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保健大學院 卒業生의 特性 및 態度

        이정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analyt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of the graduates from the master's course at the School of Public Health was done out of 212 graduates (97 males, 115 females) during 1983-1993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from February 1, 1993 to April 30, 1993.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graduates, their opinion upon the administration, prospect of the graduate school,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graduation, professional knowledge application,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health, occupational changes of the graduates after their graduation from the school.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 In the master's course, the respondent showed in Health Administration (56persons), Environment Management(48persons), Epidemiology & Health Statistics(33persons), Maternal & Child Health(31persons), Public Health Nursing (44persons). 54.3% of respondent is female. Age distribution at present showed the most in the group of 35-39 years(35.8%), major distributions in bachelor's were college of Domestic science(22.2%), Social science(14.6%). Residence distributions at present are Taegu(65.1%), Pusan(11.8%). Of female 74.8% was nurse, of male 21.6% was clinical pathologic technician. In the motives of entrance into the graduate school with an intention" relation with occupation(43.9%)" and followed "to continue one's study(33.5%)". The important reasons to choose master's course were similarity to one's major in bachelor's course(42.5.%). While 95.4% of graduates had expectation for the study at their entrance, however only 35.9%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ir achievement after graduation. At present, 96.7% have their jobs, in hospital(29.8%), education department above junior health college(25.8%), 13.7% of respondents changed occupation after entrance of graduate school. Of this it was evident that 57.1% changed occupation from their major field to the same. About fifty-one percent of 187(except non-health field services, nonoccupation) who work in the health field service increased their faculties of health care, 59.9% were helped with subjects in master's curriculum, especially Health Statistics(29.9%). Had no relation to salary(69.5%), and had relation to promotion(52.9%). About fifty-eight percent of respondents was satisfied with graduation itself. 42.9% on intimate terms with professors, 94.8% who work in public healh field service recommended the entrance of its graduate for others. 56.6% agreed to set up diurnal institution of public health. In order to activate profession of public health, political consideration is needed(43.8%). New licenses for those specialized in public health are Public Health(environment) Educator(56.5%), Public Health Manager(41.9%). Of graduates' opinions on the development of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the primary is to be taught by professors affiliated in its graduate school(34.9%). In the additional question, wide space, more books for Public Health, experimental facilities(75.5%) are needed, more lecture on statistics & computer practicing for thesis(67.9%). In the consideration of above result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must make further progress and great development to perform educational discipline for experts on public health, public health-research and to equip faculties in the public health field service.

      • 대학 진학 후 흡연율과 관련요인

        서동배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for not only preventing college students from being exposed to smoking but also helping them stop smoking, by examining and analysing a variety of factors related to their smoking behavio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using 1,553 valid questionnaires selected among 1,584 questionnaires completed and returned by 1,800 randomly chosen students of 2 colleges and 3 universitie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Daegu City during the period of April 3 through April 21, 2006.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turned out that while the total smoking rate of whole students was 52.4% in male students and 9.1% in female students, the smoking rate after their admission to the college was 27.1% in males and 1.5% in females. It was also shown that both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barrier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the perceived seriousness factors were entirely significant in all other variables except the body seriousness. The perceived benefit factors were significant in only the variable that there would be no any impro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even after stopping smoking. A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stop smoking program or smoking prevention program showed that the non-smoking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ore programs while in middle school. The reason for smoking was, due to the habit that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nd 78% of the whole students tried to stop smoking. When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smoking students after their admission were analysed, it was shown that the smoking rate was higher among males than females students, and that the more the number of smoking friends and the more the number of students thinking that stop smoking would make it difficult to release stress and make friends, the higher the smoking rate among students. It is required, therefore, to encourage students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more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rom middle school, and to put an emphasis on a variety of smoking-related illnesses and advantages from non-smoking. Since the current smoking rate among college students is relatively high but most of the smoking students surveyed are ready to actually try to stop smoking, it will be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moking rate among college students if proper methods are suggested to eliminate barrier factors they face while participating in the stop smoking program.

