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

        이지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first social relation which a human being has in this world is the one with his/her mother, and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 and an infant, the earliest environment, has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development of the infant's emotion and sociality. Mothers' attitude on parenting children, especially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development of the infant and plays an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gres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ith their peer competence. And through this, the study makes par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related to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f toddler-hood, proposes a direction to enhance parenting children, and hope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of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s. Thu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between children's peer competence? Third,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Fourth, what is the explain power of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both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For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study used 230 pieces of material from 230 children of age 4 and 5, as many mothers, 30 teachers in 10 nurseries and 5 preschools in Seoul. To measure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the research used an adaptation version of Saarni's PACES(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1990) which was adapted by Ji-seon Lee(2002) to fit age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order to estimat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children's EQ(Emotional Quotient) Measurement &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of Gyeonghee Kim(1999) was used which was based on the concept mod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dapted by Salovey and Mayer(1996). For measurement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peer competence measurement system developed by Juhee Park․Eunhae Lee(2001) was employed. Data process was done by SPSS12.0 for Window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research subjects were detected under frequency analysis, and Cronbach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credibility verification of standards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carried out path analysis to judge the explain power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case that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is receptive and permissive, there are high mutual relations with utilization of self emotion as a sub-elemen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emo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self emotion, emotion control, impulse suppression, interaction with teachers, interaction with peer group. Second, in the effect of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case that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is receptive and permissive, there are high mutual relations with sociality, society-friendliness, and leadership as sub-elements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At this time we can learn that the receptive and permissive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plays a greatest variable in children's society-friendliness of peer group. Third,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he strongest variables to explain children's peer competence were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emotion and the relation with peer group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means that children's peer competence grows higher as they frequently use the skills of relation with peer group. Fourth,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has effects on such sub-areas of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as the use of emo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veness of self emotion, emotion control and impulse suppression, interaction with teachers, interaction with peer group as well as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has effects on such sub-areas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as sociality, society-friendliness, and leadership. That is, mothers'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 expressivenes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has direct effects on children's emotion intelligence, but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rather than direct effects. 인간이 이 세상에서 최초로 맺는 사회적인 관계는 어머니와의 관계이며, 초기 환경인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는 자녀의 정서와 사회성 발달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자녀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중 특히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며,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을 발달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만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 및 또래 유능성과 관련하여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육성 방향을 제시하며,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대해 갖는 설명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어린이집 10곳과 유치원 5곳의 만 4, 5세 유아230명과 그들의 어머니 230명, 담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각 230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아기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aarni(1990)가 개발한 PACES(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를 연구 대상의 연령 및 기타 특성에 적합하도록 이지선(2002)이 번안․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Salovey와 Mayer(1996)가 수정 제안한 정서지능의 개념모형을 토대로 김경회(1999)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주희․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for Window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특성 요인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파악했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또래유능성의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대해 갖는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수용․허용적일 때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요소인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 조절 및 충동 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가 수용적이고 허용적일 때 유아의 또래유능성 하위요소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때 수용적이고 허용적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또래관계내에서 유아의 친사회성에 가장 큰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 중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와 또래와의 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변인이었다. 이는 유아가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와 또래와의 관계기술을 많이 사용할수록 또래유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영역인 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 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하위영역인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할 수 있겠다.

