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안적 관계를 직조하는 친밀성에 대한 작품연구

        박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친밀성(intimacy)을 감정의 한 부분으로 단순화 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분석해 보면서 그것이 새로운 관계 맺기의 가능성을 가진 것임을 주장하고, 미술 활동을 통해 실제 삶 속의 대안적 관계를 직조해 나가나는 생활 양식의 정치학으로서 시도되는 나의 작품들을 분석하는 글이다. 본 논문에서 분석하고 있는 2020년과 2023년 사이의 나의 작업은 일상에서 타자와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관계의 변화를 감지하며 시작되었으며, 타자와의 일대 일 관계의 교류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진행하였다. 내가 당면한 질문과 갈등을 내적으로 고민했을 때는 혼란이 반복될 뿐이었기 때문에 나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내가 사회 구조 속에 위치한 인간임을 인식하고 사회·문화적 문맥에서 숙고하고자 하였다. 나는 이때 나와 타자 사이에 발생하는 친밀성이 삶의 문제를 발견하는 계기가 되고, 동시에 삶의 방식을 조율하고 극복하는 작품 방법론임을 본 논지를 통해 주장하고자 한다. 친밀성이 대학원에서 진행한 작업들의 공통된 특징이자 그것이 방법론으로 작동함을 발견하게 되는 계기는 사회·문화적으로 친밀성과 사랑, 그리고 가족에 대해 분석한 여러 서구의 이론들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여러 이론들에서 주장하고 있는 친밀성의 변동이 전통적 가족의 해체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면서 다양한 대안적 가족 결합의 등장을 알 수 있었다. 이 이론들이 언급하는 친밀성의 변동에 관한 흐름이 한국의 상황과 유사함을 논거 하면서 실제적으로 한국에서 여성으로서 겪은 나의 상황에 빗대어 살펴볼 토대를 마련하였다. 특히 앤소니 기든스(Anthony Giddens)의 친밀성의 구조 변동 이론은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젠더 차원을 심도있게 다루지 않았다는 페미니스트 사회학자들의 비판이 있음에도, 개인의 선택과 재협상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 이것을 통해 동거나 선택된 가족과 같은 비전통적 가족 단위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내가 기존에 경험하고 있던 친밀 관계의 문제점을 들여다보고 그것을 새로운 친밀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도출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우선 나는 기존의 친밀 관계에서의 문제점을 찾기 위해 나의 전반적인 작업의 배경이 되는 장소인 집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그곳이 단순히 생활을 하는 공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계의 권력관계가 형성되는 공간임을 밝히고, 관계의 재구성과 연대의 장으로서 집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사랑하는 우리의 머리카락>과 <친밀한 탱고> 작품 분석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파트너와의 동거 관계를 들여다보고 낭만적 사랑의 친밀 관계가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파트너와의 퍼포먼스를 통해 협상과 조율의 관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서술하고자 하였다. 이후 이러한 과정이 나로 한정되어 개인적 측면에 머물기보다는 동거 및 기혼 여성들의 사적 참여를 통해 예술의 방식으로 여성주의 가치관을 확장 시키고자 했다. 이때 나와 여성들의 일대 일의 사적인 교류는 나의 작업이 불특정 다수가 대상이 되는 공공미술이나 일대 다수의 참여미술과 구별되는 점이다. <커튼>과 <결혼 생활> 작품은 동거 및 기혼 여성 참여자들과 일대 일 교류를 하면서 유사함을 매개로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한 형태들을 수용하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이분법적 정치를 와해시켜 여성들의 연대하기를 모색했다. 동거 및 기혼 여성들과의 작품에서 공통점은 모두 대화를 통해 참여자의 사적인 영역으로 들어가 작업한 점이다. 이는 친밀성의 영역인 사적 영역을 가시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방법으로 이것은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를 와해시키고 동거와 같은 다양한 사회적 결합이 존재하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개인의 ‘선택’에 따라 가족 관계 맺기의 방식과 형태는 모두 다를 수 있음과 ‘집단의 형태로서의 가족’이 아니라 ‘관계로서의 가족’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나의 집들> 작품 분석을 통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낭만적 사랑이 중심을 이루는 전통적 가족 형태와는 다르게 우정의 친밀감을 전제로 한 나의 대안적 가족 만들기는 예술과 실제의 삶이 교차하여 직조되는 것임을 말하고자 했다. 