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 6차 조사를 중심으로

        이수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한국은 빠른 고령화로 인해 중 고령자의 주된 일자리 퇴직과 노동시장 의 재진입이 여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중 고령자의 경제활 동참여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 6차 기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 며, 주요 변수인 경제활동상태를 미취업자, 임금근로자, 자영업자로 구분 하여 연구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와 ‘경제상태’ 만족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두 만족도의 결정요인은 거의 유사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경제활동상태는 미취업자에 비해 임금근로자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자영업자의 삶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구학적특성 변수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으며, 연령은 만 60세∼만 64세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배우자가 있고 취업 상태일 때는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가 높고, 배우자가 미취업 상태 일 때는 경제상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주지역은 대 도시보다 중소도시, 읍면부로 갈수록 만족도가 높으며,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일 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회적 특성 변수인 ‘친한 사람들과 만남 횟수’는 한 달에 한 번 은 유지 할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상태 변수에서는 최근 2년 이내 무료건강검진 수혜를 받은 대상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고 느낄 때(좋은 편, 매우 좋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특성 변수에서는 가구 순 자산과 총 소득이 많을수록 만족 도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거주 형태’는 자가 소유일 때의 만족도가 非자가 형태일 때 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자 녀로부터 경제적인 지원 여부’ 분석에서는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을수록 전반적인 삶의 질 만족도가 높고, 자녀로부터 지원을 받지 않을 때 경제 상태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그룹 간의 경제 활 동 특성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고령자고용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미취업자, 임금근로자, 자영업자 그룹 간의 동일 조건을 변수 로 설정하는 것이 쉽지 않았고 한국고령화연구패널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세밀한 데이터 수집이 어려움에 대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고령자고용지 원정책이 활발하게 수립되는 사회적 분위기와 2022년까지 정부의 계속 고 용제 정책을 검토 발표 시점에 중 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주목할 부분이다. Due to the fast aging population in Korea, there are many ways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o re-enter the labor market after thei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rticipation of the middle and elderly people in economic activities affects to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The 6th basic survey of the Korean aging research panel data (KLoS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tudy is carried out via adopting different variables by economic activity status as the unemployed, waged workers and self-employed.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is separated to 'Overall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and 'Economic Status' satisfaction, and the determinants of the two are almost simila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in the status of economic activity,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is lower than that of unemployed workers, and the life satisfaction for self-employed workers is higher. Second,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bles, the study shows that women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men, and it shows the most satisfaction at the age of 60 to 64. The survey shows that overall quality of life of women is higher than men who have spouse and are employed. and their economic status satisfaction is higher when they are unemployed. Third, regarding socia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level of satisfaction is higher when they have a regular gathering with close people once a month. Fourth, as for health status variable, those who received free health checkup within the past two years shows high life satisfaction. Also, subjective health status leads high satisfaction when they feel healthy such as Good and Very good. Fifth, in terms of economic characteristics variable, it is analyzed as statically significant that the more household net assets and total incom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In the form of living, satisfaction with self-owned is rather higher than non-owned. In the 'economic support from children' variable,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is getting higher when they receive economical support from their children, and regarding economic status satisfaction is getting higher when they get less support from their childre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may be helpful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employment support policy for the elderly if further study is made on economic activity between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groups. During analysis process, it was not easy to set the same conditions as variables among the groups of unemployed,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groups. There has been a limitation to collect detail data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ging research panel itself. However, considering social atmosphere in progress of establishment for the elderly employment support policy and releasing the government's continuous employment policy until 2022, it is meaningful to note the study of life satisfaction by the economic activity status of the middle and old aged.

