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정보화교육 내실화 방안 탐구

        서정원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정보화를 통해 정보화 운영방향과 학교 자체적으로 학교 정보화교육을 내실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여 탐색하였다. 첫째, 지식정보화 사회의 특징을 고찰한다. 둘째, 교육정보화를 통한 학교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탐색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지식정보사회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단순 지식보다는 복잡한 정신 능력의 발현이 요구되는 지식, 지식정보사회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창의력, 네트워크의 특성을 잘 활용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등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정보통신기술(ICT) 활용이 자연스럽게 이용되어야 하며, 정보화 정책에 발맞추어 정보화가 주는 교육적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나. 교육정보화를 통한 내실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교육주체의 측면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지식정보사회에 적합한 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교사 연수 프로그램 및 교대와 사대 교육과정에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 능력을 강화해야 하며, 사이버 공간의 적극 도입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계를 마련하고, 교육공동체간에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교육 환경적 측면에서는 차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인프라 전략을 수립하고 전자 교육행정의 체제를 완비하여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교육활동 지원 요소적 측면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교육과정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며,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는 학교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학교 체계의 구축과 자료의 개발과 공유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studying in the way of School Information Education's effective result. To achieve this purpose, I established the following studying contents and researched them. First, investigate the features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Second, search the methods of school education's effective performance through education information. The conclusion based on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A. The main features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look like this. The knowledge is not a simple one, but the complicated ones that required the development of a mental abilities. And we can see that the society requires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with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of communications that can be the base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creative abilities, as well as the fluent communicative abilities with taking advantage of Network's good feature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information technology of communications(ICT) should be used in school education, and it is desirable that we must take good advantage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informative society at maximu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olicy. B. The methods of education information's good result are suggested like these. First, through taking advant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of communications(ICT), the supervisors of education must diversify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which can make teachers be a suitable ones to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reinforce the abilities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of communications(ICT) in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colleges curriculums. In addition, they must introduce the cyber ball positively to make student-centered education system, and establish the network system that can make communication possible between the education communities. Second, in view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ey must establish the discriminating and efficient education infra strategy and prepare the electr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So they must suppl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students the creative studying experiences. Third, in the elements of supporting educational activities, they must operate the various user-centered curriculums and curriculums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of communications(ICT). And they must establish the school system that can be adapted to the social changes and develop the various materials to operate that system and share them

      • 초등학교 고학년의 통신언어 사용실태 연구

        송진행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인터넷 통신언어가 초등학교 학생들의 언어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 사용 실태를 현장조사와 탐구로 연구하였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올바른 인터넷 언어 사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강조해야 한다는 목적을 갖고 초등학교 고학년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고학년의 통신언어 사용 습관의 실태 많은 학생들이 인터넷 상에서 잘못된 문법과 잘못된 표기로 통신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통신 언어가 일반적인 국어 사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표기상, 그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음성언어로 쓰기(소리나는 대로 적기), 어휘의 남용, 음운이나 음절의 축약, 비속어, 은어, 외국어, 의성어. 의태어, 그리고 이모티콘의 사용 등이다. (2)교육적 요구와 방안 실태분석을 통한 교육적 방안은 통신언어의 긍정적인 영향은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 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시각적인 즐거움과 기억효과도 줄 수 있으며, 감정 표현의 용이한 특성으로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표현을 유도 할 수도 있고, 친밀감을 줄 수 있다는 교육환경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한글 맞춤법의 혼란 및 문법 파괴와 일상적인 국어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비속어나 은어의 남발로 대화의 단절과 언어의 폭력 및 도덕성 문제로 유도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통신 언어의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고, 일상적인 생활에서 올바른 국어 생활을 위하여서는 통신언어 교육 활동의 개발과 대안 제시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바른 국어 사용에 대한 강화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국어시간에 다양한 통신 언어지도에 대한 수업 방법이 개발되어야겠으며, 학교에서의 체계적인 통신 언어 교육의 필요성으로 그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과제로 남겨졌다.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rough research and detailed analysis of field surveys what effects the Internet communication is having on the usage of common Korean langu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nd how we ought to plan for their linguistic education to deal with those effects. The summary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usage habit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1) Many students are using incorrect grammar on the Internet and the "chatting language" on Internet is having an influence in the usage of common Korean dialect. 2) Some characteristics of its influence is being expressed as follows: writing with phonetic spellings, intentional misuse of vocabularies, abbreviation of phonemes or syllables, profanities, Internet jargons, foreign words and the usage of "emotions I' (picture esque icons depicting emotions). (2) Possible responses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communication are that it is economic and effective way to deliver ; it is visually stimulating and can aid memory ; it is easy to express different emotions ; and it is easy to become intimate with others using creatively unique expressions. These can be positively and effectively applied to education. The negative aspects are that it brings confusion to the usage of Korean orthographic rules and grammar ; it negatively effect s the usage of common Korean language ; excessive use of slangs and jargons lead to a disconnect in conversations , verbal abuse and moral corruption. Therefore, the emphasis on guidance on such matters is strongly needed. In order to encourag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and discourage its negative aspects, some developments of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 practical education are required. In order to prevent the confusion of usage of Korean orthographic rules and grammar due to the negative aspects of Internet communication, the necessity to re-enforce education for correct usage of Korean language is required.

