내러티브가 우리가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동안 겪는 경험을 원천으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교육적 내러티브의 의미와 구조는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의 관련 하에 파악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은 교육적 경험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서, 학습자 외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무기력한 교육과정을 학습자 내부의 의미 있는 경험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이런 이유로,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 내러티브의 형성 간의 관련을 이해하는 일은 교육과정, 내러티브, 경험 삼자 간의 관련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과 내러티브 형성에 관한 문제를 다음 세가지 하위 주제를 통해 탐색하였다. 첫째, 듀이 경험이론을 중심으로 경험이 내러티브 형성과 관련을 맺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험의 구조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내러티브의 성격과 특징과 형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경험을 원천으로 하는 내러티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내러티브 형성과 맺는 관련을 다양한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formation of teacher narrative. Narrative is a story loaded with meaning of life. This story has a structure with coherent internal elements and provides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the contexts. As the life experience is a source of narra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narrative in relationship with experience. As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inert curriculum outside the child into the meaningful one inside the child learner, curriculum reconstruction depends on the meaning of experienc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urriculum structure depends on the clear expla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narrative, and experience. Based on these premi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narrative on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hree categorie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horizon of experience on the basis of Dewey s theory of experience. Secondly, this study explore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on the basis of close examination with the structure of experience which forms the origin of narrative. Finally,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origin and the nature of narrative, this study confirms the role of narrative on the formation concrete and rich understand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연극의 이해』 교과서 연계 분석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이연심 ( Lee Yeon Sim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7

        교육과정에 비하여 거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학교 현장의 연극 교과서는 연극에 대한 교과서 개발자의 관점에 따라 내용 선정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며, 신념이나 가치관, 관심에 따라 내용의 범위와 수준, 구체적인 소재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극 교육과정을 구현하고 있는 연극 교과서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분석하는 일은 의미 있는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관심을 두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연극의 이해』 교과서를 연계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 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연극의 이해’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연구개발 보고서인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고교 예술교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학습목표는 성취기준을 구현하기에 적절하게 설정되었는지를 분석 기준으로 하였으며, 학습활동은 109개의 성취기준별 학습활동 분석 요소(내용학습요소 39개, 목표학습요소 51개, 적용학습요소 19개)를 도출하여 분석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연극의 이해』 교과서는 3개의 대단원, 9개의 중단원, 26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소단원별 학습목표는 총 55개를 제시하고 있는데, 37개의 학습목표는 각 성취기준을 달성하기에 합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8개의 학습목표는 성취기준을 달성하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절한 학습목표의 양상은 학①습활동의 부족으로 확장이 필요한 학습목표, ②성취기준과 동일하여 상세화가 필요한 학습 목표, ③학습활동의 누락으로 추가가 필요한 학습목표, ④학습내용의 반복이나 지나친 세분화로 분석-통합이 필요한 학습목표로 나눌 수 있다. 학습활동의 경우, 109개의 성취기준별 학습활동 분석 요소 중 100개는 다양한 교과서 구성요소에서 구현되고 있으나 9개는 내용이나 활동이 누락되었다. 아울러 학습량을 고려하지 않은 목표학습활동, 계열성을 고려한 단계별 구성이 필요한 학습활동 등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차후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개정을 위하여 ①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상세화의 정도를 고려하여 교과서의 학습목표 설정, ②교육과정이 의도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활동의 체계적인 구성·전개, ③균형적인 소재의 선택, ④교과서 개발자와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소통 시스템, ⑤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를 통한 교육과정에의 피드백, ⑥『연기』, 『연극 감상과 비평』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질적 교과서의 개발에 일조하며, 이와 관련한 다양하고 심도 깊은 후속 연구를 자극하고, 향후 연극 교육과정과 연극 교과서에 대한 담론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s for theatre textbooks having absolute part in school settings in proportion to its curriculum, content selection criteria may differ by the perspectives of textbook developer on theatre, and scope and level or detailed materials of content may be decided according to the belief, values or interest. For the reasons, making an analysis by connecting theatre textbooks containing theatre education course with curriculum is considered a meaningful research task. Having interest in didactic transposition process that occurs while curriculum is realized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aims to make a sequential analy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atre』textbook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obtaining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correction of textbook as well as revision of curriculum for the future. This study established analysis standard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atre’ curriculum and 「Development and Research of Draft Proposal fo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igh School Art Subject Curriculum」 which is a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 fo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ith respect to learning objectives, this study set ‘Is learning objective established suitably for realizing achievement standards?’ as a standard of analysis, and for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generated and 109 elements for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by achievement standards (39 content learning elements, 51 aimed learning elements, 19 application learning elements) and set the elements as analysis standard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atre』 textbook is composed of 3 large, 9 medium and 26 small units, and each small unit suggests total 55 learning objectives and 37 of which are considered appropriate for achieving each achievement standard, whereas 18 turned out to be inappropriate for achieving achievement standards. Inappropriate learning objectives can be divided into ① 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be expanded for lack of learning activity, ② 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be specified due to sameness with achievement standards, ③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learning activity due to omission and ④learning objective that analysis-integration is necessary due to repetition or excessive segmentation of learning contents. As for learning activity, 100 out of 109 learning activity analysis elements by achievement standards are realized in various components of textbook, but content or activity is omitted in 9 elements. And some more problems such as aimed learning activity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learning and learning activity that phased composition considering sequence were also found. The aforementioned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①establishment of learning objectives of textbook considering the degree of segmentation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②systematic composition·development of learning activity to achieve desired objectives of curriculum, ③balanced selection of materials, ④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developer and curriculum developer, ⑤ feedback for curriculum through researches of textbook application cases and ⑥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Acting』,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textbooks and curriculum etc. are required for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revision of textbook.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help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extbook, stimulating varied and in-depth follow-up studies and contributing to formation of discussion about theatre education course and theatre textbooks for the future.