      • 은퇴자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고령화연구패널 2차 자료를 중심으로

        홍성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in order to consider functions that can be fulfille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o this end, 2113 respondents,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retired', were selected from the second wave data of KLoSA; their answers were then analyzed to investigate health,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For data analysis, SPSS 18.0 was used to implemen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appeared to be higher among retirees who are of lower age: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with religion: with living spouse: who exercise regularly and receive regular medical check-ups: who own their housing: and who belong to social gatherings. Second, among six social gatherings, the greater numbers of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participating in informal gathering for friendship and religious gathering. However, it was among the respondents wh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that life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Third, when social factors were added into the final model of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 change was the greatest. This shows that social factors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The variables that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inal model of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regular exercise, whether they benefit medical check-ups, whether they own their housing, net asset, monthly pocket money,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and children and whether they participate in any social gathering. In particular, that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with their spouse and their children appeare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is important to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On the other hand, CES-D showed a significant result in the second and the third model but not in the final model. This implies that the social factors that were added in the final model had relatively stronger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an CES-D. According t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n life satisfaction is strong among health factors, it is suggested that retirees can increase their life satisfaction by better assessing their health condition. Second, among the economic factors, housing ownership, net asset and monthly pocket money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hows that when individuals own their housing and economically stable,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can be increased. Third, social factors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In the family welfare field, programs, which enable families to participate and socialize together, are needed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retirees. In addition, participation rates for other gatherings other than informal gathering for friendship and religious gathering were low. Network within community should be formed to raise participation rates for other gathering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retirees, wh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gathering, than those, who participate in other gatherings. The benefit of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is not just for the society as a whole, but also to the retirees themselves in greate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자들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서 사회복지영역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역할들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의 2008년 자료 중에서 응답자 스스로 ‘은퇴하였다’고 응답한 2113명을 추출하여 은퇴자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관련, 경제적, 사회적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18.0 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 때, 현재 배우자가 있을 때,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건강검진 수혜를 받을 때, 주택소유를 하고 있을 때와 사회적 모임에 참여할 때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6개의 사회적 모임 중 친목모임과 종교모임에 참여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셋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의 최종모델에서는 사회적 요소들이 투입되었을 때 설명력의 증가분이 가장 크게 나타나서 사회적 요소가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의 최종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들은 주관적 건강상태, 규칙적인 운동여부, 건강검진 수혜여부, 주택소유여부, 순자산, 월평균용돈,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만족도, 사회적 모임 참여여부였다. 그 중에서 자녀와의 관계만족도와 배우자와의 관계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가족과의 관계는 은퇴자의 삶의 만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우울척도인 CES-D는 모델2와 3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이다가 최종모델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바뀌었는데, 최종모델에서 투입된 사회적 요소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더 컸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건강 요소 중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에 주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에 정신적 및 신체기능, 장애와 질병도 중요하지만 개인 스스로 평가하는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경제적 요소 중 주택소유, 순자산, 월평균 용돈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자가를 소유하고 경제적으로 안정적일 때, 은퇴자의 삶의 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요소는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부분이다. 가족복지의 분야로서, 가족들이 함께 참여하여 어울리고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공하여 은퇴 후에도 가족과의 좋은 관계로 인해 삶의 만족을 증진시켜야 한다. 또한, 사회적 모임의 분석결과에서 친목모임과 종교모임 외에는 참여율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는데, 다양한 모임에 많이 참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내에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자원봉사를 하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다른 모임들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은퇴자들이 자원봉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사회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또한 증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참여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김동해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1

