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관리 및 구제를 위한 법적 과제

        박종원(Park, Jong-W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환경법과 정책 Vol.11 No.-

        이 글은 종래 민사상의 불법행위책임 등에 기한 민사소송에만 의존해서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의 구제가 원활하고 순탄하지 않음을 전제로, ?환경보건법?과 ‘환경오염피해 구제에 관한 법률안’을 중심으로 현행 환경법이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의 실효적인 관리 및 구제를 위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인지를 논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와 관련된 주요 소송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종래 제도를 통한 피해구제의 한계를 인식하고, 현행 ?환경보건법?이 어떠한 제도적 장치를 통하여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관리?구제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한다. 이어서 환경오염피해 구제에 관한 법률안’이 기존의 한계를 제대로 극복하고 있는지를 평가?검토하고 그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한 후,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의 실효적 관리?구제를 위한 입법론을 전개한다. “환경책임법안”의 경우 고의?과실, 인과관계 등의 입증 부담의 대폭적 완화, 의무보험 가입 강제를 통한 손해배상책임의 이행 확보 등 여러 측면에서 기대되는 부분이 많지만, “환경오염피해” 개념의 협소성, 배상책임한도의 적정성, 보상급여 지급의 판단기준과 범위, 기금 설치의 정당성과 재원 및 용도의 적정성 등의 문제가 장애요소로 남아 있다. 그리고 ?환경보건법?은 역학조사, 환경성질환의 지정?관리 등 유용한 법적 도구를 담고 있기는 하나 이들 간의 체계적 연계성이 결여되어 있고, 건강피해를 실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근거 규정이 없으며, 그 재정적 뒷받침 또한 부족한 것이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과 한계를 인식하고 관리 또는 구제조치 실시요건의 구체화, 집중관리대상의 특정, 관리 또는 구제조치의 다양화, 역학조사의 타당성 제고, 재원의 확보 등 각각의 쟁점별로 입법적 과제를 제시하고,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의 실효적인 관리?구제를 위해서는 ?환경보건법?과 “환경책임법안” 간의 연계 및 역할 분담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cases in which people suffer from injuries induc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Recognizing that we have many difficulties in obtaining fair compensation of injuries induc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under current legal system,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legal systems, including the Environmental Health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EHA” and the Bill on the Remedy of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s(hereinafter referred to as “Bill”, in order to show ways to improve current legal system caring for or relieving the injured.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related case laws, aiming to understand legal concerns in depth. Then it went through a analysis of current legal system, including the EHA and the Bill, focusing on their functions and limitation to responding to injuries or relieving people injur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The bill contains many helpful provisions to remedy or relieve the injured. They includes strict liability, presumption of casual relationship, compulsory environmental liability insurance, and so on. But, the Bill has some problems such as improper defini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s” injustice in limiting liability, ambiguity in providing administrative relief and unequal cost allocation. Though epidemiological survey that are provided by the EHA must be useful tools to grasp the scale of health damages or scientific causations, the EHA fails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epidemiological survey and environmental-related diseases, and has no effective provision on how to care for the injured.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presented some concrete ways to improve our legal system: First, it needs specific trigger condition that competent authority can start measures to control or relieve damages; Second, it needs a legal priority ranking among environmental-related diseases; Third, administrative measures to the injured should be diversified; Fourt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pidemiological survey should be increased; Fifth, it needs a reasonable financial mechanism. And It is very important to decide how to allocate between the EHA and the Bill.

      • KCI등재

        토양오염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환경정책기본법」과 「토양환경보전법」을 중심으로 -

        이지원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4

        What is recently being highlighted as legal issue in both academic and executive circles is the problem of soil pollution. Soil pollution means losing function of soil’s original state as various substances that are harmful for soil become accumulated. The soil pollution damage through soil pollution can be classified as the damage of soil itself and the secondary damage of life, physical body and property due to such damage. The claim for damages on such soil pollution damage can only be solved with the legal theory on the responsibility of compensation for damages according to the civil lawsuit. In case soil pollution has occurred, first of all, the sufferer may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the illeg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In other words, the sufferer may claim for damages on the occurred damage by proving the conditions of general illegal activities. But in order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pursuant to the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the sufferer has to prove deliberation and negligence of assailant, illegality of harmful act o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armful act and occurrence of damage. Accordingly, the sufferer claiming compensation for damages by proving all these things reveal limitations on the protection of sufferer. Therefore, a special legal theory is being developed in proving deliberation and negligence of assailant or causal relationship in order to protect the sufferer in theories and legal precedents. Even in our recent legal precedents, there is an example of acknowledging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liability on the soil pollution damage based on the liability of structure. As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provides the ‘strict liability of polluter’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ne would be able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 Policy Article 44 in case the soil pollution damage has occurred. As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rticle 10-3 Paragraph 1 provides that “When there has been a damage due to soil pollution, the applicable polluter must compensate the damages and purify the contaminated soil”, the strict liability and liability of purification are provided on the soil contamination damages. The strict liability provision of polluter in accordance with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rticle 10-3 can become very useful means for the sufferer. Therefore, damages caused by pollution at workplace are eligible for compensation as long a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rmful act and the causal damage are proven. However, as mentioned before, this causes many problems. Even if the existing regulations are amended as Article 44 of the “Revision for EPA,” submitted as government bill in May of 2009, it only adds problem on top of another one. Enactment of this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 mainly focuses on compensation to victims for damage, but also has preventive function for infringement. Strengtheni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rough strict liability i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 not only entrusts environmental protection to regulations, but also corresponds with the general tendency that inserts the market economic measures. That is, through rigorous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 burden in environment-hazardous production process eventually will lead to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ion and process. 토지오염은 통상적으로 토양오염을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토양오염이란 토양에 해로운 각종 물질이 누적됨으로써 토양 본래 상태의 기능을 상실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토양오염피해의 손해배상청구는 기본적으로 민사상의 손해배상책임법리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먼저 피해자는 토양오염이 발생한 경우 민법 제750조에 의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민법 제750조에 기하여 손해배상을 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고의⋅과실, 가해행위의 위법성, 가해행위와 손해발생간의 인과관계를 증명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피해자가 이를 모두 증명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한다는 것은 피해자보호에 한계를 보여준다. 또한 토양오염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가 환경오염에 대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토양오염피해가 발생한 경우에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에 근거하여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토양환경보전법상으로는 피해에 대하여 과실책임이 아닌 무과실책임을 지우고 있으며, 공동의 책임인 경우에는 연대책임(부진정연대책임)을 지우고 있다. 이것은 피해자의 구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토양정화책임과 그에 따른 비용책임에 대하여도 소급책임, 엄격책임, 연대책임을 지게하고 있다. 다만 천재지변과 전쟁으로 인한 경우에는 면책하고 있다. 책임당사자는 오염유발자와 토양오염시설의 소유 또는 점유자 및 운영자, 그리고 그 시설을 양수한 자 및 인수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책임당사자가 불명하거나 무자력 등으로 인하여 책임을 질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책임당사자의 범위를 확대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해 2011년 4월의 개정에서는 그 동안 미비한 제도들을 획기적으로 보완하는 규정을 신설 또는 개정하여 한층 진일보하였다. 즉 오염원인자의 범위를 확대하여 원인자책임의 원칙을 더욱 보완하였고, 토양환경평가를 구체화하여 양도·양수당시에 실시된 토양환경평가 결과에 대한 증거가치를 부여함으로써, 토양오염의 책임소재에 따른 분쟁을 해결하고 토양환경평가를 자율적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환경책임법의 제정은 피해자에 대한 피해의 보상을 주목적으로 하나, 또한 이것을 넘어서 침해의 예방목적도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무과실책임에 의한 환경책임법을 통한 환경책임의 강화는 환경의 보호를 규제법에만 맡기지 않고, 시장경제적인 장치를 삽입하는 일반적인 경향에 상응하는 것이다. 즉 엄격한 환경책임으로 환경위험적인 생산과정에 대한 부담은 환경 친화적인 생산과 생산과정을 개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된다.

