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척도 개발연구

        김연수(Kim Yoen-Soo)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1 여성연구 Vol.81 No.-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적응 척도분석, 포커스집단인터뷰, 설문조사연구등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문화적응척도는 문화적응을 설명하는 이중차원모델(bi-dimensional model)에 근거를 두고 한국문화적응척도와 모국문화유지척도의 2개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 55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구성된 척도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한국문화적응척도는 한국인과의 교류, 한국어 이해 및 구사, 한국전통 및 관습이해, 한국대중매체선호, 한국정체성, 그리고 한국음식선호의 6개요인,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문화적응 개념에 대한 누적설명량은 66.8%, 신뢰도 분석결과 내적일치도 계수는 .93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국 문화유지척도는 모국음식선호, 모국인과의 교류, 모국어 사용, 모국정체성, 모국전통유지, 그리고 모국대중매체선호의 6개 요인,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모국문화유지 개념에 대한 누적설명량은 67.1%, 신뢰도 분석결과 내적일치도 계수는 .87로 양호한 수준으로 산출되었다. 이 척도는 한국사회에서 생활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과 관련한 경험을 반영한 측정도구로서 개발된 척도가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실천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cculturation scal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Korea. Acculturation is defined as a construct which has two independent dimension: ‘adaptation to the mainstream’s culture’ and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in terms of bi-dimensional acculturation model. Based on this conceptualization,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with female marriage immigrants, consultation from professionals of multi-cultural study, and a survey using a purposive sampling in Seoul, Kyeonggi, and Chungcheong area were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In total 554 female marriage immigrants data were analysed.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6 factors were revealed in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scale’ and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scale’ respectively.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scale’ was consisted of 26 items and 6 factors were as follows: social interaction with Koreans, using and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 and custom, preference for Korean mass-media, Korean identity,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These factors showed 66.8% explanatory power and the scale had Cronbach’s alpha .93 in a reliability test.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scale’ was consisted of 19 items and 6 factors were as follows: preference for mother country’s food, social interaction with people from mother country, using mother tongue, mother country’s identity, maintenance of mother country’s tradition, and preference for mother country’s mass-media. These factors showed 67.1% explanatory power and Cronbach’s alpha .87 in reliability test. Also, these two scales revealed proper validity in terms of additional validity tes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최은숙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1

        본고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과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학습자 현황 및 요구 분석을 위해 한국문화적응척도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문화교육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작업으로 부산 지역에 위치한 D대학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적응척도’를 측정하였다. 각 하위 요인 간의 문화적응의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생활문화 이해 및 친숙도’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 >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 > ‘한국어에 대한 친숙도’ > ‘한국어의 사회적인 활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으로의 유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으로 보통 한류를 비롯한 한국 대중문화를 주목한다. 이를 감안하다면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가 가장 높은 적응력을 보일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본 척도의 측정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와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에 대해 긍정적 적응의 양상을 보였다. 한편 현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및 요구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의 경험 및 만족도에 관한 부분과 학습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내용이었다.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과 관련하여 ‘한국사람 및 다른 사람과의 교류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비중이 높았다.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이 사람들과의 교류에 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그리고 한국문화적응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결과, ‘한국인과의 사회 교류 및 대인관계 프로그램’ 과 ‘한국의 일상(전통)문화 이해 및 체험 프로그램’ 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화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인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과 요구를 고려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다양한 사례가 이어지길 바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and learners’ demand for a cultural adaptation program. Korean cultural adaptation criteria and a survey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and demand and a cultural educational program design was proposed. To analyze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Criteria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for foreign students” was employed on foreign students of B university located in Bus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cultural adaptation situation between each subordinate element indicated the following sequence: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ustoms” >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pop culture” > “Familiarity with the Korean language” > “Social uti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survey on programs considered most necessary for Korean cultural adaptability revealed increasing demand for “Program on social interchange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and “Program on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posed various Korean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a variety of concrete program development features to ensure adaptability continues,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emand of foreign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 다문화사회와 국제이민자 문화적응 연구 :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이론적 검토)

