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兒童의 生活環境에 따른 道德判斷 能力과 學業成就와의 關係

        김진원 공주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aimed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ement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based on living environment on the ground of the moral development theory of Piaget and Kohlberg. The specific problem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ex and moral judgement ability of children based on living environment. (2) What relationships are there between moral judgment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ex and living environment of children.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this study. 150 students are sampled, they are male 75, female 75 between 4rd grade of the S. C. elementary school of K si and Y.H.C.S. elementary school of H. gun in Choong cheong Nam Do. The questionnaire of moral judgement are used as a instrument of measurement. The correlation, t test, and One-way ANOVA are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and liv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moral judgement ability was not verified to b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but was verified meangful difference by the living environm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ement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 correlation and it was higher on femal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higher on students of apartment area and students of urban non apartment area than students of rural. .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 about the correlation coeffidient, it was verified to be meaningful difference by the sex and living enviroment.

      • 도침 가공 기법이 전통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진원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단절되었던 전통 도침가공 기술을 복원함으로써, 지류유물에 대한 보존, 복원 및 복본화용 고급 전통한지 제조기술을 확보하여 실제 유물에 부합하는 한지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단절되었던 전통적 도침 방법 황촉규, 미분별지 방법과 물도침만을 쓰는 오늘날의 도침 방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침 방법의 개선을 위해 쌀가루와 황촉규 점액을 혼합하여 도침처리를 실시했으며, 도침지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쌀가루 도포 후 도침 가공 처리 시 한지의 평량 증가, 두께의 감소로 인해 원지 및 물도침보다 밀도 높은 도침지를 얻을 수 있었다. 열화 특성 분석 시 쌀가루 처리가 원지 및 물도침, 황촉규 처리보다 백색도 증대와 황색도 감소를 보였다. 물리적 특성 분석 시 멥쌀가루보다 찹쌀가루가 평활도 향상, 투기도 감소, 인장강도 감소율이 우수하였다. 발묵 특성 결과 멥쌀가루가 찹쌀가루보다 먹의 번짐이 선명하고, 양호한 면적 및 길이를 나타냈다. 물리적 특성 및 발묵 특성 결과 찹쌀가루가 도침 처리 시 적합한 원료로 판단된다. 쌀가루와 황촉규 점액을 혼합 처리 시 쌀가루만 처리했을 때 보다 낮은 물리적 특성 및 발묵 특성을 보였지만, 원지 및 물도침, 황촉규보다 양호한 특성을 나타냈다. 2회 도침 처리 시 1회 도침 처리로 형성된 도침지의 지층 파괴 및 도포 물질의 탈락으로 물리적 특성 및 발묵 향상을 저하시켰다. 이에 1회 도침 처리 시 한지를 파괴하지 않고 질 좋은 한지를 만들 수 있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by restoring the extincted traditional Dochim processing technology, it was intended to secure high quality traditional paper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preservation,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of paper-related relics and to manufacture Hanji that corresponded to the actual relics. The extincted traditional Dochim method used Hwangchokgyu (Hibiscus manihot root extractives) and rice flour, and today's method is using Mul-Dochim(technique of spraying water on the Hanji). Both metho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improve Dochim processing, it was performed by mixing rice flour and Hwangchokgyu mucilage, and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using Dochim paper. After the application of rice flour at Dochim processing, it was possible to obtain higher density paper than before with higher basis weight and lower thickness. In the weathering analysis, the rice flour treatment showed higher brightness and lower yellowness than base paper, Mul-Dochim, and Hwangchokgyu processing. In the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glutinous rice flour increased smoothness, reduced air permeability, and reduced tensile strength than those of nonglutinous rice flour. As a result of ink spreading measurement, glutinous rice flour showed a more regular spread of ink and smaller area and longer length spreading than those of nonglutinous rice flour. As a result of physical properties and ink spreading measurement, it was considered that suitable raw material for the high quality Hanji was processed with glutinous rice flour. When treatment with rice flour and Hwangchokgyu mucilage together it showed lower physical properties, ink spreading properties than when processed with rice flour only, but showed better properties than base paper, Mul-Dochim and Hwangchokgyu. In the case of the two times of Dochim process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ink spreading improvement were lowered than those of single Dochim processing by the destruction of the Dochim layer formed by the single Dochim processing and the detachment of the coating material.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single time Dochim processing could make high-quality Hanji.