      • KCI등재

        보험을 통한 환경오염손해 배상책임위험의 전가

        박은경(Park, Eun-Gyoung)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환경오염위험의 관리와 피해구제를 위한 효과적 대안으로 환경오염배상책임보험이 과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는가는 의문에서 연구되었다. 헌법상 환경권에 근거하여 환경정책법과 환경오염손해에 대한 개별 입법을 통해, 환경오염손해의 구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민사소송절차나 환경분쟁조정제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과, 배상 책임의 이행에 대한 재정적 보증제도가 규정된 환경책임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피해자에 대한 재정적 보증제도로는 환경기금의 조성, 환경배상책임보험제도나 공제제도를 활용하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지만,이글에서는 환경오염배상책임보험제도를 통한 구제방법의 효율성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환경오염손해의 개념과 특성, 현행법상의 구제방법을 살펴보고, 환경오염손해가 보험으로 담보할 수 있는 성격의 위험인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어떤 성격의 보험으로 담보할 것인지의 문제와 보험을 통한 환경오염손해 배상책임위험의 전가가 피보험자 보호 및 피해자 구제에 도움을 주는 녹색성장시대에 가장 부합하는 정책적 대안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yield the adoption of environmental liability system and environmental impairment liability insurance in Korea. Currently, two legal remedies address damages to the environment. First, there is measure pertaining to the domain of Public Law such as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 system of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Second, there are procedures under Private Law such as civil action. However, a crucial issue remains unresolved, for a majority of said measured depend on civil litigation and no prescript such as an environmental liability law has been formulated. Chapter 1 provides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is study. Chapter 2 define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liability and survey what kinds of remedies according to the law now in force. Chapter 3 examined whether the risk of environmental impairment liability is insurable risk ; focus on pure risk, uncertainty, chance of occurrence and possibility of estimating the damage. Chapter 4 examined how to institutionalize environmental impairment liability insurance. In conclusion, Chapter 5 forwards the operative direction for this insurance.

