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10년 성과 보고

        김지은,문지혜,이승연,이해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3 정신건강연구집 Vol.13 No.-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ten-year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Project for Healthy Drinking Habit (PHDH)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identify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and expansion,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ture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We examined data spanning from 2020 to 2022, coinciding with the full-scale participation of all 25 districts of Seoul in the projec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onthly monitor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22 districts of Seoul, and Addiction Management Community Centers in three districts. We then conducted a comprehensive self-reported survey, both online and offline, among participants of the PHDH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lead to quit drinking alcohol. Utilizing data from 92 valid respondents, we performed frequency, crosstabulation, t-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PASW18) and R 4.2.1.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service providers of the PHDH, including peer supporters (in alcohol addiction recovery), the person in charge of this project in 25 districts, and previous and current staffs of the Seoul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to evaluate the project’s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and the results were subsequently analyzed. ▪Results: In order to seek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ten-year achievements of the PHDH, this study derived major findings from three distinct aspects: the analysis of project performance data trends, the effects of service interventions and abstinence factors, and an assessment of project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First, an analysis of the project’s performance data revealed that several key trends emerged as the service gradually expanded. The number of service users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clients were registered and managed by community mental health organizations, and there was a notable rise in the number of short-term recovered(over 3 months) who successfully maintained abstinence. Second, in analyzing survey responses, factors influencing the abstinence of service users within the project were identified. Among individual factors, abstinence experience, Alcohol Use Disorder Screening Test (AUDIT-K) scores and stages of change (RTCQ), and self-esteem (RESE) were associated with maintaining abstinence for more than three months. Notab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s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with the mean AUDIT-K total score being 15.05 for abstinence group and 23.67 for non-drinkers group.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living with a family member, marital status, the presence of social support, and having a significant other, abstinence experience increased the odds of maintaining abstinence.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service users’ experience, the duration of service use, abstinence celebration day and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ponses from service providers participating in the PHDH, several key findings emerged.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 of the project is its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identifying and supporting high-risk drinkers led by peer supporters, offering services throughout Seoul through a leading regional management system, despite the limited proportion and priority of addiction management services. The project’s effectiveness is underscored by its collaboration with peer supporters who serve as inspiring role models for individuals struggling with alcohol use, as well as practitioners with expertise. This collaboration strengthens service users’ motivation to overcome alcohol addiction, supports their holistic recovery, and enhances the roles and capabilities of both service providers and users. However, several limitations were identified, including a lack of awareness about alcoholism and addiction management services within and outside of community mental health organizations, which are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e project. This lack of awareness has led to constraints in project operations owing to insufficient budget, manpower, and resources. Moreover, the frequent turnover of personnel responsible for individual districts has resulted in the project taking a secondary role to other initiatives. Additionally, given the nature of the PHDH, there is a clear need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peer supporters and the person in charge of this project in 25 districts to enhance service delivery. ▪Conclusions: To promote abstinence and facilitate recovery among clients of the PHDH, interventions need to be strengthened to address modifiable variables. In particular, the ability of the Recovery Support Team(peer supports and the person in charge) to provide meaningful social support in PHDH activities should be enhanced. The findings suggest that clients with prior abstinence, support from meaningful individuals, retention in services for 1-3 years, and access to education are more likely to achieve abstinence. The educational aspect of service provision should be activated to bolster motivation for abstinence and improve clients’ insight. Additionally, related support should be reinforced to enable education across various service types, including counseling, programs, and self-help groups. Moreover, to strengthen the project’s operation,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improving macro-level aspects, such as expanding infrastructure, national systems, and support. This includes enhancing the treatment of peer supporters and expanding support for addiction projects within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project will experience further expansion and establishment when each implementing entity fulfills its role seamlessly. ▪Keywords: Project for Healthy Drinking Habit, alcoholism, recovering alcoholics, peer supporters (in alcohol addiction recovery), community alcohol management service delivery system ▪연구목적: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10년 운영 성과분석을 통해 사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사업 개선 및 확대 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적인 사업 운영 근거를 마련하고자 관련 조사를 시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서울시 22개 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및 3개 구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월별 모니터링을 통해 실적을 매월 취합하여 25개 자치구가 모두 참여하기 시작한 ‘20년도부터 ’22년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둘째,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 개입효과와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 이용대상자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자가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유효응답자 9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PASW18)와 R 4.2.1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사업의 서비스 제공자인 회복자상담가, 자치구 사업담당 실무자,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내 역대 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업 성과와 한계 등을 확인하고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10년 성과를 바탕으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사업 실적 데이터 추이분석, 서비스 개입효과 및 단주요인, 사업성과 및 한계의 세 가지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사업 실적 데이터 추이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서비스 이용자의 실인원 증가, 지역 정신건강기관 등록 관리 대상자 증가, 단주를 유지하는 단기회복자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이용자의 단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이용자의 개별적 요인 중 단주경험,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 점수(AUDIT-K), 변화단계(RTCQ)가 3개월 이상 단주유지와 관련이 있으며, 단주자 그룹의 AUDIT-K 총점 평균은 15.05점, 비단주자 그룹의 평균은 23.67점으로 집단 간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동거가족이 있고, 결혼상태가 기혼인, 사회적지지와 의미 있는 타자가 있고, 과거 단주 경험이 있는 경우 단주할 확률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이용자의 서비스 이용경험 요인 중에서는 서비스 이용기간과, 교육, 단주기념식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제공자의 사업 참여 경험과 관련된 설문 응답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사업의 가장 큰 성과는 당사자(회복자상담가) 주도형 고위험 음주자 발굴 및 회복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중독사업 비중과 우선순위가 낮은 상황 속에서도 서울시에서 선도적으로 지역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서울시 전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알코올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에게 희망사례(롤모델)인 회복자상담가와 전문성을 지닌 실무자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서비스이용자의 단주 동기를 강화함과 동시에 나아가 전인적인 회복을 지원한다는 것, 이용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역할과 역량이 강화된다는 것도 사업의 효과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업의 어려움(한계)의 경우 사업수행기관인 지역 정신건강기관 내/외부적으로 알코올중독과 알코올 사업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사업운영의 한계(예산, 인력, 자원 부족 등)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파생되는 자치구 담당실무자의 잦은 변경, 타 사업 대비 후 순위일 수밖에 없는 상황도 사업 수행에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사업 특성상 회복자상담가와 자치구 담당실무자가 함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들의 소통 강화 노력이 보다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서비스이용자의 단주를 독려하고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가능한 변수에 대한 개입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데 특히, 과거 단주경험이 있고, 의미 있는 타자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을수록, 1~3년 정도 서비스를 유지하고, 교육을 제공 받을수록 단주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토대로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활동에서 서비스제공자인 회복지원팀이 의미 있는 타자로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서비스이용자가 단기적으로라도 단주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비스이용자의 병식 향상과 더불어 단주 동기를 강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의 교육적인 측면이 활성화 되어야 하며, 교육이 다양한 서비스 유형(상담, 프로그램, 자조모임)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관련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젝트 운영 강화를 위해서는 인프라 확대, 회복자상담가 처우개선 등 국가적 제도와 지원, 기관 내 중독사업 지원 확대 등 거시적인 측면에서 개선 노력이 필요하며, 각 수행 주체별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때 본 사업이 더욱 확장되고 정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주요용어: 건강음주희망프로젝트, 알코올중독, 알코올중독회복자, 회복자상담가, 지역사회알코올중독 서비스 전달체계

