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주체간 이념갈등의 문제와 과제

        박창언(Park, Chang-Un) 한국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 Vol.48 No.-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ideological conflict among the participation subjects in education. The gist of the discussion centers on the nature and purpose of nation and the essence of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 The education ideologies is caused by nation in public education. The ideological conflict of the study deal with nation-local government relations, central government-teacher’s association relations, and nation-parent groups relations. The education ideological conflict content that conflict of nation-localgovernment relations establish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progress versus conservatism, educational conflict of nation-teacher’s association set up a conflict between the excellence versus equality, and conflict of nation-parent groups discuss the strife between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중등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박창언 ( Chang Un Park ),황순영 ( Soon Young Hwang ),한신일 ( Sin Il Ha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역량을 강화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역량을 예비교사 시절부터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 부산 지역의 4년제 대학교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284명의 예비교사들에게 통합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관련변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중등 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관련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자 예비교사가 여자 예비교사보다 통합교육의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또한 중등 예비교사의 장애학생 지도에 대한 자신의 의지 정도가 높을수록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으며, 중등 예비교사들이 졸업 한 후에 장애학생 관련 학교에 지원할 의향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통합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등 예비교사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인문계열과 자연계열 학생들이 사회계열 학생들에 비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특수교육학 개론``이나 ``특수아동의 이해와 지도``라는 통합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경험유무는 중등 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의 실천역량을 강화시키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함 하지만 중등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다 강화하고 교육현장에서의 실천력과 연계를 시키기 위해서는 특수교육 관련 교직과목 운영에 있어 질적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ways for a supportive courses that reinforce inclusion competen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eachers, For this aim, we examined the perceptions toward inclusion by personal, experiential, instructional, knowledge and dispositional factors, these factors were good predictor post-stud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practices. The sample comprises of 284 students enrolled teaching related courses in 2012.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ntonak and Larrivee (1995) was adapted and was used to measure students`` opinion relative to inclusion. Students`` personal, disabilities-related experiential, instructional, knowledge and dispositional variables were collected also.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1) students`` perception toward were high, and (2) there were difference significantly in perception toward inclusion according to sex, will of teach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tention of applying special education school, majors, and experience of taking class related special educ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법령과 국가 정책에 의한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의 문제 및 교육과정의 과제 탐색

        박창언 ( Chang Un Park ),김경자 ( Kyung Ja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에 의해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시수 요구에 대한 문제와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에 의한 범교과 학습 주제와 수업 시수는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지 않고 직접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되고,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왜곡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왜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인지 밝히기 위해 첫째, 교육의 자주성 원리를 토대로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둘째,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시수 요구 현황을 국가, 지역, 학교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에 기초하여 법령, 국가 정책, 국가 교육과정, 교육청과 단위학교 및 질 관리 체제와 관련된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첫째, 범 교과 학습 주제와 요구 시수를 법령 차원에서 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항을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교육관계법에 명시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 정책 차원에서 관련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교육부 내에 전문 인력과 조정 기구를 설치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차원에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성격을 정립하여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해야 하고, 국가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에 범 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지침을 제시해야 한다. 넷째,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자율성 확립을 위해서 국가 교육과정과 교육청 지침에 이들 사항에 대한 학습내용, 시수 및 교육방법 등에 대한 최소한의 규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 급별로 법령과 국가의 정책적 요구로 제시되는 이러한 사항은 학교평가와 교육과정평가 등을 통해 지속적인 피드백과 개선 노력을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outlined by legislation and government policy which directly affect the school curriculum. They become a part of a school curriculum without the national curriculum governed by「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and「Enforce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this way they give a significant burden on the learning of students and distort the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s. In relation to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first, the factors that influence directly in the school curriculum are studied. Second, the demanding hours and different kinds of theme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hird, the issues and challenges are discussed in terms of legislation, government policy, the national, regional and school curriculum,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s. The suggestions are in the following. First, setting up an adjustment office or organization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establishment of law and securing education experts to adjust the conflicts among the cross-curricular themes, the national, regional, and school curriculum, third, a way to deal with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in the boundary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urth, including minimum provisions and guidance about the cross-curricular themes and lesson hours in the national and the regional curriculum, and fifth, the continuous feedback and improvement efforts through curriculum evaluation are recommended.

      • KCI등재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대한 고찰

        박창언 ( Chang Un Park ),정영근 ( Young Keun Je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법률에 제시된 교육목적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와 관련된 사항을 검토함으로써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교육목적과 교육목표 결정의 대전제로서 교육의 자주성과 관련된 헌법 규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현행 법률과 국가수준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교육목표 관련 사항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사항을 바탕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내용은 법률 규정과 고시 규정의 관계, 법률과 고시된 교육과정에 규정된 교육목적과 교육목표의 체제, 교육목표에 관한 내용적 검토, 국가수준 교육과정 각론에 제시된 교육목표에 대한 사항이다. 논의 결과 법률에 규정된 각급학교의 교육목적의 위치에 대한 불명확성, 법률에 규정된 교육목적 규정 내용의 중복성, 법률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적과 교육목표의 일관성 결여, 추상적인 교육목적과 교육목표 규정의 과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각론에 제시된 교육목표 진술의 수준 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었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외국 법제와의 비교, 법과 교육과정 규정 근거에 대한 학설의 심층적 검토, 교육과정 문서체제 비교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ttempted to explor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with aims and objectives of education in legal aspects and national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goal, the constitution related to aims and objectives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freedom of the people are reviewed. It is found that constitution guarantees the autonomy of education. Also, the educational freedom of the people includes the rights to decide on the educational objects permit teachers to protect the rights includes the rights of children in learning and educational freedom. Second,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 in legal regulation and national curriculum are discussed. The ideal education of the people is prescribed to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aims of education are provided for the `Elementary Act on Educati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are prescrib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ird, legal regulation and notification of educational aims, the system of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 according to the rules, overlapping educational aims and objectives in legal regulation and notification, a lack of flexibility in subjects` objectives are discussed. In conclusion, It is designated to harmonize the regulation of nation and education freedom of the people.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박창언(Park Chang 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현재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교육부 령으로 제시하는 개정 법률 안이 제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하위 입법이나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법제화를 위한 논의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교육과정의 관계에 대해 논의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제출된 개정 법안의 제안 이유와 주요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법제화 방안 탐색을 하였다. 논의 결과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반영 방안은 법규를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과 국가 교육과정을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법규를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은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과 같이 직접적으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사항을 교육하여야 할 부분에 해당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법령 체제를 정비하여야 하는 외형적인 측면과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와 내용 및 방법의 내용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가 교육과정 부분에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총론은 교과에 해당되는 사항을 일괄적으로 제시하거나 각론의 지침에 해당되는 내용이 제시되므로, 구체적인 사항보다는 지침의 역할을 하는 사항 위주로 제시하였다. 각론은 해당 교과별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교과별 성취기준의 반영 정도를 달리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 현재의 교과별 반영 비중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반영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눈데 시사를 준다. This study suggested legislation for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in curriculum fiel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nd curriculum, and then examines the grounds for offer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proposed amendment in the「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the regulations an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methods reflected through regulations are time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on the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 time of education is properly set at four hours each year. The contents of education include the understanding, case study, and coping method of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Teaching methods are lecture method instruction, field study, and role play etc. The plan to apply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proposes the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 matter curriculum. The general guideline prescribes the guidance related to the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The subject matters curriculum reflects achievement standards by each subj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