      • 중등학교 조직건강 조사연구

        류윤성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중등학교 사회의 조직건강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거기서 나타난 문제점을 발견하여 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건강에 관한 이론을 고찰한다. 둘째, 중등학교 조직건강 실태를 분석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면서 설문 조사한 표집 대상은 경상북도 포항시지역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무선 표집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표집 인원은 총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분석 가능한 179부(89.5 %)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처리 방법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백분율을 분석하고 문항의 성격에 따라 T검증과 F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권력 배분의 적절성 실태는 교장은 업무처리에 있어 해당 교사에게 위임하는 것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20대의 교사들이 더 의욕적이고 적극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행정가는 모든 교사들이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일 할 수 있는 학교 분위기를 육성하는데 더욱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둘째, 학교 조직의 응집성 실태는 교사들이 상호 협력하여 업무 처리하는 것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중학교보다는 고등학교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행정가는 교직원들이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분위기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 조직의 적응성 실태 면에서 교사의 지역사회에 대한 헌신도는 평균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학습지도 방법의 흐름에 대해서도 대체로 잘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행정가의 새로운 이론의 도입 노력에 대하여는 전체적으로 약간 부족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행정가는 새로운 이론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학교의 실정에 맞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의사 소통의 적절성 면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고등학교 교사가 중학교 교사보다 더 존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의 근무환경이 중학교보다 더 민주적이며 능력도 더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에서도 교사들의 의견을 존중하며 민주적으로 학교 업무가 추진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 업무의 자율성 실태 면에서 교사들은 학부모로부터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 업무를 추진함에 있어서도 자율성이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를 더욱 더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학교 교육 목표의 명확성 실태 면에서 전체적으로 교사들은 학교의 교육 목표와 교과별 교육목표를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일관성이 있고 목표 달성을 위해 구체적인 행동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자기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교육목표와 맡은 바 업무를 잘 알고 있는 것에서 나타난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학교교육의 효과성 차원에서 학교장은 교사들에게 학교교육의 목표나 학교행정 방향을 민주적으로 운영하여 더욱 투명하고 민주적인 학교운영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chool education by finding out school organization health problems of secondary schools and making alternative plans to them. Specific studies for that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o make a study on the theories on the organization health of secondary schools. Second, to make a research on the actual organization health condition of secondary schools and analyze the real situation of 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men and women teachers who work for the schools located in Pohang area, and 179(89.5%) of them were extracted as samples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of measurement in this study was extracted from the questionaires which had been used and in a previous study and amended and complemented. In this study, SPSS Method has been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T verification or F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ques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s have a positive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school system when teachers taking care of their own works and teachers in their 20s seem more active. As the result, all the school supervisors are expected to do their best to build up a good circumstance for them to work in a positive and creative way. Second, teachers are positive toward the school organization cohesion when they do school works, and the school organization cohesion was stronger in high schools than was in middle schools in carrying out school works in a cooperative way. So school managers should try to offer comfortable and cooperative surroundings Third, teachers seem to adapt themselves in a positive way for the local societies and follow new methods in teaching all in general, but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ituation of new theories on the part of the school managers than expected. Fourth, teachers seem to have a positive way of thinking in communication, and those who are in high schools are respected than those in middle schools. This shows that high school environment is more democratic than it is in middle schools. Fifth, teaches seem to think they are not disturbed by parents when doing school works. But it is more desirable for school managers to find out more methods for better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o give thenm more life in school activities. Sixth, teachers seem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aims of each school and subject think that there is coherence and concrete behavioral steps prepared for the fulfillment of the aims. This It is more desirable for the principals to make sure and clear that the management in the schools they work for is done in a more democratic way to show effectiveness in school management.