      •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박현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자아개념의 결정적 시기인 청소년의 자아개념 인식에 따른 성별의 차이와 부모의 양육 태도가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 하였다. 가설1. 청소년의 자아개념 인식에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2.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①부모의 양육태도(수용-거부, 자율-통제, 성취압력)는 청소년의 자아개념 각 하위 요인별 (신체적자아, 도덕적자아, 성격적자아, 가정적자아, 사회적자아, 학문적자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②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교 1, 2, 3학년 남녀 학생28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김기정이 제작한 [부모-자녀관계]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해서 김기정이 제작한 [자아개념]검사지를 사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반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자아개념 인식에 따른 성별의 차이를 보고자 t-test를 사용 하였고, 부모의 양육 태도(수용-거부, 자율-통제, 성취 압력)의 각 하위요인이 청소년의 자아개념(신체적자아, 도덕적자아, 성격적자아, 가정적자아, 사회적자아, 학문적자아)의 각 하위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인식하는 자아개념에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 때 청소년의 자아개념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①청소년의 신체적 자아개념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만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신체적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② 남학생의 경우만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도덕적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청소년의 도덕적 자아개념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일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③남학생의 경우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성격적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취압력적 일수록 성격적 자아개념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청소년의 성격적 자아개념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자율적일수록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④청소년의 가족적 자아개념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차이가 없었다. ⑤ 남학생은 부모의 양육태도중 수용적 태도와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청소년의 사회적 자아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⑥남학생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이고 성취압력적일수록 학문적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청소년의 학문적 자아개념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⑦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데 수용적일 때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남학생의 경우는 성취압력이높을수록 자아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 때 청소년의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자신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자신의 참 모습을 찾고자 방황하는 시기인 청소년들을 부모가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생각이나 감정을 공감적으로 이해하며 격려와 칭찬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아기나 아동기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아개념의 결정적 시기인 청소년기에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ple if there was any disparity by gender in adolescent's cognition of self-concept, who in the critical period for self-concept, and to investigate how parental attitude affected adolescent's self-concept.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posed in this study ; Hypothesis 1.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by gender in adolescent's cognition of self-concept. Hypothesis 2. Parental·attitude would affect adolescent's self-concept.. 1) Parental attitude(acceptance-rejection, autonomy-control, press for achievement) would give an impact on each subfactor of adolescent's self-concept.(physical ego, ethical ego, character ego, domestic ego, social ego and academic ego). 2)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 on adolescent's self-concept would differ with the adolescent's gender.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the selected 282 boy and girl students who were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at a liberal arts high school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here were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Test made by Kim Ki Chuang to measure parental attitude, and the Self-Concept Test also made by Kim Ki Chung to measure adolescent's self-concept.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using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was any difference by gender in adolescent's cognition of self-concept. The data also were processed b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how each subfactor of parental attitude(acceptance-rejection, autonomy-control, press for achievement) affected each subfactor of adolescent's self-concept(physical ego, ethical ego, character ego, domestic ego, social ego, and academic ego). The finding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no disparities were found between gender in adolescents' cognition of self-concept. Second, adolescent's cognition of self-concept appeared to be positive as parents showed an acceptable attitude. The following were the detailed explanation about each subfactor ; 1) Adolescent's physical self-concept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when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ttitude. Regarding the classification by gender, only boy students had positive cognition of physical self-concept in case that parents showed an acceptable attitude. 2) Only boy students had more positive cognition of ethical self-concept as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ttitude. Adolescents' ethic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affected in case that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nd autonomous attitude. 3) For boy students, the cognition of character self-concept was more positive in case that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ttitude. For girl students, the cognition of character self-concept was more negative in case that parents showed more pressing attitude for achievement. Adolescent's character self-concept was more positively affected as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nd autonomous attitude. 4) Adolescents' domestic self-concept was more positively perceived as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ttitud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this respect. 5) Boy students had more positive cognitive of social self-concept in case that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ttitude or more pressing attitude for achievement. Adolescents' social self-concept was more positively affected as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ttitude. 6) Boy students had more positive cognition of academic self-concept in case that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or more pressing attitude for achievement. Adolescents' academic self-concept was more positively perceived as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ttitude. 7) Parental attitude gave an impact on adolescent's self-concept. A positive impact was given in case that parents showed more acceptable attitude. For boy students, a positive impact was given on the self-concept as stronger press for achievement was imposed on the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an acceptable parental attitude positively affected adolescent's self-concept formation. Accordingly, use self-concept of adolescents, who were in the period of wandering to find out what they really were with a question about themselves, could be positively developed if parents tried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ir feeling or thoughts, with affection and concern, and to encourage or praise them frequently. Thus, it was found that parental attitude was important not only for the early childhood or boyhood but for the adolescence, which was the critical period for self-concept.