        강수경(Kang, Su Kyung)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1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6 No.-

        본 논문은 중도입국 청소년 중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한국 문화 적응 양상과 적응 과정을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선행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한국 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의 시급함과 중요성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 결과 그동안 국제이민자의 문화 적응과 관련한 국내 연구들은 크게 사회과학 분야 심리, 상담, 다문화의 관점과, 교육일반·교육행정의 관점, 한국어 교육학의 세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다.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문화 적응의 문제를 다룬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적응 양상을 다룬 연구와 문화 적응을 측정하는 도구로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국내 체류 재외동포의 문화 적응 관련 연구는 대개 사회과학 일반에서 주로 진행되었고, 러시아어권 동포 청소년을 비롯해 국내 체류 동포들의 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가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진행된 경우는 찾기 어려웠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체류 중인 고려인과 사할린 교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양적 및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그들의 한국어 학습과 한국문화 적응의 어려움, 요구 사항 등을 파악하고 그들의 문화 적응 과정을 진단하여 이들의 한국어학습과 한국문화 적응을 도울 수 있는 한국 문화 적응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aspects of Korea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er, targeting Russian-speaking youth among middle-age immigrants, and to develop a Korean culture adaptation program for th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omestic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of international immigrants have been largely conducted from three perspectives: psychology, counseling,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s in the social sciences, general education/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Here, a series of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adaptation of migrants and overseas Koreans wer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tudies related to cultural adaptation of overseas Koreans residing in Korea, which this paper intends to focus on, are mainly conducted in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psychology, counseling, and multicultural studies.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in that they measure the pattern of acculturation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acculturation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or that the research results are too generalized or subjective, can be pointed out as limitations. With this awareness in mind,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n and Sakhalin adolescents residing in Korea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diagnose their cultural adaptation process. He pointed out the urgent need to develop a Korean culture adaptation program that can help students learn Korean and adapt to Korean culture.

      • KCI등재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문화 경험 연구

        김철희 ( Kim Chul Hee ),조남예 ( Jo Nam Y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6 No.-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생활문화경험 사례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생활경험들의 현상을 분석하여 한국문화적응 과정의 의미를 밝히고 결혼이주여성의 가족들이 건강하게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문화적응의 이주 전 단계는 자신이 살아온 모국과 가족을 등지고 한국에서의 새로운 삶으로의 기대와 희망이며, 그 새로운 삶을 통하여 본인이 바라고 원하는 것들을 성취하기 위함이다. 이주초기 적응은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못하고 집안에서 고립된 생활로 인하여 아주 외롭고, 답답하며, 무력감을 느끼는 적응과정의 가장 어려운 시기를 겪게 된다. 밖으로는 편견과 차별감 그리고 남들의 놀림을 당하며 마음의 고통과 슬픔을 느껴야 했고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정체성을 갖지 못하고 갈등을 겪으면서 더욱 더 떠나온 조국과 가족들을 그리워함을 의미했다. 한국문화적응의 중간 단계는 초기의 수동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태로 사회활동과 여가활동을 능동적으로 주도하고 적응의 어려움을 대처해 나아가며 한편으로는 남편의 폭력과 폭언을 견뎌야 했고, 주위의 차별과 편견을 이해하고 수용해야만 했다. 이는 실패해서 고국에 돌아갈 수 없다는 절박감과 자녀가 좋은 환경에서 잘 성장해가는 모습을 바라보면서 당하는 고통과 어려움을 참고 견디며 위기를 극복해 나아가는 것을 의미했다. 한국문화통합의 단계는 이중언어(二重言語)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고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하게 정체성이 확립되었음을 의미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효(孝) 문화와 인성교육을 통한 사회복지실천과 정책에 관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study analyzed various situations inside daily life experiences through the case studies done with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revealed the meaning of acculturation process, and this research presents a solution of how the families of foreign immigrant women healthily adjust in the Korean society. At the stage before the women immigrate inside the acculturation process, these women turn against their family and motherland where they have lived; however, they anticipate and hope for a new life at Korea, and wish to fulfill the things they have ardently wished for through their new lives. The early adjustment period is the most struggling time of the acculturation process, and the immigrants are not able to freely communicate and they feel lonely, stuffy, lethargic due to the solitary life at home. Outwardly, the immigrants teased and discriminated with prejudice, and their hearts are hurt and they feel sadness. These hardship mean that the immigrants are missing their family and homeland which they have left much more, and that they are conflicting since they do not have identity of being an individual inside the Korean society. At the middle level of the acculturation process, the immigrants are deviated from their initial passive position and they are at the stage where they are able to communicate, actively take lead inside the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and handle the difficulties of adaption. On the other hand, the immigrant women endured the violence and abusive language, and they understood and accepted 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from their surroundings. This means that they have endured their pain and hardship, and have gotten through by watching their children growing well inside a fine environment with a desperate mind that they can not go back to their native country. At the stage of cultural integration, the immigrants are able to freely command dual languages, and this means that their identity of being an individual in Korea has been established. Therefore, implications about social welfare practices and policies for married immigrated women can be put forward through this research study.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 연구

