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把”字句【S+把+O+V+在/到+地方】格式中动词语 义特征对介词“在/到”选择的限定作用分析 -从韩国学生的“把”字句偏误谈起

        량야오중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8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28

        최근 20여 년 동안, 중국어학계에서는 ‘把’자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적지 않았다. 특히 金立鑫⋅崔希亮⋅范颖睿 등 중국어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들이 연이어 ‘把’자문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논문에서는 ‘把’자문의 문장구조, 어의분석과 화용론 등 다각도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각급 학교의 석⋅박사 학위논문에서도 ‘把’자문을 연구소제로 삼았다. 본고는 ‘把’자문 중의 구체적인 문장구조에 착안하여,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을 학습할 때 나타나는 오류 문장에 근거하여 ‘把’자문의 동사 어의자질과 개사의 선택법칙을 고찰하였다. ‘把’자문은 중국어교육에서 중점이자 난점이기도 하다. ‘把’자문을 처음 접하는 초급중국어 수준의 학습자이든지, 중국어를 여러 해 공부한 고급중국어 수준의 학습자이든지, 모두 ‘把’자문을 사용할 때 문장구조나 문장화용 측면에서 오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把’자문 사용을 어려워하고 회피하는 현상도 있다. 그런데 중국어에서는 ‘把’자문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물건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명령문에서 [把+O+V+到/在+장소] 격식이 [V+O+到/在+장소] 격식보다 더 합리적이고 명령의 어감도 더 강하다. 하지만 한국 학습자들은 이러한 문장구조를 사용할 때 많은 오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오류 현상 중에서 대표적인 예로는, ‘把’자문 격식에서 동사의 어의자질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동사 뒤의 개사 ‘在/到’의 사용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把书搬在教室里。”와 같은 오류 문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는 학습자가 ‘搬⋅放⋅拿’ 등과 같은 동사의 어의자질과 동사 뒤의 개사결과보어 ‘到/在’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오류 문장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동사 ‘搬⋅放⋅拿’ 등과 개사 ‘到/在’를 같이 쓰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把’자문 [把+O+V+到/在+장소]와 같은 격식으로 표현된다. 그런데 한국 학습자들은 이러한 ‘把’자문 격식에서 오류 현상이 흔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把’자문 문장구조에서 이 격식에 들어갈 수 있는 상용동사의 어의자질 분석과 개사 ‘到/在’의 선택법칙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고는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 [把+O+V+到/在+장소] 격식에서 나타난 오류 문장을 출발점으로, 이 격식에서 상용되고 있는 동사의 어의자질이 개사 ‘到/在’의 선택법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 격식으로 표현할 때 오류 문장으로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격식에서 상용되는 동사와 개사 ‘到/在’의 결합법칙을 총괄하였다. 본고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把’자문 격식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을 피할 수 있도록 한국 학습자들에게 합리적인 학습방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把”sentence is both a key point and a difficult point in Chinese teaching, whether it is the elementary Chinese learner who starts study the “把”sentence or the advanced Chinese learner who has studied Chinese for many years. There are also many errors on the structure and pragmatic to use the “把”sentence, and even many students often avoid to use the “把”sentence with fear. But in practical use, the expression of many situations is more appropriate to use the “把”sentence. For example, when you are causing others to shift the object, using [把 +O+V+在/到+place] is more reasonable than using [V+O+在/到 +place] form, and the command is also stronger. But when students use this sentence form, they often have a lot of errors. The most common error is that students don't know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verb in this “把”sentence, which results the mistakes in the choice of the preposition “在/到” after the verb, such as creating a wrong sentence like “把书搬在教室里”. Therefore, we will discuss the problem in this “把”sentence form. This is more conducive to analyzing the reasons why Korean students have produced such wrong sentence in this form and look for proposing teaching strategies. First, this paper will start with the mistakes of Korean students using the “把”sentence [把+O+V+在/到+place] form and collect students' wrong sentences by questionnaire test. And we will analyze the semantic features of commonly used verbs in this form based on the corpus, in order to explore the limiting effect of the verb semantic features on the choice of “在/到” in this form and summed up the usage rule of the preposition “在/到” after the verb. Second, through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reasons why Korean students are make wrong sentence in this “把”sentence form and propose the suggest on the teaching of Chinese in this “把”sentence. At last, we will teach students the usage rule of using the verbs with prepositions “在/到” in this “把”sentence, to prevent students from making mistakes when they use this form to make sentences.