      • 복지정책 선호 결정요인 분석 : 정치적 성향과 빈곤 책임 인식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손유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념 성향과 빈곤책임 인식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념 성향은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보수적일수록 부정적인 복지태도를, 진보적일수록 긍정적인 복지태도를 보인다. 둘째, 빈곤책임 인식 또한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빈곤에 대해 개인의 책임을 강조할수록 부정적인 복지태도를 보이며 사회구조적 책임을 강조할수록 긍정적인 복지태도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념 성향이 복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빈곤책임 인식에 의해 매개된다. 즉 보수적일수록 빈곤의 원인에 대해 개인적 요인 위주로 접근하며 이러한 경향이 정부의 재분배 역할과 증세에 대한 반대로 이어지게 된다. 반대로 진보적일수록 빈곤의 책임이 사회구조에 있다고 보며 정부의 복지정책 확대에 긍정적인 선호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의 복지태도, 특히 저소득층에서 뚜렷한 복지 선호가 나타나지 않는 현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저소득층에서 보수적 성향이 나타나고 또한 빈곤의 책임이 개인적 요인에 있다고 보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자신의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부정적인 복지태도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복지태도를 분석하고 나아가 복지정책의 효과를 점검함으로써 향후 복지정책 방향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 장애아동에 대한 지식,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와 장애아동에 대한 지식척도와 자아존중감, 공감능력, 사회적 바람직성 변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수용태도 하위 영역 중 인지적, 정서적 요소의 주요변인들을 분석하여, 시간적으로 제한된 장애관련교육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어떤 변인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고, 효과적인 장애관련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총 39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고, 장애 수용태도에 대한 하위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자기보고식 설문방법의 특성상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바람직성 통제 하에 정서적 공감은 초등학생의 장애 수용태도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장애에 대한 지식, 자아존중감, 인지적 공감은 유의미하지 않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에 대한 지식 같은 인지적 영역은 장애수용태도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정서적 영역의 자아존중감이나 인지적 공감도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수용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공감 중에서도 정서적 공감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elementary students’ receptive attitude, knowledge yardstick, self-esteem, empathy 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variables toward disable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what variables to place emphasis on in order to improve non-disabled students’accommodation attitude on disabled students at time-limited education related to disabled students, analyzing main variabl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elements among subordinate scopes of disability accommodation attitude, and the purpose is to help develop an effective curriculum and program related to disability. The values of descriptive statistics are calcula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rom the data which are collected from conducting a survey of 394 schoolchildren of 5th and 6th grad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in order to know relative influence of subordinate elements about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In addition, social desirability is regulated which aris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method. The conclusion is that emotional empathy under regulation of social desirability suggested hav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of elementary student, while knowledge toward the disabled, self-esteem and cognitive empathy are revealed as meaningless variables. In other words, it appears that cognitive scope such as knowledge about the disability doesn’t have an influence on the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nor do self-esteem of emotional scope and cognitive empathy.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motional empathy among it in making program to improve the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 호텔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호텔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 정보원천을 중심으로

        윤영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브랜드자산은 모든 호텔기업이 가장 우선순위를 두는 분야이며, 강력한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호텔기업들은 브랜드자산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광고를 활용하며, 소비자의 호텔광고에 대한태도에 따라 호텔 브랜드자산도 영향을 받게 된다. 광고를 집행하는데 어떠한 정보원천을 사용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며, 소비자들은 다양한 미디어와 많은 정보원천으로부터 수많은 광고를 접하기에 정보원천을 통한 광고의 효율적인 전달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고태도를 정보원천별로 구분하여 호텔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브랜드자산의 형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광고태도를 감정적 광고태도와 행동적 광고태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정보원천은 인쇄매체, 방송매체, 인터넷매체, 옥외광고, 구전으로 구분하였다. 실증조사를 위하여 예비조사와 모의조사 후 완성된 설문지를 2009년 2월12일부터 3월8일까지 25일간 서울, 부산, 경주, 제주에 위치한 특급호텔에서 10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 중 정보원천을 통해 호텔을 이용한 이용객이 작성한 설문지 962를 회수하여 유효설문지 854부의 표본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5, AMOS 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선호하는 정보원천은 인터넷매체, 구전, 인쇄매체, 방송매체, 옥외광고의 순으로 나타났고, 선택한 정보원천은 인터넷매체, 구전, 옥외광고, 인쇄매체, 방송매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정보원천과 선택한 정보원천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옥외광고의 경우 선호하는 정보원천 중에서 가장 낮은 빈도인 53명이 응답하였지만, 선택한 정보원천에서는 127명으로 응답해 선호도는 낮지만 선택하는 경우는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외광고는 고객의 거주지에서 접하기 보다는 관광지에서 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옥외광고를 선택한 대부분은 관광지에 도착한 후 호텔을 선택한 경우에 해당하는데, 거주지에서 정보탐색을 하는 경우에 비해 제한된 정보탐색으로 인해 선호도는 낮지만 옥외광고를 선택을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전체적인 호텔 이용객의 광고태도에 있어서 감정적 광고태도와 행동적 광고태도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정적 광고태도와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모형으로 파악한 광고태도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와 인쇄매체, 방송매체, 인터넷매체, 옥외광고, 구전의 5가지 정보원천 별 집단 간의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호텔기업의 브랜드자산의 제고를 위해서는 정보원천 별로 다른 광고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할 것이다. 셋째, 정보원천별로 살펴보면 인쇄매체를 선택한 이용객의 경우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자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브랜드자산 제고를 위해서 인쇄매체를 이용하여 광고 전략을 수립 하는 경우, 소비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는 브랜드자산 제고에 효과적이지 않으며,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의 경우 브랜드의 상징물, 우수한 품질과 매력성 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방송매체를 선택한 이용객의 경우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의 브랜드자산 제고를 위해서 방송매체를 이용하여 광고 전략을 수립 하는 경우, 소비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는 브랜드이미지보다는 우수한 품질과 특징적인 연상체, 상징물 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이며,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의 경우 브랜드의 독특함, 명성, 우수한 품질과 매력성 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다섯째, 인터넷매체는 호텔 이용객이 가장 선호하는 정보원천으로 조사되었으며, 현재 가장 중요한 정보원천 중의 하나이다.