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자보호자의 의로서비스 만족도가 향후 의로서비스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 지역 4개 중소병원을 중심으로

        장영순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경영지역학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최근 의료 환경은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의료시장 개방, 의료서비스 평가제 시행, 경기 하향, 고객 요구 다양화 등 많은 변화들로 인해 의료서비스 품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시행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자들과는 달리 의료서비스 품질 평가 대상을 환자가 아닌 보호자로 선정하였다. 보호자는 환자 보호, 진료비 계산, 환자 이송, 시설 경험 등 서비스의 모든 단계에 참여하는 건강한 자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의료서비스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를 대상으로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 정도와 영향에 대한 결과를 도출해 내는 것은 의료계가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품질의 정확한 측정과 고객의 요구 파악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자의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 정도가 향후 구매의도와 구전에 어느 정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병원의 서비스 품질 개선에 필요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진행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고, 대상은 표본 집단으로 부산시내 400병상 이하 4개 병원을 선정하여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통계프로그램 SPSSWIN을 사용하였고 표본의 특성 파악은 빈도분석(Frequencies),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독립변수의 변화에 의한 종속변수의 변화를 추정하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는 첫째, 의료서비스 고객의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은 보호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강한 유의성을 보여 채택되었고 둘째, 보호자 만족 정도가 향후 구매의도와 구전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도 강한 유의성을 보여 지지되었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중소 병원에서 의료서비스 품질이 보호자의 만족 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보호자 만족 정도가 향후 구매의도와 구전에 유의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해 내었다. 따라서 연구 결과는 열악한 의료환경 속에서 병원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의료서비스 품질을 정확히 평가하고 후속 조치를 취하는 일련의 작업을 진행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려는 연구목적에 충실한 것이며, 의료서비스 품질 평가에 보호자 평가와 제안을 도입하게 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향후 중소병원의 경쟁력 확보 방안 마련에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부산시내 중소병원만을 대상으로 한 한계를 고려하여 타 지역 병원과 3차 병원들을 대상으로 연구 진행이 필요하며, 본 연구가 입원 환자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외래환자까지 대상을 확대할 수 있겠고, 의료서비스품질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와의 차이에 대해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There is a rapid change in the recent medical environment. With many changes including the opening of the medical market, the assessment system of medical services, economic decline, and diversified demands by customers, the procedure became so important to assess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correctly and implement follow-ups according to the results. Contrary to the previous ones, this study selected parents and caregivers rather than patient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s healthy ones who participate in all the service stages including patient protection, medical expenses calculation, patient transfer, and facility experiences, parents and caregivers can serve to assess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n an objective way. Therefore, the attempt to determine parents and caregivers' satisfaction and effects o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s expected to make contributions to accurat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and understanding of customers' demand necessary to overcome difficulties confronting the medical cir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significant effects parents and caregiver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has on their future purchasing intentions and rumors through th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and suggest a necessary way to improve service quality at a hospital. Both literature studies and empirical researches were conducted;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sample of parents and caregivers at four hospitals with less than 400 beds in Busan. The SPSSWIN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verify 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long with the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properties of the sample, the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relevance between variables, and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ones in order to estimate the changes in dependent variables due to those in independent ones. As a result, first, the hypothesis that medical service customer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confidence, and sy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s and caregivers' satisfaction was accepted with its high significance; second, the hypothesis that parents and caregivers' satisfaction affected their future purchasing intentions and rumors was also supported for the same reas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s and caregivers' satisfaction, which th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future purchasing intentions and rumors. Therefore, this study produced the results which meet its purpose to provide practical helps in assess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correctly and in implementing a series of follow-ups for a hospital to become competitive in poor medical environment and formed an important chance to introduce parents and caregiver assessment and suggestions in assess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form an important foundation of preparing a small- or medium-sized hospital for becoming competitive in the future. Consider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conducted just with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Busan,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implement a survey with hospitals in other regions and the third ones; the range of them should be extended to include outpatients, since this study was implemented just with inpatients, in order to se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between patients and their parents and caregivers.