      • 토양오염부지의 환경매체 연계관리 방안

        황상일 ( Sang Il Hwang ),양경 ( Kyung Yang Et Al ),박용하,정아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Korea has mainly been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oil contamination and some groundwater contamination. However, given the pollutant spread between adjacent environmental media and the receptors affected by pollutants,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should be conducted in a linked management instead of individual media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system that can integrate and manage the medias such as soil, groundwater, surface water, and atmosphere of contaminated sites escaping from the existing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media laws. Although many stakeholders are aware of the need for this, there is little detailed research on the specific situation regarding relevant policies under the existing media law and future direction.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nagement status of contaminated sites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each environmental media in Korea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system to solve the problems.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ontamination control procedures such as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aws and cases by relevant environmental media that can be affected by contaminated soil. Although soil and groundwater are closely intertwined the most, contamination management is carried out under individual laws. Also, there is a lack of links between the statutes, resulting in blind spots in the management of the investigation, cleanup, etc. In case where the precise survey of soil and groundwater is conducted, the possible occurrence of contamination sprea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al media is subject to investig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legal basis regarding follow up on contamination found in surrounding environmental media.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cause of contamination and the contaminant to be managed n accordance with each environmental media law, even if the contaminant is to be removed or managed. Even if the remediation is carried out, problems such as re-contamination due to differences in cleanup levels by environmental media laws may occur. In Washington, the USA, and Alberta, Canada, there are not only laws for each environmental media, but also an integrated law for managing contamination of each environmental media in contaminated sites, making this problem less likely to occur. There is a system to manage contaminated sites from a human and ecological risk perspective. Although there is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soil contamination in Korea, it is not activated due to the systematic limitations on the application of risk assessment, risk assessment techniques and risk management procedures.Taking the aforementioned current status into account, four alternatives were proposed to resolve the problems and improve policies towards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instead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The first measure i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t complements the legal basis of each law related to contamination detection,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the 「Groundwater Act」. In the same way as in the first case, the second plan i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soil and groundwater management. In the 「Groundwater Ac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etection, investigation and remedia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re transferred to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at enables integrated management of soil and groundwater to be realized. The third plan integrates contents related to the detection, investigation, remediation and management in individual laws on environmental media of contaminated sites such as soil, ground water, surface water, and air quality, and incorporates the contents into the new chapter on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The fourth plan is to establish a new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Act」. It is a plan to establish a law on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by separating and integrating contents related to contamination detection, investigation, remediation and remediation responsibilities among relevant laws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such as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Groundwater Act」. This is the transition toward contaminated site management system focusing on the risk of the recept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lternative, the first alternative, which can solve problems on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relative easily and quickly, is likely to be feasible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run, it would be desirable to switch to a system proposed in the fourth alternative, which allows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rather than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environmental media. 우리나라에서 오염부지에 대한 관리는 주로 토양오염, 그리고 일부 지하수오염을 중심으로 실시되어 왔다. 하지만 인접해 있는 서로 다른 환경매체 간의 오염물질 확산 및 오염물질에 영향을 받는 수용체 관점에서 볼 때 오염부지의 관리는 단순히 개별 매체에 대한 관리가 아닌 매체별 연계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 토양·지하수 등 매체별 법에 따른 오염토양·지하수 관리에서 토양·지하수는 물론 오염부지의 지표수, 대기 등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매체를 통합하여 연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된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그동안 기존 매체별 법에 따른 정책 및 제도가 실행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구체적인 현황 파악 및 정책의 전환 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연구된 내용은 부족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오염부지의 환경매체에 대한 개별법에 따른 환경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현 상황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토양오염이 발생한 상황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환경매체별로 오염의 조사, 정화 등 오염관리 절차의 현황에 대하여 관련 매체별 법령과 사례 분석을 통해 현 제도의 미비점을 분석하였다. 토양-지하수는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 법령에 따라 오염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며, 각 법령의 연계도 부족하여 조사, 정화 등의 절차에서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토양 및 지하수에 대한 정밀조사 시, 주변 환경매체로의 확산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주변 환경매체에서 오염이 발견된 이후의 후속 절차에 대해서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환경매체의 오염제거, 정화 등을 실시하고자 하더라도 각 환경매체별 법에 따른 관리대상이 되는 오염원인의 차이, 오염물질 항목의 차이 등의 문제가 있으며, 정화가 실시되더라도 매체별 정화수준의 차이로 인한 재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워싱턴주, 캐나다 앨버타주 등에서는 각 환경매체별 법령뿐만 아니라 오염부지 내에서의 각 환경매체별 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법이 존재하여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적으며, 인체 및 생태위해성 관점에서 오염부지를 관리하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도 토양오염에 대한 위해성평가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나 위해성평가 적용 대상의 제한, 위해성평가 기법 및 위해관리절차 등에 대한 제도적 미비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이와 같은 현황을 반영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염부지관리로의 정책 전환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4개의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1안은 토양-지하수 관리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으로 「토양환경보전법」과 「지하수법」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각 법의 근거 조항을 보충하는 내용이다. 2안은 1안과 마찬가지로 토양-지하수 관리의 연계를 강화하되, 「지하수법」 내에 지하수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내용을 「토양환경보전법」으로 이동하여 「토양환경보전법」 내에서 토양과 지하수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적인 오염부지 개념을 적용하여 관리하는 방안이다. 3안은 토양, 지하수에 더하여 지표수, 공기질 등 오염부지의 환경매체별 법령의 오염 발견·조사·정화와 관련된 내용을 통합하고, 이를 「토양환경보전법」 내에 오염부지의 관리와 관련된 장을 추가하는 방안이다. 4안은 가칭‘오염부지관리법’을 신설하는 것으로 기존 「토양환경보전법」, 「지하수법」 등 환경오염관리법령 중 오염 발견·조사·정화·정화책임과 관련된 내용을 분리·통합하여 오염부지관리에 관한 법을 신설하는 방안으로, 본격적인 수용체의 위해성을 중심으로 한 오염부지관리 체계로 전환하는 내용이다.각 대안별 특성과 장단점을 고려했을 때, 많은 문제점들을 비교적 쉽고 빠르고 해결할 수 있고, 이해관계자들에게서 많은 수요가 제기되는 1안이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적으로는 각 환경매체별 관리가 아닌 오염부지의 오염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4안의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환경오염배상책임보험제도

        한만주(韓萬珠)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2 江原法學 Vol.36 No.-

        오늘날 환경가치와 경제가치를 조정하면서 기업운영을 도모하여야 하는 환경속에서, 환경오염배상책임제도의 도입이 기업에 부담이 될 수도 있으나, 기업이 다양한 환경리스크를 자체적으로 부담하면서 사업운영을 하게 되면 오히려 파산위험에 빠질 수도 있고, 무엇보다도 피해자의 조기구제와 환경회복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환경오염배상책임보험은 오염사고발생 후에 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환경손해의 회복을 도모하는 극히 유용한 보험이며, 환경오염위험을 보험사에 전가시킬 수가 있고, 계약자의 자발적인 사고예방을 유도하며, 환경오염 사고에 따른 정부의 책임을 줄이고, 환경분쟁의 원활한 해결이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도 환경오염배상책임보험을 도입할 필요성이 크다. 그러나 이 보험에서 부담하는 리스크의 빈도를 정량화 하기위한 발생빈도의 충분한 데이터가 없는 등, 보험실무상으로도 이후에 본격적인 보급에 대비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다. 그리하여 환경오염배상책임보험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환경책임법의 제정을 통하여 환경오염배상책임보험을 도입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보상능력을 확보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에서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무과실책임규정을 두고 있으나, 이 규정은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구제를 전반적으로 포괄할 수 없으므로, 사실상 실무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무과실책임을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독일의 환경책임법과 같은 책임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 KCI등재