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자산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이미지를 제외한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매체를 이용한 광고 전략을 수립 할 경우 소비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는 매우 유용하며,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의 경우 브랜드의 상징물, 우수한 품질과 매력성 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여섯째, 옥외광고를 선택한 이용객의 경우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연상을 제외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인지,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지각된 품질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외광고를 이용한 광고 전략을 수립 할 경우 브랜드자산의 강화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가 유용할 것이며,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의 경우 우수한 품질과 깨끗함, 매력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이다. 일곱 번째, 구전을 통해 호텔을 이용하는 경우 호텔 이용객들이 인터넷매체 다음으로 선호하는 정보원천으로 조사되었다. 구전의 경우 감정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광고태도는 브랜드연상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을 자극하는 광고는 우수한 품질과 깨끗함, 매력성을 부각시키는 광고가 효과적이고, 감정을 자극하는 광고는 브랜드자산 강화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정보원천은 광고태도와 브랜드자산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광고를 통해서 우호적인 브랜드자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Brand equity is the field on which all hotel enterprises put the highest priority and consider establishment of powerful brand equity as their highest priority task. Hotel enterprises utilize advertisement as a means of reinforcing their brand equity, and hotel brand equity is aff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ttitude of consumers toward hotel advertising. With the increase in the interest on utilization of which information source in executing advertisement will impart influence on the changes in the attitudes of customers, the efficient conveyance of advertisement through information source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of interest as consumers are perpetually exposed to countless number of advertisement from diverse range of media and numerous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ly, this Study, having recognized the need of research on the format through which the attitude of customers towards hotel advertisement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brand equity, aims to closely examine such influe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by categorizing th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for each source of information. Attitudes towards advertisement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through consider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in order to efficiently carry out such research goals. Information source was categorized into printed media, broadcast media, Internet media, out-door advertising media and word-of-mouth. 1,000 copies of survey questionnaire produced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s and mock survey was distributed to customers of five-star hotels situated in Seoul, Pusan, Kyongju and Jeju over 25-day period from February 12 to March 8 for the empirical examination. Among the 962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he customers who used aforementioned hotels through information sources, 854 valid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etc was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11.5 and AMOS 4.0.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research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ustomers preferred the information source in the order of Internet media, word-of-mouth, printed media, broadcast media and outdoor advertising media, and selected the information source in the order of Internet media, word-of-mouth, outdoor advertising media, print media and broadcast media.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preferred information source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source. Although outdoor advertising media was preferred by only 53 respondents, the lowest number among all the information sources, it was selected by 127, displaying higher extent of being chosen in spite of its lowest preference. Customers more often find the outdoor advertisement in the tourist destinations than where they live. Majority of those who selected outdoor advertisement decided on the hotel to use after they have arrived at the tourist destination. It is deemed that selection of outdoor advertisement, as information source is higher than its level of preference due to incidences of limitations in information search at the tourist destination in comparison to the information search at the place of residence of customers.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on the brand equity, in terms of overall attitude of the hotel users towards advertisement, illustrated that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nd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impart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equity.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of the brand equity amongst each group for each of the 5 information sources, namely, printed media, broadcast media, Internet media, outdoor advertising and word-of-mouse, which were assessed through total matrix model were found to be different. This illustrate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different advertisement strategy for each information source in order to enhance brand equity of hotel enterprises. Thirdly, examination of each information source illustrates that, in the case of customers who selected printed media,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does not affect brand equity, while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affects only brand recognition,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In the case of establishing advertisement strategy by using the printed media for enhancement of hotel brand equity, it can be seen that the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the emotions of the consumers is not effective in enhancement of brand equity and that,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behavior of the consumers, advertisement that highlights the symbols of brand, excellent quality and attractiveness is effective. Fourthly, in the case of users who selected the broadcast media,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impart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rand recognition,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while