      • 외국인 근로자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고수연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외국인근로자들의 구강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관련행태 및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분석하여 차후 외국인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의료서비스 공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대구시 무료 치과진료소를 방문한 이주노동자 124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 및 면접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성별은 남성이 67.7%, 여성이 32.3%였고 연령은 20대 46.0%, 30대 35.5%, 40대 18.5%였으며 국적은 베트남이 25.0%였으나 전반적으로 다양한 나라가 고루 분포해 있었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45.2%, 전문대학이상 졸업이 34.7%로 고학력자의 외국인근로자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류기간은 2년이상 5년미만이 40.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월소득은 150원 이상이 43.5%, 100만원에서 149만원이 37.9%, 100만원 미만이 18.5%순이었으며 기혼자가 47.6%, 미혼자가 52.4%로 조사되었다. 대상자들의 구강건강관련행태는 흡연자가 27.4%, 비흡연자가 72.6%였으며 일일 칫솔질 횟수는 2회가 6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잠자기 전 칫솔질은 항상 실시가 37.1%, 전혀 하지 않음이 32.3% 였고 구강용품 사용경험은 잘 모른다는 응답이 50.8%로 많은 응답자가 구강위생보조용품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은 건강이 39.5%, 불건강이 35.5%, 보통이 25.0%순으로 나타났으며 일일 간식섭취 빈도는 2번이상이 41.9%, 1번이 36.3%, 비섭취가 21.8%순으로 나타났고 치아 악물기 습관은 있음 10.5%, 없음이 89.5%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구강검진결과는 치관우식 있음이 83.1%. 없음이 16.9%였고 치근우식 있음은 23.4%, 없음이 76.6%였다. 결손치는 34.7%, 마모증은 37.1%, 제 3대구치 이상은 41.1%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치석유무는 있음이 95.2%였고 염증정도는 중증이 16.1%, 경증이 75.0%였으며 고정성 보철물과 틀니의 수리나 재제작을 요구하는 경우는 각 6.5%, 0.8%였으며 연조직이상은 있음이 25.0%, 없음이 75.0%로 조사되었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구강건강영향지수는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소득이 많을수록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체류기간에 따라서 남성은 기간에 상관없이 비슷한 점수가 나왔지만 여성은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수가 높아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결혼여부 역시 남성은 상관성이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기혼이 56.3점 미혼이 64.2점으로 높은 점수을 가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대상자들의 구강건강행태에 대한 구강건강영향지수는 비흡연자가 흡연자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지만 유의성은 없었고, 일일 칫솔질 횟수, 주간 잠자기 전 칫솔질 횟수, 구강용품 사용여부 역시 구강건강영향지수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하지만 주관적 구강건강은 남성의 경우 건강한 경우 64.9점, 불건강한 경우 59.5점으로 건강하다고 느낄수록 점수도 높아졌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여성의 경우 역시 주관적 구강건강이 건강하다고 느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의 점수도 높아졌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그 밖의 일일 간식섭취 횟수나 치아 악물기 습관 또한 구강건강영향지수와의 상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외국인근로자들의 구강검진결과와 구강건강영향지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관우식은 남녀 모두 우식이 없는 경우 점수가 높게 나타났지만 남성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치근우식 역시 남성은 치근우식이 있는 경우 57.9점, 없는 경우 64.0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이와 반대로 결손치의 경우 남성은 점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여성은 결손치가 있는 경우 53.1점, 없는 경우 63.6점으로 큰 점수 차이를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마모증과 제 3대구치 이상은 이상이 없는 경우 점수가 높게 나왔지만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치석유무와 잇몸염증정도, 고정성보철물 상태, 틀니유무, 연조직 이상등도 특별히 구강건강영향지수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외국인근로자들의 구강건강상태는 많은 치료와 예방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구강건강은 곧 전신건강과 연관되며 노동력 상실로까지 이어질수 있다. 그러므로 외국인근로자의 구강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치료 뿐만 아니라 구강검진 및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헌혈경험 관련 요인