주요어 : 친밀성, 낭만적 사랑, 대안적 가족, 연대, 사적 참여, 관계 맺기 This dissertation endeavors to deconstruct the oversimplified perspective of intimacy as a mere fraction of emotion, advocating instead for an examination through sociocultural lenses which reveal its capacity to foster novel relational frameworks. It delves into an analysis of my artistic endeavors that serve as attempts to weave alternative relational structures within the fabric of quotidian existence, functioning as a form of political engagement within daily life. The works scrutinized from 2020 to 2023 took their incipient steps in the everyday realm, arising from the detection of alterations within relationships instigated at the intersections with the Other. These works were founded upon the reciprocity of one-to-on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As my internal contemplations on the questions and conflicts I confronted merely precipitated cycles of confusion, I sought to cognize my position as a social being embedded within the societal structure through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and aimed to deliberate within the sociocultural milieu. Through this treatise, I argue that the emergence of intimacy between self and the other serves as a catalyst for identifying life’s complexities and concurrently, as a methodological approach within my art to navigate and surmount the mediation of life. The illumination that intimacy constitutes a shared attribute across my works and functions as an operational methodology arose from my engagement with an array of Western theories that critically dissect intimacy, love, and the family from sociocultural standpoints.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intimacy propounded in these theories enabled an understanding of the manifestation of diverse alternative familial configurations, in the wake of the disintegration of conventional families. Drawing parallels between the trajectories of changes in intimacy delineated in these theories and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I established a foundation to introspect my experiential reality as a woman in South Korea. Despite feminist sociologists' criticisms that Anthony Giddens' theory of structural transformations in intimacy does not extensively interrogate the gender dimension within women's social relationships, his emphasis on individual autonomy and renegotiation proved instrumental in illuminating the processes through which I could identify and address the problematics within my existing intimate relationships, and subsequently facilitate their evolution into new forms. Giddens' theory opened discursive spaces to explore non-traditional family units like cohabitation and chosen families. Initially, to unearth the problematics within existing intimate relationships, I examined the concept of the home - a recurrent backdrop in my work -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 underscored its role not merely as a functional living space but as a site where power dynamics within relationships are instantiated, and explored its potential to serve as a locus for the reconfiguration of relationships and the cultivation of solidarity. In the analysis of my works <Our Beloved Hair> and <Intimate Tango>, I reflected upon the complexities within my cohabitational relationship with my partner and elucidated the inherent problematics within the intimacy characterized by romantic love. Through performance collaborations with my partner, I narrated the trajectory of our relationship as it evolved into a space for negotiation and adjustment. Subsequently, rather than restricting such processes to my individual sphere, I sought to broaden feminist sensibilities through artistic mediums by encouraging the private involvement of cohabitating and married women. The intimacy of one-to-one private exchanges between myself and these women distinguishes my work from