      • KCI등재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김미점(Mi Jum Kim),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들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메타분석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2015년까지 국내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중 선정과정을 거쳐 석사학위논문 46편, 박사학위논문 3편, 학술논문 53편 총 102편을 최종 분석하였다. 전체효과크기에서 희망과 정적적응의 효과크기는 , 537로 나타났고, 희망과 부적적응의 효과크기는 -, 387로 높게 나타났다. 조절변인에 따른 희망과 정적적응의 관계에서 학교급별, 연구대상 유형, 희망의 정의와 측 정도구, 희망요소, 개별적인 적응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 효과크기의 차이를 살펴보면 희망은 초등학교, 중학교, 대학교가 고등학교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구대상 유형별로는 신체질환 환자와 정상인이 정신질환 환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의 정의와 측정 에서는 Snyder, Miller와 Powers, Nowotny가 Herth보다 높게 나타났고, 희망의 요소에서는 희망주도가 희망경로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별적인 적응유형에서는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크기가 높았으며 스트레스 대처능력, 결혼생활적응의 효과크기가 낮게 나타났다. 조절변인에 따른 희망과 부적적응의 관계에서 연구대상, 연구대상 유형, 희망의 정의와 측정, 희망요소, 개별적인 부적적응유형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서는 노인이 학생과 성인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신체질환 환자가 정신질환 환자나 정상인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Herth와 Nowotny가 Snyder, Miller와 Powers보다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희망주도가 희망경로보다 부적으로 높았다. 개별적응 유형을 보면 절망감, 불안감, 자기도피가 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제행동, 스트레스, 소진, 자살생각은 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본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Hope wa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variable to increase adjustment of human so the study wa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adjustment related variables by meta-analysis, To achieve research questions, researchers searched for various databases and analyzed 102 studies, which were composed of 46 master``s theses, 3 dissertations, and 53 journals from 1990-2015, Publication biases were analyzed by Rosenthal and Orwin``s Fail-safe N, and Egger``s regression intercept, There was no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positive adjustment, however, there was a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negative adjustment, So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bias with trim and fill method suggested by Duval and Tweedie to consider imputed effect sizes not found in the study, The total effect size of hope and positive adjustment was , 537 and that of hope and negative adjustment was -, 387, The moderator variables (school types, research subjects, type of research subjects, definition of hope, elements of hope, adjustm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effect sizes between hope and positive adjustment, and between hope and negative adjustment, Based on the relevance of prior researches,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희망 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와 적용 방안

        추병완(Chu Beong Wan),박병춘(Park Byung-ch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3

        희망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삶을 성공적으로 영위함에 있어서 본질적인 것이다. 희망은 학업에 서의 성공, 운동에서의 성취, 사회적 발달의 여러 형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한 개인의 전반적인 행복감과도 깊게 연관되어 있다. 희망은 우울증, 자살, 무력감을 예방하는 데 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희망은 윤리적 목적, 우선성, 민감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개인의 도덕 발달에 기여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희망을 발달시키고 유지하도록 해주는 것은 도덕교육자 로서 우리에게 부여된 의무이자 특권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문헌 분석에 근거하여 희망 이 론을 도덕과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희망 이론의 개요, 희망 의 측정 방법과 희망의 효과, 희망 이론의 적용 및 실천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살펴본 후에, 도덕교육에서 희망 이론의 의의와 도덕과교육을 통해 희망을 증진ㆍ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Hope is an essential element for students to succeed in life. According to hope theory, hope is correlated with academic success, athletic achievement, various forms of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optimism, life satisfaction, and general well-being. Hope is also crucially involved in preventing depression, suicide and a sense of helplessness. In addition, hope contributes to students' moral development by changing their ethical goals, priorities, and sensitivities. In this regard, it is our duty and privilege, as moral educators, to help our students develop and maintain hope in their life journey. In this article, I tried to summarize basic tenets and characteristics of hope theory developed by Snyder and his colleagues. Based on the analysis of hope theory, I further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hope theory to moral education. Hope theory can give fresh ideas to the domain of moral education, especially with regard to practice of moral life, meaning of life, and roles of moral educators. Finally, I suggested possible methods for enhancing hope in moral education. To raise high-hope students, it is imperative that moral educators should give students to appreciate moral beauty, help them set cooperative goals, and try to build hopeful atmosphere in the classroom.