      • KCI등재

        “把OV”的句法功能及语义指向考察

        이철근(Li, Tie-Gen)(李铁,根)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5 No.-

        本文对“把OV”的句法功能及语义指向进行了详细的描写分析,并得出如下结论:a.“把OV”具有多种多样的句法功能,除了做谓语构成“把”字句以外,它还能做主语、宾语及介词宾语、定语、补语等,还能与“的”构成“的”字短语,与某些方位词构成方位短语。“把OV”在不同的句法位置上呈现出不同的结构特点。b.“把OV”做谓语最为自由,充当其他句法成分则多少受到一些结构上的限制,因而“把OV”在不同句法位置上的出现频率高低不同。c.由于“把OV”可以出现在不同的句法位置上,因而语义上可与句中不同的成分发生关系,表现出语义指向上的多样性。d.在对外汉语教学中,不能仅仅局限于“把OV”做谓语的“把”字句的教学,还应适当注意对非谓语位置上的“把OV”的用法加以说明,以提高学生对“把OV”功能的整体认识,进而有效提高他们的实际应用能力。 This paper makes a detailed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syntactic function and semantic orientation of “Ba+O+V”, and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a. “Ba+O+V” has various syntactic functions. Besides being a predicate to form the Ba Sentence, it can also be a subject, an object, a prepositional object, an attribute, a complement, etc. In addition, it can also form the De phrase with De, and form the location phrase with some location words. It presents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in different syntactic positions. b. “Ba+O+V” is the most free when it acts as predicate, and is more or less limited in structure when it is used as other syntactic components,so the frequency of it in different syntactic positions is different. c. Because “Ba+O+V” can appear in different syntactic positions in the sentence, it can be semantically related to different components in the sentence,showing the diversity of its semantic direction. d. In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we can’t just limit ourselves to the teaching of Ba sentence with “Ba+O+V” as the predicat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Ba+O+V”, we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the explanation of the usage of it in the non predicate position, so as to effectively improve their practical application ability.

      • KCI등재

        ‘把’구문의 분류 문제 재고-‘사동성’을 중심으로-

        이윤경,최재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7 No.-

        본고에서는 현대중국어 ‘把’구문의 문법의미를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의미 분류를 시도하였다. ‘把’구문의 문법의미를 규정하기 위해 먼저 기존의 견해를 ①처치설, ②사동설, ③처치설과 사동설의 이원론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본 후, 이를 통해 기존 견해인 처치설과 사동설은 ‘사동성’이라는 공통된 문법의미에 기반하고 있으며, 단지 사동자의 행위자성에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把’구문을 사동범주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원으로 보고, 사동자의 행위자성 측면에서 ‘의도성 사동 把구문’과 ‘비의도성 사동 把구문’으로 나누어 세부적인 통사구조와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은 BCC코퍼스 문학영역에서 추출한 예문 416개를 대상으로 고찰한 결과이다. 첫째, 주어의 행위자성에 기반하면 ‘의도성 사동 把구문’은 [+의도성]을, ‘비의도성 把구문’은 [-의도성]의 의미자질을 가진다. 둘째, ‘의도성 사동 把구문’은 의도를 가지고 실행한 결과에 따라서 ‘타동성의 강화’ 유형과 ‘위치이동·속성변화’ 유형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셋째, '타동성의 강화'유형은 다시 8개의 하위 문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위치이동·속성변화’ 유형은 다시 3개의 하위 문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넷째, '비의도성 사동 把구문’은 주어의 의미역이 '원인자'인 문형과 '경험자'인 문형 2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주어의 의미역과 무관하게 모두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므로 '원인/경험자-의도치 않은 결과' 유형으로 귀납할 수 있다. 다섯째, ‘의도성 사동 把구문’과 ‘비의도성 사동 把구문’은 각각의 구조, 주어의 유정성, 목적어의 한정성, 행위자성, 타동성 등에서 상이한 특징을 갖는다. This paper aimed to define the grammatical meaning of the ‘BA(把)’ construction in Modern Chinese and based on this, attempted a new semantic classification. To define the grammatical meaning of the ‘BA(把)’ construction, this paper examined three existing perspectives: ① the disposal perspective, ② the causative perspective, ③ the dual perspective of disposal and causative. Through this examination, it was suggested that both the disposal and causative perspectives are grounded in a common grammatical meaning of ‘causative’ with the only difference being the agentivity of the causer. In light of this, the paper regarded the ‘BA(把)’ construction as one constituent of the causative category and divided it into two categories based on the agentivity of the causer: ‘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and ‘un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The analysis is based on 416 examples extracted from the BCC corpus in the literary domai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gentivity of the subject, ‘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has the semantic feature [+intentionality], while ‘un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has the semantic feature [-intentionality]. Second, ‘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ransitivity reinforcement’ type and ‘location shift/attribute change’ type, depending on the intended outcome of the action. Third, ‘unintentional causative BA(把) construction’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ose with the semantic role of ‘causer’ and those with the semantic role of ‘experiencer’, as they all indicate an unintended result regardless of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so they can be reduced as ‘cause/experience-unintended result’ types. Fourth, the paper analyzes the structures, frequency, animacy of the subject, definity of the object, agentivity, transitivity, and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two types, as shown in the table below.