the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affects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It suggests that, in the event of establishment of advertisement strategy by using broadcast media for enhancement of brand equity of hotel,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emotion of consumers is more effective if it were to highlight the excellent quality and specific object of association and symbol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brand image, while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behavior, advertisement that highlights the uniqueness, renown, excellent quality and attractiveness is effective. Fifthly, the Internet media was found to the most preferred information source by the hotel customers, and is curr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It was found that the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ffects all the brand equities, while the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affects brand awareness,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with the exception of the brand image. When establishing advertisement strategy using Internet media, it was found that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the emotions of the consumers are highly useful, while,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the behavior of the consumers, advertisements that highlight symbol of brand, excellent quality and attractiveness, etc are effective. Sixthly, in the case of users who selected the outdoor advertising media,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impart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brand recognition and perceived quality with the exception of brand association, while the behavioral advertising attitude only affects the perceived quality. When establishing advertisement strategy using outdoor advertising media, utilization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emotions of the consumers would be useful, while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advertisement that that highlights excellent quality, cleanliness and attractiveness is effective in order to reinforce brand equity. Seventhly, choosing hotel through word-of-mouth was found to be the second source of information followed by the Internet media. In the case of word-of-mouth, it was discovered that the a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imparts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equity while the behavioral advertisement impart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brand association. This result illustrate that, in the case of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behavior of customers, advertisement that highlights outstanding quality, cleanliness and attractiveness is effective, while the advertisement that stimulates the emotion is effective in reinforcement of brand equity. It was illustrated that friendly brand equity can be established through advertisement as information source was found to impart causal effect on the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equity.

      • 과학관 체험학습에서 ICT활용 협동학습(TGT)모듈을 적용한 사전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순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과학교육으로서의 과학관 체험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학습목표를 자기 맥락화하여 과학 관련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을 적용한 과학관 체험학습 사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협동학습 과정이 ICT 프로그램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설계한 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점에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기존의 협동학습(TGT)방식의 장점인 중하위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과학학습동기, 자아존중감에 대한 향상효과를 보존하고자 하였다. 둘째, 동 방식의 단점인 원 모둠에서 게임 모둠으로의 전환 시 매번 교실 내 빈번한 이동이 발생하여 매우 어수선해지며 학습 분위기가 흐트러지는 문제점, 보상구조의 문제에서 기인하는 상위권 학생들의 미약한 동기유발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2008년 희망 경기 과학 축제 고양시 부스운영에 투입되어 1차 내용 수정을 하였으며, 전문가 그룹을 통하여 2차 수정을 거쳐 수정 보완한 후 수업에 투입되었다. 과학관 체험학습을 위한 사전학습 프로그램으로서 기존 ICT 수업방식과 개발된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이 과학 관련 태도(TOSRA)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즉, 개발된 ICT활용 협동학습(TGT) 모듈을 기존 정보통신기술(ICT) 수업방식으로 투여한 경우(ICT 처치반)와 팀게임 토너먼트 방식의 협동학습을 투여한 경우(TGT 처치반), 프로그램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NOR 일반반)등 총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효과를 상호 비교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협동학습(TGT)방식의 ICT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 관련 태도(TOSRA)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수업방식 간 통계적 유의차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과학 관련 태도의 7개 범주에서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았다. 먼저, 과학의 사회적 의미 영역,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영역, 과학적 태도의 수용 영역, 과학수업의 즐거움 영역의 4개 영역에서는 대체로 TGT 처치반, ICT 처치반, NOR 일반반 순의 긍정적인 태도변화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들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영역 즉, 과학자의 평범성 영역, 과학에 대한 취미적 영역,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 영역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남학생보다는 여학생 집단에서 과학 관련 태도의 향상의 폭이 크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넷째, 학업수준 하위집단보다는 상위집단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관찰이 어려운 과학 영역에 대한 ICT활용을 통한 탐구대체 효과와 수업 효율성 향상 등의 장점과, 개별학습구조의 단점을 극복하는 협동학습 수업방식의 장점을 융합하는 새로운 수업방식의 시도라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TGT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as a method which enables both the individualized teaching-learning and the small group learning in students-centered ope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ructional effects of the Pre-learning program applied by ICT-based TGT Cooperative module for science museum excursion on science related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Three classes of third graders (N=87) at a elementary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the ICT learning group,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e students were taught about the planning of exploring the moon in the chapter of the earth and the moon, for 1 class hour. Prior to the instructions, the TOSRA(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achievement test were administered.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the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learning groups for most of the TOSRA scales. However, there was a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three distinct scales of TOSRA, Normality of Scientists, Leisure Interest in Science, and Career Interest in Science. Advantage/disadvantage and usefulness of ICT-based TGT cooperative learning were also discussed.