      • Ducted-Fan 초소형 무인항공기 비행제어시스템 설계

        김진원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a consequence of Modeling and Control system design for a Ducted-Fan MAV has been conducted. Modeling of a Ducted-Fan MAV is composed of body, rotor, control surface, gravity, and gyroscopic moment described in body-axis coordinate system. Force acting on the body is a drag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airspeed, and yawing control torque cancels out the anti torque generated by the rotor. Thrust generated by the rotor actually propels the MAV, which has larger effect than the force generated the duct. The lift generated by duct helps little while the drag of the duct in forward flight dominates. Analysis on forward flight reveals that the pitching moment would restore the vehicle to its hover posi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rotary wing aircraft, a ducted-fan MAV has more efficient thrust performance due to the duct-effect. A flight control system was designed to stabilize this unstable MAV. Rotor RPM and four individual control flap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body. Several stability derivatives are found important for design of flight control system. PID Controller was designed for Ducted-Fan Micro air vehicle.

      • 응답진도법을 사용한 지중구조물의 지진응답해석법

        김진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중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위한 등가정적해석법으로 응답변위법과 응답진도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응답진도법은 지중구조물의 최대응답을 동적 유한요소해석의 최대응답에 근사하게 예측하는 유사정적해석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응답진도법을 사용한 지진해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응답진도법을 사용한 지중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수행할 때 결정해야 할 지반의 수평모델링범위와 자유장지반의 지진진도결정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응답진도법 유한요소해석모델의 지반영역 수평모델링범위를 구조물 높이(H)의 0.5배~3배인 경우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KIESSI-2D를 사용한 지반-구조물 상호작용(SSI)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석예제는 1층 본선박스구조물과 2층 정거장 구조물로 설정하였고, 다양한 지반조건에 대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예제해석 결과, 응답진도법과 SSI 해석결과가 매우 유사하여 정확성을 확인하였고, 지반의 수평모델링범위는 1H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며, 자유장해석으로부터 구한 높이별 수평진도는 구조물의 상단과 하단의 상대변위가 최대가 되는 시점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보수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응답진도법에 의한 해석결과에 1.15~1.20을 곱하여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Seismic deformation method (SDM) and ground response seismic coefficient method (SCM) are used as the static equivalent force analysis for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underground structure. In particular, SCM is widely known as a pseudostatic method that predicts maximum response of underground structure, which is close to that of dynamic finite element analysis. But there are few domestic studies on seismic analysis using SCM. This study deals with methods of earthquake intensity of free-field ground and the range of horizontal modeling on which people make decisions when they use SCM to perform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of underground structure. To do this, the range of horizontal modeling of the ground area of finite element modeling is adjusted to half to tree times of the structure height(H), and the analysis is compared with that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SSI) which uses KIESSI-2D. Analysis examples are performed on 1-story line box structure and 2-story station structure, and the earthquake response analysis about various ground conditions is performed. The examples show the accuracy of SCM since the result of SCM is quite similar with that of SSI. They also show that the range of horizontal modeling of ground should be more than 1H, and horizontal intensity of various heights which is calculated from free-field analysis should be used when relative displacement of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structure becomes maximum. In addition, the examples inform that, for conservative design method, the result of SCM should be used after multiplying the result by 1.15 to 1.20.