        본 연구의 목적은 Rowe와 Kahn(1998)의 성공적 노화이론을 근거로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및 사회참여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는가? (2) 노인의 우울을 매개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참여활동 여부는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우울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일상생활 수행능력이고, 매개변수는 우울이며, 종속변수는 삶의 만족도이다. 또한 조절변수는 사회참여활동 여부이며, 통제변수는 연구대상자의 성별, 배우자 유무, 자녀 동거여부, 현재 노동여부 등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65세 이상 집단이며, 분석자료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조사로 2006년에 첫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최근 패널 데이터인 8차년도(2020년) 6,488명 중 65세 이상 노인 4,405명이다. 한편, 통계분석은 SPSS 23.0과 AMOS 22.0을 활용하였다.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그래프 작성을 하였으며, AMOS를 활용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및 다중집단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모형에 대한 적합도 지수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고, 측정모형의 검증결과를 토대로 잠재변수 간의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 5개 모두 지지되었다. 먼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직접효과 가설검증 결과,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둘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감소할 것이라는 직접효과 가설검증 결과,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1-2]는 채택되었다. 셋째, 우울 수준이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도는 감소할 것이라는 직접효과 가설검증 결과, 우울은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1-3]은 채택되었다. 넷째, 우울은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부적 방향으로 매개할 것이라는 매개효과 가설검증 결과,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1-4]는 채택되었다. 끝으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회참여활동 여부가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사회참여활동 집단이 비참여활동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2-1]은 채택되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 삶의 만족도 중 특정한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단선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세 변수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사이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뿐만 아니라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구성 요소인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소들의 관계 검증을 통해 노인을 위한 다양한 노인 맞춤형 사회복지정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주요어: 일상생활 수행능력, 삶의 만족도, 사회참여활동, 성공적 노화이론,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elderly's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s)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between these two variables, based on Rowe and Kahn's (1998) successful aging theory. is to verify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Does depress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L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doe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ADLs, the parameter is depress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variable wa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and the controlling variable was the research subject's gender,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whether or not children lived together, and current working statu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national group aged 65 and over, and the analysi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data. The Korea Population Research Panel (KLoSA) is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was first conducted in 2006,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05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among 6,488 people in the 8th year (2020), which is the latest panel data. . Meanwhile,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3.0 and AMOS 22.0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and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graph was prepared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AMOS. The goodness of fit indices for the measurement model of this study were generally good, an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measurement model,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latent variables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all five research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were supported. First, as a result of the direct effect hypothesis test that the level of the elderly's daily living abilit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elderly's daily living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ypothesis 1- 1] was adopted.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rect effect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would decrease as the level of the elderly's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increases, it was verified that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life of the elderl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Hypothesis 1-2] Adopted.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rect effect hypothesis that life satisfaction would decrease as the level of depression increased, it was verified that depres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Hypothesis 1-3] was adopted. Fourth,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of the mediating effect that de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Ls and life satisfaction in a negative direc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ADLs of the elderly on depress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mediating effect. [Hypothesis 1-4] was accepted. Finally, through multi-group analysis, we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would control the influence of ADLs on depression. 2-1] was adopted. In previous studies, many studies were performed that unilinearl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pecific variables among ADL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ut studies that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were limited.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t only a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the influences of the elderly's ADLs on life satisfaction, but also a moderating effect of the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tivating various customized social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were derived. Keywords: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s), life satisfaction, social participation, successful aging theory, KLoSA