        환경분쟁 해결을 위한 한국 법원의 발전 방향

        이수진 ( Su Jin Lee ) 한국환경법학회 2013 環境法 硏究 Vol.35 No.3

        서울시에 거주하는 주민 23명은 2007년 2월 최초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및 자동차 제조회사를 상대로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하여 자신들이 천식, 만성 기관지염 등을 앓고 있다는 이유로 손해배상 및 오염물질의 배출금지를 청구하였고, 서울중앙지방법원 환경전문재판부는 2010년 1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과 원고들의 질병사이에 인과관계의 입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면서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원고들은 위 판결에 항소하였으나 서울고등법원은 원고들의 항소를 기각하였고, 위 사건의 상고심이 현재 대법원에 계속 중이다. 대법원은 환경소송과 관련해서는 행정처분의 근거 법규 및 관련 법규에 대한 합리적 해석 작업을 통하여 부수적이나마 그 법규의 개별적·직접적·구체적 이익의 보호, 즉 ‘사익보호성’을 도출하고, 근거 및 관계 법규가 환경상 침해의 영향권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면 그 영향권 범위 내의 주민에 대해 환경상 이익의 침해를 사실상 추정하고, 그 영향권 밖의 주민이라도 수인한도를 넘는 환경피해를 받거나 받을 우려가 있음을 증명하여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방법으로 환경 행정소송의 원고적격의 확대를 꾀해 왔다. 그러나 법원이 환경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제3자의 법률상 이익을 일반적으로 인정하지는 않고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물질의 배출금지를 구하는 사전조치로서의 환경행정소송은 원고적격 심사 단계에서 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소 각하 판결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게다가 우리나라에서 1990년에 제정된 개별환경법으로서 대기환경보전법 및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은 미국의 맑은공기법(Clean Air Act)이나 맑은물법(Clean Water Act)과달리, 환경피해자들에게 규제기준을 초과하는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직접 청구할사법적 권리를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피해자들은 최후적으로 민사소송을 통해 이미 발생한 피해의 배상을 구하거나 소유권에 기한 방해배제로서 오염물질의 배출 금지를 청구하여 왔고, 실무에서는 주로 소음소송 및 일조소송과 관련한 이론과 판례가 정립되어 왔다. 법원은 일조소송의 경우 소유권에 기초한 방해배제청구를 인정하고, 부동산 시가하락액의 배상을 명하는 등 일조이익을 소유권에 기초한 보호법익으로 판단하고 있고, 공사장 소음이나 수질오염으로 인한 가축폐사 사건의 경우에도 재산권적 의미의 영업피해의 배상을 명하는 것을 기본 내용으로 하고 있다. 법원이 재산권과 분리된 순수한 의미의 환경소송으로서 공항소음, 도로소음, 공사장 소음 사건에서 인근 주민의 정신적 피해를 인정하고 있기는 하나, 위 경우 모두 환경피해 자체의 객관적인 수치 측정이 가능하며 결과발생이 즉각적인 경우이고, 대기오염 또는 수질오염으로 인한 질병발생과 같이 환경피해 자체의 객관적인 수치 측정이 어렵거나 결과발생이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경우에는 법원이 입증책임의 완화 이론을 적용하여 위법성을 인정하거나 손해배상을 명한 사례는 거의 없다. 그러나 후자의 환경침해는 생명, 신체에 대한 침해로서 전자의 일시저인 환경방해 행위보다 중대한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이 정도가 심화되고, 그 원인물질의 도달경로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 향후 주된 환경분쟁의 유형이될 수 있는 분야이다. 현재 대기오염소송이 대법원에 계속 중인 만큼 앞으로의 환경분쟁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해, 환경소송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환경물질의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기관, 의료계, 학계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환경피해 구제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first civil action seeking damages from automobile gas emissions was brought to the Korean Court on January 2007. Twenty three residents in Seoul who were suffering from asthma or chronic bronchitis claimed damage and injunctions against the Korean Governmen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major car manufacturing companies to place restrictions on nitrogen dioxide and fine particle dust emissions. The Chamber for Environmental Trials in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turned down the lawsuit on January 2010, saying the causality between gas emissions and the plaintiffs` disease was not sufficiently proved. After nine months of hearing, the Seoul High Court dismissed the plaintiffs` appeal with the same reasoning. The residents appealed to the Supreme Court and the First Air Pollution Case in Korea is still ongoing.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CACA) and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Act (WQCA, which was renamed to the Water Quality and Hydro Ecosystem Conservation Act in 2007) was first enacted in 1990. In contrast with the Clean Air Act (CAA) and Clean Water Act (CWA) in the United States, Korean Environmental Law including CACA and WQCA provides neither a private right of action nor a private right of enforcement. For this reason, private law remedies which were made by the environmental victims have been private environmental claims for injunctions or damages in civil procedure, especially torts. Therefore, the First Air Pollution Case in Korea is a reflection of developing series of environmental actions in private law, and has a great meaning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trials. The first-ever environmental claim for damage was filed on February 1998 by the residents in Maehyang-ri who were seeking compensation for damage from AO the noise of army target practice, and the first-ever court decision ordering solatium for the suffering of the residents was made in April 2001. Starting with this claims for noise damages, the Korean Court has made a lot of progress ordering compensation for damages from noise disturbance and sunlight blocking conflict. However in areas where there is no immediate accident or event giving rise to the action, but rather a gradual release involving multiple hazardous substances with differing degrees of potential toxicity and exposure routes, or multiple potential sources or defendants, the Korean Court has not made satisfactory resolution of the claim. Health damages caused from air pollution or water pollution can create significant damage to the victim`s quality of life. Furthermore, as the air and water pollution around the world is becoming more serious, the latter areas are becoming the main environmental dispute in the Korean Court. Therefore there is a strong need to not only try to specialize environmental trials and make environmentally specialized courts or chambers more effective in resolving environmental dispute, but also to develop environmental legal theories and cooperative with environmental scientists and doctors to heighten environmental victim protection.