        주월랑(Ju Woalr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양상을 논의하기 위해서 베트남과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였으며, 이후 여성결혼이민자의 각 변수(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적,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거주기간에 따라 문화적응(F=3.076,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기간에서는 언어불안(F=2.829, 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이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국적별로 분리하여 상관성을 측정한 결과,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 문화적응이 높아질수록 언어불안이 낮아지지만,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문화적응이 높아져도 언어불안은 낮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별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의 상관성은 차이가 나타났으나, 결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간, 한국어 학습기관은 문화적응이나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앞서 살핀 본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단순히 제2언어 환경에 단순히 노출되는 상황이 지속 되더라도, 문화적응을 높이면서 언어불안을 낮추기 위한 개인적 및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discuss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of femalemarriage immigrants targe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and China. To begin with, average values of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were measured andafterwards,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of female marriageimmigrants(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the study carried out t 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came up with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residence-length-based cultural adjustment(F=3.076, p<.05) while nodifferences in nationalities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observed. Regarding lengthof Korean language learning, only language anxiety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F=2.829, p<.05). In addition, when the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s of language anxiety, cultural adjustment andeach of the variables, it learn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ould not affect correlationsbetween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However, the nationality -based correlationsurvey showed 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their language anxiety andcultural adjus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en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ose results confirm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the higher their cultural adjustment gets,the lower their language anxiety gets while in term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Vietnam, even when their cultural adjustment increases, their language anxiety doesn’t decrease. In other words, the nationalitie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ad to correlations with language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and yet, no correlations with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anxiety were caused by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What the results above signify is thatin spite of exposure to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personal and social efforts shouldbe required not only to increase cultural adjustment but also to decrease language anxiety.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 적응 연구 - 중국인 학습자와 우즈베크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김윤희,임은진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4 No.-