        양지혜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헌혈경험 관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2013년 10월 5일부터 10월 15일까지 대구소재 3개 대학교, 창원소재 1개 대학교, 진주소재 1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총 550부를 배부하여 그 중 508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헌혈자 중에선 성별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나 비헌혈자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많았고 비헌혈자보다 헌혈자 중에서 수혈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2.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헌혈 홍보방법은 대중매체라고 답하였으며 헌혈 적합장소는 헌혈의 집이 가장 많았고 헌혈 활성화방안으로는 헌혈보상확대를 강조하였다. 3. 헌혈태도와 사회봉사적태도는 비헌혈자보다 헌혈자가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등록헌혈제도 인식에서는 헌혈자와 비헌혈자 모두 위급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지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5. 총 헌혈횟수와 헌혈관련 특성의 상관성에서 최근 헌혈자발도가 가장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6. 헌혈경험을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성별, 수혈경험, 헌혈적합장소, 헌혈만족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7. 총헌혈횟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회귀분석에서는 성별과 최근 헌혈자발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8. 비헌혈자 중에 헌혈을 하지 않는 이유는 남자는 병감염의 두려움이 가장 많았으며 여성의 경우 헌혈부적격자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의 헌혈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헌혈 전에 충분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서 헌혈에 대한 바람직한 지식과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등록헌혈제도의 보편화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헌혈예약을 활성화시켜 누구나 쉽게 헌혈에 대한 정보를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 안정적이고 적극적인 헌혈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e Factor of Undergraduate Student’s Blood Donation Jihye Yang 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Promo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Advisory Professor: Lee, Deok He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main cause of blood don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 Therefore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in 3 universities in Daegu, 1 university in Changwon, and 1 university in Jinju. The 550 surveys was given, and 538 surveys was returned. Finally, 508 student was chosen for analysis, as excluding 42 student because of unfaithful answer. Using answered 508 surveys, we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sex and blood donor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n-blood donors and blood donors about attitude of blood donation and community service. Both of non-blood donors and blood donors recognized the policy of blood donor registration would be much helpful for emergency cases, but the blood donors have more experiences of transfusion than non-blood donors. The main reason why non-blood donors don’t donate blood is the fear of disease infection for men, and the person disqualified for blood donation for women. In case of blood donors, the total number of blood donation was the most highly related with voluntariness of blood donation. In statistical analysi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lood donors’ sex, transfusion experience, and compatibility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ch dependent variable is experience of blood donation.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dependent variable is total number of blood don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lood donors’ sex and voluntariness. In addition, Undergraduate students thought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public relation of blood donation was mass media, the place was blood donation center. They also emphasized expansion of compensation for blood donation as invigoration of blood donation.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e desirable attitude and knowledge through sufficient public relation and education should be necessary to encourage blood don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 For this, the generalization of blood donor registration policy and reservation using smart phone should be activated for inducing accessibility of blood donation information, and stable and active participation of blood donation.