      • 중.노년층 음주 행태 변화가 인지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

        강혜숙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7

        목적 :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KLoSA) 2018, 2020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노년층의 음주행태변화가 인지장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치매로 진행될 수 있는 인지장애의 발생 예방 및 관리에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는 2018년, 2020년 조사대상자 총 5,562명 중, 1,126명이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해당 대상자의 2018년 및 2020년 간의 음주행태변화, 2020년 인구사회학적변수 및 건강관련변수가 2020년 인지장애수준(24점 이상: ‘정상군’, 24점 미만: ‘인지장애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평균비교, 카이제곱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는 연령, 학력, 배우자유무, 가구소득수준, 현재흡연상태, 보유질환수, 규칙적운동여부, 음주태도변화, 음주량변화, 음주횟수변화는 인지장애수준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은 변수들의 추가적인 인과 관계 규명을 위해, 종단연구 방법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 : 본 연구는 일부 적정 음주 사례를 제외하고 음주횟수 및 음주량을 포함한 음주태도가 부정적인 군이 인지수준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자 중심의 적절한 음주 관련 중재 정책이 매우 중요하며, 음주 폐해 예방 사업을 통해, 알코올 중독 및 부정적 음주행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 시켜야 한다. 주제어 : 한국고령화연구패널, 음주행태, 인지장애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Objectives : This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2018 and 2020 data to identify the effect of changes in drinking behavior i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on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gnitive impairment that can progress to dementia. Methods : In this study, 1,126 out of total 5,562 survey subjects in 2018 and 2020 were selected as final analysis subjects. Changes in drinking behavior between 2018 and 2020 of the subject, demographic variables and health-related variables in 2020 will be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in 2020 (24 points or more: 'normal group', less than 24 points: 'cognitive disorder group').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 frequency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 This study found that age, education, spouse presence, household income level, current smoking status, number of diseases, regular exercise, change in drinking attitude, change in alcohol consumption, and change in drinking frequency were very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follow-up studies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not clearly explained in this study. Conclusion : This study represented that the group with negative drinking attitudes, alcohol consumption, drinking frequency had an overall negative effect on the cognitive level, except for some moderate drinking cas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n appropriate alcohol-related intervention policy centered on the elderly, and awareness of alcohol addiction and negative drinking behaviors should be raised through projects to prevent harmful effects of drinking. Key words: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drinking behavior,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 남녀집단 비교연구