      • KCI등재후보

        연안의 효율적 수질관리 방향과 해양환경영향평가

        이대인,엄기혁,김귀영,홍석진,이원찬,장주형,Lee, Dae-In,Eom, Ki-Hyuk,Kim, Gui-Young,Hong, Sok-Jin,Lee, Won-Chan,Jang, Ju-Hyou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연안의 수질개선과 오염제어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수질관리의 원리와 기법,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및 선진사례를 검토하였고, 현재 오염총량 산정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지적하였다. 또한, 오염총량제와 환경용량과의 관계, 해양환경 예측 모델로 활용되고 있는 생태계모델의 연구접근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사항을 토의하고, 나아가서 연안수질 관련 제도와 정책에서 반영하고 흡수해야 할 수질관리 내용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안오염총량제의 대상이 되는 연안에서는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에서 해당하는 개발사업이나 계획 중 신규 오염원에 대해서는 오염부하삭감량과 할당량을 산정해서 평가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고, 연안관리지역계획에서는 환경관리계획에 좀 더 중심을 옮겨 기본적으로 관할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원과 오염부하량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별관리해역 등 향후 연안오염총량제 적용대상이 되는 지자체에서는 하수도관리계획 등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이러할 점을 고려해서 장기적이고 일관성있는 하수도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연안오염총량제도는 다른 환경관리해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할 것이로, 그 외의 지역은 지자체장이 주부장관과의 협의를 통해 자발적으로 시행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태계모델링에 의한 환경용량(수질적 차원의 총허용오염부하량) 산정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한 적용모델의 신뢰성과 과학적 타당성 확보는 환경영향평가 관련 협의시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으로 고려되고 있다 연안 육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에 대해서는 연안환경을 관리하는 주무부처가 주도적으로 감시 감독하고 관리체제에 환한 법적 거를 마련하거나 관련 법률을 정비해서 통합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as well as total coastal pollutant loads and the relevant examples in the advanced countries from the viewpoin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pollution control in coastal area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an estimation of the current total pollutant loads were also pointed out. In addition, discussion was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pollutant loads and environmental capacity as well as particulars requiring extensive examination on access to and study on water quality model used as prediction tool for marine environment.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details of and improvement plans for water quality control to be reflected and absorbed into systems and policies related to coastal water quality. In coastal areas, which are subject to total coastal pollutant loads,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pollutant loads reduction and allocation, to propose them in detail in statement in relations to new pollution sources for the corresponding projects or plan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Also, in relations to regional plans for coastal management, the local government concerned must focus more on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to implement data on pollution sources and pollutant loads flown into sea areas under basic jurisdic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ctively respond to expansion and introduction of total coastal pollutant loads system in the future. Total coastal pollutant loads system must be expanded and executed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ea area and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land. For pollution sources in land, the competent authorities in charge of coastal environment will need to initiatively administer supervision, monitoring activities and achieve integ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lated laws by preparing legal bases for management system or adjusting the related laws.

      • KCI등재

        환경오염피해구제법상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사업자의 손해배상책임에서 인과관계의 추정과 무과실책임에 관한 소고

        이근영,임학상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8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1 No.3