      • KCI등재

        릴레이셔널 홈을 통한 희망 형성 : 절망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목회상담과 돌봄

        김정선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이 연구는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고 인구 감소와 저성장과 침체 속에서 미래를 낙관하지 못하는 한국 사회와 교회의 상황에 대한 목회신학적인 응답을 제시하고자 시작되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미래가 더 나아지지 않으리라고 생각하며 절망하는 사 람들에게 목회신학은 어떻게 희망을 형성하고 제시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지니고 목회신학 방법론에 따라 사례로부터 출발해서 이론적 성찰을 거쳐 희망 형성에 효과적인 요인들을 제안하려고 시도한다. 이 연구는 먼저 절망에 처한 사람들의 상담 사례를 소개하고(II), 목회상담과 돌봄 상황에서 희망의 의미를 고찰한 목회신학자 도널드 캡스(Donald Capps)와 앤드류 레 스터(Andrew D. Lester)의 연구를 개관한다(III). 이어서 캡스와 랩스터는 인간 실존 의 트라우마 차원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고 비판하고, 셸리 램보(Shelly Rambo)의 트라우마 신학에 기초하여 트라우마 경험의 시간성을 고찰한다(IV).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램보가 치유와 변화를 언급하는 데에는 소극적이라고 비판하고, 램보의 중간 담론을 받아들이면서도 릴레이셔널 홈을 통해 치유와 변화와 희망을 형성할 수 있다 고 주장한다. 또한 앞의 사례들에 대한 성찰을 통해 상담자의 버티고 머무는 현존, 기독교적 희망과 교회공동체, 다른 사람을 돕는 일에 참여 등이 희망을 불러일으킨 요 인들이라고 묘사하고, 이 모든 변화와 치유와 희망 형성의 토대는 릴레이셔널 홈이라 고 밝혔다(V). 결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더욱 확대하여 예배와 설교와 교육 분야에서 기독교적 희망을 설교하고 가르치고 소통할 때에도 트라우마 차원과 램보의 죽음과 삶 사이의 공간에 대한 성찰이 의미를 지닐 수 있다고 제안하고, 앞으로 실천신학의 다른 영역 에서도 절망적 상황에서 기독교적 희망의 의미에 대한 후속 연구에 대한 기대를 표현 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attempt to provide the pastoral theological response to the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which do not hope for the future due to the depopulation, underdevelopment, and economic stagnation in the midst of prolonged situ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How can pastoral theology instill and awaken the hope of those who become plunged into despair in the midst of pessimistic thinking that the future will not be better? This study, with this awareness of problem, follows the pastoral theological method and starts from the three cases, going through theoretical reflection and identifying three effective factors for providing hope. First, this study introduces the three cases of those in the midst of despair(II), then outlines the studies of Donald Capps and Andrew D. Lester which investigate meanings of hope in the context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III). After criticizing their failure to acknowledge the dimension of trauma in human existence, my study deals with temporality of the traumatic experience on the basis of Shelly Rambo’s theology of trauma(IV). Finally, this study, criticizing Rambo’s hesitancy in her reference to healing and transformation, argues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healing and transformation and hope through the relational home. Furthermore, through reflection on the three cases, it describes the enduring and remaining presence of the counselor, Christian hope and the ecclesiastical community, and participation in helping others as three factors for awakening hope. It also asserts that the relational home provides the foundation of all these changes, healing and hope(V). In conclusion, enlarging the scope of discussion to the areas of worship, preaching, and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makes a suggestion that the dimension of trauma as well as Rambo’s reflection on the space between death and life may contribute to preaching, educating, and communicating the Christian hope. It finally expresses an expectation that other areas of practical theology will produce subsequent studies on meanings of the Christian hope in the midst of despair.

      • KCI등재

        사회계층이 국민의 희망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계층상승 가능성과 정부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하영 ( Hayoung Lee ),이수영 ( Sooyoung Lee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3

