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역할

        김미선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decision making factors between a career decision while entering a college and a career decision while attaining a job.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we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2nd and 3rd grader male students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J city, Gyeongsangnam-do, South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the identified regulation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f the groups between a career decision while entering a college and a career decision while attaining a job, and there was a statistical meaningful mean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 group for college admission and the student group for employment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career decision while entering a college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career decision attaining a job,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s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also positively significant. Third, in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inclin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student group for college admission, only individualism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rinsic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hile for the student group for employment only collectivism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identified and intrinsic regulation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본 연구는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와 진로결정자율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경상남도 J시에 소재한 특성화고 2, 3학년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학생들의 진로결정을 살펴본 결과 진학이 29.8%, 취업이 70.2%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하였고,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의 진로결정자율성의 하위변인인 확인된 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였고, 학교생활만족도에서도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의 평균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진학집단에서 독립변인인 개인주의와 종속변인인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취업집단에서는 집단주의와 종속변인인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진로결정자율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우선, 진학 집단의 경우, 개인주의만이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집단의 경우, 집단주의만이 진로결정자율성의 확인된 조절과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조절 두 개의 변인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에서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진학집단에서는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동기가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집단에서의 집단주의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진로결정자율성의 확인된 조절도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동기와 더불어, 유의하게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의 학교스트레스,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효성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내적 요인(학교스트레스,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환경적 요인(교사의 사회적 지지)과 그 요인들 간의 관련성과 단계적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 소재 4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아동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학교스트레스,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교사의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트레스,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교사의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만족도는 서로 높은 상관이 있고, 아동의 학교스트레스,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열세 개의 하위요인 중에서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요인들은 첫 번째는 교사의 평가적 지지, 두 번째는 학업스트레스, 세 번째는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내적원인, 네 번째는 교사스트레스, 다섯 번째는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외적원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아동의 학교생활만족도와 관련한 연구를 통하여 학교교육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였고, 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상기 시킨 것이다. 이상의 결과와 의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학교생활만족도가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환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학교생활만족도가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생활 요인을 알아보고, 학교생활 안에서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구학적 변인 따라 학교생활만족도, 학교폭력 경험유형 및 학교폭력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2. 학교생활만족도와 학교폭력 경험유형 및 학교폭력태도 간의 관계가 있는가? 3. 학교생활만족도가 학교폭력 경험유형에 영향을 미치는가? 4. 학교생활만족도가 학교폭력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3개교와 중학교 1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1학년 4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강윤정(2006)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본 척도는 학습활동,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환경,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의 다섯 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학교폭력 경험유형은 Salmivalli 등(1996)이 고안한 도구를 기초로 서미정(2008)이 개발한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학교폭력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청소년보호위원회(2003)에서 개발하고 장금순(2005)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교생활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남·여학생 모두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는 학교폭력 경험유형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지만 학교폭력태도와는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도는 학교폭력 경험유형 중 가해, 피해, 단순방관 및 가해동조 유형과는 부적 상관을, 피해자를 방어하는 도움행동을 하는 유형과는 정적 상관을 가졌다. 셋째,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영역 중 교우만족도는 단순방관 유형에, 학습만족도와 교우만족도는 가해동조 유형에, 학교환경만족도는 도움행동 유형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생의 스포츠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

        임기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포츠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교사들에게 교육 정보를 제공하고 학교 체육 발전을 위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와 충청북도에 재학 중인 6학년 63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스포츠 참여유형간 참여도와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 및 학교생활 만족도 유형간의 차이, 스포츠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를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의 스포츠 참여는 성별, 거주지, 가정생활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포츠 참여 유형간 참여 정도는 행동적 참여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의적 참여와 인지적 참여 수준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성별 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모든 영역에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았다. 경제적 생활수준 요인에서는 상위권에서 스포츠 참여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위권, 하위권 순이었다. 둘째, 배경 변인별 학교생활 만족도는 거주지, 가정생활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거주지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는 소도시의 택지개발지구 내의 아파트 학생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대도시, 중도시 아파트단지, 농촌지역의 학생들 순이었다. 가족구성별로는 정상가족인 핵가족과 대가족이 결손가족에 비해 규칙준수와 학습활동 영역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가정생활 수준은 상위권에 있는 학생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위권, 하위권의 순이었다. 