      •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윤지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8

        Background : As technological advances have made it possible to prolong the life almost indefinitely, the euthanasia debate has become increasingly active in recent years. They have detail research data and real practices in US, Europe and Australia, but we lack such studies in our countr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ddress the need of studies on the recognition of euthanasia among the family members for the almost dying patients because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medical staff. Method :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family members for the almost dying patients from August 1 to October 30, 2009. The response were 69 in total consisting of 120 family members. The collected 69 datas were analyzed by SPSS 14.0 window version using t-test, ANOVA test, chi-s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based on p-value less than 0.05. Result : Of the total 69 subjects, 42 (60.9%) of the family members agreed with passive euthanasia, 9 (13.0%) of the family members agreed with active euthanasia, 18 (26.1%) of the family members disagreed with euthanasia. Age and sex of the patient and age of family members, family member's awareness about the death expectation and economic status were related to the attitudes of family members toward euthanasia for the almost dying patient.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odds ratio of economic status was 9179 (95% CI 2.102~40083417). 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euthanasia for the almost dying patient. Conclusion : Passive euthanasia is more acceptable to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ge, economic status show meaningful difference for case the subject of euthanasia. We need to make strategies to reduce burden and suffering among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such as comprehensive government plan for end-of-life care. 연구배경 :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생명 연장이 가능해지면서 안락사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미국, 유럽, 호주 등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자료가 구체적으로 나와 있고 실제로 시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들도 주로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 많아 말기 환자를 직접 돌보는 호스피스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09년 8월1일부터 10월 30일 사이에 경북대학교 병원과 대구 보훈병원 호스피스 보호자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모든 문항에 성실히 답변한 69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안락사에 대한 인식도와의 관계를 통계 프로그램 SPSS 14.0 window version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카이제곱검정으로 분석하였고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인자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 소극적 안락사에 동의한다가 42명(60.9%)으로 가장 많았고 어느 것에도 동의하지 않는다가 18명(26.1%), 적극적 안락사에 동의한다가 9명(13.0%)순이었다.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는 주로 환자의 성별 및 연령, 보호자의 연령, 예후인지 여부, 경제상태가 있었다. 또한 안락사 비동의군에서 경제상태의 교차비가 9179로 경제상태가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많은 수의 응답자가 소극적 안락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환자나 보호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경제상태가 낮을수록 안락사를 시행하겠다고 답하였다. 이는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의 제정은 반드시 사회 경제적 지원대책의 행정적 조치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간호조무사, 간호사, 환자보호자가 인식하는 요양병원 간호조무사의 간호업무 적절성과 수행여부

        조명희 조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n adequacy and job performance of nursing job of nurse assistants by nurse assistants and registered nurses in geriatric hospitals, and Caregivers. Method: 57 nurse assistants, 62 registered nurses and 64 patient's caregiv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15 at geriatric hospitals with more than 200 beds in G-city and J-do.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with Scheffé post-hoc test) by IBM SPSS/WIN program version 21.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items in perception on adequacy of nursing job of nurse assistants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n job performance of nursing job of nurse assistants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For nurse assistants at the geriatric hospital,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eeds to make a appropriate job practice guideline. For this, there should be the periodic courses of re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 환자.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심규미 경희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32319