      • 기혼여성의 인생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은화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의 인생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기혼여성의 인생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기혼여성의 인생태도와 사회적 지지 및 삶의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2. 기혼여성의 인생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를 보 일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와 J도에 거주하는 30대~50대의 기혼여성 302명으로 인생태도,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 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 분석, 다변량 분석, 중다회기분석, Sobel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생태도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혼여성의 인생태도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인생태도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기혼여성의 인생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인생태도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인생태도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남편, 자녀,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며 이를 통해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생태도가 긍정적인 기혼여성은 남편, 자녀, 친구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며, 자신의 인생태도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데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생태도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남편, 자녀, 친구로부터 사회적 지지의 지원을 높일 수 있는 방향 제시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생태도와 관련하여 자기와 타인에 대해 긍정과 부정으로 바라보는 문제에 대해 사회적 지지의 제공에 초점을 두고 적극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인생태도에서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긍정화와 남편과 자식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제공에 대한 상담과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태도, 동기 및 학습전략이 일본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화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研究では韓国の高校の日本語学習者の態度、動機づけ、学習ストラテジーの使用の実態を調べ、日本語学力水準による態度、動機づけ、学習ストラテジーの違いと各要因間の関係及び日本語学力に及ぼす影響について調べることにその目的がある。これにより、慶南晋州にある高校の男子学生121名を対象に設問調査を実施、回収した99名の設問資料に基づいて調査分析を実施した。 態度は日本語学習に対する態度と日本∙日本人に対する態度の二種類に構成、動機づけは統合的動機づけと道具的動機づけに、学習ストラテジーは OxfordのSILL(The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による6個の下位ストラテジーに構成された。 調査の結果、韓国の高校の日本語学習者の態度と動機づけ、学習ストラテジーは全般的に低い水準であった。日本語学習に対して少し否定的な態度を持っており、統合的動機づけより道具的動機づけのほうが高かった。学習者が選択しているストラテジーは補償ストラテジー、認知ストラテジー、記憶ストラテジーの順で、間接ストラテジーより直接ストラテジーのほうをよく使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学力の高い学習者はそうでない学習者より態度、動機づけ、学習ストラテジーのすべての要因の水準が高かった。特に日本語学習に対する態度が肯定的で、統合的動機づけと道具的動機づけが複合的であり、多様に現れていて、すべてのストラテジーをより活発に使っていた。日本∙日本人に対する態度は日本語学力による有意な差は見られなかった。 態度、動機づけと学習ストラテジーの中で日本語学力と一番関連性があるのは学習ストラテジーであったが、その程度は低い水準であった。各下位要因の中で統合的動機づけと認知ストラテジーが日本語学力と確実な関連性があることがわかった。しかし、統合的動機づけより認知ストラテジーのほうがもっと高い関連性があった。 態度及び動機づけと学習ストラテジーはお互いに高い関連性を持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統合的動機づけと日本語学習に対する態度が一番高い関連性を持っていて、道具的動機と日本∙日本人に対する態度が一番低い関連性を持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以上の結果を総合してみると、日本語学習のためには日本語学習に対する肯定的な態度と、統合的動機づけと道具的動機づけの両方が適切に誘発されるべきであり、学習ストラテジーの積極的な使用も必要とする。また、これら態度、動機づけと学習ストラテジーはお互いに高い関連性を持っているので、日本語学習に対する目標を確実に持たせ、多様な学習ストラテジーを提供することにより、日本語学習に興味と関心を持たせるのが何より重要である。

      • 전도 설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태도요인 연구 : 피전도자가 인지하는 전도자의 태도요인을 중심으로

        신윤영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교회는 1990년대에 들어와서 성장 정체 현상이 계속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부분의 교회들의 전도는 수평이동에 의한 전도이며, 성장하는 교회의 양적성장도 일반적으로 한국교회의 성장 둔화와 전도 위기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지적이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한국교회도 유럽교회와 같이 문을 닫는 교회나 텅빈 교회가 늘어나지 않겠느냐는 자조 섞인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러한 위기의식 속에서 전도패러다임의 대변화가 요구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자료나 사회과학적인 연구가 부족한 것이 오늘의 상황이다. 이런 동기에서 본 연구는 피전도자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전도자의 태도를 사회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전도전략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실시되었다. 첫째, 전도자들의 태도의 변수 개발이다. 전도자의 입장에서 탈피, 피전도자의 입장에서 전도전략을 모색할 때 복음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전도자들의 태도를 사회과학적 분석을 통해 전도전략을 모색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둘째, 피전도자들의 특성별로 전도자의 태도에 대한 평가를 사회과학적 통계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피전도자들의 특성에 알맞게 맞춤형 전도 전략을 세울 수 있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다. 셋째, 전도 결정요인과 전도 저해요인을 분석해 보므로써 전도자들이 지향해야 할 태도와 지양해야 할 태도를 분석, 전도전략에 필요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얻자는 것이다. 한국교회의 정체 상황과 전도위기감 속에서 피전도자들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전도전략을 수립한다는 것은 시기적절한 것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본다. 전도자들의 설득행위에 의해 교회에 나가게 된 피전도자들의 ‘전도경험’을 통해 어떤 전도자의 태도를 선호하는지 객관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므로 전도자가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일 농촌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정신보건문제 및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