public art intended for the general populace or participatory art aimed at a mass audience. My works <Curtains> and <Married Life> engaged in one-on-one interactions with cohabiting and married female participants, striving to recognize and accommodate diversity through shared experiences, with the objective of disrupting dichotomous political constructs and fostering collective solidarity among women. A salient feature in my works with cohabiting and married women is the entry into the participant's private domain through dialogue. This strategic maneuver, aimed at visualizing the private sphere as an intimate sphere, sought to dismantle the prevailing ideology of the normative family and unveil the existence of diverse social conjunctions, such as cohabitation. I explicated the significance of family as a ‘relational construct’ rather than a ‘collective entity’ through the analysis of my work <My Homes>, thereby highlighting the multiplicity of ways and forms familial relationships can assume, contingent on individual 'choices'. Moreover, I articulated that my creation of an alternative family predicated on the intimacy of friendship, diverging from the traditional family model centered on romantic love, represents an interweaving of art and real life. Keywords: Intimacy, Romantic Love, Alternative Familial Structures, Solidarity, Private Engagement, Formation of Relationships

      • 익명채팅에서 나타나는 '비인격적 친밀성'의 구조 분석 : 랜덤채팅어플 '돛단배'의 여성이용자를 중심으로

        양진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사회 친밀성의 새로운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사이버공간 내 익명관계에서 형성되는 친밀성의 구조를 분석한다. 1990년대 PC통신의 시작과 2000년대 초반 인터넷 이용의 확대, 그리고 2000년대 후반부터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통해 ‘매개된 의사소통’(mediated communication)은 현대의 주요한 상호작용 형식으로 발전해왔다. 특히 오늘날 스마트폰을 매개로 하는 인스턴트 메신저와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확장는 가상공간으로 여겨지던 사이버공간을 일상의 체험적 층위에서 현실공간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일상으로 유입된 사이버공간은 또한 익명적 의사소통을 발전시킨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매개된 의사소통은 다양한 층위의 익명성을 전제하며, 현대인들은 익명성에 기반한 의사소통에서 자신을 드러내고 정보를 공유하는 활동을 체화한다. 연구는 오늘날 ‘문제화’되고 있는 친밀성의 양상과 ‘일상화’ 되어가는 익명적 상호작용의 교차점을 통해 새롭게 나타나는 친밀성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니클라스 루만의 친밀소통 개념을 중심으로 친밀성의 구조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공간의 본질적 목적을 사교라고 명시하는 익명채팅의 의사소통구조와 친밀소통구조를 파악하고자 익명채팅어플리케이션 ‘돛단배’를 사례로 분석했다. 아울러 ‘돛단배’의 이용자들과의 면접을 통해 개인들이 익명채팅을 통해 형성되는 친밀관계를 어떻게 의미화하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이때 현대사회 친밀성의 특징으로 강조되는 젠더관계의 변화와 이성애 친밀성 내 여성의 위치를 주목하기 위해 면접대상자는 여성이용자로 한정한다. Ⅱ장은 연구의 핵심개념인 친밀성을 니클라스 루만의 친밀소통 이론을 토대로 사회학적 개념으로 조작한다. 현대사회에서 친밀성이 문제화되는 현상을 루만의 소통이론을 통해 분석하며, 새롭게 나타나는 친밀성의 양상을 구조화하는 분석틀을 마련한다. 루만은 친밀소통이 역사적으로 두 번의 분기를 통해 사랑의 코드를 형성하며 다른 소통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화되었다고 보았다. 먼저 17세기 친밀관계에서 여성이 거부권을 가짐으로써 관계의 자율성이 형성되는 ‘열정적 사랑’의 코드이며, 다른 하나는 관계에 대한 자아의 반성으로 통해 친밀관계의 성찰성이 확립되는 1900년대 ‘낭만적 사랑’의 코드이다. 현대사회에서 ‘관계의 자율성’과 ‘자아의 성찰성’의 양상이 변화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친밀성의 양상의 변화를 야기했다. 먼저 ‘관계의 자율성’의 차원에서 비대칭적 젠더관계는 대칭적 젠더관계로 진화한다. 낭만적 사랑의 의미론에서 전제하는 비대칭적 젠더관계는 더 이상 일반적으로 소통되지 않으며, ‘평등’, ‘합의’, ‘소통’ 등의 사회적 가치의 부상은 대칭적인 젠더관계에 갈수록 큰 개연성을 부여한다. 이는 남성과 여성이 대등한 자율성을 확보한다는 뜻이 아니라 비대칭성을 통해 의미화된 남성성과 여성성의 이분법이 무효화되는 경항을 지시한다. 다음으로 ‘자아의 성찰성’의 차원에서 인지적 성찰성은 미학적 성찰성을 수용한다. 