        현대는 비전염성 질환인 악성종양, 뇌 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의 만성질환 발생률과 유병율이 높아지는 등 그 양상이 변화되었다. 만성질환 중 암은 근래에 이르러 발생율과 사망률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데 1981년 10.5%였던 것이 10년후인 1991년에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2배정도가 증강하여 순환기 질환에 이은 사망률이 2순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호스피스의 기본철학과 목표는 임종을 자연스런 삶의 한 과정으로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환자 개인의 존엄성을 고양하고 주어진 삶의 내용을 보다 충실히 영위하게끔 도와주는데 있다. 호스피스는 임종단계에 있는 환자가 남은 생애를 끝까지 충만하게 살고 인간의 품위를 유지하며 평화롭게 자신의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환자 및 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함으로써 호스피스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파악하고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아직도 체계적인 호스피스 케어를 실시하는 의료기관이 부족한 우리나라 실정에 호스피스제도의 정착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시도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병원의 의료인과 암병동 및 암센터를 방문하는 환자·보호자와 S병원 및 의정부 소재의 S병원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도, 호스피스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전산통계 처리하여 백분율과 빈도를 산출하고 각 특성별 차이는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분포는 여자가 68.5%로 많았으며, 이는 의료인중 간호사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으로 보이며 연령층은 30대가 35.5%, 결혼상태는 기혼이 60.9%, 종교는 무교가 37.6%로 많이 나왔으며, 학력은 대졸이상이 68.0%로 많았다. 둘째, 죽음에 대해 생각한 정도가 의료인 및 환자·보호자 모두가 "가끔있다"에 55.3%로 응답하여 많은 사람들이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은 의료인 및 환자·보호자가 다소 차이는 있으나 "가족의 이별로 인한 슬픔과 상실"이 32.0%로 가장 많이 나왔다. 죽음에 관한 두려움을 묻는 질문에는 의료인 및 환자·보호자 모두 "두렵다" 42.1%로 죽음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과 가장 가까운 단어로는 의료인 및 환자·보호자 모두 "불안"이 42.6%로 가장 많이 나왔으며, 죽음을 생각할 때 가장 걱정스러운 것은 의료인 및 환자·보호자 모두 "가족의 처지" 54.8%로 응답하였다. 셋째, 의료인의 경우 호스피스에 관한 지식 습득 수단으로 "직무교육을 받고"가 38.0%로 나왔으며, 호스피스 케어에 가장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환자 심리"가 85.0%로 가장 많이 나왔다. 이는 호스피스가 임종환자에게 증상조절뿐만 아니라 정신적·영적 치료가 더 우선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환자·보호자의 경우도 호스피스에 대해서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6.4%로 가장 많이 나왔고 "TV나 신문을 통해서" 호스피스를 알게 되었다가 41.4%로 응답하여 병원이나 종교단체 외에서도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겠다. 넷째, 호스피스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하여 의료인 및 환자·보호자 모두 "필요하다"가 52.8%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호스피스 제공시설로는 "병원"에서가 45.2%로 가장 많이 나왔으며, 호스피스 병동 운영에 대해서 의료인 및 환자·보호자 모두 "찬성"이 87.8%로 많이 나왔다. 호스피스 시설 운영시 선호기관으로는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가 32.5%로 가장 많이 나왔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도 높고 필요성이 요구되는 바 호스피스에 관한 교육과 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좀 더 많은 병원 및 기관에서 호스피스 케어가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되며 많은 말기 환자들이 임종을 맞이할 때 존엄성을 가지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도록 도와주어야 하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지 못하였으므로 일반화하기가 어렵다. 둘째, 대상자 선정에서 의료인인 경우 의사, 간호사, 호스피스 종사자의 비율을 적정배분하기가 어려웠다. 셋째, 호스피스를 시행하는 곳이 적어서 호스피스를 운영하는 병원과 운영하지 않는 병원과의 인지도 차이를 구분하기가 적정하지 못했다. Recently hospice care has been recognized as more and more importa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disease patter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 effective way to improve hospice services through analysing its perception of the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by two kind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which survey the perception and opinions. The number of respondents are 197(97 patients, 100 health profession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frequency, proportion & chi-square test with SPSS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re frequently think of death, the more think that hospice care is necessary for the better life. 2) The main route for patient to recognize the hospice care is mass communication such as TV and newspaper while health professions got the knowledge of hospice mainly through job education. 3) Health professions recognize the hospice care as necessary (59.0%) more than patients(20.6%). 4) Both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s recognize that the best way to serve the hospice care is hospital based care. And most of respondents(87.8%) agree with the hospice ward of hospitals.