        김연실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and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attitude of residents toward the mental illness, perception of mental healthcare issue and healthcare service, based on the idea that there is necessity to prepare the methods to resolve the prejudice against the people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residents in a certain area. The subjects of this survey are 662 residents living in J county including 214 teenagers, 106 housewives, 134 senior citizens, 107 service persons, and 101 governmental officials. The tools used for this research are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ness inventory(CAMI) translated by Lee, Joohoon(1996) at Yongin Psychatri Lab affiliated with Yongin mental hospital. The tools for mental healthcare issue used in this study are those used by Nam Jungja and Choi, Changsoo(1993) for community mental healthcare of social surve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y to June in 2009,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to frequency, percentage, the arithmetic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The results proved through the servey are as follows 1) CAMI attitudes about mental illness as a result the average subscale scores was ‘Authoritarianism’33.54, ‘Social restrictiv- eness’ 32.64, ‘Benevolence’ 24.86,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26.34,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in the teenagers was ‘Authoritarianism’ 32.57, ‘Social restrictiveness’ 33.22, ‘Benevolence’ 26.59,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26.63,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in housewives was ‘Authoritarianism’ 34.28, ‘Social restrictiveness’ 31.28, ‘Benevolence’ 24.38,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27.16,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in the senior citizens was ‘Authori- tarianism’ 31.48, ‘Social restrictiveness’ 30.73, ‘Benevolence’ 25.66,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27.11, respecti- vely. The average score in the service persons was ‘Authoritaria- nism’ 35.72 , ‘Social restrictiveness’ 34.69, ‘Benevolence’ 23.31,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24.03,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in the govermental officials was ‘Authoritarianism’ 35.31 , ‘Social restrictiveness’ 33.16, ‘Bene- volence’ 22.25,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26.07, respectively. 2) For perception of local mental health issue, 44.6 % of govermental officials and 41.8% of senior citizens answered 'It's quite serious', 59.8% of service persons, 58.4% of teenagers, 47.2% of housewives answered 'It's not that serious'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urgency for mental health issu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71.965, p<.001). For seriousness of each type of mental health problem, each groups shows different interest. The average score of each type shows that teenagers take bullying and school malajudst- ment(2.78), housewives take mental patients(3.31) and sexual violence(3.31), senior citizens take dementia(2.95), service persons take mental patients(2.57) and governmental officials take dementia(3.37) seriously. 3) For the perception of mental health service, 38.0% of teenagers, 43.7% of service persons, 44.2% of governmental officials answered 'I don't know well', 43.0% of housewives 'I know a little', and 61.8% of senior citizens 'I don't know at all'. The awareness of mental health servic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49.060, p<.001). For the ways to getting aware of healthcare center, 31.0% of teenagers and service persons came to know it through events, 24.8% of housewives and 40.4% of senior citizens through introduction of public institution, 26.8 % of housewives, 46.8% of senior citizens and 29.2% of governmental officials through promotion materials. And it shows that 22.7% of teenagers, 25.3% of service persons answered children-teenagers service should be the main service whereas 26.8% of housewives, 46.8% of senior citizens, and 29.2% of governmental officials answered mental healthcare for senior citizens. In conclusion, through analyzing th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with subscales of CAMI, it shows that senior citizens have a tendency to have most authoritative attitude for scale of authoritarianism, and least score for social restrictiveness, which means that they're negative for it. The governmental officials show positive attitude towards benevolence. The service persons show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s community mental health ideology. It appears