      • WDM 블록과 Mini-DIL 패키지를 사용한 집적형 Triplexer 제작과 특성 측정

        김진원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광학설계 소프트웨어 CODE V로 광학계를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집적형 WDM 블록을 사용하여 3가지 파장을 갖는 집적형 광 Triplexer를 제작하였고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정밀한 세라믹 재질의 서브마운트 위에 LD Holder, PD Holder, 마이크로 볼렌즈, 필터, 레이저다이오드(FP-LD) 그리고 PIN 포토다이오드(PIN-PD)등을 집적하여 집적형 광 Triplexer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집적형 블록은 Mini-DIL에 부착하여 Au Wire Bonding을 하고 이를 능동 광정렬 장비를 사용하여 특성을 측정하였다. Triplexer 광모듈 제작에는 1310nm 투과 1450~1560nm 반사 필터와 1310~1490nm 투과 1550nm 반사 필터에 1310㎚ 레이저다이오드, 1490㎚ 포토다이오드와 1550㎚ 포토다이오드로 제작하였고 볼렌즈를 사용하여 광경로를 설계하여 제작 및 측정을 하였다. 능동 정렬 시스템으로 레이저다이오드 구동전류가 30mA일 때 제작된 집적형 Triplexer 모듈을 볼렌즈로 집광하여 광섬유에 입사되는 광파워을 측정하였다. 1310nm LD의 광결합 효율은 11.6%로 최대 광파워는 -14.4dBm으로 측정되었다. 광정렬 Tolerance를 측정한 결과 X축과 Y축 방향 모두 FWHM이 18um 이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개의 PD는 송신부가 최대 광파워로 정렬된 상태에서 1490nm PD와 1550nm PD의 자동정렬 수신부 Responsivity는 각각 0.73A/W, 0.83A/W의 값을 나타내었다. 광학 설계프로그램인 CODE V를 사용하여 광 경로를 설계 결과와 제작 시 광 초점의 위치가 볼렌즈에서 약 269um로 거의 일치함을 알 수가 있었다.

      • LCP 환아에서 골괴사의 평가방법으로 연골하 골절선과 자기공명영상의 비교

        김진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Legg-Calve-Perthes(LCP)병은 소아의 대퇴골두에 발생하는 골괴사로서, 대퇴골두의 괴사정도가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대퇴골두의 괴사정도의 측정법으로 흔히 Catterall 분류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Catterall분류법은 진행된 병기인 균열기 이후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초기 병기에 예후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연골하 골절선(subchondral fracture)은 LCP병 초기에 나타나며 대퇴골두의 일부가 허혈된 뒤 재관류 후 나타나는 병적골절이다. Salter와 Thompson은 연골하 골절선이 LCP병이 진행하며 나타나는 골흡수 정도와 잘 일치하며, 연골하 골절선이 골괴사 정도를 나타낸다고 주장하였으며, Salter-Thompson분류법을 제안하였다. 저자들은 LCP 환아에서 연골하 골절선을 이용한 골괴사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골괴사를 비교하고, 두 방법에 의한 골괴사 범위와 추적검사상 대퇴골두의 골흡수 정도와 일치하는가를 알기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Purpose: To compare the Salter-Thompson classification and MR volume method for assessing osteonecrosis in Legg-Calve-Perthes(LCP) pateients. Material and methods: We retrospetively reviewed 15 hip joints with MR images and plain radiographies which visualized subchondral fracture. With basis of the Salter-Thompson classification, extent of necrosis was graded group A to B, as follows; Group A= <50%, B= >50%. On PACS workstation, necrotic area of each MR image was measured to calculate the volume of necrotic portion: volume = necrotic area × slice thickness. Necrotic areas on MR images were graded group A to B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measured in Salter-Thompson classification. On follow up, bone resorption was measured and the extent was compared with Salter-Thompson classification and MR volume method respectively. Results: In 9 joints of 15 hip joints(60%), the degree of necrosis in Salter-Thompson classification on plain radiography was different from that on MR volume method. Based on Salter-Thompson classification, the degree of necrosis was overestimated in 6(67%)joints, and underestimated in 3(33%)joints compared with MR volume method. On follow up study, bone resorption was not correlated with Salter-Thompson classification and MR volume method. Conclusion: The necrotic extent of femoral head with Salter-Thompson classifica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n MR and was not correlated with bone resorption on follow up. Therefore, usefulness of subchondral fracture as a prognostic factor may be limited.