성찰성을 구성하는 사회구조는 정보통신과 의사소통의 구조로 대체되고 있으며 휴대전화를 통한 ‘매개된 의사소통’의 확대는 타자지향적 성찰, 유희적 의사소통, 습관적이고 무의식적인 연결로 미학적 성찰성을 구성한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구성한 이론적 분석틀을 활용하여 새로운 친밀성의 양상이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익명채팅의 소통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매개로 하는 랜덤채팅어플리케이션 ‘돛단배’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돛단배’ 어플은 500만명 이상의 가입자의 규모와 4년 이상의 지속기간의 측면에서 익명채팅어플의 상징적인 위치를 확보한다. 친밀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상호작용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사교소통이 전제되어야 한다. 자신의 세계를 들어내고 인정을 주고받는 친밀소통은 인격적 차원의 소통이며 비인격적, 수단적 이해관계가 개입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대화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익명채팅공간에서는 대화가 아닌 목적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재를 가한다. 또한 상호작용을 하는 방식에서도 대화참여자들이 대등하게 위치하고 모두가 만족해야 한다는 전제가 성립하도록 대화의 규칙을 설정하고 신고기능을 활용한다. 그럼에도 일대일 대화만 가능한 제한, 오직 문자텍스트만을 수단으로 하는 대화, 익명성과 휘발적인 관계를 전제한 대화방의 규칙과 의례는 친밀소통이 가능한 조건으로 작동한다. 이때 상호동의를 강제하는 소통의 규칙들은 여성이용자에게 젠더관계의 자율성을 확보하게 해주는 장치로 여겨진다. 또한 스마트폰의 어플이라는 특성상 채팅이용자들은 타인과의 상시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유희적이고 습관적인 대화를 즐긴다. 기존의 친밀성이 자아 내면의 인지적이고 반성적인 성찰에 근거하였다면 익명채팅은 체험적, 감각적, 습관적, 타인지향적인 미학적 성찰성에 근거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낭만적 사랑의 코드와 구별되는 ‘관계의 대칭적 자율성’과 ‘자아의 미학적 성찰성’이 발휘되는 익명채팅에서 ‘비인격적 친밀성’이 가시화된다. 비대면적, 익면적 사교공간인 익명채팅에서 이용자들은 서로의 세계를 어느 때보다 ‘진실되게’ 드러내고 그것을 상호인정하는 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언제나 ‘연결된 존재’(connected presence)로서 관계의 안정감을 얻고, 서로의 자아를 드러내는 인격적 소통을 경험한다. 그러나 이렇게 형성된 관계는 각자의 삶의 역사로 기록되지 않고 언제든지 사라질 수 있다는 상상된 합의를 전제하고 있다. 즉 익명채팅은 구조적으로 ‘휘발적 관계’가 전제된 공간이다. 관계의 휘발성은 ‘정상적’ 시공간의 서사를 가진 ‘정상적 친밀성’과 구별된다. 그러나 ‘관계의 휘발성’은 익명채팅의 친밀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전제이기도 하다. 채팅이용자들은 휘발적 관계를 전제로 면대면 관계에서는 ‘위험한’ 친밀관계를 익명채팅에서 시도하고 경험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익명채팅의 소통은 지극히 전인격적인 소통이지만 그 속에서 발전하는 관계는 비인격적인 관계를 전제하는 모순적 친밀성, ‘비인격적 친밀성’을 구성한다. Ⅳ장에서는 익명채팅이용자들이 익명채팅에서 형성된 친밀성을 의미화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이는 ‘사회적 낙인’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상반되는 두 입장으로 분리된다. 익명채팅의 친밀관계는 전형적인 낭만적 사랑의 서사, ‘안정적 시공간’을 근거하는 친밀관계의 정상성으로부터 괴리된 ‘비정상적인 것’으로 낙인이 작동한다. 특히 사회적 낙인은 익명채팅이용자에게 부여되는데 이들은 “변태적인 사람”, “이상한 사람”, “모르는 사람”, “상관없는 사람”으로 정상적 친밀관계의 인격, “멀쩡한 사람”, “일상적으로 만나는 사람”, “신원이 확인이 되는 사람”, “오랜 친구”와 대비된다. 이러한 사회적 낙인을 체화하는 이용자들은 익명채팅을 자신의 경험으로 의미화하기를 거부하거나 자신의 경우만은 ‘다른’ 것으로 분리시킨다. 혹은 익명채팅의 관계를 경제적 관점에서 “남는 게 없는” 관계로 부정하는 태도가 두드러진다. 반면 사회적 낙인과 거리두기를 하는 이용자들은 개인주의적 시각에서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익명채팅의 친밀성을 긍정한다. 이들은 그 속에서 형성된 경험을 자신의 일상에 위치시키고 자아의 경험으로 내면화하는 태도를 보인다. 익명채팅에 대한 낙인을 인지하면서도 이들이 자신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의미화하는 것은 친밀관계에 대한 개인화 경향이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익명채팅을 사례로 현대사회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친밀성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출한 ‘비인격적 친밀성’은 전인격적 소통과 비인격적 관계라는 현대인들의 모순된 욕구가 사이버공간을 통해 실현되는 현상을 가시화하는 개념이다. 이는 친밀성을 비판사회학적 관점에서 거리를 두고, 친밀성을 하나의 소통체계로 그 변화를 소통체계 내부의 변화에서부터 파악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매개된 상호작용, 특히 익명적 의사소통의 특성을 친밀성을 통해 분석해보는 사회학적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가족생활의 개인화와 친밀성의 탈제도화 - 이성애 청년 동거를 중심으로