        권성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우리 사회가 고령사회로 들어서면서 노년기 건강한 삶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이루기 위하여 신체적, 사회적 측면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한데 특히 노년기에 인지기능은 노인의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의 배제로 인한 삶의 질 수준의 제고 및 기능적 독립성과 관련이 깊은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 기존 노인복지 관련 연구들에서는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을 넘어서서 성공적 노화를 어떻게 이룰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찾기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인지기능 손상이 치매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인지기능 손상을 늦추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최근 급격한 치매 확산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치매의 원인과 예방 및 치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한 치매국가책임제의 실시를 통해 국가차원의 치매의 원인과 예방 및 치료에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년기 인지기능 문제는 정신의학적 치료 뿐 아니라 소득보장, 건강보장, 사회적 관계와 지원 등과 같은 사회복지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를 뒷받침하는 최근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 등의 사회 구조적 관점의 접근을 통한 인지기능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로 인한 노인층의 인지기능 저하와 우울로 인한 치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지기능 저하, 우울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연구의 배경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사회의 주요 관심사인 노후 인지기능과 관련된 사회적 배제와 우울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병리학적 관점과는 다른 심리, 사회적 접근을 통한 인지기능의 저하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짚어보고자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조적 관점을 중심으로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 한국고령화패널 6차년도의 원자료를 사용하여 4,584명의 연구대상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경로분석, 남녀비교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레핑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인지기능 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배제가 높을수록 인지기능이 낮게 나타나는 직접 효과와 동시에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를 알 수 있었다. 넷째, 남녀 노인의 경로 차이 검증 결과 남녀 노인의 경로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남녀 다집단 분석결과에서 중요하게 시사하는 점은 남녀 노인 모두에게서 사회적 배제가 우울을 경로로 인지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는 것이며, 이러한 결과는 남녀 노인 모두에게서 사회적 배제가 인지기능의 변화에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다섯째, 남녀 노인의 다 집단분석과정에서 통제변수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즉 배우자가 있는 여성 노인의 경우 인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남성 노인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가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인지기능에 대한 의·과학적 연구에 국한된 접근을 심리·사회구조적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국내에서 사회적 배제가 노년기 인지기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동시에 분석한 첫 연구이고, 나아가 그 관계에서 성별 비교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노후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을 감소시키는 사회복지적 실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과 정서 및 정신건강을 위한 남녀 노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사례관리 등을 제언할 수 있다. As our society has become an aged society, the problem of healthy life in old age is getting serious. Comprehensive consideration, including physical and social aspects, is needed to achiev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especially in old age, and cognitive func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deeply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independence due to exclusion from the social structure of the elderly. Existing studies on senior citizens' welfare have sought to find interest in how successful aging can be achieved beyond simply living long. In particular,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impairment is likely to proceed with dementia, raising the need for policy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slow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the problem of the rapid spread of dementia has recently emerged, raising interest in the caus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To prevent this, social interest in the caus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mentia at the national level is increasing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for dementia. It has been argued that the issue of cognitive function in old age requires social intervention such as income security, health security, social relations and support, as well as psychiatric treatment. A recent study supporting this has raised the need for various studies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s through approaches from a social and structural perspective, such as social exclusion.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the study was the fact that despite the continuous increase in dementia caused by depression and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due to social exclusion, 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were not mad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epression related to old cognitive function, which is a major concern of the aged society, and to find out how to respond to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through psychological and social approach, which is different from pathological perspe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social structural perspectiv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4,584 people were analyzed using raw materials in the sixth year of the Korea Aging Panel in 2016. A path analysis using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as analysis methods. In addition, bootstrap tests and soul test te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xclusion of the elderly has been verified as a factor that lowers cognitive fun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has been verified. Thir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um effect of depression showed that it was partially mediate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ocial exclusion, the lower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decline of the cognitive function. Fourth, the verification of the path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enior citizens showed that the path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enior citizens was not significant. Despite these results, the important implication of the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men and women in this study is that social exclusion has resulted in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 both men and women as a path to depression,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confirm that social exclusion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in both men and women. Fift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ontrol variables during the multi-group analysis process of men and women. In other words, female senior citizens with spouses ar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ir cognitive abilities, while male senior citizens are found to have no influence, indicat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approach limited to medical and scientific research on cognitive function to psychological and social structural areas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exclusion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simultaneously analyze the relationship in which social exclusion directly affects the cognitive function of old age in Korea, and furthermore, it looked at gender comparisons in that relationship. Based on this,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in old age, it is possible to suggest social welfare practices that reduce depression, need for policy support, and customized case manage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male and female senior citizens for emotional and mental health.