셋째, 스포츠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적 참여는 교우관계, 학교행사 요인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쳤고, 정의적 참여는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규칙준수, 학습활동, 학교행사 요인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초등학생의 스포츠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스포츠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초등학생들의 스포츠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ynthet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ir school life, to provide the teachers with the helpful informa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and the planning of poli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39 students of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located in Gyeonggi and Chungbuk province. The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sex and residence, of family configuration, of the standard of lif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in the light of their participation in spor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ir school lif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statistical way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were one way analysis of variation(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according to the following factors; sex, region, the standard of life. Among the participation type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as the highest in the behavioral participation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ere similar between affective participation and cognitive participation. Specifically, in sports, the male students' degree of particip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the factor of the standard of lif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was the highest in the high standard of life, and in the case of middle the second and low stand of life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the third. 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 such as region and the standard of life. In case of male students appeared a bit high compare with female students, but difference that I noted statistically didn't appear at sex. School life satisfaction along residence was small city, big city, middle city and farm village, in the descending order mentioned. In family configuration, A normal family students' degree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was higher than that of a parentless family or a single-parent. In the factor of the standard of lif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was the highest in the high standard of life, and in the case of middle the second and low stand of life their degree of participation the third.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in the spor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lso, the behavioral participation in sports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factors such as relations with friends, relations with teachers, the events in the school. The affective participation has had an great effect on the factors such as relations with friends, relations with teachers, students' learning activity, rule observance and school event. In conclusion,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 participation in spor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factors of population statistics theory and there exist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school life.

      • 미용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지민경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Korea, a variety of industries are facing rapid changes. Especially, knowledge-based industries are dramatically developing enough to be so remarkable in the world economy. In the country, recently,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being increasingly established. Among them, beauty high schools already have long existed. They have their own department of beauty in accordance with their foundation purpose. There are still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ho apply for that department. For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are the most important issues. If they fail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students may suffer severe internal conflic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of school education is to make students, who are about to start their life in earnest, realize the importanc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nd have an occupational view that lead them to be sound, competitive professionals.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beauty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nd determine how much the satisfaction influences the maturit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eded to create career guidance materials and programs for increasing thos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nd ultimately help the students have a high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preliminary research from May 25th to June 15th, 2013 by mak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50 students attending at beauty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In this cas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65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n, a modified and supplemented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After that, the researcher surveyed 400 students attending at beauty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by using that version which consisted of 54 items. In this case, total 400 copies of the form were distributed, and 389 of the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between beauty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as investigated to find that ther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students' career maturity as a who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a whole. Second, beauty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class and learning activities is the factor that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their career maturity.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s also affects their career decisiveness, reality consideration and career maturity as a whole. And thos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ir future job has influences on their reality consideration and career maturity. Third, the effects of beauty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distribution of their career maturity were examined to find that th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the distribution is. In case that they are placed low on the distribution of career maturity, students should be raised in social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satisfaction in order that they can show improvement in their career maturity. In case that they are placed very low on the distribution, students should be promoted to raise their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s in order that their can have their career maturity improved. High on the distribution of career maturity, students should be induced to reduce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s in order that they can make their career maturity higher. If placed very high on the distribution, students need to be raised in satisfac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in order that they can make their career maturity even high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eauty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ir career maturit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the career guidance of those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stud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it worked with students of beauty high schools located only in Busan. Therefore, subsequent researches should focus on such high schools around this country.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of beauty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lots of special counseling programs and career guidance directions that are positive and future-oriented should be created and developed.