      • 大學病院의 入院患者 保護者의 常住理由와 이에 따른 問題點 및 看護役割

        차순옥 慶北大學校 保健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32319

        입원환자 보호자의 상주 이유와 이에 따른 문제점 및 보호자의 간호역할을 파악하고자 1989년 3월 20일부터 4월 1일 까지 그리고 4월 10일부터 4월 22일까지의 4주간에 대구시내 일개 대학병원 내과에 입원한 환자와 일반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에 입원하여 수술받은 환자중에서 입원 후 2일째 또는 수술 후 1일째와 4일째 면담조사가 완료된 1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24시간 동안의 보호자가 21시간 이상 체류하는 경우는 78.7%였고 전혀 보호자가 없는 경우는 1.6%였다. 병원에서 환자간호를 책임진다고 해도 보호자가 환자곁에 있겠는지에 대해 전체면담자중 74.3%가 있겠다고 했으며 그 이유로는 "환자가 외로울 까봐서"에 20.1%로 가장 높고, "위급한 상태를 빨리 알아서 간호사실에 연락하기 위하여"가 19.7%, "환자와 의사소통을 누구보다 더 잘할 수 있기 때문에"에 19.4%로 나타났다. 있지 않겠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집안살림을 돌보기 위하여가 52.4%로 높고 그 다음이 직장일을 보기 위하여가 33.2%였다. 보호자들의 35.9%가 식사를 집에서 갖어다 먹고 있고 13.4%는 병실에서 조리해 먹고 있어 냉장고가 없는 다인실의 경우는 보관에 문제가 있고 조리시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 또 다인실 보호자의 20.0%는 병실 또는 복도바닥에 자리를 깔고 자거나 환자침대에 같이 자고 있어 많은 불편을 겪고 있으며 병실환경관리에도 문제가 되고 있었다. 보호자가 수행한 간호역할은 내과환자의 경우 입원 2일째와 4일째 간호내용이 10% 미만으로 낮았고 환자자신이 수행하는 정도가 높았다. 일반외과와 정형외과 환자들은 내과환자보다 환자자신이 해결한 비율이 낮고 보호자가 수행한 비율이 높았으며 수술 후 첫날보다 수술 후 4일째는 환자자신이 신체청결, 식사, 대소변 처리 등을 스스로 해결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신경외과 환자 보호자들은 대부분의 신체적 간호내용을 30%-79%를 수행했으며 이것은 수술 후 첫날과 4일째 사이에 별 변화가 없었다. 위와 같이 많은 부분의 간호를 보호자에게 맡기고 있으면서도 그들의 숙식을 위한 편의시설이 부족한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환자간호를 완전하게 병원에서 책임질 수 없는 상황에서 또 우리의 문화적 특성상 보호자들이 필요하므로 그들의 침식을 위한 시설을 갖추어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병원 환경위생과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To define the raison d'etre of guardians for the patient of a university hospital, their nursing role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ir existence, a person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ll the newly admitted patients to the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general surgery, orthopedics, and neurosurgery of a university hospital in Taegu for four weeks period from 20 March to 1 April and 10 April to 22 April 1989. Selection criteria of the patients were agreeing to respond to interview and having operation in case of surgical patients. One hundred eighty three patients were interviewed twice, on the second and fourth hospital days for the patients of internal medicine, on the first and fourth post-operation days for the patients of surgical departments. The proportion of guardians who stayed with the patients over 21 hours in a day was 78.7% and 1.6% of the patients had no guardians. Suppose the hospital takes full responsibility of the patient nursing care, 74.3% of the guardians still intend to stay with the patients. Major reasons for staying with the patients are to soothe the patient (20.1%), to detect the critical status of patient and report to the nursing station (19.7%)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medical staff (19.4%). Those who do not intend to stay stated that they have to take care of the home affairs (52.4%) and go to work (33.2%). Guardians brought their meals from home in 35.9% and 13.4% of them cooked their meals in the ward. Such practices have problems of food storage in the multi-occupant rooms which have no refrigerator and risk of fire. Twenty percent of the guardians of multi-occupant rooms slept on the floor of patient room or corridor or on the patient's bed which is a difficulty in environmental management of the wards. Nursing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by the guardians of the medical patients were less than 10% for the most of the nursing contents in both the second and the fourth hospital days and most of the nursing contents were carried out by the patients themselves. In cases of the general surgery and orthopedic patients, the percentages of nursing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by the guardians were higher and the self-care percentages were much lower than in cases of the medical patients. However the self-care percentages for cleaning the body, having meals and toilet care were increased in the fourth post-operation day. In cases of the neurosurgical patients, the percentages of nursing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by the guardians ranged between 30% and 79% in the first post-operation day and these percentages remained almost the same in the fourth post-operation day. Likewis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nursing activities was delegated to the guardians but there were no sleeping and boarding facilities for them in the hospital. Considering that the hospital is not capable to provide the patients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and a guardian is needed due to the cultural background,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guardians sleeping and boarding facilities and promote the environmental and safety controls of the hospital.

      • 치매환자 보호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음악활용에 관한 조사

        강남경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치매 환자 보호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음악활용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 조사연구이다. B시 소재 치매안심센터 3개소와 데이케어센터 1개 기관을 섭외하여 기관의 협조를 통해 치매 환자를 돌보고 있는 보호자 중 본 연구에 자발적 참여를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문항은 심리적 디스트레스 척도인 SCL-90-R(23문항), 심리적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음악 경험 및 인식(27문항), 그리고 일반적 정보(6문항)로 총 5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는 음악 치료학 박사수료 이상의 전문 음악치료사 3인에게 검증받았다. 설문 조사 수행을 위해 네이버폼 설문링크와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 41명의 응답을 회수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 환자 보호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음악활용 경험에 관한 조사결과, 음악활용 경험이 있는 집단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혼자서 대중가요를 즐겨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 환자 보호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음악활용 인식에서 음악감상,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모두 휴식을 취할 때 음악활용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 환자 보호자가 우울한 기분일 때 음악활용이 요구되며, 음악활용 목적으로 정서적 안정감 획득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음악활용 경험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음악활용 인식을 분석하여 치매 환자 보호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재가 뇌손상환자 주보호자의 부양부담 실태 및 영향요인