      • 쇼핑가치, 점포속성 및 과업상황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의류점포내 감정을 중심으로

        김진원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xtensively consumers affect as related to shopping value, store attributes, and task situat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ffect and their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to provide marketing suggestio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tore attributes as related to shopping value and task situation on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2) to examine direct effects of store attributes and task situations on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3)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on their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4)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value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5)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on attitudes toward store, revisit intentions, the dollar amount spent on shopping, and purchase intentions; and 6)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shopping value with the dollar amount spent on shopping and purchase intentions.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conducting pre-test twice. The pretest was done with 802 females in twenties to forties to explore underlying factors of shopping value, store attributes, and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A total of 593 females in twenties to forties who visited apparel shops in department stor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k-means clustering, multiple regression, ANOVA, duncan-test, generalized logit model, x2-test, and t-tes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onsumers shopping value was consisted of two factors which were hedonic shopping value - belief that people consume products and services based primarily on the desire to experience pleasure and happiness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 belief that people consume products and services to fulfill basic needs.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shopping values. The subjects with hedonic shopping value showed that salesperson, visual merchandising, and sales promotion were related with positive affect, while salesperson and product value were related with negative affect.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with utilitarian shopping value showed that product value and salespers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affect, while product value and customer services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affect. Second, it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attributes and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in different task situations. In self-usage situation, salesperson and product value had positive influences on consumers affect while salesperson, customer services, and visual merchandising had negative influences on consumers affect. In gift-giving situation, product value and salesperson were related with consumers positive affect while product value and salesperson were related with consumers negative affect. Finally, in browsing situation, salesperson, sales promotion, and visual merchandising had positive influences on consumers affect while visual merchandising, product value, customer services, and sales promotions had negative influences on consumers affect. Third, among the three task situations generated from the factor analysis, gift-giving situation was examined further to explore whether different gift giving motivations have relationships with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or not. The subjects who were high in obligation and in self-interest showed that product value, customer services, and merchandise mix had positive influences on consumers affect while product value, salesperson, customer services, and visual merchandising had negative influences on customers affect. The subjects who were high in obligation and low in self-interest showed that product value had both a positive and a negative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ffect. The subjects who were low in obligation and high in self-interest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tween store attributes and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Finally, the subjects who were low in obligation and in self-interest showed that salespers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s affect. Forth, among diverse store attributes, salesperson, product value, and sales promo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consumers positive affect. Salesperson and product value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consumers negative affect. Fifth, from the analysi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task situations and their affect experienced in-store,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in self-usage situation possessed more positive affect than those in browsing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in browsing situation or in self-usage situation showed more negative affect than those in gift giving situation. Sixth, it was examined whether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have relationship with their purchasing behavior or not. The subjects who experienced more positive affect such as satisfaction, excitement, or interest had higher tendency in compulsive or unplanned purchasing behavior than in non-purchasing behavior. On the contrary, the subjects who felt more negative affect such as nervousness, dissatisfaction, or restraint had higher tendency in