        최근 ‘헬(hell)조선 증후군’이라는 말이 등장할 정도로 국가에 대한 절망과 혐오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학계 안팎에서 희망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있다. 그러나 정작 ‘국민’의 시선에서 바라본 국가의 미래에 주목하여 희망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거의 부재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공백을 보완할 필요가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하위계층을 중심으로 자신의 계층상승에 대한 비관과 정부불신이 맞물리며 국가에 대한 절망을 더욱 가속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미래에 대한 희망마저 현재 속해 있는 사회계층에 따라 결정되는 ‘희망의 계층화’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이 과정에서 주관적 계층상승가능성과 정부신뢰를 통한 매개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직접효과의 분석결과, 현재 속해 있는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자신의 계층상승가능성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정부신뢰는 저조한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계층상승가능성은 정부신뢰와 국가에 대한 희망에, 정부신뢰는 국가에 대한 희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계층과 국가에 대한 희망 간에는 직접적인 정(+)의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계층은 ‘사회계층→주관적 계층상승가능성→국가에 대한 희망’의 경로와 ‘사회계층→주관적 계층상승가능성→정부신뢰→국가에 대한 희망’의 경로를 통해 국가에 대한 희망에 정(+)의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적인 희망의 계층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하위계층이 인식하는 계층상승가능성을 높여 정부에 대한 신뢰를 제고함으로써 국가에 대한 희망을 회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계층이동의 사다리를 재건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조치를 통해 국민 누구든 자신의, 혹은 국가의 미래를 꿈 꿀 수 있도록 희망의 탈계층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반면, 예상과 달리 ‘사회계층→정부신뢰→국가에 대한 희망’의 경로에서는 사회계층이 정부신뢰를 통해 국가에 대한 희망에 부(-)의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정부신뢰가 저조한 데 기인한 것으로 국가에 대한 희망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상위계층의 정부불신을 완화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기대불일치 이론에 따르면 상위계층의 정부불신이 정부에 대한 지나친 기대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정부의 역량과 도덕성을 강화하는 노력과 더불어 국민들 또한 정부에 대한 지나친 요구와 기대를 절제할 수 있는 시민의식을 함양해 나갈때 보다 큰 폭의 정부신뢰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하위계층의 정부신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 또한 정부에 대한 기대 수준이 현저하게 낮은 데 기인했을 가능성이존재하므로 하위계층의 정부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동시에 높여 진정한 의미의 정부신뢰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bhorrence and despair over the state of Korean society have worsen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term ¨Hell Joseon syndrome,〃 referring to negative public sentiment, has been coined and received widespread media coverage. In this context, the importance of hope in society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and out of academia.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hope〃 for the country…s future in the eyes of the ¨public〃 which suggests that research on this topic is required. Given that the widespread pessimism among Koreans긏especially members of the lower class긏 about the possibility of climbing up the social ladder, along with distrust in government, could rapidly aggravate public despair, the present study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discern the existence of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hope,〃 the concept that even one…s prospects for the future are determined by one…s social class,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ubjective prospect of upward mobility and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an individual…s social class, the brighter prospect of upward mobility, and the lower his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In addition, the subjective prospect of ascending the social ladd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and the level of hope for the country, while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hope for the country. As for the existence of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hope, its direct effect on the country i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hope for the country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subjective prospect of climbing the social ladder and trust in government, which implies the existence of the indirect social stratification of hope.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Koreans… subjective prospects of upward mobility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public trust in government and restore the public…s hope for the country…s future, which in turn suggests that active policy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rebuild the social ladder, helping give Koreans high hopes for the bright future of their life and country, regardless of their social status. Moreover, the fact that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varies depending on social class reflects the discrepancies between each social class…s levels of expectation of the government. This means a clear policy direction should be set towards improving the public’s evaluation and expectation to build strong public trust in government. In short,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lower class’s expectation of government by ensuring that the benefits of policy are equally distributed across social classes, in tandem with other measures strengthening government capability and morality.

      • KCI등재

        2000년 이후 출생한 학생들의 희망직업과 희망교육 수준 추이 탐색

        최규리,오윤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f presence of desired job, desired job ranking, and desired education level of students born after 2000. Methods For this in the study us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 to Career Education Status Research of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rom 2016 to 2019. Results First, the perc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ve desired job was relative high, but it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most desired job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thletes, teachers, chefs, and police officers. By occupational categories, “Art⋅Design⋅ Broadcasting⋅Sports” and “Education⋅Law⋅Social Welfare⋅Police⋅Fire Service⋅Military”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sired job but “Research⋅Engineering & Technology” was decreasing, and “Business⋅Office⋅Finance⋅Insurance” had the lowest. Second, the highest response proportion of the reason for choosing the desired job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as that they liked and would do well. “University” was the most responses to desired education level but perception of higher education has chang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 proportions of junior college,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ontinued to decline,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 proportions of junior college and graduate school di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occupational groups, enhance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engineering occupations, and provide consumer-centered career education 목적 2000년 이후 출생한 학생들의 희망직업 유무, 희망직업 순위, 희망직업 이유, 희망교육수준의 변화 및 관계를 탐색하였다. 방법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교육현황조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원자료(2016~2019년)를 활용하여 변인에 대한 연도별 차이에 대한 x2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사후분석을 실시하여 부집단을 비교하였다. 또한 2020년 고용노동부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의전직종별 필요인원 비율과 초⋅중학생의 응답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희망직업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후반부로 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하락하였다. 운동선수, 교사, 요리사, 경찰이 초⋅중학생이 공통적으로 가장 희망하는 직업이었으며 직종별로는 ‘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았고, ‘연구직 및 공학기술직’의 희망비율은감소추세에 있으며, ‘경영⋅사무⋅금융⋅보험직’의 희망비율이 가장 낮았다. 둘째, 희망직업 선택 이유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내가 좋아하고 잘 할 것 같아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희망교육수준은 ‘대학교’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고등교육에 대한인식에서 초등학생은 ‘대학교’를 포함하여 ‘전문대학’과 ‘대학원’의 응답률이, 중학생은 ‘전문대학’과 ‘대학원’의 응답률이 지속적으로하락하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 다양한 직업군에 대한 탐색, 이공계 직업군에 대한 이해 제고, 수요자 중심의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긍정과 부정의 경계에서 만나는 감정, 희망

        최해연(Hae Youn Choi)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4 인간연구 Vol.0 No.27