      • KCI등재

        중국 충칭시 파유문화의 광장경관 문화재생에 관한 연구 -충칭시 삼협광장을 중심으로-

        리우옌롱 ( Liu Yanlong ),김병옥 ( Kim Byung 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몇 년 동안 충칭시의 도시화 진행이 빨라지고 경관조성이 대량화되면서, 충칭 본연의 독특한 지역 경관 문화의 특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충칭 파유문화가 현대경관 디자인에서 문화적으로 재생되는 현상을 찾아내고, 분석을 통해 현대경관에서 문화를 재생하는 방법을 찾아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사례조사 연구방법을 선택했다. 우선 충칭의 도시경관 문화의 특징을 가장 잘 대변하는 삼협(三峽)광장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여 조사했고, 현장관찰, 촬영, 인터뷰 등 다양한 형식으로 광장경관에 나타난 충칭 파유문화의 재생현상을 찾아냈다. 그리고 경관에서 나타나는 파유문화 재생 현상을 분류분석, 심층분석, 문화재생 분석 등 경관설계의 현황 및 표현형식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파유문화가 경관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연구 및 분석을 통해 전통 파유문화를 현대경관에 문화재생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파유문화는 현대 경관에 문화재생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파유문화의 자연환경 요소, 고대유적 및 건축요소, 역사적 인류문화의 요소가 파유문화 재생을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스토리텔링을 통해 경관 속 문화재생을 말해주고 있다. 파유문화는 경관 속의 공공시설물, 공공조형물, 공공표지물을 현대적으로 설계하여 활용함으로써 경관의 문화재생을 도모한다. (결론) 본 논문은 충칭의 파유문화가 도시 광장의 경관에 미치는 문화적 재생에 관한 연구를 통해 충칭 도시중심구(主城區))의 도시계획 분석을 통해 광장의 장점과 단점을 탐구하였다. 파유문화는 도시 광장에 디자인을 응용할 때 3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소재를 수집하고, 파유문화요소를 발굴하는 것이다. 둘째, 소재를 정리하고 파유문화를 디자인하는 '보물'을 찾는 것이고, 세 번째는 문화재생의 방법을 도입하고, 보물찾기형 문화재생 방법과 스토리텔링형 문화재생의 방법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충칭광장 경관인 파유문화재생디자인의 이론적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with the acceleration of the urbanization process in Chongqing, the landscape design has been mass-produced, and the unique geographical landscap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ongqing are gradually disappear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phenomenon of cultural regeneration of Chongqing Bayu culture in modern landscape design, and to find out the method of cultural regeneration of Bayu culture in modern landscape. (Method)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ology. Firstly, the Three Gorges Square,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Chongqing's urban landscape culture characteristics, was selected for investig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s, shooting records, and conversation records, the phenomenon of Chongqing Bayu culture reappearing in the square landscape was investigated. Then, the classificat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ultural regeneration analysis of the Bayu culture reappearance appearing in the landscape are explored to explore the status quo and manifestation of the Bayu culture in landscape design. Finally, by analyzing the phenomena appearing in the landscape of these Bayu cultures, the method of cultural regeneration in the modern landscape can be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Bayu cultur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Bayu culture can be culturally regenerated in modern landscapes.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of the Bashu culture, the ancient ruins and ancient architectural elements, and the historical and human elements are all important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generation of the Chongqing urban landscape Bayu culture. These Bayu cultural elements are culturally regenerated in the landscape through storytelling. The Bashu culture carries out the cultural regeneration of the landscape through the flexible use of modern facilities in the public facilities, public sculptures and public signs in the landscape. (Conclusions) In this paper, the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cultural regeneration of Chongqing Bayu culture in the urban square landscape, through the design analysis of the main square in the main city of Chongqing, explor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main city square in Chongqing. It is believed that the Bayu culture should follow three major steps i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city square: one is to collect materials and excavate the elements of the Bayu culture; the second is to organize the materials, to find the “treasures” for designing the Bashu culture, and the third is to introduce the method of cultural regeneration. The system introduces the treasure-seeking culture regeneration method and the story-telling culture regeneration method, and establishes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Chongqing Square landscape Bayu culture regeneration design.