      • 노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분석-

        김진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change over time. The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aging panel was analyzed by the latent growth model for the elderly from 2008 (60-80 years old) to 2016 (68-88 years old).   The subjects were 1,478 males (41.9%) and 2,049 females (58.1%). The average age was 69.07 years in 2008, 70.89 years in 2010, 72.72 years in 2012, 74.49 years in 2014, and 77.25 years in 2016. to be. The final subjects were 3,572 elderly people who responded to follow-up surveys from 2008 to 2016. As the research method added socio-demographic factors as control variables, the conditional model was se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of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supported the linear change model, so that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was used using the linear change model. The model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and two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type and quality of life, the rate of change in hobbies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travel and tourism activities, cultural arts and viewing activities, and various leisure activitie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change in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only the initial valu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y, lifelong education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ate of chan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arious types of leisure activities have positive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at the slope of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increases steeply as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crease. In other words, th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promo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various leisure activities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 importance of various leisure activities was emphasized in the middle and late middle age, which is the pre-aged stage in the theory of sustainability. In addition, policy support and practical measures were discussed to support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programs continuously. 본 논문은 노인의 취미 및 오락활동, 여행 및 관광활동, 문화 및 스포츠관람활동, 평생교육활동,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한국고령화패널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를 활용하여 2008년 기준 60세 이상 80세 이하 2016년 기준 68세 이상 88세 이하의 노인에 대한 종단자료를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남성노인이 1,478명(41.9%), 여성노인이 2,049명(58.1%)를 차지하고 있으며 평균연령은 2008년 69.07세, 2010년 70.89세, 2012년 72.72세, 2014년 74.49세, 2016년 77.25세이다. 최종 분석 대상자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추적조사에 응답한 노인 3,572명이다. 연구방법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변인으로 추가하게 됨에 따라 조건적 모형을 선택하였으며, 여가활동의 다양성과 삶의 질은 선형변화모형을 지지하게 됨에 따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가활동 유형별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취미 및 오락활동, 여행 및 관광활동, 문화 및 스포츠관람활동, 다양한 여가활동의 변화율이 삶의 질 변화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여가활동을 할수록 삶의 질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반면에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 평생교육 활동의 초기치이 삶의 질 초기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노년기 이전 단계인 중장년기의 다양한 여가활동이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노년기에도 지속적으로 다양한 여가활동 및 여가프로그램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정책적 함의와 실천적 방안을 논의 하였다.

      • 한국 중국 일본 3국간 고령화에 대한 비교 연구와 중국 고령화 정책에 대한 시사점

        LIU CHEN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447

        세계 경제수준의 발달로 인구 고령화가 인류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인 중국은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고령화 진행 과정과 고령화 대응 정책 비교를 통해서 중국의 고령화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1979년 중국의 개혁·개방정책에 따른 사회·경제수준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중국의 의료·위생 수준도 발전하였고, 이에 따라 주민의 삶의 질은 계속 향상되었다. 그러나 1979년 이후 중국의 출산계획 정책은 중국 인구의 고령화를 심화시켰다. 세계보건기구 발표에 따르면 2050년에는 중국의 80세 이상 노인 인구가 1억 1500만 명에 이를 전망이다. 일본은 세계에서 고령화 수준이 매우 높은 나라이고,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른 나라이며, 중국은 노인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이다. 중국, 한국, 일본, 3국은 지리적 위치와 문화적 배경이 비슷하고 다함께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일본은 고령화가 일찍 시작된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고령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유럽 및 미국과 차별화된 고복지 국민노후체 계를 구축하였다. 한국도 고령화 추이를 빠르게 포착하고 국내 관련 정책 및 법률을 적시에 조정해 연금보험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상의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먼저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고령화 발전 과정 중 인구 구성, 노년 부양비, 인구 성장률의 변화 과정과 경제적 영향을 정리하고 비교한다. 이후 세 나라가 고령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늦추기 위해 취한 서로 다른 정책 방안을 정리하고 분석한다. 일본 정부는 고령자의 취업을 적극적으로 촉진하여 고령 노동자를 보장한다. 또한, 양로서비스산업을 대대적으로 발전시키고 국외노동력의 유입을 유치하여 본국의 노동력의 부족을 완화시켰다. 한국 정부는 사회 복지 정책을 조정하여 노인들에게 사회 보장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 동시에 자국의 노인 산업을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현재 중국의 고령화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 중 연금보험제도에서 노인에게 기본적인 생활 보장을 제공하는 것은 노인의 소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신산아제한정책의 시행은 출생 인구를 증가시키고 고령화의 증가 속도를 둔화시켰다. 정년 연장 정책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어느 정도 완화하고 정부의 연금 압력을 완화했다. 위의 고령화 정책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향후 고령화 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양로 제도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경험을 배우고 조속히 장기적인 사회 노후 정책계획을 수립한다. 둘째, 제조업 부문의 산업적 우위를 활용하여 노인 산업을 적극 발전시킨다. 셋째, 한국과 일본 정부의 사회 복지 정책 조정을 참고하여, 출산 관련 보상정책, 완전한 의료보장 정책, 기업의 노인 고용을 보장하는 정책을 도입한다.