non-purchasing behavior than in planned purchasing or in compulsive or unplanned purchasing behavior. Seven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hopping value and purchasing behavior. The subjects with utilitarian shopping value showed higher tendency in planned purchasing and in non-purchasing behavior than those with hedonic shopping valu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with hedonic shopping value had higher tendency in compulsive or unplanned purchasing behavior. Eighth, consumers positive affect experienced in-store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ttitudes toward store, revisit intentions, the dollar amount spent on shopping, and purchase intentions while consumers negative affect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s with attitudes toward store, revisit intentions, the dollar amount spent on shopping, and purchase intentions. Finally, the subjects with hedonic shopping value spent more money on shopping than they had planned, and showed higher tendency to purchase apparel products they had looked around.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점포에서 소비자가 경험하는 감정을 쇼핑가치, 점포속성 및 과업상황의 맥락에서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의 경험적 측면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고, 쇼핑시 소비자가 느끼는 감정이 소비자행동을 설명하는 유용한 변수임을 파악하여, 마케팅의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쇼핑가치 및 과업상황에 따른 점포속성이 점포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둘째, 점포속성과 과업상황이 각각 점포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셋째, 점포내 감정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넷째, 쇼핑가치와 의복구매행동과의 관계를 밝힌다. 다섯째, 점포내 감정이 점포에 대한 태도, 재방문의사, 쇼핑금액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여섯째, 쇼핑가치와 쇼핑금액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밝힌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2차례의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통해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첫째, 소비자의 쇼핑가치, 점포속성 및 점포내 감정의 구조파악을 위하여 20-40대 여성 802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쇼핑가치, 점포속성 및 과업상황의 다차원적 맥락에서 이들 변수와 점포내 감정과 소비자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백화점내 의류점포를 방문한 20-40대 여성 59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k-평균 군집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 duncan-test, 일반화 로짓(logit) 모형, x²검증,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쇼핑가치는 2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쇼핑을 즐겁고 흥미로운 일, 재미있는 경험, 일상으로부터의 탈출이라고 생각하는 쾌락적 쇼핑가치와 쇼핑을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 의무, 필요한 제품을 구매하는 행위만으로 생각하는 효용적 쇼핑가치로 추출되었다. 쇼핑가치에 따라 집단을 세분화한 후, 쇼핑가치 집단에 따른 점포속성이 소비자의 점포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쾌락적 쇼핑가치 집단의 경우, 판매원, VMD 및 판매촉진 요인이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판매원과 제품의 가치 요인으로 나타났다. 효용적 쇼핑가치 집단의 경우는 제품의 가치와 판매원 요인이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에는 제품의 가치와 서비스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류쇼핑시 소비자의 과업상황에 따라 점포속성 요인이 소비자가 점포내에서 경험한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사용 상황에서는 판매원과 제품의 가치 요인이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판매원, 서비스, 및 VMD 요인이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물 상황에서는 제품의 가치와 판매원 요인이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인 감정에도 제품가치와 판매원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우징 상황은 판매원, 판매촉진 및 VMD 요인이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VMD, 제품의 가치, 서비스 및 판매촉진 요인이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업상황중 선물 상황만 따로 분리하여 선물동기에 따른 점포속성이 점포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선물을 하는 동기가 의무감이 높고 호의감을 얻고자 하는 정도가 높은 경우에는 제품의 가치, 서비스 및 제품의 구색 요인이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의 가치, 판매원, 서비스 및 VMD 요인은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물동기가 의무감이 높고 호의감을 얻고자 하는 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제품의 가치가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감이 낮고 호의감을 얻고자 하는 정도가 높은 경우에는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무감이 낮고 호의감을 얻고자 하는 정도도 낮은 경우에는 판매원 요인만이 긍정적인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양한 점포속성이 점포내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판매원, 제품의 가치, 판매촉진 요인이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판매원과 제품의 가치 요인은 부정적 감정에도 역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의류쇼핑시 소비자가 과업상황에 따라 점포내에서 느끼는 감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자기사용 상황과 브라우징 상황이 선물 상황보다 긍정적 감정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고, 브라우징 상황이나 자기사용 상황보다 선물 상황의 경우 부정적 감정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소비자가 의류 쇼핑시 점포내에서 경험한 감정이 실제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비자들이 점포에 와서 경험하게 되는 흥미, 즐거움, 충족감 등과 같은 긍정적 감정을 많이 느낄수록 비구매 확률에 비해 비계획구매 확률이 높아지고, 불안감, 불쾌감, 부담감 등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많이 느낄수록 계획구매나 비계획구매 확률에 비해 비구매를 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쇼핑가치와 의복구매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쇼핑가치와 의복구매행동유형은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용적 쇼핑가치 집단은 쾌락적 쇼핑가치 집단에 비해 계획구매율과 비구매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쾌락적 쇼핑가치 집단은 효용적 쇼핑가치 집단에 비해 비계획구매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소비자가 점포에서 경험한 감정이 점포에 대한 태도와 재방문의사 그리고 쇼핑금액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점포내 긍정적 감정은 점포에 대한 태도, 재방문의사, 쇼핑금액 및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부정적 감정은 점포에 대한 태도, 재방문의사 및 구매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쇼핑가치에 따른 집단간에 쇼핑금액 및 구매의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쾌락적 쇼핑가치 집단이 효용적 쇼핑가치 집단에 비해 쇼핑전에 예상한 금액보다 더 많이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고, 당일 둘러본 의류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