      • KCI등재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항목 연구 방법론 탐색 -‘把’구문 문법 항목 순서를 중심으로-

        진현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4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생산적 지식 관점에서 기존 중국어 문법 항목의 교육 순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문법 항목 순서 배열을 위한 방법론 제시하는 데 있다. 제2언어 학습에서 어휘 지식은 ‘듣거나 읽을 때 필요한 지식’과 ‘말하거나 쓸 때 필요한 지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제2언어 문법 학습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國際漢語教學通用課程大綱 (2014)에서 사용된 ‘把’자문의 문법 의미 항목 구분은 한국인에게 적절하지 않다. 2. 문법 의미 항목 등급 구분도 한국인에게 적합하지 않다. 전문 통역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把’구문 문법 의미 항목 중 6급 전체와 5급 ‘주어+把+목적어+给+동사절’ 항목은 생산적 지식 교육에 부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인 대학생들의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把’구문 문법 의미 항목 6급 전체와 5급 ‘주어+把+목적어+给+동사절’ 항목은 생산적 지식 교육에 부적합해서 삭제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 國際漢語教學通用課程大綱 (2014)에 제시된 3, 4급 모든 항목과 5급 ‘주어+把+목적어+동사+着’ 항목은 모두 너무 어렵게 나타났다. 기존 교과서를 분석해보니 ‘把’구문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문항반응이론을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3, 4급 모든 항목과 5급 ‘주어+把+목적어+동사+着’ 항목의 난이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항목 재분석과 재배열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생산적 지식 관점에서 볼 때, 國際漢語教學通用課程大綱 (2014) 6급 항목 전체와 5급 ‘주어+把+목적어+给+동사절’ 항목은 교육에서 배제되어야 한다. 3, 4급 항목 전체와 5급 ‘주어+把+목적어+동사+着’는 생산적 지식 어휘 관점에서 볼 때 재분석과 재배열이 필요했다. The study conducted on Koreans yields two main conclusions.: 1. the arrangement of the “把” construction grammar items in the “International Curriculum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2014) was found to be inappropriate. 2. the classification of grammar meaning items was not practical. In this paper,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grammar meaning items of the “把” construction as outlined in the “International Curriculum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2014), with a focus on productive knowledge.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ional interpreters regarding the grammar meaning items of the “把” constru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three Level 6 items and the Level 5 “subject + 把+ object + 给+ verb phrase” item were deemed unsuitable for productive knowledge educa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item difficulty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the same Level 6 items and the Level 5 “subject + 把+ object + 给+ verb phrase” item were found to be extremely challenging. It is considered appropriate to remove these items from the educational targets.