      • KCI등재

        교육과정의 지방자치를 위한 국가 권한의 문제와 과제

        박창언 ( Chang Un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교육과정 분야의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변천과 현행법 체제를 살펴보고, 교육과정의 지방자치를 위해 과도하게 설정되어 있는 국가 권한의 문제와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지방교육자치의 원리와 교육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여기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방교육자치의 원리를 알아보고, 교육에 대한 일차적인 행정권한이 지방자치단체에 있음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지방교육자치에서 교육과정 관련 법령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혁적으로 법령은 지방의 자율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지만, 법 구조에서는 다소 마비된 점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분야의 지방교육자치를 위한 국가 권한의 과도한 규정의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여기서는 초?중등교육법과 동법 시행령에 관한 사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과 동법시행령, 그리고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사항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초?중등교육법과 동법시행령에서는 법령의 체계와 내용적인 면에서 국가의 권한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과제가 있었다.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와 교육청의 지도?조언 및 여건 조성을 위한 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법제의 정비가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국가교육과정에서는 교육청의 역할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는 내용의 삭제와 더불어 이들 중 지방교육자치의 주요 원리로서 분권과 주민참여 및 전문성의 원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사항은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 규정하는 것의 타당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s stated in curriculum fields. The gist of the discussion centers on the legal regulations in the authority distribu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contends that autonomy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refore should have citizen control and organization autonomy. The local self-government for curriculum fields is prescribed to the Act on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delinea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legal aspect of carrying out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in curriculum fields are here discussed. The law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law for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are all discussed in terms of the need to bind the allocation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power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to law.

      • KCI등재

        초·중등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손성호 ( Sungho Son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교사의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핵심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의 생애주기를 적응기, 자립기, 성찰기 세단계로 구분하고 역량모델링과 역량기반교육과정 개발의 연구방법의 2가지 방법을 단계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핵심역량을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역량군, 상담/ 학급운영 역량군, 학교업무/ 행정 역량군, 교사소양 역량군으로 구분하였고, 생애주기별로 적응기 핵심역량 12개, 자립기 핵심역량 11개, 성찰기 핵심역량 14개, 교사소양 공통 핵심역량 5개가 도출되었다. 또한 각 핵심역량별로 역량정의와 평균 3~4개의 행동지표를 개발하여 총 42개의 핵심역량 정의와 행동지표로 규명하였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교급별 필수역량과 기본역량을 바탕으로 생애주기별로 필수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을 개발하였는데, 적응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적응기 초·중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 자립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자립기 초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 성찰기 초·중등교사 필수교육과정(30시간) 2개 과정, 성찰기 초·등교사 기본교육과정(15시간)씩 각 6개 과정을 개발하였다. 교육과정 프로파일은 각 교육과정 콘텐츠별로 교육과정 정의, 대상, 해당역량, 행동지표, 역량개발 주제어(Keyword), 역량개발방법, 교육목표 등을 명세화하여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원평가제도, 학습연구년제, 수석교사제 등 다양한 정책적 분야에 활용됨으로써 교사의 핵심역량 강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nd behavior indexes required in each phase of teachers` professional life cycle, and develop curriculums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eachers` professional life cycle consists of three phases; adaptation, independence and reflection. Key competenc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xpertise in curriculum & lessons, counseling & class management, school affairs & administration, and teachers` qualifications. competencies. As to each phase of teachers` career cycle, 12 key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or the adaptation phase, followed by 11 competencies for the independence phase, 14 competencies for the reflection phase and 5 common, key competencies for teachers` qualifications.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3~4 behavior indexe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 42 key competencie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design and develop train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and also for various systems such as the teachers evaluation system, the research sabbatical system and the master teacher system, thereby making contributions to the reinforcement of teachers` key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