      • 학교예산회계제도의 도입과 발전과제

        우원식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학교회계제도는 건국 후 50여년 동안 고착된 학교 현장 재정 운영이 기본부터 바뀔 수 있는 제도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것이 당초 실무자가 구상한대로 학교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느냐의 여부는 전적으로 제도를 운영하는 사람에게 달린 문제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단위학교의 교육적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자율경영이 보장되어야 한다. 자율경영은 독자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여야 하며 의사결정의 중요한 요소는 재정이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교육재정은 기관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경비를 조달하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2001년부터 새로이 도입된 표준 교육비 계도는 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보를 가능하게 하므로 자율의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학교예산회계제도는 시행된 지 3년 밖에 되지 않아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예산회계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하여 시행과정상의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개선책 및 발전과제를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의 교육비특별회계전입금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육예산을 늘릴 수 있도록 교육부에서 국가 차원의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시·도 교육청에서는 학교기본운영비를 배부할 때 학급수, 학생수, 교직원수 등에 따라 일괄적으로 배부하지 말고 신설학교나 주위여건 등 객관적 기준 등을 고려하여 학교실정에 맞는 공정한 배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또한, 교육 활동의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운영비를 적정 수준으로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단위학교에서는 자체수입의 증대를 위하여 학교 시설물을 지역주민들에게 과감하게 개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예산회계제도에서는 단위학교책임경영제의 도입으로 학교 발전 기금을 확충하여 학교예산에 전용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단위학교에서는 학교 발전 기금의 확충을 위하여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의 예산은 학교 구성원들이 공감하고 협의하는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계획과 긴밀히 연계된 예산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학교회계제도를 정착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그것을 운영하는 구성원들의 참여자세에 달려 있다. 학교장, 교감, 행정실장, 교사, 학교운영위원 등 모든 구성원들이 주인 의식을 가지고 예산편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일곱째, 아직까지 예산편성안을 교육계획서에 게재하는 학교는 없다. 그러나 예산의 투명성과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도 예산편성안을 교육계획서에 게재하는 것을 고려해봄직 하다. 새로운 제도가 마련되면 거기에 수반한 시행착오가 있기 마련이다. 새로운 학교회계제도는 시행된 지 3년째로 접어들었다. 어떤 제도든 장·단점이 있다.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여 새로운 학교회계제도가 발전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 보완에 구성원 모두가 적극적 참여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A school account system must be a system that a school spot finance operation adhered for 50 years after establishment of a country can be changed from basis. But It depends on persons who run it whether it settles successfully in a school spot or not according to a intention of a person in charge who devised it entirely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Self-regulation administration of a school should be guaranteed to maximize a educational function of a unit school. Self-regulation administration makes a independent decision possible and the important effect of a decision-making must be a finance. Our education finance was not more in level that furnish minimum expense for school operation so far. A standard school expense system that has introduced newly since 2001 makes the spot school to get a basis of self-regulation and stable security of education finance. But, the new school budget account system has been suffering from many trial and errors in school spots for 3 years since it was enforced. Therefore, for successful fixing of the school budget account system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on enforcement process and tried to draw a reforming measure and development subject. Through this study noted conclusions are following: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establish countermeasure of country dimension to increase education budget that holds school expense special account of unit school by optimum level. Second, distributing school basis operational expense to unit schools , city and the degree Ministry of Education must not distribute it only fairly according to number of class, student body, and teaching staff etc. considering following standards: newly -founded school , surroundings, and so on. In other words city and province Ministry of Education must try to distribute it to school real condition fairly. Also, need to actualize school operational expense by optimum level to heighten level of education activity. Third, Unit school needs to open school facilities to local residents drastically for enlargement of itself income. Fourth, unit school has to try to expand school development fund through the force of responsibility administration emperor's introduction in school budget account system and be able to use the school budget exclusively. Therefore, it must incline many-sided effort for expansion of school development fund. Fifth, budget of school may have to establish the budget plan associated with the school educational plan that school constituents confer to achieve education targets. Sixth, settling and developing school account system depends on the participation manners of constituents which operate it ; Principal of a school, vice headmaster, administration section chief, teacher, school operation committee etc., all constituent must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omposition of a budget with the master's consciousness. Seventh, There are no school which inserts compilation of a budget in an education plan up to now. Therefore it is good to consider that the compilation of a budget is inserted inside an education plan to induce the clearness of a budget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onstituents. A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is apt to accompany errors of the trials. 3 years have passed since New school account system was enforced. There is merits and defects in all systems. The advantages must be developed more and the shortcomings must try to be improved. All of constituents must have a active attitude of participation in a system improvement so that new school account system can be settled constructively,