        심리학에서 희망을 설명하는 주도적인 이론인 Snyder의 희망이론과 관련 선행연구를 개관하여 희망이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경로사고와 주체사고를 핵심요소로 상정한 희망이론은 인지과정에 편향되어 있는 바, 희망을 생리적, 동기적 요소를 강하게 갖는 감정으로 재정의하고자 하였다. 인지적 관점을 넘어서서, 희망의 변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폭넓게 탐색하기 위하여 긍정정서로서 희망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희망은 효과적인 대처를 선택하도록 동기화할 뿐 아니라, 역기능적인 스트레스 상태를 원상태로 회복시키며, 자아집행기능을 회복함으로써 자기조절과 장기적 목표추구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희망은 사회적 접근을 촉진하여 정서적 지지를 통한 회복과 상호조력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사고와 행동의 폭을 향상시켜 새로운 가능성에 도전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거짓희망과 무망감 현상을 비교하며, 주체적 선택으로서 진정한 희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실망에 대한 방어로 희망을 포기하거나 부정적 정보를 차단하여 현실을 왜곡하지 않으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선택과 책임의 용기를 갖는 것이 진정한 희망인 것이다. Snyder’s hope theory, the prevailing psych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hope was reviewed to examine the effect of hope on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Although the hope theory, which is composed of pathway thinking and agent thinking, is comprehensive, it relies heavily on cognitive processing. At this point,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hope needs to be defined as an emotion that involves physiological and motivational components.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roles of hope beyond cognitive perspectives; as a positive emotion facilitating changes. Hope facilitates effective coping as well as recovery from the dysfunctional physiological sequela of negative emotions; therefore, it helps an individual recover from ego depletion and sustain self-regulation and long-term goal seeking. Hope makes social support and helping more available. It stimulates flexible, fluid cognitive processing to broaden the scope of thought and action to challenge the opportunities. Finally, the conditions under which hope exerts genuine influence were discussed, including a comparison between false hope and hopelessness. Genuine hope neither blocks negative information from reality nor promotes a defense against disappointment; rather, it helps a person face reality with courage to make choices and take responsibilities.

      • KCI등재

        권리매도희망자와 권리매수희망자 구분에 따른 상가권리금 결정요인 연구

        강영진(Youngjin Kang),이범웅(Bum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2

        본 연구는 권리금 이해관계자 별 권리금 결정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고, 그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권리매도희망자와 권리매수희망자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의 대학가에 위치한 상가에서 영업 중인 권리매도희망자 149명과 창업 준비 중인 권리매수희망자 151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대면 설문과 SMS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권리금 결정 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체집단의 경우, 환산보증금(㎡_ln), 판매허가권, 영업기간, 주방ž홀ž화장실로 나타났으며, 권리매도희망자의 경우 환산보증금(㎡_ln), 판매허가권, 기존상가 영업기간, 출입문, 외벽장식, 바닥ž천장ž벽으로 6가지이며, 권리매수희망자의 경우 환산보증금(㎡_ln), 판매허가권 2가지로 나타났으며, 파악된 요인이 희망권리금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고 나타났다. 또한 이해관계자 중 권리매도자희망자가 권리매수자희망자보다 권리금 결정 요인이 더 많게 파악되었으며, 산정된 권리금도 권리매도희망자가 권리매수희망자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 별 권리금 결정 요인의 차이점을 인지시킨다면 권리금 산정 시 두 이해관계자가 고려하는 권리금의 차이를 좁힐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insurance premiums for each stakeholder,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separately by those who wish to sell and those who wish to buy. The subjects collected data through face-to-face and SMS surveys on 149 a person who wants to sell rights and 151 a person who wants to buy rights operating at stores located in Busan from June 2018 to February 2019. The entire group was found t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surance premium decisions such as conversion deposits (㎡_ln), sales authorization rights, business periods, kitchensžhallžtoilets. In the case of selling-right group, the conversion deposit (㎡_ln), sales authorization rights, business period of existing shopping malls, entrance doors, exterior wall decorations, floor ceiling and walls shall be included. In the case of buying-right group, two types of factors were found, including conversion deposits (㎡_ln) and sales authorization rights, and the identified factors greatly affected their rights. And more determinants came from those who want to sell their rights and they will want higher payouts. If this recognizes the difference in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premium by stakeholders, it will be able to narrow the difference in the premium that the two stakeholders consider when calculating the premium.

      • KCI등재후보

        기획 논문 : 기독교철학의 제문제 ; 희망의 빛으로 본 Paul Ricoeur의 "종교의 자유"

        장경 ( Kyung Ja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0 기독교철학 Vol.10 No.-