        이 논문은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 중 중국인 학습자와 우즈베크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 문화 적응의 양상을 비교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다양한 변인 설정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와 우즈베크인 학습자의 한국 문화 적응의 양상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즉, 두 집단의 전공 강의 및 언어 학습과 대학 생활과 괸련된 행정 서비스에 대한 적응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문화 적응 양상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며, 또한 어떠한 요소가 문화 적응 척도 요인에 부정적으로 나타나는지 등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외에도 두 집단의 문화 적응 척도를 국적, 성별, 한국어능력시험(TOPIK) 급수, 학습 기간, 학점과 같이 여러 변인들을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각각의 변인들이 두 집단의 문화 적응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해 보았다. 실험 결과, 국적 변인이 가장 광범위하게 두 집단 간 한국 문화 적응 양상에 가장 큰 영향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러 변인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개인적 요인과 한국어 사용 능력 요인의 항목이 두 집단 간 문화 적응 양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학습 기간 변인은 다른 변인에 비하여 두 집단 간 한국 문화 적응의 차이에 영향력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compares the aspects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to Chinese and Uzbek learners among foreig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hinese and Uzbek learner's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is different through various variables. In other words, by examining the adaptability of the two groups to major lectures, language learning, college life and advanced administrative servic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spects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differ and what factors are negatively related to the 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scale.,In addition, the cultural adaptation scale of the two groups was examined through various variables such as nationality, gender, the number of Korean proficiency tests, learning period, and credits.,This study explored how these variables affect the cultural adaptation patterns of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nationality variables were most widely influenced by the Korean cultural adaptation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items of personal factors and Korean language ability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acculturation pattern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y period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in Korean cultural adap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compared to other variable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 연구: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김연수 ( Kim Yoen S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로서, 문화적응을 한국문화적응과 모국문화유지의 두 차원으로 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인구사회학적 변인, 개인내적변인, 가족변인 및 사회적 변인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로, 복지관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의 사회적 서비스기관을 통해 표집되었다. 총 556명의 여성결혼이민자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연령, 한국거주기간, 거주지역, 한국국적유무, 자아효능감, 가족관계, 사회적지지 및 지각된 차별감이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문화적응 수준은 연령이 어릴수록, 거주 기간이 길수록, 도시에 거주할수록, 한국국적이 있는 경우, 그리고 자아효능감이 높고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와 자아효능감이 이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국문화유지 수준은 한국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주변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그리고 주변사람들로부터 받는 차별감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 체 변인의 문화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한국문화적응이 36.2%, 모국문화유지가 16.2%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대한 지원에서 자아효능감 및 가족관계 증진의 중요성, 다양한 근원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및 사회적 차원에서의 여성결혼이민자의 모국문화에 대한 존중의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으며, 이를 위한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acculturation level, which is measured by an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a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556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Seoul, Keonggi, and Chungcheong area recruited from various community service agencies to complete a serie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ge, the length of stay in Korea, residence area, Korean nationality, self-efficacy and family relation affected the adaptation level to Korean culture. Among these variables the most powerful influencing factors were family relation and self-efficacy. Also, the length of stay in Korea,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ocial discrimination influenced on the maintenance level of mother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self-efficacy and family relation, and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social atmosphere respec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mother culture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배재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교재 분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은 결혼이민자들의 특수한 상황과 목적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은 자신의 나라가 아닌 다른 문화권에서 살아야 하는 만큼 한국생활에 적응해서 살아갈 수 있어야 하므로, 단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이 아니라 한국 문화 자체에 대한 이해를 동반한 문화 적응 교육이 필요하다. 상이한 문화에 노출되어 접촉하면서 개개인이 겪는 문화 적응은 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의 네 가지 유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화 적응 유형을 반영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학생들에게 문화 개념을 이해시키는 단계, 학생 자신의 고유한 시각을 인식시키는 단계, 타인의 문화를 발견하게 하는 단계, 자국 문화와 타인의 문화를 비교하는 단계, 상대화하게 하는 단계, 타인의 문화를 수용하게 하는 단계의)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6단계를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이 연구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우선적으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발간된 한국어 문화 교재 속 문화 교육 방법을 분석해봄으로써 현재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 문화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구안함으로써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education methods of Korean Culture to the immigrant women who are in a multi-cultural marriage.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ducation methods through analyzing the textbooks used to teach the immigrant wome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pecific situation and goals that the immigrant women are in, when constructing the education program. The immigrant women, who are married into a multi-cultural marriage, are in need of cultural education in order for them to adapt to the new culture that are not their own and therefore need not only to learn the language but to understand the culture as well as adapting to the culture. Four patterns of cultural adaptation happen when individuals are exposed to alien culture: assimilation, integr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he author provides a six-stage teaching method of intercultural education by applying the different culture adaptation patterns for the immigrant women. Likewise, this study raises the need of more studies on the method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that are provided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study also understands the status current stat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methods of educating culture in the textbooks used, and the study seeks measures to successfully educate the immigrant women.