        송정은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9

        This study, based on the families who tend to brain injury patients in need of their families' assistance, i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urden,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burden of caring, and to offer the actual social work plans for decreasing the families' burden of maintenance. In particular, this research is to offer the useful fundamental data for broadening the recogn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pecial needs the families have. Especially it helps a medical social worker provide the professional service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s a initial social work practitioner in the hospit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main caregivers, who look after the brain injury patients, once hospitalized, at home. The research conducted between April 7∼ May 2, 2003, i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argivers and the patients, and the social support which is proved significantly in pre-research and documents consideration, effect on the sub-sphere of the burden causing from the car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main caregivers are the spouses, over the age of 60. They mostly reside only with the patients and have the entire responsibilities for the patients. Their recognition of th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health status is proved to be very negative and this fact i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on the economic and social burden of the main caregivers. Although the patients' recognition of their physical and cognitive status is varied, the dependency on their caregivers are highly rated. Especially, the loss of the need for rehabilitation and the enervation are proved to be quite serious. The increase of the dependency rate, caused by the damage of cognitive function, and the absence of interaction gradually decline the patients' expectations on recuperation. Finally These reasons becom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main caregivers' sentimental burden such as incapacity, collapse and isolatedness. Moreover, these factors have much effect on the caregivers' physical burden. In this study, the degree of explanation of the damage level of the patients' cognitive capacity on the caregivers' burden is 63 %. Finally, regarding social support recognized as the crucial factor decreasing the caregivers' burden of caring in precedent study, more than 90% of the caregivers are supported by the whole family, neighbors, or the professionals from the relevant social institutions, and more than 70% are satisfied with the support above average. However, in this study, there is not much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s desribed above and the burden of maitenance, and their influence is also remarkably low on the caregivers' burden of caring compared to tha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aregivers and the patients. Therefore, it was proved to be very significant that the appropriate instrument of measurement suitable the subject and the characteristic of research are to be utilized. A variety of studies on the burden of caring for the brain injury patients, their stress and the function of the familie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1980s', and have als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wards increasing the social recognition about brain injury and the deperate needs of relevant policies and clinical interventio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precedent researches, is to seek for what the burdens of caring the caregivers experience could b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at the time of discharging fromt the hospital when the family has the entire responsibilities for the patient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extended to the patients of traumetic brain injury, which used to be limited to the patients with stroke only in the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to grasp how much the patients' capacity of cognition influnce the main caregivers' burden of caring by proprly using implement of measurement on the patients' capacity of cognition once limited to that of the caregivers for senile dementia due to the absence of the implement of measurement even though having been considered as the crucial factor of the main caregivers' burden of caring in the previous studies.

      • 진행성 암환자와 보호자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김정아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attitudes toward dignified death and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his is a narra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interventions to make decisions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0 pairs of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who were visiting or admitted to the outpatient hospital at tertiar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 2020 to September 16,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between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he caregiver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 compared to the patients.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advanced cancer patients on the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caregivers on the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respective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advanced cancer patients were in the order of the patient's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the caregiver’s attitude toward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0.4%. In this study,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scored higher in their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compared to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However, there was still a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confirm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 fact, the discussion on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is not well conducted, but the patient want caregiver to participate as a decision maker, and the caregiver shows a preference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over the patient.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contents of the patient's decision-making was necessary through prior discussions on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As an influential agent in the patient's decision-making, the caregiver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tervention target.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is need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dvanced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o discuss death and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This should help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make a meaningful decision to withdrawal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face a dignified death. 본 연구는 진행성 암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여 대상자의 의미 있는 연명의료결정을 돕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S 상급종합병원에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중인 진행성 암환자와 보호자 70 쌍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로 2020 년 6 월 3 일부터 2020 년 9 월 16 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x²-test, ANOVA 및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행성 암환자와 보호자 간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 및 태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논의 경험이 있는 경우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이 유의하게 높았고, 보호자가 환자에 비해 연명의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진행성 암환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보호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과 태도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진행성 암환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보호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순이었으며 설명력은 40.4%였다. 본 연구에서 환자와 보호자는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이전에 비해 점수가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실제로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논의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환자는 의사결정자로 보호자를 참여시키고 있으며, 보호자는 환자보다 연명의료를 선호하는 태도를 보여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사전 논의를 통해 환자의 의사결정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환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는 보호자의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태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환자의 의사결정에 영향력 있는 주체로서 보호자도 중재 대상자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진행성 암환자와 보호자에게 죽음과 연명의료중단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진행성 암환자와 보호자가 의미 있는 연명의료중단 결정을 하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