      • 대학병원 치과진료처에 내원한 측두하악관절장애환자들의 병원이용 만족도 및 인지도

        장송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측두하악관절장애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병원이용에 대한 만족도, 인지도 만족요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보다 나은 진료환경과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경북대학교병원 치과진료처에 내원한 환자 180명을 대상으로 2007년 3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하였다. 경북대학교 병원 치과진료처에 측두하악관절장애로 내원한 환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20-39세의 대학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직업을 가진 월 가계소득 200만원-500만원 정도의 중산층 여성들이 많았으며, 병원이용에 관한 일반 사항으로 병원 도착 때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 이상이고 주로 버스를 이용하였고, 평균 진료시간은 30분 미만, 내원하게 된 이유는 주변(부모님, 친지, 이웃 등)의 권유, 내원횟수는 1-6회, 총진료비는 10만원-50만원이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인지도는 여성에서 금전적 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이 조금씩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만족도와 인지도가 증가하였고, 20-39세가 다른 연령 대에 비해 낮은 만족도와 인지도를 보였으며, 19세 이하에서 유의한 인지도를 보였다(p<0.01). 학력이 높을수록 진료환경의 편이성과 부대시설 이용 편리성 요인에 불만족 경향을 보였으며, 주부가 모든 요인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와 유의한 인지도를 보였다(p<0.05). 소득에 따른 만족 정도에서는 진료환경의 편이성과 부대시설 이용 편리성 요인에서 소득이 높아질수록 만족 정도와 인지 정도가 낮아졌다. 의료보장은 의료급여가 추천의사에서 유의성을 보였다(p<0.05). 병원이용에 관한 사항에서 교통수단에 따른 만족도와 인지도에서 택시에서 시간적 만족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이 낮게 나타났고, 버스에서 부대시설 이용 편리성, 친절도, 금전적 만족도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5). 평균진료시간에서는 친절도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시간적 만족도와 금전적 만족도, 부대시설 이용 편리성에서 시간이 적게 걸릴수록 만족도와 인지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내원하게 된 이유에서 주변(부모님, 친지, 이웃 등)의 권유로 내원했을 때 시간적 만족도와 추천의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총 진료비용에서는 친절도와 진료환경의 편이성에서 진료비가 적게 들수록 만족도가 높아졌고, 시간적 만족도에서는 진료비가 적게 들수록 만족도가 낮아졌다.

      • 大邱·慶北地域 住民의 死亡原因 分析

        김성길 慶北大學校 保健大學院 1986 국내석사

        RANK : 249631

        1984년도 우리나라 총 사망신고된 자중 의사의 진단에 의해서 사인이 규명된 사망건수를 대상으로 한국표준 질병사인 17대 분류와 주요 질병 50항목 분류를 적용하여 성별, 연령별 사망율과 주요 사인을 대구, 경북지역과 전국을 서로 비교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망율은 대구가 인구 1,000명당 3.9이며 전국의 평균은 5.6이며 경북은 8.5로 대구가 낮았고, 표준화 사망율은 전국을 기준으로 구해본 결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17대 분류에 의한 성별 사망율은 전체적으로는 순환기계질환, 손상 및 중독, 및신생물에 의한 사망율이 68%를 차지하였고 순환계질환은 대구지역이 경북과 전국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에 있어서는 대구지역이 34.6%로 가장 높았다. 경북지역에서는 손상 및 중독에 의한 사망이 남, 여 모두 높게 나타났다. 신생물은 대구 및 경북지역이 전국 보다 대체로 낮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주요 질병 50항목에 의한 성별, 연령별 사인주조를 보면 대구와 전국에서는 뇌혈관질환, 폐순환기계 질환 및 기타 불의의사고 순이었으나 경북지역은 기타 불의의사고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뇌혈관질환, 교통사고에 의한 사망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0∼14세와 15∼44세에서는 대구, 경북, 전국에서 남, 여 모두 기타 불의의사고가 가장 높게 차지 하였으며 15∼44세 연령군의 여성에서는 불의의 중독에 의한 사망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북지역에서는 자살 및 자상에 의한 사망수가 높게 나타났다. 45∼64세 연령군에서는 뇌혈관질환이 1위를 차지하고 대구지역에서는 만성간질환 및 경변증이 다음이었다. 경북지역은 고혈압성질환과 위의악성신생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65세 이상의 연령군에서는 대구와 전국에서는 뇌혈관질환이 남, 여 모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경북지역에서는 노쇠에 의한 사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From the total deaths confirmed by Doctor's diagnosis among the registered deaths in 1984, death rates and leading causes of death in Taegu and Kyungpook district by sex and age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of the list of 17 categories and the special list of 50 causes for tabulation of mortality. The crude death rates in Taegu and-Kyungpook district in 1984 were 3.9 and 8.5, resectively, while that of nation wide data was 5.6 per 1,000 population. The crude death rate in Taegu was lower than national level but that of Kyungpook was higher than national level. Standardized death rates in Taegu and Kyungpook were 4.8 and 6.7 respectively, national rate being 5.6. The stantardized death rate in Taegu area was lower than national level but the rate of Kyungpook was higher than nation wide rate. The important causes of death among the list of 17 categories during the year of 1984 were, in order of frequency, the diseases of circulatory system, injury and poisoning, and neoplasms; these 3 causes were attributed to 68% of total death in 1984. Death rate due to the diseases of circulatory system in Taegu was higher than that of Kyungpook and nation wide rate. In particular, death rate of female attributed to the diseases of circulatory system in Taegu was the highest, the rate being as high as 34.6%. The rate of death due to injury and poisoning in Kyungpook was higher than that of Taegu area and nation wide. Particularly the death rate of male in Kyungpook was the highest, and the rate was 38.8% and the rate of death assigned to neoplasms in Taegu and Kyungpook were-lower than that of nation wide. The improtant death causes attributed to special to causes for tabulation of mortality during the year of 1984 in Taegu were, in order of Frequency cerebrovascular diseases, diseases of pulmonary ciculation and other accident including complications, but those of Kyungpook,were other accident including complications,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traffic accidents. In age groups of 0 to 14 years old and young adult age groups (15-44yrs.),the most prevalent causes of death in both sexes was other accident including complication. In age group of young adult, the most prevalent causes of death in females was poisoning and the death rate of female attributed to poisoning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Especially in the age group of young adult, the death from suicide and self-inflicted injuries in Kyungpook was higher than that of Taegu area. In age group of mizldle age (45-64 yrs.), the most prevalent causes of death was cerebrovascular diseases. Among the death due to neoplasms the most prevalent neoplastic deseases was stomach cancer. In age group of old age (65-yrs. and over) the most frequent causes of death in Taegu was cerebrovascular diseases but that of Kyungpook was senility without mental disorders.