      • 초등학교 고학년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정협 목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수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내실화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체육수업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지역 소재 남학생 155명, 여학생 145명 총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재미요인 설문지와 수정·보완한 또래관계, 학교생활만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사전에 선정된 조사대상자가 소속된 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장과 지도교사, 조사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실시하였다. 먼저 설문지를 조사대상자에게 배포하고, 설문조사의 목적과 응답요령을 설명한 다음에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g method)으로 설문내용에 응답하도록 지시하고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했다. 자료는 window ver.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빈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설정된 집단과 재미요인, 또래관계,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재미요인, 또래관계, 학교생활만족도의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보였기 때문에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체육수업 재미요인에 따른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와 같은 절차로 분석을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체육수업 재미요인에 대한 또래관계 회귀분석 결과 기술향상과 일상탈출을 제외한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은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강도측면에서는 체육수업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중에서 친구사교가 또래관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체육수업 재미요인에 대한 학교생활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기술향상을 제외한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강도측면에서는 체육수업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중에서 친구사교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또래관계에 대한 학교생활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또래관계 모든 하위요인에서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강도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중에서 신뢰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un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on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he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lso intended to presen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by providing it as basic data of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5 male students and 145 female students in M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un factor questionnaires, the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greement of the principal, the teachers, and the subjects who were selected in advance. Firs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ubjects, the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answer method were described, and then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be answer by a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collected and used as the analysis data. Data were compu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using a window ver.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set by general characteristics, fun factor,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post-test was conducted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fun factor,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verification of multicollinearit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un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eer relationship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un factors of the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was proved that the fun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cept the improvement of skills and getaway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er relations. In terms of intensity that affects school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sociability with friends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among sub-factors of fun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the fun factors of the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the fun factor of physical education class except the improvement of skil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intensity that affects the duration of exercise, it was proved that sociability with friends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of fun factor. Third, regression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n peer relationship showed that all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intensity that affects the duration of exercise, trust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 인간주의 교육과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학교생활만족도 제고 방안 연구 : 성격강점과 학교 상·벌점제도 비교 중심으로

        신재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C. H. Patterson의 ‘인간주의 교육’과 M. E. P. Seligman의 ‘긍정심리학’, 학교 상․벌점제, 그리고 학생 인권 등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여 주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한 주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부수적인 효과를 본다면 현재 대한민국의 공교육이 점차 그 힘을 잃어 가고 있음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교사들의 권위를 다시 회복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자의 두 번째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준비한 자료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과정 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교 상․벌점제에 대한 설문 자료, 학교 성적과 상․벌점 누계 점수, 성격강점 척도, 학교생활만족도 척도에 대한 분석 자료 중에서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총 174명의 자료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연계 학생이다 보니 자연히 여학생들의 비율이 낮았다.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위에서 제시한 척도들 간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상벌점제도와 성별, 학업성적, 상․벌점 점수, 성격강점/덕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상벌점제도, 상․벌점, 성별, 학업성적과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성격강점/덕목과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성격강점/덕목과 학교 상․벌점제도, 성별, 학업성적, 상․벌점 점수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서 학교생활만족도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아낸 사실로서 상․벌점 제도를 시행함에 있어 반드시 고려돼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학교는 학생과 학부모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합리적인 생활규정을 만들어야만 한다. ② 상․벌점을 부여함에 있어 공정하고 객관적일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③ 벌점보다는 상점을 위주로 제도를 운영함으로서 학생들의 감사성향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④ 상․벌점을 부여받은 학생들의 긍정적인 행동변화가 있어야만 학생들은 이 제도를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으며 그것이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⑤ 학생들의 성격강점과 상․벌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민의식강점, 심미안, 감사, 낙관성, 유머, 영성강점에 해당하는 초월성덕목을 함께 기르면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성적향상을 위해 경쟁적으로 시험을 봐야 하는 교육적 풍토에 의해 점점 더 사교육은 증가되고 있는 현재의 입시위주의 교육풍토에 대해 반성하고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서 새로운 모습의 교육적 환경을 전면적으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본 연구자의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아주 오래전 Aristotle로부터 시작된 ‘인간주의 교육’의 철학을 재정립하여 인간주의적인 교육을 시킬 수 있는 학교가 돼야 할 것이다. 