        폴 리쾨르가 말한 종교의 자유는 ``케리그마적 선포와 해석``으로 전개된 자유의 질에 속한다. 이 자유는 다양한(심리, 윤리, 정치, 사회, 신학) 차원에서 형성되는 인간성숙을 향한 총괄적 형태변화를 이루면서 자유담화의 완성도상에 있다. 리쾨르가 관심을 갖는 ``철학적 접근``은 케리그마와 신학이야기(성경)에 끊임없이 다가가면서도, ``들음(신앙을 통한 말씀의 수용)``에 기초하여 ``따름``이라는 자율의 길이 있음 알린다. 즉 ``이성의 한계 안에 있는 종교``라는 차원에서 한계를 넘지 않는 ``이성해석``의 가능성을 말한다. 여기서 리쾨르는 칸트의 두 가지 이성비판(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의 변증법과 『이성의 한계 안에의 종교』를 몰트만이 그의 『희망의 신학』에서 말한 종말론적 세계열림에로 연계한다. 리쾨르는 철학과 신학이 공유할 수 있는 자유의 장을 ``희망``이라고 말한다. 칸트의 두 가지 이성비판(이성사유와 의지의 앎)으로 생겨난 이율배반적 불일치에서 최고선이라는 총체적 가능성으로 나타난 요청을 리쾨르는 희망으로 이끈다. 이런 희망은 어디까지나 가능성이지 현실이 아니다. 다른 한편, 칸트의 ``한계선상의 종교``는 인간 삶에 나타난 ``근본악``이 이룬 실존적 절망으로 이성의 무능력을 실감하게 한다. 본성에 가까울 정도로 악에 기울어진 성향과 도덕주체의 자유로운 선택의지가 어떻게 서로 양립할 수 있는가? 칸트의 해답은 ``선택의지와 준칙`` 그리고 ``행위동기에 대한 이해``로 우리를 이끈다. 그는 동물과 달리 인간의 선택은 감성적이지만 자유로운 선택이라 강조한다. 경향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순수이성의 명령을 받아들이고 도덕법에 대한 존경심에서 행동할 수 있기에 인간은 자유로울 수 있다. 이때, ``자유``는 경향성을 억제하는 힘이다. 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할 때, 인간은 감성과 열정의 노예가 된다. 어떤 동기를 선택하든 준칙 속에 동기를 수용하는 행위는 전적으로 자유로운 행위이다. 따라서 선악의 선택문제는 준칙 속에 어떤 동기를 수용하는지에 달려 있다. 이런 맥락에서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만``이 준칙의 체계 속에 ``최상의 준칙``이 된다. 이 준칙을 모든 행위의 기본준칙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행위는 근본적으로 악하다. 처음부터 자유에는 사람이 선택한 악이 들어있다. 악한 준칙은 우연이지만, 그것은 자유의 악한 본성, 곧 필연적인 것이 되어 드러난다. 이것이 ``근본악``이다. 리쾨르에 의하면, 주관에 들어 있는 이 악의 필연성은 동시에 희망의 원인이기도 하다. ``준칙``을 고치는 것, 그것은 우리가 할 수 있다.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성 곧 자유의 본성을 거듭나게 하는 것은 할 수가 없다. 근본악은 인간의 한계상황이다. 리쾨르는 칸트가 인간의 ``앎의 한계에서 능력(힘)의 한계에로까지`` 그 인식범주를 넓혔다고 본다. 근본악이 뜻하는 무능은 인간의 유능함이 나오는 바로 그 지점에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실천이성의 변증론에서 요청했던 ``자유의 근본물음``이 근본적 형태로 제기된 것이다. 자유의 요청은 선험적 환상(순수이성)에서 생긴 앎의 어두움을 넘어야 할뿐만 아니라, 근본악 때문에 생긴 능력의 어두움(실천이성)도 넘어야 한다. 진정한 자유는 사변(이성이론)과 실천(의지이론) 양면성에서 성금요일을 넘어서는 희망으로만 가능하다. 여기서 리쾨르는 칸트의 근본악 사상이 그리스도교 케리그마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지점으로 본다. 즉 철학적 희망은 ``부활의 희망``이고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는 희망``이다. 칸트의 근본악 사상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칸트의 근본악과 윤리의 관계는 의무론 분석만이 아니라 최고선을 다루는 그의 변증법을 이루는 관계와 연계해서 보아야 한다고 리쾨르는 주장한다. 여기 다른 변증법의 문제가 있음을 파악한 리쾨르는, ``헤겔 이후의 관점``에서 칸트를 해석하려면, 바로 이 변증법의 관점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근본악은 처음 행위(원죄)의 시작뿐 아니라 자유가 전체를 향해가는 과정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리쾨르는 주시한 것이다.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의 ``근본악에 대하여`` 부분에서 칸트는 종교철학으로 문을 열고, 악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그 완결을 이루지 못한 상태다. 여기서 리쾨르는 칸트가 부분적으로 들추어낸 악의 이론을 감안하여, 총체적인 종합을 시도한다. 그는 ``진짜 악``, ``악 중의 악``이란 금지의 위반이나 불복종이 아니라 통합하려는 작업에 깃든 ``기만(fraude)``이라고 밝힌다. 다시 말해, ``진짜 악은 종교가 생겨난 지점, 곧 모순과 갈등의 영역``에서 드러난다. 칸트식으로 풀어 말하자면, 진짜 악은, 한편 이론적·실천적 이성을 구성하는 ``총체성 요구``가 있는 곳에서, 다른 한편, 앎(지식)을 혼란케 하는 ``환상``과 도덕적 동기를 혼탁하게 하는 애매한 ``쾌락론``이 일어나는 자유선택의 지점에서 생긴다. 그리고 또 다른 한편, 전체통합을 겨냥한 인간작업의 노력을 부패케 하는 ``악의(le malice)``가 있는 곳에서 생긴다. 그렇다면 리쾨르의 말처럼, ``악과 희망``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가까이 밀착되어 있는 셈이다. ``악 중의 악``이 종합을 꾀하는 ``총체성 도상``에서 생겨나는 것이라면, 이는 희망의 병리학에 해당된다. 즉 진짜 악은 ``모임, 요약, 총체화``라는 제도화 과정 속에, 국가나 교회 안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근본악의 이론은 ``소외``라는 새로운 형상의 영접구조로 나타난다. 이는 사변적 환상이나 위로를 얻으려는 욕망(두 가지 이성비판)과는 다른 모습이다. 소외는 교회와 국가와 같은 ``문화적 권력(힘)``에서 나타나는 소외이다. 권력들 중심에는 종합이란 기만적 표현이 생겨날 수 있다. 이런 근본악은 정치적·종교적 분야에서 ``결핍된 종합``으로 절정을 이룬다. 그러므로 칸트에게서 참다운 종교는 거짓종교(고착된 종교)와 끊임없이 논쟁을 편다. 자유의 거듭남은 희망의 형상이 공공장소에 나타난 우상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어가는 움직임과 분리될 수가 없다. 자유를 향한 움직임은 늘 상 새로워져야 한다. 이런 과정 전체가 이성의 한계 안에서 종교철학을 구성한다. 리쾨르는 이 과정이 ``부활의 케리그마``가 철학 쪽의 희망의 자유와 비슷한 유비를 이룬다고 본다. 리쾨르가 말한 ``자유의 케리그마``는 신학과 철학 양면에서 접근 가능한 진정한 의미에서 ``종교의 자유``의 의미를 건네주는 자유의 질(quality)에 해당된다. 현실에서 만나지는 악에도 불구하고 부활신앙의 넘치는 은총의 선물은 무한한 희망을 낳게 하며 목적왕국(하느님 나라)의 실현을 위해 올바른 자유사용을 펴게 하는 신비이다. 희망의 지성은 주체의 환상(사유)과 쾌락의 오류(앎, 실천지)에서 벗어나게 하는 요청적 자유를 터득하게 한다. 한계 상황으로 드러난 이율배반적 자리에서 우리는 모든 것을 아우르며 총체적 종합으로 나아가는 역사적 과정에서 다양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절대적으로 선하신 인격자 ``너(하느님)``에 대한 존경과 신뢰와 희망 하에, 공동목적에 참여라는 ``과제``를 겸허하게 읽을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 선택은 혼자 하는 게 아니다. 최고선의 주인(하느님)으로부터 오는 ``희망의 자유``를 익혀야 할 것이다. 죽음을 이긴 부활의 희망은 바로 자유선택이 기대는 최상의 짝이다. For Ricoeur, the religious freedom signifies the quality of freedom that pertains to the religious phenomenon as such. The quality of freedom, developed by the proclamation of kerygma and its interpretation, recapitulates all the other degrees (psychological, ethic and political, etc) of freedom inasmuch as it concerns what he calls completion of the discourse of freedom. As christian philosopher, he puts the incessant work of philosophical discourse into a relation of proximity with kerygmatic and theological discourse. His work of thought is henceforth a work that begins with ``listening``, and yet within the autonomy of responsible thought. As a hearer of the Word, he has been taken especially with the eschatological interpretation that J. Moltmann gives to the Christian Kerygma in The Theology of Hope. Moltmann resituates the Resurrection entire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Jewish theology of the promise and by removing it form the Hellenistic schemas of epiphanies of eternity. The Resurrection, interpreted within a theology of promise, is not an event which closes, by fulfilling the promise, but an event which opens, because it adds to the promise by confirming it. The God who is witnessed to, is not the God who is, but the God who is coming. If such is the meaning of hope on its own level of discourse, that of a hermeneutics of the Resurrection, what is the meaning of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For this, Ricoeur answers that it is the meaning of "my existence in the light of the Resurrection", as reinstated in the movement of the future of the Resurrection of the Christ. In this sense, a hermeneutics of religious freedom is an interpretation of freedom in conformity with the Resurrection interpreted in terms of promise and hope. This formula attests that the psychological, ethical and political aspects are not absent. But they are neither basic, nor original. Hermeneutics consists in deciphering these original traits in their diverse expressions, then in reascending, from these expressions, to the nucleus(kerygma) of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For Ricoeur, Christian freedom is to belong to the order of the Resurrection. It can be expressed in two categories, the category of ``in spite of`` and that of ``how much more``. The ``in spite of`` is only the reverse of the joyous ``how much more`` by which freedom wills to conspire with the aspiration of the whole of creation for redemption. With this trait, the distance is further widened between an eschatological interpretation of freedom and an existential interpretation.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or resurrection has not only a personal expression, but a communitarian, historical, and political expression in the dimension of the expectation of universal resurrection. With this kerygmatic core of hope and freedom, Ricoeur begins to search out a philosophical approximation. How does he begin with this? The route Ricoeur propose to explore is opened up by the important distinction instituted by Kantian philosophy between understanding and reason. This split contains a potential of meaning which is suitable, according to the thought of Ricoeur, to an intellectus fidei et spei. By the function of horizon, reason assumes in the constitution of knowledge and will. Ricoeur thus address himself to the dialectical part of the two Kantian Critique: Dialectique of theoretical reason and Dialectic of practical reason. A philosophy of limits which is at the same time a practical demand for totalization, is, for Ricoeur, the philosophical response to the kerygma of hope and the closest philosophical approximation to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Both Dialectics accomplish the same movement by instituting the tension which makes of Kantinism a philosophy of limits and not a philosophy of system. The division of Dialectics is discerned from the first and decisive distinction between Denken(thouht of the unconditioned) and