      • 貯水池의 汚染 程度에 따른 植物性 플랑크톤의 分布 樣相

        박금희 慶北大學校 保健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9631

        저수지의 오염도와 조류의 분포 상태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수질 오염의 지표 조류를 선정하고 또, 수질계급을 판정하는 하나의 지표를 제공하고자 경산군 진량면에 소재하는 文川池의 4개 지점, 압량면에 소재하는 蓮池의 3개 지점, 대상으로 총 7개 지점을 정하여 1989 년 2월과 4월에 이화학적 수질 조사 및 조류의 분포 상태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 결과는 蓮池보다 文川池에서 나쁘게 나타났다. DO, 개체 종수, 다양도는 蓮池에서, BOD와 COD, SS 및 우점도는 文川池에서 각각 높았다. 채집된 조류의 종수는 文川池에서는 4문 33속 76종이었고, 蓮池에서는 4문 52속 94종으로 나타났다. 文川池에서는 종수가 2월보다 4월에 감소되었고 개체수는 증가하였으며,蓮池에서는 종수와 개체수가 모두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수온이 낮은 2월에는 남조류와 녹조류는 비교적 오염이 심한 文川池에서 오염이 작은 蓮池보다 약 2배로 우세하였고, 규조류와 황색 편모 조류는 이와 반대 현상을 보였으나 수온이 다소 높아진 4월에는 규조류만이 蓮池에서 우세했으며, 타 조류는 文川池에서 우세하였다. 다양도는 文川池가 蓮池보다 훨씬 더 낮았다. 유사도는 文川池의 각 지점간에는 비교적 낮고, 蓮池의 각 지점간에는 비교적 높았으며, 文川池와 蓮池간에는 매우 낮았다. 文川池에서의 우점 지표종은 2월에는 Oscillatoria splendia, Ulothrix zonata, Scenedesmus acuminatus, Cyclotella meneghinina 이었고, 4월에는 Synedra acus, Phormidium tenue, Asterionella formosa로서 α-중부수성 수역이었으며, 蓮池에서의 우점 지표종은 2월에는 Chlorella pyrenoidosa, Fragilaria construrns, Fragilaria crotonensis 이었고, 4월에는 Fragilaria capucina, Chaetophora elegans, Gomphonema olivaceum 으로서 빈부수성에 가까운 β-중부수성 수역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수질의 이화학적 분석 결과와 생물학적 수질 판정 결과와는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조류에 의한 판정만으로도 수질을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각필에 앞서 많은 도움을 주신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정 준 교수님과 그 연구실 김 한순 선생님께 사의를 표하며, 아울러 시종 지도하여 주시고 많은 조언과 격려를 주신 보건대학원 김 두희 교수님께 충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phytoplankton fluctuation according to the grade of water pollution in irrigation ponds. Two ponds were subjected. One was Moonchun-ji located in Jinryang-up of Kyoungsan Gun, and inflowed sewer of a large brewery. Another was Yeun-ji also located in Apryang-Up of Kyoungsan Gun as a control. As physico-chemical status of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biochemical oxygen demand, chemical oxygen demand,hydrogen ion,suspended solids were measured from February to April 1989 and graded condition of pollution. Also the phytoplankton were classified and calculated by microscope according to the polluted grade Physico-chemical values were worse in Moonchun-ji than that of Yeun-ji. Total number of phytoplankton species identified in Moonchunji was 4phylla, 33genera, 76species and Yeun-ji, 4phylla, 52genera, 94 species. Total number of species were decreased on April than that of on February at Moonchun-ji,but total number of individuals were increased.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in Yeun-ji were increased on April than that of on February. Phylla of Cyanophyta and Chlorophyta at Moonchun-ji on February wer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of Yeun-ji, but phylla of Bacillariophyta and Chrysophyta were inverted. Bacillariophyta in Yeun-ji on April was higher than that of Moonchun-ji, but the other phylla were inverted. Species diversity indice in Moonchun-ji were lower than that of Yeun-ji. Species similarity coefficient of each site of Moonchun-ji showed comparatively low, but that of each site of Yeun-ji were showed compar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that of it was showed greatly low between Moonchun-ji and Yeun-ji. Dominant species at Moonchun-ji were Oscillatoria splendia, Ulothrix zonata, Scenedesmus acuminatus, and Cyclotella menehiniana on February, but species of Synedra acus, Phormidium tenue and Asterionella formosa, on April, that species were indicated with the α-aesosaprobic system. That of Yeun-ji were Chlorella pvrenoidosa, Fragilaria construens and Fraxilaria crotonensis on February, but species of Fragilaria capucina. Chaetophora eleaans and Gonphoneaa olivaceua were dominant on April,that species were indicated with the β-mesosaprobic system and Oligosaprobic system. It is also believed to be desirables using total species, dominant species for indicator and species diversity indice of phytoplankton as a basis by means of rapidly expressing pollution level of water quality.