      • KCI등재

        提婆達多 破僧伽의 지지세력 고찰 Ⅱ- 비핵심동조자를 중심으로 -

        염중섭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破僧伽와 관련된 전적들에는 파승가와 관련해서 提婆達多를 지지한 핵심인물 4人을 기록하고 있고 이외에 단순가담자로 500人을 들고 있다. 그리고 단순가담자 500인은 파승가 직후 사리불과 목건련의 교화에 의해서 다시금 불교승단으로 回歸하였다고 되어 있다.그러나 파승가가 붓다 재세시 이외에는 가능하지 않다는 점과, 제바달다 파승가가 붓다 만년의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僧殘과 逆罪를 통해서 강도 높게 비판되고 있다는 점은 이 사건이 단순히 봉합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해 준다. 또한 후대까지도 제바달다파가 건재하게 잔존하고 있었다는 法顯과 玄奘, 그리고 義淨의 기록들은 파승가에 가담한 지지자들이 핵심동조자 4인과 단순가담자 500인 외에도 일부가 더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提婆達多派 측의 기록이 잔존하지 않는 상황에서 불교적인 기록들만으로 이의 확실한 측면을 이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그러나 파승가 관련전적들이 불교 안에서도 다수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보다 실상에 근접한 단편들을 살펴볼 수가 있게 된다. 본고는 파승가의 핵심동조자 4인 이외의 파승가 지지세력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모색을 시도한 것이다.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먼저 인명이 거론되고 있는 승단의 문제인사들에 대해 검토하고, 다음으로 핵심동조자 4인과 단순가담자들 사이를 연결했을 존재로 제바달다의 문도와 직계제자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제바달다의 문도와 제자는 단순가담자들과는 달리 파승가 이후에도 불교교단으로 회귀하지 않고 남아 제바달다파를 유지했을 것으로 사료된다.이 외에 阿闍世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확보되는 단순가담자들이 있는데, 이들은 파승가 이후 사리불과 목건련에 의해서 회귀되는 주된 인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구승단 내의 인사들과는 다른 비구니 지지세력도 일부 발견되며, 제바달다와 그 지지세력을 후원했을 재가인들의 측면 및 교류관계의 外道에 대해서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In relation with the saṃgha-bheda, the Buddhist classics recorded not only the four essential supporters for Devadatta but also the 500 simple confederates. The 500 simple confederates are recorded to have returned to the Buddhist saṃgha right after the saṃgha-bheda through the guide of Śāriputra and Maudgalyāyana.But,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aṃgha-bheda was possible only during the Buddha's life time and the fact that, even if the Devadatta's saṃgha-bheda happened in the later days of Buddha, it was strongly blamed through the saṃghāvaaśeṣa and the treason, it strongly suggests that this event was not simply put down. Furthermore, the records of Fa-hsien, Hsuantsang and Iching that the Devadatta's sect still remained in the later days implies that there had been more participants in the saṃgha-bheda than the four essential supporters and the 500 simple confederates. But, as the records written by the Devadatta's sect do not remain now, it is very hard to clearly understand the situation only with the Buddhist documents.But there still are many traditions on the saṃgha-bheda in the Buddhist documents, we can approach the more realistic situation by integrating the fragments. This paper tries the more concrete search for the supporting group of the saṃgha-bheda in addition to the four essential supporters.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s first the rebellious persons of the saṃgha whose names were recorded in the documents. Then, it deals with the Devadatta's direct disciples and proteges who might have connected the four essential supporters and 500 simple confederates. Unlike the simple confederates, the Devadatta's direct disciples and proteges are considered to have maintain the Devadatta's sect without returning to the Buddhist order.In addition to them, there were simple confederates, who were secured by the total support of Ajātaśatru. These people seemed to be restored mainly by Śāriputra and Maudgalyāyana. In addition to the persons in the monk saṃgha, some other supporting groups were found in the monks. Furthermore, there must have been the laymen who supported Devadatta and his groups. Their aspects and the external ways of their interchange were reviewed in this paper.