즉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서, 자신의 감정 표현에 솔직한 ‘진실 된 교사’, 학생들에 대한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그들에 대한 ‘공감적 이해’의 품성을 개발해 나가는 학교와 교육기관이 돼야 할 것이다. 둘째, Seligman 박사와 그의 공동 연구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학생들의 성격 강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추어 개개인의 강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인성지도’를 해야 할 것이다. 긍정심리학적 강점 개발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우선적으로 교사들 스스로부터 자신의 강점을 파악하고 약점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강점을 인정하고 약점을 보듬어줄 수 있는 덕성이 생길 수 있다고 본다. 이것이 현재 쓰러져 가는 교사의 권위를 세울 수 있고 올바른 공교육의 기틀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학생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24개 성격강점 중에서 시민의식강점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특히 초월성 덕목의 심미안, 감사, 낙관성, 유머, 영성의 강점을 키우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와 학교 그리고 교사들은 이에 맞춰 학생들의 인성을 개발하고 그들을 바르게 지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도입과 개발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주요어: 인간주의 교육, 학교 상․벌점제도(Green Mileage System: 학생생활평점제), 긍정심리학, 성격강점/덕목, 학교생활만족도, 학생인권, 칭찬, 낙관성, 학습된 무기력

      •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조은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Discipline Style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Learning attitude and The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Eun young Cho Major in Education Metho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that the child has perceived and the child'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ir level of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n line with this research objective, the study has suggested the following questions by theoretically considering the concept of discipline, its objective, different styles of discipline, the concept and elements that compose the child'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First, does the child's perception on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change in meaningful ways depending on the child'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is there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and the child'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ir satisfaction on school life? Third, how does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affect their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and grade? In orde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e researchers collected 560 children from grades 4 to 6 who are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se students, asking questions about the children'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Poor responses were eliminated and a total of 541 surveys were analyzed. The researchers referred to an advanced research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school life. When examining various discipline styles, a survey that was developed by Tomal (1998) and adapted and revised by Lee Sun Young was used.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was tested by using "The Academic Attitude Test" which was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1985). Children's satisfaction on school life was measured by a survey that was used Kang Yoon Jeong's research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eachers and their Satisfaction on School Life".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program through which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discipline styles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age and the teacher's gender, t-test was cond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low-rank factors was examined through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and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school life,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iscipline styles on the chid's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ir satisfaction on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have been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rules and research method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s of teachers depending on the child's background variables. Compared to male students, a greater number of female students perceived support-type and negotiation-type discipline, which are the two discipline styles that offer a high level of student support for female students. Abandon-type, coerce-type and compromise-type, which are three discipline styles that offer relatively low levels of support for male students, were perceived by male students. Seco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child's perceived discipline style of the teacher and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school life.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e styles and the child's attitude towards learning, the child showed the most positive attitude when he/she perceived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as support-type; negotiation-typ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attitude. When examining differences by gender, in female students who tend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earning compared to male students, both support-type and negotiation-type had a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and for male students, support-type had a higher positivity than negotiation-type. This indicates that for male students, support-type, which has a lower level of coercion than negotiation-type, is an appropriate discipline style, an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when support-type discipline was taken by the teachers. In terms of differences in academic attitudes by grade according to different discipline styles, support-type and negotiation-type had positive effects, and as the grade went up, negotiation-type had a higher level of influence. In grade 6, negotiation-type discipline had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This indicates that for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a higher level of student support and a low level of coercion on rules are effective in bringing out positive attitudes from students, whereas for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teachers should increase the level of coercion on rules while providing student support. Thus, when it comes to student discipline, teachers should apply different levels of coercion in each grade while increasing the level of student support. Teachers should also keep in mind that this method can maintain positive attitudes towards learning among students, and they should continue to develop effective discipline styles based on this consideration. Next,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e styles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the child's satisfaction experienced the greatest effects when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was support-type and negotiation-type. When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was compromise-type, abandon-type and coerce-type, students' satisfaction on school life was negatively affected. This showed a similar resul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ipline styles and academic attitude.