      •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진율과 관련요인

        류현주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당뇨 합병증 중 하나인 당뇨병성 신증의 적절한 예방 및 관리의 가장 기본인 당뇨병성 신장 합병증 검사(미세단백뇨 검사) 수진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당뇨병 환자들이 이용하는 의료기관에 따라 당뇨병 환자들의 합병증 검사에 대한 의사들의 권고 정도에 차이가 있고 (이순영, 2016), 이와 관련하여 당뇨병 환자들의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진은 주기적인 의료 이용 및 의사의 권고에 따라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되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당뇨병 의사진단 경험자들을 약물치료여부에 따라 두 그룹으로 층화하여 특성별 수진율과 관련 요인을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비약물 치료군에서 당뇨병 신장 질환 합병증 수진 경험은 대학교 졸업 이상의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혈당 수치 인지 여부, 동반 만성질환 개수, 당뇨병 관리교육 이수 여부와 관련이 있었으며, 약물 치료군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거주 지역-유형, 400만원 이상 월 가구소득, 직업 유무, 음주행태, 주관적 건강수준, 혈당수치 인지 여부, 동반 만성 질환 개수, 관리교육 이수여부가 신장합병증 검사 수진율과 관련이 있었다. 앞서 언급한 요인들 중 필요 요인인 주관적 건강상태, 혈당수치 인지여부, 당뇨병 관리교육 이수 여부는 변화 가능한 요인들로, 본인 혈당 수치 인지 및 당뇨병 관리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동반 만성질환 및 당뇨병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당뇨병 환자들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utilization rate of the microalbuminuria test for detecting diabetic kidney diseas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patients with diabetes in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1,178 patients over 30-years-old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iabetes by doctors and had participated in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fter stratifying patients based on whether they were receiving medical treatment. Among the 21,178 participants, 35.1% underwent the microalbuminuria test (15.9% among 7,434 patients not receiving medical treatment and 37.8% among 13,744 patents receiving medical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tients’ education on diabetes management and perception of their blood sugar levels are important for utilizing the microalbuminuria test for detecting diabetic kidney disease complications. It might be necessary to develop and strengthen strategies for improving screening for the microalbuminuria test by using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s in diabetic pati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population-based study, rather than a clinic-based cross-sectional study, and it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screening for the microalbuminuria test in diabetic patients.