      • 중국과 한국의 고령화가 사회·경제적 발전에 끼치는 영향분석 : 북경·서울의 지역을 중심으로

        동경곤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30

        인구는 경제활동의 주체이며 경제발전의 주요 참가자 와 추진자이다. 인구의 변동은 반드시 경제의 변동을 일으키며, 한 나라의 경제를 연구하는 것은 인구의 주요 요소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한 나라의 인구 변동은 총 인구 규모, 노동, 인구 연령 구조, 인구 분포 등 여러 방면으로 국가의 경제와 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경제의 과잉 효과로 인근 국가의 인재 공급과 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경제에 대한 연구에서 인구요인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구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노인 인구의 성장은 21세기 세계 각국에서 광범위하게 주목하는 중대 과제 중 하나인 인구 고령화 문제를 가져 오게 됐다. 인구 고령화는 경제 발전이나 국가 인구 조정 정책이 나타나는 요인이다. 선진국이든 개발도상국이든 대부분 인구 고령화 현상이 나타난다. 지역별, 발전 단계별에 따라 인구 고령 문제를 나타내는 형식은 다른 것이 뿐이다. 전체적으로 인구 고령화의 심화는 한 나라의 인구 연령구조를 뚜렷하게 바꿀 뿐만 아니라 노동력 공급, 저축 등 각종 경제 변수들 또한 바꾸다. 이러한 지속적인 영향은 한 걸음 한 걸음 경제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인구 고령화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면 한 나라의 경제 성장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게 될 것이다. 아시아 지역 인구 고령화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로서 한국과 중국이 있다. 이 두 나라의 인구 정책의 실시 및 고령화 과정의 발전은 일정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지만, 한국 사회의 고령화 진입 시간이 중국보다 빠르기 때문에, 한국의 고령화 문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중국보다 먼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한국 인구 고령화 심화 과정 및 연구 과정에 따른 경제의 영향은 중국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선례가 될 수 있다. 중국에서 인구 고령화는 미래 경제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중국 경제는 안정적인 발전을 실현하려면, 반드시 중국 인구 고령화 심화의 특징과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선례를 참고하여 중국 경제상황에 적합한 고령화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것도 본문의 주요 연구 목적 중의 하나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많은 문헌 연구를 참조하고 중국의 베이징시 통계국과 한국의 서울 통계국에서 많은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리고 각 웹 사이트에서 제공된 참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 논문을 작성했다. Population is the main part of economic activity, the main participator and facilitator of economic development. The change of population inevitably causes economic change, and studying a country's economy must take full account of the main factors of population. Population changes in a country involve all aspects of population size, labor, age structure and population distribution,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untry'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economic surplus will affect the supply of talent and industries in neighboring count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economic research to give full consideration to population factors. As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population, the aging of the population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elderly has become one of the major issues of concern in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Population aging is a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or national population adjustment policy.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problem of aging of the population is presented in different forms a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in different regions. Overall, the aging population will significantly change the age structure of a country's population and the supply of labor. There are various economic variables such as supply and savings. This lasting impact will also affect the structure of the economy step by step, and failure to properly understand the problem of aging populations will seriously affect a country's economic growth. Korea and China have some similarities in implementation of population policy and the aging process, but overall, the time of Korean society entering the aging process will arrive in China, so the development of aging will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economy. In China, population aging is a major economic and social problem in China's futur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o achieve steady economic development, China must fully re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influencing economic growth. Based on this, we should draw on the Korean experience to find a way to solve the aging of the Chinese economy. This i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ferences many literature studies on low fertility and aging, and analyzed many data from Beijing Municipal Bureau of Statistics in China and Seoul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in Korea. The paper was then completed using the reference data provided by each web site. The main body of the study is composed of six major components. Chapter I centering on problems caused by aging populations to introduce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II, including the concept of aging and the current worldthe background of an aging population. Chapter III: China and South Korea Passes the Representative City OldActual Conditions and Causes of Aging Chapter IV. The aging of society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effects of economic development Chapter V. A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Security Policies in the Two Countries China's economic development situation has delayed the aging process by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policy measures and Korea's major policy measures to address and put forward the question of future population aging in China, and put forward proposals for delaying development. economic development Chapter VI, through research, the following are the main points to be derived.What are the conclusions? (1) The aging population of Korea and China There is a certain similarity in the development process. First of all, the rate of aging in both countrie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is has led to an aging population of developed and economic growth in both countries. The problem of aging is more rapidly complicated. (2) The aging process of the two countries is rapid, except for the traditional life"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level and life expectancy, the population policy adopted by the governments of the two countries is also responsible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aging"The main reason is that the population policy of the two countries is to serve economic development. The two countries consider economic development. This will hamper population growth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As the economy grows, both countries adopt a policy of controlling the popul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opulation. Based on the many problems in implementing negative population policies, the two sides have been advised to adoptive approach to population management. Countries recognize that appropriate population growth is also important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are beginning to implement positive population policies to alleviate aging. (3) Population Problems Caused by Aging Decreased sex and fertility rates and increased burden of child support are issues that both governments must pay attention to. According to the survey, China and South Korea have both countries.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on population aging mainly affects the change of consumption structure.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income of the elderly decreases, and the unique needs of the elderly are due to the need for physical quality""We hope to realize the medical, health and housing needs of all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market."increase in educational consumption and decrease in demand for food, etc. But the elderly are relatively limited in terms of quantitative testing, and their consumption trends are not apparent across the market. Therefore, the role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not obvious. (4) The effect of aging on labor productivity in both countries is 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 reduction of labor for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abor have resulted in higher productivity in both countries as a whole and in industry. Industry restructuring is a multi-pronged decision. Aging is just one of them. Shadow.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two countries has shifted to a more efficient direction. The proportion of the service sector has been on the decline, and the proportion of the service sector has been on the rise.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South Korea and China can learn from each other and supplement each other with policies and solutions to slow down the aging problem. As a result, the problem of aging has been even more serious so far, China and South Korea hav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blem of aging, especially Korea's advanced rates as a developed country enter the ageing stage Prior to the aging process, the Chinese government implemented the senior citizens of the Korean government. Based on the experience of neighboring countries, Korea's old-age pension policy against the aging of small capital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its neighbors. Policy making provides a lesson.