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support-type discipline, which has a high level of student support and a low level of coercion on rules, positively affected the child's academic attitude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Support-type discipline, which encourages as much conversations as possible with students and expresses interests and emotions towards students, is positively affecting the students. Moreover, compromise-type discipline, which has a moderate level of support and coercion, was found to have the most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ttitude and satisfaction on school life compared to the coerce-type discipline, which presents a low level of student support and a high level of coercion on rules.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아동의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훈육의 개념과 목적, 훈육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태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개념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훈육유형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은 아동의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 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은 아동의 성별 및 학년에 따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580명을 표집하여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로 검사하였다. 그 결과 불성실한 답변을 한 경우를 제외한 541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고자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훈육유형검사에는 Tomal(1998)이 개발한 질문지를 이선영이 번안하여 수정한 것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학습태도 검사에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1985)에서 개발한 초등학교용 <학습태도검사>를 활용하였으며, 학교생활만족도는 강윤정(2006)의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설문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2.0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아동의 성별, 나이, 담임선생님의 성별에 따른 훈육유형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고, 다변량분석(MANOVA)를 통해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들과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과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그 유의도를 검증하고, 훈육유형이 학습태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에 따라 규명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훈육유형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이 학생에 대한 지원이 높은 교사 훈육유형인 지원형과 교섭형을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남학생들은 학생에 대한 지원이 낮은 포기형, 강요형, 타협형의 교사유형을 많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은 아동의 학습태도, 학교생활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훈육유형과 아동의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동이 교사의 훈육유형을 지원형으로 지각할 때, 아동의 학습태도가 가장 긍정적이며, 교섭형의 훈육유형도 아동의 긍정적인 학습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남학생에 비해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갖고 있는 여학생의 경우, 지원형과 교섭형의 훈육유형이 둘 다 긍정적인 학습태도와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지원형의 훈육유형이 교섭형보다 학습태도에 정적 상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의 경우 규칙에 대한 강요정도가 높은 교섭형보다 강요정도가 낮은 지원형 교사의 훈육태도가 바람직하며, 남학생 여학생 모두 학생에 대한 지원은 높아야 긍정적인 학습태도 형성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훈육유형에 따른 학습태도의 학년별 차이에서도 역시 지원형과 교섭형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교섭형 훈육유형의 영향이 높아지며, 6학년의 경우 교섭형이 학생의 학습태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훈육활동 시 저학년은 높은 수준의 학생 지원과 낮은 수준의 규칙 강요를 해야 학생이 긍정적인 학습태도 갖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고, 고학년의 경우 높은 수준의 학생 지원을 하되, 규칙에 대한 강요정도를 높이는 훈육태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는 훈육에 있어서 학생에 대한 지원정도를 높게 하면서 규칙에 대한 강요정도는 학년에 따라서 달리 하여야 학생의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훈육활동을 전개해야 하겠다. 다음으로 훈육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보면,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 중 지원형과 교섭형일 때 학교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타협형, 포기형, 강요형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훈육유형과 학습태도와의 관계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높은 학생지원과 낮은 규칙강요의 특징을 갖는 지원형의 훈육태도가 아동의 학습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는데, 학생과 많은 대화를 하려 노력하고, 학생들에 대한 높은 감정이입과 관심을 나타내는 지원형 교사의 훈육태도가 학생들에게 바람직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교사의 학생지원이 가장 낮고 가장 높은 규칙강요의 특징을 갖는 강요형교사보다도 중간 정도의 학생지원과 강요정도를 보이는 타협형 교사가 학생의 학습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학교스포츠클럽에 참가한 중학생의 스포츠몰입경험과 학교생활만족도 연구

        장준용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새롭게 시행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스포츠몰입경험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스포츠클럽활동 참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국내 선행연구에서 설문지를 신뢰도와 타당도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했던 도구를 가운데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변인에 따라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특성에 따른 스포츠몰입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3가지인 성별, 학년, 학업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다. 성별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에는 1학년보다 2, 3학년의 스포츠몰입경험 부분에서 높게 나왔으며 학업수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학생들의 자기목적적 경험, 수업에 대한 몰두가 간접적으로 높게 나왔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학교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4가지 교사만족, 교우만족, 학습만족, 자기만족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활동적이기 때문에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함께 보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학년에서는 1학년보다는 2, 3학년이 학교적응력이 향상되어 학교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왔고 학업수준에서는 정서적요인으로 선생님과 친구와의 관계가 학업수준에 주요한 영향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이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몰입이 학교생활만족도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포츠 몰입한 학생이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 대한 자연스러운 형성을 통해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나타나고 있다.