      • ICT 환경에서의 연령별 자기주도적 학습에 관한 연구

        한주연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교육정보화의 일환으로 도입된 ICT 활용교육의 실태와 ICT 환경에서의 연령별 자기주도적 학습의 실태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제시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ICT 활용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도출된 문제점으로는 ICT 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과 컴퓨터 교육 시간과 시설의 부족, 비전공 분야로 컴퓨터 교육지도, 컴퓨터 중독증 발생 우려, ICT 활용 수업에 소극적 태도를 가진 학생들, ICT 활용 수업 지원 도구로 자료작성 및 분석도구에만 치중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교사들의 ICT 활용 교육 연수와 학생들의 컴퓨터 교육 시간을 확대하며 학생들의 컴퓨터 중독증에 대한 예방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ICT 활용 수업에 소극적인 학생들에게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신감을 길러주어야 하며 다양한 ICT 활용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ve proposed problems and solutions for ICT-used education, which is developed for informationized education, by considering and analyzing the environment of ICT-used education and the trend of self-directed learning at various ages in -1CT environment. As the analysis results, the causes of problems induced by ICT- used education are followings: lack of acknowledgement of ICT-used education; lack of utility and time used for the computer education; teacher's lack of knowledge and discretion on the computer class; concern about students' computer addiction; students' lack of interest in ICT-used education; emphasis of only data draw-up and analysis as a support tool of ICT-used education. As the solutions for above mentioned problems, followings are suggested: improvement of teachers' knowledge about ICT-used education and time used for the computer education; education about students' computer addiction; providing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ICT-used education; providing various tools in ICT-used education for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 탐색

        손준호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탐색을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지식기반사회의 특징과 교육패러다임을 고찰한다. 둘째,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교육의 변화의 방향을 탐색한다. 셋째, 지식기반사회에서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 탐색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식기반사회와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과 관련된 이론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지식기반사회의 관련이론, 지식기반사회와 학교교육의 변화,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을 탐색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식기반사회는 지식과 정보통신 기술력, 그리고 문화 창조력, 문제를 해결하는 힘과 필요한 지식, 고등사고 기술, 새로운 아이디어창출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 혁명이 국가와 개인의 부를 창출하는 원동력이 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의 생존과 개개인의 삶의 질을 결정짓게 되고,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으로 자연스런 교류로 지식의 공유가 중요하며 지식의 구축을 통한 협동심, 책임감이 강조되며, 인터넷과 더불어 정보 통신 활용능력과 창의력이 등의 지식이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성공이 결정된다. 지식기만사회에서 슬기롭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육에 대한 인식과 발상의 획기적인 교육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둘째. 지식기반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물질이 아니라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획득한 지식을 활용하여 혁신을 이를 수 있는 인적 자원이며, 우수한 인적 자원을 얼마나 보유하느냐가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이다. 고정 관념과 전례(前例)에 집착하는 교육에서, 새로운 국내외적 변화를 폭 넓게 수용하는 개방적 교육으로, 인간과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높이는 지식-기반형 교육으로, 획일적이고 경직된 교육에서, 자율과 특성을 존중하며 다양하고 유연한 교육으로 새로운 학교 교육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셋째, 지식기반사회에서 부장교사는 바람직한 자신을 관리하고 타인을 인정하는 인간적인 능력과 높은 전문성을 지니고 사고력, 창의력, 정보의 관리능력과 학문적 수월성의 문화정착의 촉매자로 '학교의 탐구문화'를 창출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기반사회의 초등학교 부장교사는 학교를 새롭게 하고, 소질과 적성, 능력을 최대한 발굴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환경변화의 변화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명확히 인식하며, 끊임없이 연구하고 자신을 혁신해 가는 변화와 개혁의 선도자로서 부장교사가 되어야 한다. 둘째, 건강한 학교조직을 위한 갈등해소와 교사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부단한 자기 연수를 통하여 동료교사에 대한 필요한 정보원의 역할을 하고 인간적 관계를 맺어 전문적 지도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고 합리적인 지도력으로 조직갈등해소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지도 조정자로서 부장교사가 되어야 한다. 셋째, 중간관리자로 특정 이익이나 편견을 떠나서 주도적으로 학교구성원들의 의견을 조율하고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민주적 사고 결정의 구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조정자로, 경영층에 대한 생산적이고 민주적으로 이끌어 가도록 조정자로 교량적 역할을 담당하고 수행하는 부장교사가 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운영과 교직의 전문화를 촉진하고 교직원집단의 공동성장을 통해서 교육목표 달성을 효율적으로 이끌어 가는 핵심적 조직 요원으로 학교 경영의 발전을 위하여 보다 높은 전문성을 지닌 봉사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장교사가 되어야한다. 다섯째, 세계화된 무한 경쟁의 지구촌 시대에서 당당하게 살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보다 새로운 가치를 지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부장교사를 확보하고 교육전문가로서 자질과 지식 정보화에 따른 경영층에 대한 전문적 지도 조언자로 핵심적 역할을 해야한다. 따라서 지식기반사회에서 초등학교 부장교사는 학교조직의 학문적 수월성의 문화를 정착하는 촉매자의 역할과, 교육적, 장학적, 행정적, 지도성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주어진 임무에 충실하고 인화적 기술을 발휘하고 학교의 탐구문화를 창출하는 능력을 원만히 발휘할 때 지식기반사회에서 목표를 달성하고 건강한 초등학교 조직과 발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potential roles of manag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under the influence of knowledge-based society. To meet this goal,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directions: Firs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educational paradigm, Secondly, explore the changes and future directions of school education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irdly, seek for any potential role of manag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under the influence of knowledge-based society. To resolve these assignments,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ies related to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roles of manag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related literatures, which are fundamental to perform this study, it explored theories related to knowledge-based society, changes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s of manag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related literatures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based society will