      • KCI등재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한 문화적응 가능성의 모색 -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신영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1

        외국어 습득과정에서 학습자는 필연적으로 자문화와 목표언어의 문화 충돌을 경험하게 된다. 언어는 문화의 산물이며 양자는 서로 긴밀하게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학습의 과정에서 문화적 충격과 문화의 수용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외국어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의하여 언어를 통한 문화의 습득을 모색하게 되는데 그 한 가지가 문학의 활용이다. 문학작품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가 함축된 자료이며 언어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교육은 텍스트의 수용 과정에 교육이 개입하여 문학이 독자에게 수용되는 과정에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문학작품을 외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경우에는 언어능력의 향상만이 아니라 학습자(독자)가 작품(텍스트)을 이해하는 과정에 교육이 관여하여 대상언어의 문화를 이해하고 문학작품의 향유도 꾀하게 된다. 또한 그 과정에서 외국어 학습자가 겪는 문화적 스트레스나 문화 부적응은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작품 안에 내재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적응 단계를 거치며 줄어들 수 있다. 그러한 효과는 한국어 문학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국어 문학교육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유학생을 대상으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유학생들이 겪는 1차적인 어려움은 한국어와 대학수업과 관련된 것이지만 대다수가 생활습관과 사고의 차이로 인한 문화적 스트레스와 부적응을 경험한다. 이 논문은 유학생 대상으로 개설된 한국어 문학수업에서 문학작품의 향유를 통해 이루어지는 학습자들의 문화적응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어 문학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능력의 향상과 함께 한국문학에 대한 지식을 쌓고 아울러 이질화와 동질화 경험을 통해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 문화의 수용과 이해를 통해 단편적으로나마 문화적응의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While acquiring a foreign language, learners undoubtedly experience cultural collision between a target language and theirs. It is because language is a product of culture and has been formed through cultural background. Thus, it is natural for learners to accept culture shock and, in the end, embrace it. Considering this point of view, literary works of the target language is one of the best ways to learn a foreign language in education. Literature is historical materials of the people who share the same sentiments, thoughts, and living by using the same language. It contains invaluable abundant linguistic materials. If the literary works are used in the language education, it is possible for the learners to understand culture and improve their linguistic ability of the target language. In addition, the literary works make the learners to ease their emotional feelings by appreciating them. Thus, they can sometimes work as a resource to reduce the learners’ stress and maladjustment to the culture while learning the target language. This fact can also be applied to the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students who have recently grown so fast in colleges in Korea. The international students, first of all, have a problem with acquiring a Korean language and later they experience cultural maladjustment due to different life habits and thoughts. It is certain that by learning Korean literary works, learners can not only improve their linguistic ability, but they also find a way to lessen their cultural stress and maladjustment. This research is for introducing the Korean literary works to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colleges and examining their usefulness.

      • KCI등재

        재한 몽골 중.고등학생의 한국어 능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Jambal Minjinlkh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재한 몽골 중⋅고등학생의 한국어 능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 유형의 조절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립변인은 한국어 능력, 종속변인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조절변인으로 문화적응 유형을 설정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의 모집단은 재한몽골학교 중⋅고등학생이고,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으로 52명(남자: 32명, 여자 20명)을 추출하여 2021.05.10.-2021.05.14.일까지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계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능력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계에서 문화적응 유형인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 중 통합유형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어 교육 향상 방안으로 방과 후 시간에 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을 추가할 필요가 있고, 재한몽골학교 교육과정을 통합 유형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즉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oder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type on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acculturation str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the dependent variable was acculturation stress, and the acculturation type was set as the conditioning variable,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through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Mongoli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52 people (32 men and 20 women) were extracted using a non-probable sampling method and collected data from 2021.05.10.- 2021.05.1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general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the stress of acculturation showed a negative (-)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Korean proficiency had a negative (-) effect on acculturation stress. Third, among the acculturation type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nly in the integration type in relation to the l Korean proficiency and the stress of acculturation. Conclusion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d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culture to after-school classroom teaching, and the curriculum in International Mongolia School should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