        환경오염피해구제법은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과 구제를 주된 내용으로 하면서, 특히 인과관계의 추정과 사업자의 위험책임을 인정하여 피해자 보호에 진일보한 기여를 하게 되었다. 피해자가 시설사업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묻기 위한 요건으로, ① 일정한 시설의 설치·운영과 관련하여 오염물질 등이 발생하고, ② 이 오염물질 등으로 말미암아 환경오염이 발생하여야하며, ③ 그로 인해 피해가 발생해야 한다. 그리고 인과관계는 추정이 되고, 시설사업자의 무과실책임을 규정하고 있다. 본고는 특히 인과관계 추정과 시설사업자의 무과실책임 규정과 관련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환경오염피해의 사법적 구제과정에서 가장 큰 난점은 가해행위와 손해발생 사이의 인과관계의 증명이다. 이러한 증명의 곤란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9조에서는 인과관계의 추정을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제9조의 추정이 법률상 추정이 아니므로 사실상 추정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의문이다. 증명책임이론에 따라 제9조의 증명책임을 검토해 보면, 환경오염피해자는 일반불법행위에서와 같이 인과관계를 증명하거나 제9조 제1항에 의해 ‘시설이 환경오염피해 발생원인을 제공한 것을 볼 만한 상당한 개연성이 있다는 사실’(전제사실)을 증명하면 그 시설로 인하여 환경오염피해가 발생한 것이라는 인과관계는 추정된다(추정사실). 반면 가해자인 시설의 소유자 등은 그 시설로 인하여 환경오염피해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추정을 번복할 수 있는데, 가해자가 추정사실의 부존재에 대하여 증명책임을 진다는 의미에서 증명책임이 전환된다. 또한 법률상 추정은 상대방에게 증명책임의 전환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법률상 추정을 깨뜨리기 위해서는 반증으로는 부족하고 본증으로 그 반대사실을 증명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해자의 추정사실의 부존재의 증명은 ‘본증’이라고 보아야 한다. 환경관련 소송에서 인과관계의 추정과 관련하여 판례가 개연성이론을 채택하고 있다. 판례에 의할지라도 개연성의 판단은 개별 사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런 점 때문에 제9조 제1항에서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인과관계의 추정의 전제사실과 관련하여, 판례와 같이 ‘개연성’이라고 하지 않고 ‘상당한 개연성’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9조 제2항에서 상당한 개연성의 판단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 규정은 기존의 판례가 인정하고 있는 개연성설에 따라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위한 요건인 3단계보다 더 상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9조 제1항에 규정되어 있는 상당한 개연성은 제9조 제2항의 상당한 개연성 판단기준과 함께 검토할 때, 기존의 판례가 취해온 개연성설을 그대로 입법화하였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런 면에서 제9조 제1항의 ‘상당한 개연성’이라는 불명확한 용어를 사용하기 보다는 독일 환경책임법 제6조와 같이 ‘시설적합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입법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국내에선 위험책임은 무과실책임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하기도 하지만, 의문이다. 무과실책임과 위험책임은 일치하는 개념이 아니므로, 개념적으로는 양자는 명확하게 구별되된다. 또한 위험책임과 무과실책임은 개념상 명확히 구별된다. 위험책임과 무과실책임 모두가 과실을 요구하지 않음은 공통적인 것이지만, 위험책임은 불법책임이 아니고 허용된 위험에 대한 책임으로서 위법성을 요구하지 아니하지만, 무과실책임은 위법한 행위를 전제로 과실이 없는 경우에도 책임을 지우는 것이다. 따라서 위험책임은 무과실책임의 별개의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e Act on Liability for Environmental Damage and Relief Thereof has contributed to improve the way of protecting victims of environmental damage by specially recognizing the presumption of casual relationship and risk liability of a business owner while mainly focusing on liability for compensation on environmental damages. As a requirement for asking liability for compensation to a business owner who operates a facility, ① pollutants are occurred in relation with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 certain facility, ② these pollutants cause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③ all these bring damages. And, the casual relationship is presumed and No-fault liability of the business owner is specified. In particular, this study reasoned discussions on regulations regarding presumption of casual relationship and no-faulty liability of the business owner who takes the responsibility for facility operation. The paramount challenge during the process of legal relief of environmental damages is how to prov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harmful acts and damage occurrence.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f proof, the Article 9 prescribes the presumption of casual relationship. However,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presumption in the Article 9 is not de-jure, but de-facto. It is asked to check. Reviewing the burden of proof in the Article 9 in line with the burden of proof theory, if a victim of environmental damage could prove the casual relationship like general illegal activities or ‘It is highly probable to believe that a facility has caused environmental damage exists’ (prerequisite), the casual relationship that the facility causes environmental damage is presumed (presumed fact). Meanwhile, the presumption could be reversed when the business owner of the facility which is the attacker is not a cause of the environmental damages: the burden of proof could be converted in terms of the meaning that the attacker takes the burden of proof for the non-existence of presumed fact. In addition, presumption by law has an effect of converting the burden of proof to the other party. To broke the de jure presumption, disproof is not enough. The counterexample should be proved so the process by the attacker to clarify the non-existence of the presumed fact could be ‘Proof’ Lawsuit on environment has adopted contingency theory for the precedent regarding the presumption of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However among precedents, the decision on the probability could have difference in line with the individual cases. Due to this fact, in accordance with Article 9, Paragraph 1, in regards to the prerequisite of the presumption of the casual relationship on environmental damages, it specifies ‘sufficient probability’, not ‘probability’ like precedent. Moreover, the Article 9, Paragraph 2 suggests detailed standards on the sufficient probability. It is that this act has more detailed requirement than that of three stage requirement to recognize the case and effect relationship in line with the probability theory acknowledged by existing precedents. Accordingly, it is hard to translate that the sufficient probability specified in Article 9, Paragraph 1 is literally legalize the probability theory recognized by the existing precedent when reviewing this with the standard of sufficient probability prescribed in Article 9, Paragraph 2. In this respect, it will be desirable to use the term ‘Facility Suitability’ like German Environment Liability Act, Article 6 rather than using uncertain term, Sufficient Probability in Article 9, Paragraph 1. In Korea, danger liability is understood as the same one with no-fault liability. However, this study doubt it. No-fault liability and danger liability is not the same concept and the both terms are clearly differentiated conceptually. Furthermore, the notion of danger liability and no-fault liability is clearly distinguished. It is common that danger liability and no-fault liability do not require damages. danger liability is not illegal liability but faults on the allowed risky factors so not requiring illegality but no-fault liability imposes liabilities even without fault on the premise of illegal activities. Accordingly, it is fare to understand that danger liability and no-fault liability are toally different concept.

      • KCI등재

        오염물의 확산효과가 존재할 때 환경오염세가 민영화에 미치는 영향

        Wang Fang,이상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4 산업혁신연구 Vol.30 No.1