      • 중학생의 학교생활 및 학교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택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학교환경만족도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대체로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학년이 낮을수록, 읍면지역의 학생보다 시지역의 학생들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고교 진학에 따른 심리적 부담감과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면서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학교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불만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의견을 종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 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즐거운 학교생활이 이루어지리라고 생각된다. 둘째,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환경 만족도를 조사·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자신의 교우 관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중 학생이 남중 학생과 남녀공학 학생보다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남녀공학 학생이 여중 학생과 남중 학생보다, 3학년 학생이 1학년 학생보다, 읍면지역 학생이 시지역 학생보다 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늘날 현장의 추세가 남녀공학으로 가고 있는데 반해, 남녀공학 학생이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사태가 아닐 수 없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1학년에 비해 3학년 학생이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고등학교 입시 반영이 내신 성적 위주로 이루어지며 3학년 성적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오는 부담감이라고 보여진다. 또 시지역 보다 읍면지역이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 다소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학생이 많음으로, 읍면지역 학생에 대한 차별화 된 교수-학습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선생님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3학년 학생이 1학년 학생보다 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교사가 학생을 인격체로서 존중하고 교실이 정서적, 인지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해야 하며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의 '인간적 관계'를 회복해야 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교실 분위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시지역 학생이 읍면지역 학생보다 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복지 시설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학년 학생이 1학년 학생보다 좀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복지 시설 및 환경 조성에 있어서, 학생들의 건강을 유지하거나 체력을 연마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하며, 이에 따르는 노력과 과감한 투자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필요하다 하겠다. 학교 주변 환경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 스스로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본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은 대체로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므로,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학생, 교사, 학부모의 의견을 종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 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교우 관계, 교실 분위기, 학교 주변 환경에 있어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수업과 학습 환경, 선생님들과의 관계, 학교 복지 시설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늘날 현장의 추세가 남녀공학으로 가고 있는데 반해, 남녀공학 학생이 수업과 학습 환경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심각한 사태로 보여지며 이에 대한 대책에 요구되고, 시지역 보다 읍면지역의 학생이 다소 부정적이므로, 읍면지역 학생에 대한 차별화된 교수-학습 방법도 모색되어야 한다. 또 선생님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것은 교사가 학생을 인격체로서 존중하고, 교실이 정서적, 인지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해야 하며,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의 인간적 관계가 회복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학교 복지 시설에 대해서도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므로, 시설 투자에 따르는 노력과 과감한 투자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필요하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nd their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this study is designed(is aimed at) to provided the basic materials of solving their school problem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ir fundamental desires about their school life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abov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bout contentment of school life says that most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life and environmental situation. And it also shows that the students who live in rural area have more negative attitude that the ones who live in a city. And the students' grade is getting higher, the satisfaction to school life and environment is getting lower. it is because of the mental burden about the entrance of for high school. It is also because of their discontentment to the simple and general school educational programs and lacking of identity.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e various, practical and unified school programs to provoke each student's potential abilities. This kind of programs will help the students to enjoy their school lives better. Second, the study of contentment of school environmental situation says that; most of students have good and positive relationship. Girls have more closer relationship than the boys and co-ed school students have also more positive attitude that the ones in girls' school or boys' school. Regarding the lessons and learning environment, most of students seem not to be satisfied. The co-ed, urban and the third grade students have more negative recognition than the ones in boys', girls' and rural school students. As you know, it is current educational tide that the proportion of co-ed school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but the proportion of contentment of the lessons and learning environments is lower. This is very serious and we have to strongly pay attention to this regard. And also, we have to consider more practical and possible counterplans. As previously speaking.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the severe mental burdens of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s than the lower grade students and the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that they live in the poor academic facilities and conditions. So, we need to develope the different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tudents in this area.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most of students do not think they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weaker human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m than the lower grade students. This conclusion suggests the teachers to reinforce them essential quality; to respect students as independent human beings, to make the classrooms emotional and cognitive places and to recover "human and mort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With the classroom mood, most of students are positive. About the school welfare facilities the senior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are somewhat dissatisfied with them in comparison with the junior and boy's middle school students. Our government should invest financial investment to activate the students healthcare and physical training in relation to school welfare facilities. In the long run, one of the best way to satisfy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nd learning environment is to revise the present entrance exams to invest much money in school welfare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