      • KCI등재

        把자문 小考 : 把의 목적어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방법에 관하여

        최재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中國硏究所 2004 中國硏究 Vol.34 No.-

        Today's Chinese grammar authority, they have two ways of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 of 把‘s object either the way of the subject clause or the object clause, but they do not completely explain it. The reason is that the authority are trying to analyze and construe the 把 construction synchronically and ignoring the diachronic consideration of 把 construction's origin and the function which has pluralistic origin. Beside, 把's object is sometimes shown as things. Some scholars are insisting that this function has already disappeared, but this result comes from the lack of analysis of the today's Chinese text. On the other hand, some scholars insist that this kind of function is caused by 把's usage in the today's Chinese. But this is also overlooking the all sides of 把’s diachronic consideration and it only views the 把’s function synchronically. In conclusion, By studying the 把 construction which has pluralistic origins with the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ways of studies. Reasonable opinions will be founded. Also, the statistics and analysis of concrete text will be more acceptable with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ways of studies.

      • KCI등재

        “把”字句【S+把+O+V+在/到+地方】格式中動詞語義特征對介詞“在/到”選擇的限定作用分析

        梁耀中(Liang, Yaozhong)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8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28

        The “把”sentence is both a key point and a difficult point in Chinese teaching, whether it is the elementary Chinese learner who starts study the “把”sentence or the advanced Chinese learner who has studied Chinese for many years. There are also many errors on the structure and pragmatic to use the “把”sentence, and even many students often avoid to use the “把”sentence with fear. But in practical use, the expression of many situations is more appropriate to use the “把”sentence. For example, when you are causing others to shift the object, using [把+O+V+在/到+place] is more reasonable than using [V+O+在/到+place] form, and the command is also stronger. But when students use this sentence form, they often have a lot of errors. The most common error is that students don"t know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verb in this “把”sentence, which results the mistakes in the choice of the preposition “在/到” after the verb, such as creating a wrong sentence like “把书搬在教室里”. Therefore, we will discuss the problem in this “把”sentence form. This is more conducive to analyzing the reasons why Korean students have produced such wrong sentence in this form and look for proposing teaching strategies. First, this paper will start with the mistakes of Korean students using the “把”sentence [把+O+V+在/到+place] form and collect students" wrong sentences by questionnaire test. And we will analyze the semantic features of commonly used verbs in this form based on the corpus, in order to explore the limiting effect of the verb semantic features on the choice of “在/到” in this form and summed up the usage rule of the preposition “在/到” after the verb. Second, through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reasons why Korean students are make wrong sentence in this “把”sentence form and propose the suggest on the teaching of Chinese in this “把”sentence. At last, we will teach students the usage rule of using the verbs with prepositions “在/到” in this “把”sentence, to prevent students from making mistakes when they use this form to make sentences.

      • KCI등재

        항만공진주기와 선박동요량을 고려한 항만가동율 산정

        곽문수(Moonsu Kwak),문용호(Yongho Mo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5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선박의 크기, 계류조건, 파랑의 주기, 파향 등에 의한 계류선박의 동요량을 해석하고 선박의 하역한계파고 산정 및 항만가동율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본 방법은 포항신항 제8부두의 파랑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하역중단 시 파랑관측 자료는 파고 0.10~0.75 m, 주기 7~13 s 이었으며, 이때 계류된 선박은 800~35,000톤 이었다. 그리고 본 방법으로부터 산정된 제 8부두의 하역한계파고는 선박 5,000, 10,000, 30,000톤에 대하여 파고 0.19~0.50 m, 주기 8~12 s로 산정되었다. 본 방법의 결과는 연구대상 선박의 크기가 현지 선박의 크기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아서 파고는 관측치와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주기변화에 따라 하역한계파고를 잘 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파향이 75도 인 경우의 본 방법에 의한 하역한계파고는 현행 항만설계 기준에 제시된 한계파고 보다 장단주기 파를 고려하면 16~62% 감소하였고, 단주기 파랑만 고려하면 0~46%감소하였다. 특히 현행 항만설계기준의 하역한계하고는 10,000톤 이하의 선박에 대해서는 과대 평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선박의 동요량을 고려하여 산정된 포항신항 제 8부두의 가동율은 설계기준 파고에 의한 가동율 에 비하여 6.5% 감소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an estimation method of allowable wave height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ship and evaluation of effective working days considering moored ship motion that is affected by sip sizes, mooring conditions, wave periods and directions. The method was examined validity by comparison with wave field data at pier 8<SUP>th</SUP> in Pohang New Harbor. The wave field data obtained with wave height of 0.10~0.75 m and wave period of 7~13 s in ship sizes of 800~35,000 ton when a downtimes have occurre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allowable wave height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ship in this method have obtained with wave heights of 0.19~0.50 m and wave periods of 8~12 s for ship sizes of 5,000, 10,000 and 30,000 ton. Thus this method well reproduced the field data respond to various a ship sizes and wave periods. And the results of this in Korea are didn’t respond to various the ship sizes and wave periods, and we h method tended to decrease in 16~62 percent when have considered long wave, and it is decreased in 0~46 percent when didn’t consider long wave than design standards in case of the ship sizes of 5,000~30,000 ton, wave period of 12 s and wave angle of 75°. The allowable wave height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ship proposed by design standards in Korea have found that overestimated on smaller than 10,000 ton.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effective working days considering ship motion at pier 8<SUP>th</SUP> in Pohang New Harbor reduced in 6.5 percent when compare with the results without considering ship motion.