be driven to create additional values of both country and individual by the following components such as general knowledge, IT technical capability, cultural creativity, trouble-shooting power and expertises, advanced thinking technology and digital revolution requiring the creation of new ideas. Ultimately, the survival of a nation and the life. quality of an individual will depend upon the knowledge-based society. As the world becomes a global village, it is critical to share available knowledges through natural exchange in the cultural or technical level. This society will lay stress on cooperativeness and responsibility through building up common knowledge to share. The social position and economic success of every individual will depend upon their own knowledge such as IT skills, creativity and the like, as well as Internet. To cope with knowledge-based society in a little smarter ways, we must be aware of educational practices and make a changeover of conventional educational paradigms with innovative ideas. Secondly, the knowledge-based society has its own essential component called human resources, not material, to create new knowledge and realize the innovation with knowledge acquired. And how much the excellent human resources the society has will be essential to determine national competitive edges of each country. It also requires the changeover from conventional education sticking to fixed ideas and precedents toward open education that may extensively accept and accommodate new domestic or foreign educational trends, toward knowledge-based education to enhance the essential values of human and education, and changeover from uniform and rigid education toward diverse and flexible education that may respect autonomy and characteristics. Thirdly, managing teachers must have various capabiliti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such as humane skills to manage their own reasonable identity and respect others, high expertises, thinking power, creativity and capability to manage information and create 'explorative educational culture' in school. Based on the results from literature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Summing up, manag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under the influence of knowledge-based society must play a role as catalyst to settle a culture of academic easiness throughout school organization. Furthermore, they must be faithful to given duties, apply their own harmonizing techniques and exert their capability to create an explorative culture in school, while employing their own educational, scholarship- oriented, administrative leadership to the full, so as to meet educational goals in knowledge-based society and make a little healthier elementary school organization in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 수산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남기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수산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수산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산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학동기'는 대부분 좋지 못한 중학교 성적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성에 맞거나 수·해운 분야의 직업 선택을 위해서 진학한 경우는 소수에 불과 하였다. 둘째, '교육목표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3.106으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고학년이 될수록 낮아졌다. 셋째,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3.008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고학년이 될수록 낮아졌으며, 특별활동의 적절성 및 전문교과의 난이도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교육 시설 및 실험·실습 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3.142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고학년이 될수록 낮아졌으며, 정보화 시설 및 설비에 대한 여학생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3.059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2학년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체험학습 및 현장실습에 대한 여학생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의 자질 및 지도 능력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2.979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2학년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선생님들의 학생 이해 및 친절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3.004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고학년이 될수록 낮아졌으며, 산업체와의 산학협동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수·해운 분야에 적성이 맞는 우수한 학생들이 수산계 고등학교를 진학하여 수·해운 분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유능한 기능인을 길러 낼 수 있도록 수산교육의 활성화 방안이 국가차원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사회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 목표의 설정과 교육 과정의 개발·운영 및 학생들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세계화 및 정보화 사회에 앞서갈 수 있는 수·해양인을 양성할 수 있도록 실험·실습 시설의 확충 및 실험·실습 장비의 첨단화가 꾸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학생입장에서 학생들을 이해하며 처별이 아닌 사랑을 심어주는 부모님으로서의 선생님 역할과 진학과 취업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진로지도에 대책이 한층 더 강구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ata for finding the active program in the fishery educ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isheries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main reason of the motive for applying the fisheries high school is because of the low academic achievement in the junior high school. Few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get a job related with fisheries and marine fitting to their aptitude. Second, Students are a littl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goals on the average as 3.106. With distinction of sex, boy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it than girl students and very few of students satisfied with it as becoming their grade higher and higher. Third,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 curriculum is 3.008 as medium on the average. Similarly, boy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it than girl students and very few of students satisfied with it as becoming their grade higher and higher. In detail, Students are little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extra class activity and they think it's difficult for them to study the subject related to the major field of study. Forth,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of experimental