        본 논문은 두 지역으로 분리되어 있는 시장에서 생산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오염물을 배출하는 경우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공기업과 사기업이 혼재된 혼합복점시장에서 두 지역 간에 오염물의 확산효과가 존재할 때 공기업의 민영화와 환경오염세 간의 정책적 연관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오염세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공기업의 완전민영화가 사회적 환경후생을 최대화하기 위한 정책대안으로서 고려될 수 있으나, 환경오염세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공기업의 부분민영화가 선택되어야 한다. 둘째, 두 지역 간의 오염물의 확산 정도가 약할 때에는 부분민영화가 사회적 환경후생을 최대화하기 위한 정책대안으로 고려되어야 하나, 오염물의 확산정도가 강할 때에는 완전민영화가 선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환경오염세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혹은 오염물의 확산정도가 강한 경우에는) 환경오염세와 민영화 정도는 보완적인 정책관계에 놓여있지만, 환경오염세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혹은 오염물의 확산정도가 약한 경우에는) 환경오염세와 민영화 정도는 대체적인 정책관계에 놓여있다. 따라서, 두 지역 간의 오염물의 확산효과에 따라 민영화와 환경오염세 간의 정책적 대안이 적절히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 피해자 삶의 복원을 위한 환경오염피해의 사회모델 개발 : 오염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김도균,조공장,이재혁,진대용,서은주,김미숙,권오용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서론 ㅇ 오염공동체는 환경위해시설이 입지해 있거나 환경오염 사고가 발생한 우리 사회의 곳곳에서 발견되며, 주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있음에도 정부와 사회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임 ㅇ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염공동체가 경험하는 오염피해의 다양한 양상과 복구과정을 분석하여, 오염피해자들의 삶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한 이론적·경험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함 ㅇ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아래와 같음 - 첫째, 환경오염의 다양한 피해양상 및 복구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환경오염피해의 사회모델 개발 - 둘째, 개발된 사회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례연구 수행 - 셋째, 위 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염피해자들의 삶을 복원하기 위한 정책방향 제안 Ⅱ. 환경오염피해의 사회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 검토 및 분석 ㅇ 본 연구에서는 ‘환경오염피해의 사회모델’ 개발을 위해 사회영향평가, 피해의 사회구조론, 재난복원력, 기술재난 등에 관한 이론적 수준의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학, 인류학 분야에서 수행된 다양한 선행연구, 국내 오염공동체의 통계적 특징 등을 활용할 계획임 ㅇ 관련 이론 및 경험적 연구의 활용방안을 제안해 보면 아래 표와 같음 Ⅲ. 환경오염피해의 사회모델(안) 1. 환경오염피해의 세 가지 경로 ㅇ 환경오염 사고의 오염피해(사회영향)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3개 경로를 확인해야 함 ㅇ 환경오염 사고의 오염피해는 생물리적 환경피해로부터 직접적인 영향(경로 1)을 받지만, 개인 또는 공동체의 복원력 및 취약성 변수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남(경로 2). 그리고 국가기관, 가해기업, 시민사회의 대응과정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음(경로 3) 2. 오염피해 평가변수 ㅇ 오염피해 평가영역을 경제영역, 사회영역, 건강영역, 생명영역 등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음 ㅇ 경제영역(5개)은 생산활동, 생계수단의 변화, 소득과 지출, 재산권, 노동의 변화, 사회영역(7개)은 인구, 가족, 사회관계, 여가, 문화, 교육, 주거로, 건강영역(2개)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마지막 생명영역(1개)은 생명피해 등 총 15개로 구분, 그리고 세부 평가항목 혹은 변수로 28개를 제안함 ㅇ 세부 평가항목은 환경오염 사고 및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변용 및 추가도 가능 ㅇ 평가를 위한 연구방법은 피해자들의 입장이 잘 전달될 수 있는 연구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 3. 복구과정의 변수 ㅇ 환경오염 사고 이후에는 어떠한 형태로든 복구과정이 뒤따르며 복구과정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개입 ㅇ 복구과정에 개입하는 행위자들은 국가, 기업, 시민사회 영역으로 구분해 볼 수 있음 ㅇ 국가영역의 주요 행위자는 정부(중앙 및 지방), 의회, 법원, 시민사회의 주요 행위자로는 피해주민, NGO, 언론(보도), 관련 전문가, 자원봉사자 등을 상정할 수 있음. 그리고 산업자본주의 사회에서 환경오염이 기업 활동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업은 또 다른 주요 행위자임 ㅇ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갈등적이냐, 협력적이냐에 따라 복구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도 있거나 오염피해가 장기화될 수도 있음 Ⅳ. 사회모델 적용: 익산장점마을 사례연구 ㅇ 앞서 구축한 ‘환경오염피해의 사회모델’을 ‘익산장점마을 사례’에 적용해 봄 ㅇ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작은 농촌마을인 장점마을은 마을 인근에 위치한 비료생산 공장(금강농산)에서 발생한 환경오염으로 생명 및 건강 등에 있어 극심한 오염피해를 경험했음 1. 환경오염의 다양한 피해 □ 환경오염의 경험 ㅇ 주민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했던 매연, 악취, 폐수 등의 심각성을 시각 및 후각 등 자신들이 경험한 몸의 감각을 통해 표현 ㅇ 주민들은 냄새로 인한 후각 고통을 가장 심각하게 체험한 것으로 보임. “매캐한 연기”, “코를 찌르는 독한 냄새”, “마치 동물이 썩는 냄새” 등 후각을 통한 고통을 빈번하게 호소 □ 생명 및 건강영역 ㅇ 장점마을 주민들이 받은 가장 치명적인 피해는 생명 및 건강피해로 ‘암’의 형태로 나타남. 암으로 인한 사망과 건강 악화는 ‘돌이킬 수 없는 가장 심각한 피해’라고 할 수 있음 ㅇ 2018년 7월 5일 기준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자 15명, 암 관련 투병자 11명으로 암으로 인한 생명 및 건강피해자는 총 26명 ㅇ 환경부는 암을 유발한 원인물질로 유기질 비료 생산공정에서 불법적으로 사용된 ‘연초박(燃草粕)’을 지적함 □ 경제영역 ㅇ 공장이 가동되면서 마을주민들의 주요 생업인 농업 분야에서 직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함. 농작물 생산 및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 사회영역 ㅇ 공장이 가동되면서 나타난 눈에 띄는 사회 변화로는 이웃 간 그리고 가족 간 ‘일상적인 교류의 감소’를 들 수 있음. 주민들 사이에도 갈등이 발생했지만 갈등이 상대를 적대시하는 강렬한 대립 양상으로까지 격화된 것은 아님 ㅇ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려는 집단적 대응과정에서 협력적 사회관계도 나타남 2. 이해당사자들의 대응 ㅇ 암 발병의 원인 규명과 복구과정에 피해주민을 포함하여 정부, 기업, NGO, 전문가, 언론 등 다양한 관련 행위자들이 개입. 이들은 때론 갈등하고 협력하면서 장점마을 문제에 대응 ㅇ 지방정부, 지역 NGO 및 전문가, 피해주민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가 중요한 역할 수행. 특히 거버넌스는 피해주민들이 동원하기 힘든 과학적 지식과 정보, 다양한 정치사회적 자원을 제공하여 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기여를 함 ㅇ 거버넌스에 참여한 지역 NGO 및 전문가들은 오염물질과 암 사이의 역학적 관련성을 인정받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 현재에는 주민과 주민, 정부와 주민 사이의 소통과 의견을 조율하는 조정자 역할 수행 Ⅴ. 결론 ㅇ 아래와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음 ㅇ 첫째,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오염피해자 삶의 복원을 위한 거버넌스는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조정제도의 위상을 분명히 하고 기계적 중립이 아니라 피해자 중심주의 관점을 취할 필요가 있음 ㅇ 둘째, 피해 공론장의 활성화. 다양한 숙의민주적 방법론(공동사실조사, 시나리오 워크숍, 공론조사 등)을 활용하여 거버넌스와 오염피해(지역) 공론장 사이의 유기적 통합 필요 ㅇ 셋째, 환경오염피해 구제와 관련된 법 개선. 피해의 구제범위 확대하기 위한 환경책임 보험 의무가입 대상 시설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Ⅰ. Introduction ㅇ Contaminated communities are found throughout South Korea―in areas where environmentally hazardous facilities are located or environmental accidents had occurred. Although living in contaminated communities wreaks great havoc on the health of residents and their quality of life, the government and society have not given sufficient attention to these communities. ㅇ Thus, this study aims to build a theoretical and experiential foundation to formulate a policy for supporting the victims of contamination by analyzing various types of damages caused by pollution and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at contaminated communities undergo. ㅇ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 Develop “a model of society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that can be used for analyzing various types of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the rehabilitation process - Conduct a case study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developed model of society -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for rehabilitating the victims of contamination based on the study findings Ⅱ. Theory Review and Analysis for Developing the Model of Society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ㅇ To develop a “the model of society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this study will utilize various previous studies from the fields of sociology and anthropology and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ed communities in South Korea, along with theoretical studies on social impact assessment, social structure of damage, disaster resilience, and technical disaster. ㅇ The plan for utilizing the related theories and experiential studies is shown in the table below. Ⅲ. Model of Society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Plan) 1. Three paths to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ㅇ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ollution damage resulting from an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 it is imperative to check three pathways as follows. ㅇ Pollution damage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s primarily results from a compromised biophysical environment (pathway 1). Depending on the varied levels of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that the individuals or the community have, the pollution damage can manifest differently (pathway 2). In addition, the damage is affected by the countering process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polluter business, and the civil society (pathway 3). 