      • KCI등재

        破僧事의 구가리에 관한 고찰

        염중섭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6 No.-

        In its characteristics as the separation of Buddhist sect, the saṃgha-bheda is not an event that one person Devadatta could control. It was possible because there were many followers around him. Kokālika was one of four key members who followed Devadatta to the last. Therefore, the correct comprehension on Kokālika has the meaning in that it widens our understanding on the fundamental Buddhism of the saṃgha-bheda and Buddha's later life. Actually, Kokālika was involved in the whole aspects of the saṃgha-bheda. From the point that the saṃgha-bheda was decided by Devadatta, Kokālika began to follow him. After the saṃgha-bheda, in the restraint against Sariputra and Maudgalyayana and in the process that Devadatta's error was pointed out and most of his followers were led back by Sariputra and Maudgalyayana, much of the responsibility lay on Kokālika. Thus, he went together with Devadatta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aṃgha-bheda. So, Kokālika was the next most essential person to Devadatta in the saṃgha-bheda.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saṃgha-bheda was raised by a group, the role of the helper must have been very important. Despite it, when dealing with this problem, we have given too much focus on one person Devadatta up to now. Through the study on Kokālika, we can attain the more plausible recognition about how Devadatta could get and keep his supporting group and why the key followers did not return to Buddhist sect but kept on following Devadatta. With this, we can secure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saṃgha-bheda. Thus, Kokālika is an indispensable person in our understanding about the saṃgha-bheda and the monk organization of early Buddhism. 파승가는 승단의 분열이라는 특성상 제바달다 1인이 할 수 있는 사건이 아니다. 그러다 보니 다수의 동조자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구가리와 같은 경우는 이러한 동조자들 중에서도 최후까지 제바달다를 따르는 핵심동조자 4인 중 1명이다. 그러므로 구가리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는 파승가와 붓다 만년의 근본불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확보할 수 있다. 구가리가 실질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파승가의 측면은 전체적이다. 파승가가 제바달다에게서 결정되는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승단분열 이후에는 사리불과 목건련을 견제하는 부분, 그리고 제바달다의 오류를 지적하는 부분과 사리불과 목건련에 의해서 대다수의 지지자들이 불교승단으로 되돌아가게 되었을 때, 책임의 대상이 되는 부분까지 구가리는 제바달다와 더불어 파승가의 시종을 함께하고 있다. 즉, 구가리는 파승가에 있어서 제바달다 다음가는 핵심 인물이었던 것이다. 파승가는 집단에 의한 사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조력자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우리는 문제를 너무 제바달다 1인만을 중심으로 해서 파악한 측면이 있다. 구가리에 대한 정리를 통해서 제바달다가 어떻게 지지기반을 확보·유지했으며, 핵심동조자들이 끝까지 불교교단으로 회귀하지 않고 제바달다를 따르게 된 이유에 관해 우리는 보다 타당한 인식에 도달해 보게 된다. 이는 파승가에 있어서 보다 높은 이해를 확보할 수 있는 측면이라고 하겠다. 즉, 파승가의 이해와 초기불교의 승단이해에 있어서 구가리에 관한 측면은 주목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