practice is showed medium on the average as 3.142. With distinction of sex, boy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it than girl students and very few of students satisfied with it as becoming their grade higher and higher. As this research shows, girl students are dis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and facility. Fif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tudents on the quality and method of teaching they given is middle, as average 3.059. Similarly, boy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it than girl students and second grade students are lower satisfied with it than any other grade students. In detail,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girl students on the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 learning is very low. Sixth, Satisfaction on the quality and ability of teachers is showed medium as 2.979 on the average. Similarly, boy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it than girl students and second grade students are lower satisfied with it than any other grade students. They are dissatisfied with the teacher's unkindness and they think teachers don't understand them well. Seven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tudents on the guidance counseling about vocation or counseling on choice of college is showed 2.979 as medium on the average. In detail, boy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it than girl students and second grade students are lower satisfied with it than any other grade students. Especially, they are little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nd the industry.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ult i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e encourage students with excellence in the fisheries and marine to enter the fisheries high school. Moreover, governments have to make the system to promote the active program of fisheries education for fostering excellent skilled manpower in the field of the fisheries and marine. Second, We have to establish educational goals and develop a education curriculum accepting changed demands. In addition, we try to develop a new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applicable to each stud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rove the experimental practice facility and to gradually update the experimental equipment with high technology. Forth, We, teachers not only try to understand students and love them like our own as their parents do, but try to take a proper measure for satisfying students with guidance counseling to help them both getting job and going on to college.

      •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 교육 방향 탐색

        김호경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 교육의 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여 탐색하였다. 1) 지식기반사회의 특징을 검토한다. 2) 지식기반사회의 학교 교육의 방향을 탐색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조사를 중심으로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지식을 최고의 가치로 여겨서 지식을 창출·축적·공유·활용해야 하는 사회이다. 둘째, 지식기반사회에서 부의 가치인 지식과 정보를 공유, 창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은 창의력, 정보 활용 능력, 협동 능력, 의사 소통 능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은 창의적인 인간을 위한 자기 주도적 인간, 고 부가가치를 위한 실용적 인간, 학습하는 인간, 전문 지식을 갖춘 인간, 도덕적 인간이다. 셋째,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교육 수요자 중심, 열린교육, 지식 정보의 공유·활용, 개별화 학습, 현장 체험 중심 교육, 사이버 학습, 평생 학습이라는 교육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며 한편 학교 교육 또한 창의적 인간 양성을 위한 기초 교육 내실화, 지식과 정보를 공유·창출하기 위한 정보화 교육, 인성교육, 열린 평생 학습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넷째, 교육에 대한 관점과 사고 방식, 교육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고 인간 중심의 자기 재생적 학교로 이행하기 위한 학교 체제의 재구조화는 단위학교의 다양화, 자율화, 융통성 부여를 통한 학교 사회 체제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다섯째, 학교 재구조화에서 교사의 역할은 전문적 소양을 갖추고서 구조적 변화에 참여할 수 있는 집단으로서 그들이 새롭게 시행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방법의 틀을 지원하는 형태로 바뀌어져야 할 것이며, 학교 경영의 의사 결정에 더 많이 참여할수록 그 만큼의 책임감 또한 더 커짐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훌륭한 안내자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첫째,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교육 수요자 중심, 열린교육, 지식 정보의 공유·활용, 개별화 학습, 현장 체험 중심 교육, 사이버 학습, 평생 학습이라는 교육 패러다임 전환으로 학교 교육 또한 창의적 인간 양성을 위한 기초 교육 내실화, 지식과 정보를 공유· 창출하기 위한 정보화 교육, 인성 교육, 열린 평생 학습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단위 학교의 다양화, 자율화, 융통성 부여를 통한 학교 사회 체제를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에 대한 관점과 사고 방식, 교육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고 인간 중심의 자기 재생적 학교로 이행하기 위한 학교 체제로 재구조화해야 한다. 셋째,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지식교육을 하기 위해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뛰어난 안내자로서 끊임없이 배우고 연구하는 자세를 가진 전문적 소양인으로서의 역할에 중점을 두어야겠다. 그래서 창조적 지식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는, 교사가 주축이 되는 교직 사회 풍토를 조성하여 개방적 교육서비스 전달체제로 변화되어 창의적인 인간 양성을 위한 교육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rection of the school education in the knowledge-based-society. So two contents are choosed to achive the purpose of the study. One is to examine characteristic of knowledge-based-society and the other is to search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results of literal examination are as follows : First, the knowledge-based-society considers knowledge as the highest value and society must invent, proceed, share and use it. Second, the knowledge-based-society needs the abilities of creation, using of a practical informatio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The knowledge-based-society requires the images of self-leading human being who is creative and the images of practical human being for high value, the images of human being who studies, and the images of human being who has the knowledge and the morality. Third, the knowledge-based-society needs an educational paradigm involving consumer-centred education, opened education, the share and use of an knowledge-information, individual learning, and real experience-centerd education. However, the knowledge-based-society must construct in advance the substantality of basis education for school education, the training of a creative human being, the informational education for