Erkennen(thought by way of objects, proceeding from the conditioned to the conditioned). With the two Dialectices, is thus born the question which sets in motion the philosophy of religion. The first(Dialectic) is necessary to the second(Dialectic) and the third(Religion), because it introduces, at the very heart of the thought of the unconditioned, the critique of transcendental illusion, a critique that is indispensable to an intellectus spei. The domain of hope is quite coextensive with the region of transcendental illusion. The Kantian concept of the transcendental illusion, applied to the religious object, is one of inexhaustible philosophical fecundity. The entire movement -thought of the unconditioned, transcendental illusion, critique of absolute objects- is essential to an understanding of hope. What does the Dialectic of practical reason add that is new? Essentially a transposition to the will of what we might call the completion structure of pure reason. The Dialectic of practical reason adds nothing to the principle of morality, but what it does give to our will is essentially a goal(die Absicht aufs h?chste Gut). This goal is the expression, on the level of duty, of the demand, the claim(Verlangen) which constitutes pure reason in its speculative and practical use. Reason ``demands the absolute totality of conditions for a given conditioned thing``(beginnong of the Dialectic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nd the philosophy of the will takes on its true meaning. It is not exhauste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maxim and the law, between the arbitrary and the willed, but a third dimension appears: arbitrary-law-aim of totality. What the will thus requires, Kant calls ``the entire object of pure practical reason``. That is: "the unconditioned totality of the object of pure practical reason, that is, of a pure will." He applies to it the old name of ``highest good``. It is the concepts by which the completion of the will is thought. It thus takes the place of Hegelian absolute knowledge exactly. But it does not permit any knowledge, but only a demand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hope. It cannot be given, not only because the critique of the transcendental illusion accompanies it without fail, but because practical reason, in its dialectic, institutes a new antinomy. What it demands is that happiness be added to morality. In this idea of an antinomy of practical reason, Ricoeur see a second receptive structure for a critique of religion, applied more properly to its instinctual aspects, as in Freud. Henceforth, the connection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must remain a transcendent synthesis, the union of different things, ``specifically distinct``. Beatitudes is approached philosophically only by the idea of a non-analytic liaison between the work of man and the contentment susceptible of satisfying the desire which constitutes his existence. The condition of its possibility therefore must rest solely in a priori grounds of knowledge. Such is the second rational approximation of hope : it resides in this Zusammenhang (connection) that is necessary yet not given, but simply demanded, expected,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For Kant, happiness is not our accomplishment. It is achieved by superaddition, by surplus. A third rational approach to hope is that of religion itself, but of religion within the limits of reason alone. Kant explicitly brings religion to the question "What can I hope for?" This question is born within and outside the critique. Within the critique, by means of the ``postulate``, outside the critique, by the detour of a reflection on radical evil. Ricoeur searches further the meaning of religion at the exterior of ethics for the access of the philosophical approximation of hope and of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It is the consideration of evil which constrains to make the new move. With the consideration of evil, it is the very question of the real freedom evoked by the postulates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e problematic of evil requires him to tie the actual reality of freedom to the regeneration which is the very content of hope. What the Essay on Radical Evil teaches about freedom, is that this same power that duty imputes to us is in reality a non-power. The ``propensity for evil`` has become ``corrupt nature`` although evil is still only a manner of being of the freedom which comes to it from freedom. Freedom has from the beginning always chosen badly. Radical evil signifies that the contingency of the evil maxim is the expression of a necessarily corrupt nature of freedom. But this subjective necessity of evil is at the same time the reason for hope. To correct our maxims, that we can do, since we should do it. To regenerate our nature, the nature of our freedom, that we cannot do. This descent into the abyss expresses the most advanced point of a thought of limits, which extends from our knowledge to our power. The non-power signified by radical evil is discovered in the very place whence our power proceeds. Thus is posed in radical terms the question of the real causality of our freedom, the very same freedom which the Practical Reason postulated at the end of its Dialectic. The postulate of freedom must henceforth cross through, not only the night of knowing, with the crisis of the transcendental illusion, but also the night of power, with its crisis of radical evil. Real freedom can spring up only as hope beyond this speculative and practical Good Friday. Nowhere are we closer to the Christian kerygma: hope is hope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from the dead. The Kantian philosophy of radical evil can be understood in its true connection with the ethical, not only in regard to the Analytic, to the doctrine of duty, but even more, to the Dialectic, to the doctrine of the highest good. A post-Hegelian interpretation of Kant must proceed by way of this radical contestation. But there is something else in the theory of radical evil, which only our prior reading of the Dialectic permits us to discern, radical evil concerns freedom in its process of totalization as much as in its initial determination. That is why the critique of Kantian initial determination does not liquidate his philosophy of evil but, reveals it in its true meaning. There The doctrine of evil is not completed in the Essay on Radical Evil, which initiates the philosophy of religion, but that it accompanies the latter through and through. True evil, the evil of evil, is not the violation of an interdict, but fraudulency in the work of totalization. In this sense, true evil appears only in the very field where religion is produced, on the one hand, by the demand for totalization which constitutes reaso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illusion which misleads thought, the subtle hedonism which corrupts the great human enterprises of totalization. The demand for a complete object of the evil is basically antinomic. The evil of evil is born in the area of this antinomy. By the same token, evil and hope are more closely connected than we will ever think them. If the evil of evil is born on the way of totalization, it would appear only in a pathology of hope, as the inherent perversion in the problematic of fulfillment and of totalization. To put it in a few words, the true malice of man appears only in the state and in the church, as institutions of gathering together, of recapitulation, of totalization. Thus understood, the doctrine of radical evil can furnish a receptive structure for new figures of alienation besides the speculative illusion or even the desire for consolation, of alienation in the cultural power, such as the church and the state. At the heart of these powers, a falsified expression of the synthesis can take place. This culminates, not with transgression, but with flawed syntheses in the political and religious spheres. This whole process constitutes the philosophy of religion within the limits of reason alone, the philosophical analogon of the kerygma of the Resurrection and the whole adventure of freedom which permits us to give a comprehensible meaning to the expression ``religious freedom``.