      • 중국유학생 재한(在韓)장기거주 의향에 관한 연구

        장효과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99

        The aging in Korea has been already a serious issue at all. Recently, among OECD nations, Korea was reported as suffering from most fastest aging issue and ranked No. 1. Besides, in fact, he is only country that has ranked less than 1.3 of birth rate for thirteen years. This is a outstanding phenomenon, which could never have been found in any other societal groups in human history at all. Indeed, Korea is country in which aging has been happening at rapid rate than any other countries and its birth rate has been decreasing steeply, too. The aging index is a rate of more than populations at age of 65 compared to populations at less than age of 15, in one society. Indeed, it is a index, which is to show the degree to which society ages. If we compare aging index in 2003, which was merely ten years ago; 41.3%, and in 2013; 80%, we can definitely find that it has jumped more than two times. Moreover, it is expected to record 12.2% of oldest populations at more than age of 65 among overall population this year. Of course, such issue has not been only limited to Korea. However, it is desperate issue that we must suggest many other alternatives whereby we can work on such rapidly growing speed of aging. Among various alternatives that have been suggested up until now, there was a suggestion, which says that we can try to host the excellent foreigners. In other word, if young exchange students from somewhere else, who better understand Korea culture, live in Korea or are naturalized, it could be fairly good solution for solving most of aging issue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has been in transition from one certain ethnic group, to the society of multi-cultural family. According to census of Education Ministry in 2013, among overall students(56,715) who has been going to Korean universities, 64.67%(36,683) were Chinese(including Chinese resident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analyze which kinds of factor affect long-term sojourn of Chinese exchange students by keeping focus on this point and to affirm it with empirical study. At first, it classified a whole point of consideration for long-term sojourn with pilot study, into linguistic capability, cultural adaptation, social distance, economic environment, career development and school adaptation, and we conducted survey with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Korea. The questionnaire used 5 point Likert scale that has been mostly utilized in area of psychology. According to outcome from survey, we could confirm that those all the fore-going factors affect long-term sojourn. Next, school adaptation and economic environment affects long-term sojourn in order. On top of that, linguistic capability, cultural adaptation social distance were found as most superior factors that affect it. However, unlike what we expected before we had conducted survey, the cultural adaptation was most powerful factor that affects it and social distance was found as second factor. According to theory of Hofstede, there is highest percentage that students, who have been doing well at school, can do much more better in society. Therefore, it would be more helpful to exchange students if we not only provide them with academic curriculum for learning Korean linguistically but also with help for narrowing social distance. What is more, is that if Chinese exchange students adopt into school in Korea nicely, more of them would intent to stay for a long time and it could be judged that lowest birth rate/aging issue would be worked out as well. ?????公布的“2013年出生??”?据?示,??的?和生育率(每名女性在15至49?的??生育?量)只有1.187。?2001年(1.297)起,????13年人口出生率低于1.3,在?合??(OECD)中成?低出生率?持??最?的?家。??老?化速度也相?快,在近40余年???老?人口增加了3倍,?速度?位于OECD之首,?高于OECD平均水平(1.6倍)。?能解?此??,??政府已?累?投入了超?100万??元(?1000?美元)?算,出台了包括??生育、增加?育?用?助、?不孕不育夫?支援治??、上?育?休?工?、大????半等各?措施,但?未收到明?的成效,目前??低出生率的????有得到根本??。 ?此同?,?在??社?正逐步?以前固有的?一民族,向多文化社???,所以??社?中出?了可以吸?外?人移民??解低出?率,老?化??的提案和?音。?可以吸?外??秀人才或留?生留??期居住作?解?低出生率和老?化??的方法之一。而在?的留?生中,中?留?生的?量最多,?然在?中?留?生中存在??制度,社?,?育等??,但如果能掌握中?留?生?于?期留?的意向?度,??今后在??吸?外?人的方案上?有所?助。 本?究首先了解在?外?人,外?留?生和中?留?的??。然后,?可能使中?留?生在??期居住?生影?的原因?行?念解?,推?各?影?因素??中?留?生?期在?居住意向的?系。接下?是?中??生的?卷??,通????卷的?果?一步?明各?影?因素?于中?留?生在??期居住影?的强弱度。本?究在最后??部分,提出?文中的制?点,改善方案和以后的?究方向。 한국의 고령화 문제는 이미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최근에는 OECD 국가 중 고령화 속도가 1위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고 실제로 13년째 합계 출산율 1.3명 미만의 기록을 세운 세계 유일의 국가이다. 이는 인류 역사상 일찍이 어느 사회집단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초유의 현상으로, 세계에서 가장 빨리 고령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출산율이 급감한 나라이다. 고령화 지수는 한 사회에서 15세 미만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말한다. 말 그래도 한 사회의 고령화 정도를 보여주는 수치인 것이다. 한국 사회의 고령화 지수가 불과 10년 전인 2003년에 41.3%이던 것과 2013년 80%라는 수치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상승한 셈이다. 그뿐만 아니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노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12.2%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이 같은 문제가 한국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에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 제시가 필요하겠다. 현재까지 제시된 여러 가지 방안들 중 우수한 외국인들을 유치하자는 주장이 있었다. 즉 한국문화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젊은 유학생들을 한국에서 장기 거주 또는 귀화 하면 한국의 고령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사회는 단일 민족사회에서 다문화가정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2013년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 대학에 재학 중인 전체 외국인 학생(56,715명)의 64.67%(36,683명)가 중국인(중국 동포 포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중국인 유학생 장기체류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 실증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장기체류의 선행요인을 언어능력, 문화적응, 사회적 거리감, 경제 환경, 경력 개발, 학교생활 적응으로 보고 한국에서 유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선행요인이 장기체류에 확실히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력 개발이 장기체류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학교생활 적응과 경제 환경이 순차적으로 장기체류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언어능력, 문화적응, 사회적 거리감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애초에 예측한 것과 달리 문화적응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거리감이 다음으로 나타났다. 언어능력은 오히려 가장 약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Hofstede의 이론에 따르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면 졸업 후 사회생활도 잘 적응할 확률도 크다. 따라서 현재 한국 대학에서 한국어 능력만 집중적으로 지원하기보다 문화적응과 사회거리감을 해소하는 것이 유학생에게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중국인 유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면 졸업 후 장기 체류 의도가 높아지고 나아가 한국의 저출산-고령화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