sharing-crea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education for human nature and opened all life learning system. Fourth, as viewpoint and mentality about education and the essence of education are not damaged, restructuring of school system to changed to self-refreshing school of the concentration of human being reconstructs school society system with diversification, self-regulation and flexibility of unit school. Fifth, teachers must have their professional qualification and they can take part in structural change in school restructuring. The role of teachers may have to be changed in form of support model of teaching -learning method. And teachers must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y that grows more take part more in decision-making of school management and must accomplish a good guide role in students' learning course. This study is based on these results that were discussed until now and it makes conclusion as follows : First, the knowledge-based-society needs an educational paradigm involving consumer-centred education, opened education, the share and use of an knowledge-information, individual learning, and real experience-centerd education. However, the knowledge-based-society must construct in advance the substantality of basis education for school education, the training of a creative human being, the informational education for sharing -crea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education for human nature and opened all life learning system. Second, to reconstruct school-society structure with the diversification and the self-regulation and flexibility of unit school, viewpoint and mentality about education and essence of education must not be lossed. School should be restructured around the self-refreshing school of the concentration of human being. Third, the role of a teacher must emphasis the attitude to learn and study constantly as the exellent guide of students' learning course to educate a suitable knowledge in the knowledge-based-society. So, school regards an creative knowledge as the highest value in the knowledge-based-society. And school must change to the education for training of a creative human being, school must make up an atmosphere of teaching professional society that teachers become main persons and change to deliver the system of opened educational service.

      • 초등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관한 인식 수준 조사

        이현숙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교사들이 교직을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것이 교직 실천과 교육의 질적 향상에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 인식 정도를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그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으로는1. 전문성의 개념과 교직의 전문직적 특성을 고찰한다. 2.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을 고찰한다. 3.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 경향을 분석한다.본 연구의 방법으로 질문지법을 통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 인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본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 수준에 관한 질문지”를 전문적 지식과 기술, 전문성 신장, 자율성과 책무성, 사회 봉사성, 전문적 자격, 경제적 사회적 지위, 전문직 단체 활동 등 7개 영역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22개의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문항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경상북도 포항 지역에 소재한 16개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83부의 유효자료를 표집하였다.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통계 기법으로는 성별, 직급별, 교직경력별, 근무지역별, 설립형태별로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초등교사들의 개인 특성에 따른 교직 전문성 인식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x2검증을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직이 전문직임을 인식하여 전문적인 수업기술과 -v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게 운영하기 위한 노력 및 학생 이해와 생활지도에 관한 지도 능력에 있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가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더 전문성 신장의 필요성을 느끼며, 전문적인 수업 기술과 교육과정 운영, 학생 이해 및 생활지도에 관한 지도 능력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력이 적은 교사들에게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현직교육 기회가 더 필요하다.둘째, 교사들은 스스로의 성장을 위한 현직 향상 교육에의 참여 또는 새로운 교육이론이나 기술 습득을 위한 현직연수에 대하여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스스로 서점, 도서관, 자료실을 찾아 꾸준히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 지역에 사는 교사들이 자신의 교직 교육과 훈련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교재 준비나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자료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성과 책무성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이 능동적인 업무 수행, 동료 교사들과의 협동성, 업무처리에 대한 책임감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더 능동적 자율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며, 동료 교사들과의 협동성이 강하고, 업무처리에 대한 책임감을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력이 낮은 교사에게도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업무 수행 능력을 키워 주고, 교육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교육공동체 의식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넷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직에 대한 긍지와 보람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시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더 교직을 천직으로 인식하고 긍지와 보람을 더 가지고 교직에 임하고 있으며, 사명감과 교직 발전에의 헌신성이 더 높은 것-1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 이하지역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고, 경력이 낮은 교사들도 교직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교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근무여건 개선과 유인책이 요구된다.다섯째, 교사들은 경제적 대우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이나 사회적 대우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사립학교 교사가 공립학교 교사들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립학교보다 사립학교에서 교사에 대한 경제적 처우가 더 개선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공립학교 교사들에 대한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여섯째,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가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전문적 자격과 기술, 전문성 신장 노력, 자율성과 책무성, 사회 봉사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교직 전문성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하고 교직 생활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고경력자에 대한 우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일곱째,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전문성 신장 노력, 자율성과 책무성, 사회 봉사성, 사회적 지위 면에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직책이 주어지면 더욱 더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며 책임감을 가지고 교직에 봉사하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부장교사 수의 확대, 수석교사제 도입 등 다양한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 지식기반사회에서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상춘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직한 학교 조직을 갖추고 학교 경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여 탐색하였다. 