2. Variables of pollution damage assessment ㅇ The pollution damage assessment can be divided into four areas: economic, social, health, and life. ㅇ We suggested 15 variables: five in the economic area (production activity, changes in the way of earning a livelihood, income and expenditure, property rights, and changes in labor); seven in the social area (population, household, social relationship, leisure, culture, education, and housing); two in the health area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and one in the life area (damage to life). We suggested 28 items as sub-variables or assessment items. ㅇ Detailed assessment items can be altered, added, or selectively us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al accident and the local community. ㅇ The research method for assessment can be actively utilized by adopting the method that can convey the standpoint of the victims. 3. Variables of the rehabilitation process ㅇ After each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 a certain form of rehabilitation process follows, which involves various stakeholders. The actors that become involved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business enterprise, and the civil society. ㅇ The main actors in the category of the government (the central and the regional government) include the council and court; the main actors of the civil society include the residents as victims, NGOs, the press (coverage), experts in the field, and volunteers. As environmental pollution originates from the business activities in the industrial capitalist society, business enterprises are also main actors. ㅇ Depending on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actors is cooperative, the rehabilitation can progress rapidly, or the pollution damage can be prolonged. Ⅳ. Application of the Model: Case Study on the Iksan Jangjeom Village ㅇ We applied the developed “model of society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to the Iksan Jangjeom village case. ㅇ Jangjeom is a small agricultural village located in the city of Iksan in Jeollabukdo province. The villagers had experienced extreme damage pertaining to life and health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a fertilizer factory (Geumgang Nongsan)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illage. 1. Various types of damage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 Experien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ㅇ The residents complained about the severity of smoke, foul odor, and wastewater they experienced in daily lives using their senses, including visual and olfactory senses. ㅇ The residents appeared to have experienced the olfactory discomfort the most as they frequently complained about the discomfort related to smell as follows: “smoke that makes eyes burn,” “pungent odor that pricks the nose,” and “smell resembling that of rotting animal carcass.” □ Area of life and health ㅇ The deadliest damage that the residents of the Jangjeom Village suffered has been that to their life and health, which manifested as cancer. Death and worsening health conditions associated with cancer can be seen as “the most severe damage that is irreversible.” ㅇ The number of people who suffered damages to life and health due to cancer as of July 5, 2018, is 26―15 people died from cancer, and 11 people were patients. ㅇ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dentified tobacco leaf as the carcinogen that caused cancers. It had been used illegall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process of organic fertilizer. □ Economic area ㅇ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actory, there was direct and indirect damage to agriculture, the main livelihood of the villagers. This appears to have exerted a negative impact on the production and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 Social area ㅇ Noticeable social changes since the factory began to operate include “a decrease in daily interactions” with neighbors and family members.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villagers, but they did not escalate to the point of a strong enmity. ㅇ In the process of taking collective counter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 collaborative social relationship was also observed. 2. Responses of stakeholders ㅇ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cause of cancers and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various actors were involved―the residents as victims, the government, the business enterprise, regional NGOs, experts, and the press. They dealt with the problem of the Jangjeom Village through conflicts and collaboration. ㅇ The key role was played by the governance that consists of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the regional government, regional NGOs and experts, and the residents as victims. The governance contributed positively to solving the problem by particularly providing the victimized residents with scient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socio-political resources which the victimized residents have difficulty in mobilizing. ㅇ Regional NGOs and experts that participate in the governance play a decisive role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epidemi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llutant and cancer. Currently, they play the role of moderators between residents as well as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residents. Ⅴ. Conclusion ㅇ Some political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 First, it is necessary to build collaborative governance. The governance, which is meant to rehabilitate the victims of contamination, needs to take a clear stance as the social mediation system and adopt a victim-centered perspective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mechanical neutrality. -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ublic forum on pollution damage. It is essential to integrate the governance and the public forum on pollution damage (regional) by utilizing various methodologies that are deliberate and democratic (joint fact-checking surveys, scenario workshops, public opinion surveys, etc.). -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aws related to providing damage relief to victi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also essential to increase the facilities that require a mandatory environmental liability insurance to expand the scope of damage relief. ㅇ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avenues are as follows. - This study is significant from academic and political perspectives as it developed a model of society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with a focus on the victi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condu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pre-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 The model of society in this study still needs to be tested and improved further through application to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cas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to examine whether the model can be applied to cases involving a large corporation or a large contaminated community and whether it can be utilized internationally in Asia where rapid industrialization is underway similar to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