      • EQ-5D를 이용한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관련요인

        김보경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성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건강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의 5가지 차원의 기술체계를 종합한 지표인 삶의 질 지수(EQ-5D index)와 인구사회학적, 건강관련 행태요인과 건강관련 상태요인, 전국 17개 시도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고 삶의 지수(EQ-5D)와 건강관련 요인에 따른 삶의 질 지수의 차이를 보기위하여 독립 표본 t-test와 ANOVA를 실시하고 독립변수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력을 판단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stepwise로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여성일 때,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 경우, 미혼일 경우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고 가구의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p<0.01). 건강행태에 속한 변수에서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실천할 경우, 걷기를 실천할 경우, 필요 의료서비스가 충족될 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05). 건강상태에 속한 변수 중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증가하였다(p<0.01). 스트레스 인지율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있을 시, 비만할 경우, 고혈압이 있을 시, 당뇨병이 있을 시, 협심증이 있을 시, 심근경색이 있을 시, 골다공증이 있을 시, 관절염이 있을 시, 뇌졸중이 있을 시 삶의 질이 감소하였다(p<0.01). 전국 17개 시도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제주, 울산, 광주, 경기, 서울, 충북, 대구, 인천, 전북, 경남, 부산, 경북, 충남, 세종, 대전, 전남, 강원 순으로 삶의 질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전국 17개 시도에 따른 삶의 질 하위 25% 대상자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강원, 세종, 대전 순으로 분포가 높았다. 시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살률이었다(p<0.05).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았고, 취약부분에 대한 지원과 정책개선으로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개선 방안과 보건학적 접근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fine an influenc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in adul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7th health survey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quality of life was low in female, when age increases, in unmarried person, when subject didn't perform economic activity. and if the household’s income level is high and the level of education of subject is high, the quality of life was high. The quality of life was influenced by the variables of the health behavior such as the cases, when the one performed high intensity of the physical activity, performed walking, and satisfied enough medical service. The quality of life was increased by the variable of the health status, wh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high. The quality of life was decreased when one had high detection in stress, depression, obesity, hypertension, diabetes,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osteoporosis, arthritis, or stroke. The result of an analysis states that the quality of life was low in the following order: Jeju, Ulsan, Kyeonggi, Seoul, Chungbuk, Daegu, Incheon, Jeonbuk, Kyeongnam, Busan, Kyeongbuk, Choongnam, Sejong, Daejeon, Jeonnam, Kangwon. The result of an analysis based on the lowest 25% of the quality of life in 17 cities and provinces of the South Korea states the quality of life was low in orders of Kangwon, Sejong, Daejeon. In this research,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is anticipated if there is a support in the vulnerable group and an improvement in the policy. The nation’s quality of life is expected to have an improvement by the specific improvement plan and the approach in the way of public health i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 綜合病院 放射線撮影件數 및 放射線士 關聯指標