that senior citizens have most negativ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establishing plans for senior citizens to change their attitude towards mental illness. The governmental officials and the housewives show high perception of mental health problem whereas teenagers and service persons have less perception. However, each group has different interest in mental problem - teenagers take bullying and school maladjustment, housewives take mental ill and sexual violence, senior citizens take dementia, service persons take mental illness, governmental officials take dementia serious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seminars and events which can provide each group with information for mental health problem should be carried out. Looking at the way of getting familiar with the center, the youth and the military learned about center through seminar events while the housewives and the elderly did through the introduction by public institution and the officials did through promotions, which means that in establishing the plans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service, more advanced and efficient service development plan should be pursued, based on the knowledg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본 연구는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편견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어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정신보건문제 및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J군에 살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며 청소년 214명, 주부 106명, 노인 134명, 군인 107명, 공무원 101명 총 662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측정 문항에서는 Taylor & Dear(1981)가 개발한 지역사회 태도 조사-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CAMI)를 용인 정신병원 부설 용인정신의학연구소 이주훈 등(1996)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인식은 남정자와 최창수(1993)가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행법안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를 일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9년 5월부터 6월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2.0 version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CAMI 하위척도로 분석결과 평균점수는 권위주의 33.54, 사회생활제한 32.64, 자비심 24.86, 지역정신보건개념 26.34였다. 청소년에서 평균점수는 권위주의 32.57, 사회생활제한 33.22, 자비심 26.59, 지역정신보건개념 26.63으로 나타났다. 주부에서 평균점수는 권위주의 34.28, 사회생활제한 31.28, 자비심 24.38, 지역정신보건개념 27.16으로 나타났다. 노인에서 평균점수는 권위주의 31.48, 사회생활제한 30.73, 자비심25.66, 지역정신보건개념 27.11로 나타났다. 군인의 평균점수는 귄위주의 35.72, 사회생활제한 34.69, 자비심23.31, 지역정신보건개념 24.03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의 평균점수는 권위주의 35.31, 사회생활제한 33.16, 자비심22.25, 지역정신보건개념 26.07로 나타났다. 2) 지역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인식을 보면 공무원 44.6%, 노인41.8%에서 ‘심각한편이다’가 가장 높았고, 군인 59.8%, 청소년 58.4%, 주부 47.2%에서 ‘그저 그렇다’가 가장 높았다. 집단 간 정신보건문제의 시급성을 인식하는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71.965, p<.001). 정신보건문제의 유형별 심각도를 보면 집단별 관심문제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각 유형별 평균점수는 청소년에서 왕따 및 학교부적응문제(2.78), 주부는 정신질환자(3.31)와 성폭력(3.31)문제, 노인은 치매(2.95), 군인은 정신질환자(2.57), 공무원은 치매(3.37)에 대해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3)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은 청소년 38.0%, 군인 43.7%, 공무원 44.2%에서 ‘잘 모른다’ 로 가장 높았고, 주부에서 ‘조금 안다’ 43.0%로 가장 높았다. 노인에서 ‘전혀 모른다’ 61.8%로 가장 높았다. 집단 간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지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9.060, p<.001). 센터를 알게 된 경위는 행사가 청소년 31.0%, 군인 3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공기관소개가 주부 24.8%, 노인 40.4%에서 가장 높았으며, 공무원에서 홍보물이 2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점적으로 했으면 하는 사업에 대해서 청소년 22.7%, 군인 25.3%에서 아동청소년사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부 26.8%,노인 46.8%, 공무원 29.2%에서 노인정신보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CAMI 하위척도별 분석한 결과, 권위주의 척도에서는 노인과 청소년에서 가장 권위적으로 나타났고, 사회생활제한 척도에서도 노인이 가장 낮아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비심 척도는 공무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지역정신보건개념 척도는 군인이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노인에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가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므로 노인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정신보건사업을 계획하고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인식은 공무원과 주부에서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나, 청소년과 군인에서는 심각성을 덜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집단별로 심각하게 생각하는 문제유형을 보면, 청소년에서는 왕따 및 학교부적응 문제, 주부에서는 성폭력과 정신질환자, 노인에서는 치매, 군인은 정신질환자, 공무원에서는 치매로 나타나 집단별로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세미나, 행사를 중점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센터에 대해 알게 된 경위는 청소년과 군인에서는 행사, 주부와 노인에서는 공공기관, 공무원에서는 홍보물을 통해 센터를 알게 되었으므로, 정신보건사업을 알리기 위한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방안의 수립과 서비스의 개발을 적극 추진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