첫째,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 교육의 방향을 검토한다. 둘째,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을 조사한다. 셋째,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을 밝힌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으로는 지식기반사회와 학교 교육의 방향과 부장교사의 역할에 관련된 이론과 연구논문을 탐색하고, 지식 기반사회에서의 중등학교 부장교사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기반사회는 정보화, 세계화, 개방화, 다양화, 가속적 변화, 인간화를 그 특징으로 정보와 지식을 창출, 확산, 활용하는 디지털 사회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은 고부가가치 위주의 지식산업으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해결과정으로서의 사고력, 새로운 아이디어인 창의력 그리고 정보관리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 교육의 방향은 지식과 정보를 단순히 전수하는 체제에서 지식과 정보를 산출해내는 체제로, 공급자 위주의 교육 체제에서 수요자 위주의 교육체제로, 학교가 최종 교육 경험을 제공하는 체제에서 전 생애에 걸친 평생학습 체제로, 교육의 평등성 추구에서 교육의 수월성 추구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부장교사의 역할로는 교장, 교감을 도와 일을 처리하는 보좌의 역할, 교사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도·조언의 역할, 교육 활동에서의 교량적 역할인 연락·조정의 역할, 교육 행정을 관리하는 사무관리의 역할, 학교 경영의 사무통제와 행정 활동의 타당성과 효율성을 측정하는 평가 동제의 역할, 학교 조직원의 인화를 위한 인간관계 조성의 역할이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부장교사는 교육전문가로서의 자질과 지식 정보화에 따른 사무관리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학교 경영자인 교장·교감을 보좌하는 역할과 학교 경영의 조언자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둘째,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부장교사는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수업의 변화를 피하고, 학교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 선도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셋째, 지금의 교직 사회는 자율화와 민주화의 영향으로 다양한 목소리로 조직 체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부장교사는 학교 구성원들의 불만과 바람을 한 곳으로 모으고 조율하여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의견 조정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넷째,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부장교사는 학교사회의 각 구성원들의 기대와 현실간의 격차에서 오는 갈등과 바람직한 학교 조직을 위한 조직원간의 갈등 해소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따라서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부장교사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경쟁력과 적응력 있는 교육을 위해서 지도성과 전문성을 함양해야 하며, 미래 지향적 가치관을 갖고 교사 자질의 질적 향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학교 풍토 조성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role of head teacher of a department in secondary schools in a knowledge-based society for desirable school organization and high quality of management. Following contents are set up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examine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a knowledge-based society. Second, investigate the role of head teacher of a department in secondary schools. Third, clarify the role of head teacher of a department in secondary schools in a knowledge-based society. I examined theories and papers related to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 of head teachers. That is for clarification of the role of head teache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 knowledge-based society is a digital society that creates, spreads and utilizes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globalization, opening, diversification, accelerated change and humanization are characteristic of the society. Second, a knowledge-based society requires thinking power as trouble shooting process due to the conversion to high value added information technology, creativeness with new ideas and information management skill. Third, the directions of school education are; from just deliver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producing them, from the supplier centered education system to demander centered, from the system school provides final education chance to lifetime study system, and from pursuit of education equality to easy-going pursuit. Fourth, the roles of head teachers of a department are to assist a principal, a vice-headmaster to guide and mentor teacher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to communicate and adjust as a bridge in the education to manag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evaluate and control school administrations efficiency and adequacy, to help smooth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The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is below. First, a head teacher of a depart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should have office management skill for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quality as education specialist, assist a principal, a vice- headmaster and advise for school management. Second, head teacher of a depart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should try to have diverse classes through improvement of study method, perform his duties for high quality of education as a pioneer. Third, present teaching profession organization is requesting the change of system with various voices affected by self-control and democratization. A head teacher of a depart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should play an opinion mediator to gather all the opinions and wishes and then tune them for the attainment of public goal. Fourth, a head teacher of a depart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should be a peace maker who settles problems between each members expectation and the difference from the reality, discord among members for better school organization. Therefore, a head teacher of a departmen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should create new information, have leadership and speciality for more competitive education and do his best to make reliable school environment with qualitative elevation of teachers towards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