        이덕규 慶北大學校 保健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9631

        종합병원의 방사선 검사 이용률을 파악하고, 의료기관에서의 방사선사 정원책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서울, 부산, 대구시 소재 17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1983년부터 1985년까지의 병원통계연보를 이용하여 3년간 방사선 관련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병원의 평균 방사선사수는 1983년 14.5명에서 1985년 15.8명으로 10.9%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촬영건수는 같은 기간에 8.8% 증가되어, 방사선사 1인당 촬영건수는 5,453건에서 5,421건으로 감소되었다. 병원환자 1인당 촬영건수는 3년간 평균 0.19건, 병상당 촬영건수는 162.0건이었다. 상임 방사선전문의 1인당 방사선사수는 1983년 4.10에서 1985년에는 3.96으로 약간 감소되었고, 전체직원 100명당 방사선사수는 1.63명에서 1.74명으로, 100병상당 방사선사수는 2.97명에서 2.88명으로, 1일 연환자 100명당 방사선사수는 0.94명에서 0.99명으로 약간씩 변화되었다. 병원 형태별로는 국립대학 병원이 환자당 촬영건수가 많을 뿐아니라 방사선사수도 사립대학 병원이나 민간병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즉, 방사선전문의 1인당 방사선사수는 국립대학 병원이 4.76명이었으며 민간병원은 3.00명이었고, 100병상당 방사선사수도 3.18명 대 1.78명, 1일 촬영 100건당 방사선사수는 5.52명 대 3.27명으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병상 규모별로는 병상이 큰 병원일수록 방사선 전문의 1인당 방사선사수, 환자당 방사선사수, 병상당 방사선사수가 많았다. 방사선 촬영건수 중 특수촬영은 9.6% 정도였으며, 민간병원에서의 특수촬영율이 국립대학 및 사립대학 병원보다 높았고, 병상수가 많을수록 특수촬영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산지역 병원이 서울이나 대구지역보다 높은 특수촬영률을 보였다. 방사선사수는 방사선전문의수 및 입원연인원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체 직원수, 수련의수, 의사수, 병상수, 외래연인원수 등과도 0.8 이상의 상관계수를 보였고, 촬영건수나 특수촬영건수와의 상관계수는 0.7 이하로 나타났다. 병원의 방사선사수는 촬영건수를 기초로 정원을 책정하기 보다는 입원연인원이나 방사선 전문의수, 전체 직원수 등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의사수가 입원연인원에 의해 정원이 책정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이나 종합병원급에서는 방사선 전문의수나 전체 직원수를 기준으로 방사선사수를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dex related to radiologic technologist and radiologic examination in medical institution, and for this study, data of 17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Busan, and Daegu City are used. The averag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 in the hospital has been increasing 10.9% from 14.5 persons in 1983, to 15.8 persons in 1985, and the number of case of radiologic examination was increased to 8.8% during the same period, and the number of radiologic examination was decreased from 5453 to 5451. The number of case of radiologic examination per-bed-days this period was 0.19, and the number of case of radiologic examination per bed was 162.0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s per fulltime radiologist was 4.10 in 1983, and it was 3.96 in 1985.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 per 100 persons of whole employees was increased from 1.63 to 1.74, and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 per 100 beds was from 2.99 persons to 2.88 persons.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s per 100 bed-days in a day was changed from 0.94 to 0.99. The number of case of radiologic examination per patient and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 in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as a litte more than that of the private university hospital or the private hospital.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s per radiologist was 4.76 persons in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t that of private hospital was 3.00 persons, and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s per 100 beds in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as 3.18 persons, but that of private hospital was 1.78 persons. In the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s per 100 cases of radiologic examination in a day was 5.52, but that was 3.27 in the private hospital. The more the hospital had beds, the more it had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ots per radiologist,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s per patient, and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s per bed. The rate of special examination in all X-Ray examinations was around 9.8$, and that of private hospital was a litte more than that of national or private university hospital. The more the hospital had beds, the higher it had the rate of special examination. And the hospital in Busan area had higher rate of examinations, than that of Seoul or Daegu areas hospital. The correlation of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 was highest with the number of radiologist and the number of bed-days. It's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whole employees, number of the residents, number of physicians;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as showed more than 0.8 respectively. It's coefficient of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special examination and total X-ray examinations was showed less than 0.7. In conclusion it is recommendable to calculate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 by the number of bed-days, the number of radiologist and the number of whole employees rather than the number of case of X-ray examinaiton. It is desirable that the number of radiologic technologists has to be calculated by the number of radiologists or the number of whole employees, because generally the number of physicians i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bed-days in the hospitals or general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