      • KCI등재

        희망 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와 적용 방안

        박병춘,추병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3

        Hope is an essential element for students to succeed in life. According to hope theory, hope is correlated with academic success, athletic achievement, various forms of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optimism, life satisfaction, and general well-being. Hope is also crucially involved in preventing depression, suicide and a sense of helplessness. In addition, hope contributes to students' moral development by changing their ethical goals, priorities, and sensitivities. In this regard, it is our duty and privilege, as moral educators, to help our students develop and maintain hope in their life journey. In this article, I tried to summarize basic tenets and characteristics of hope theory developed by Snyder and his colleagues. Based on the analysis of hope theory, I further trie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hope theory to moral education. Hope theory can give fresh ideas to the domain of moral education, especially with regard to practice of moral life, meaning of life, and roles of moral educators. Finally, I suggested possible methods for enhancing hope in moral education. To raise high-hope students, it is imperative that moral educators should give students to appreciate moral beauty, help them set cooperative goals, and try to build hopeful atmosphere in the classroom. 희망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삶을 성공적으로 영위함에 있어서 본질적인 것이다. 희망은 학업에서의 성공, 운동에서의 성취, 사회적 발달의 여러 형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한 개인의 전반적인 행복감과도 깊게 연관되어 있다. 희망은 우울증, 자살, 무력감을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희망은 윤리적 목적, 우선성, 민감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개인의 도덕 발달에 기여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희망을 발달시키고 유지하도록 해주는 것은 도덕교육자로서 우리에게 부여된 의무이자 특권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문헌 분석에 근거하여 희망 이론을 도덕과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희망 이론의 개요, 희망의 측정 방법과 희망의 효과, 희망 이론의 적용 및 실천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살펴본 후에, 도덕교육에서 희망 이론의 의의와 도덕과교육을 통해 희망을 증진ㆍ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