        김희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연애, 결혼, 출산을 모두 포기하였다는 N포세대 담론이 청년들에게 집중되고 있는 현실에서 친밀성을 유지하려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 경험의 여러 층위가 획일적으로 해석되고 있다는 문제제기에서 출발한다. 많은 청년들이 경제 위기 이후 취업난, 주거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친밀성의 영역이 모두 무너졌다고 하기에는 친밀성과 섹슈얼리티를 바탕으로 한 동거와 같은 가족 구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다양한 가족에 대한 상상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되었느냐 했을 때 사회적 인식 외에도 현재의 법체제는 이를 반영할 만한 충분한 질적 담론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개인은 사회에서 혼자서만 생활을 영위할 수 없으며 누군가와 돌봄과 부양의 책임을 함께 해야 하는 존재다. 이성애적 관계에서 동거는 그러한 돌봄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형성할 뿐 아니라 사회적 질서에 관한 생각, 정치적 변화까지 이끌어내는 경험이 되고 있으며 이는 청년들이 친밀성을 나름의 방식으로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통로가 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가족 구성의 근대적 형태가 아닌 새로운 친밀성의 방식이 추구되는 개인화라는 흐름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가족생활의 개인화와 친밀성의 탈제도화라는 새로운 친밀성의 방식을 추구하게 만들었다. 여기서 개인화란 개인의 일대기가 노동시장을 중심으로 계획되고, 유연한 '이동성'을 요구받고 가부장적 가치에 기초한 근대적 가족 규범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 사회적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밀성 유지를 위한 조건을 주로 경제적 어려움으로 치환해버리는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20~30대 청년들의 실제 동거 계기, 경험, 동거를 통해 얻게 되는 결혼과 동거에 대한 인식을 심층면담하여 이들의 가족생활을 개인화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동거 계기는 모두 ‘그냥 자연스럽게’ 시작된 것으로 그 안에서 연구참여자들은 현실적 문제들과 갈등을 겪으며 친밀성에 관한 새로운 질서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개인화된 삶의 조건들 속에서도 두 사람이 함께 친밀성을 유지해 나가기 위한 성찰과 행동조율을 해 나가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인격적 어른됨을 습득하고 있었으며, 남성들의 경우 여성들의 삶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동거는 전통적 가족주의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탈제도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전통적 가족주의란 유교적ㆍ권위주의적ㆍ가부장적인 가족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양가 가족이 삶에 개입하게 되는 결혼에 관한 큰 부담감을 안고 있었다. 한국에서 ‘결혼이 아닌’ 동거는 여전히 사회적 낙인 문제를 겪게 했지만, 이러한 부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생활을 자율적으로 조정하고 각자가 평등한 관계에서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동거 친밀성만의 특징은 이들이 관계를 지속해 나갈 수 있게 했다. 특기할 만한 지점은 이들의 관계가 나름의 결속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연구참여자들은 동거 과정에서 헤어짐을 염두하기보다 관계의 영속성을 기대하며 동거를 시작했으며, 동거 커플 특유의 긴장감을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헤어짐이 쉬울 것이라는 기존의 인식과 달리 동거 관계는 실질적인 구속력을 상호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동거는 연구참여자들에게 대안적 생애과정으로서 동거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 주고 있었다. 이들에게 가족의 의미는 법률적 테두리 보다 대체적으로 친밀성 그 자체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결혼 계획 여부와 관계없이 앞으로의 삶의 기준점을 세우고 책임감을 갖게 하는 주체적 동기로 작용했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독립성이 증대된 상황에서 친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생애과정을 계속해서 모색하게 하는 통로를 만들어주었다. 본 연구는 동거에 관한 질적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괄호 속에 들어가 있는 청년들의 실제 친밀성과 관련한 경험들을 드러내고자 하였고, 개인화와 신자유주의적 변화 속에서 친밀성을 포기하지 않는 사례들을 통해 기존의 3포세대 담론 기각을 시도했다. 또한 개인화라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동거 연구는 가족생활에 대한 다양한 상상력을 갖게 해주는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감정과 정동의 게이정치 : 게이 친밀성·사랑 경험을 중심으로

        박해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5

        This thesis aims to expand the meaning of gay politics by analyzing the intimacy and love experienced by gay men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opposes the attempts to leave gay intimacy as a private affair of two individuals and seeks to politicize the collective sense of gay attachment that the complex emotions associated with gay intimacy create. To do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literature review, participant observation of gay dating apps (applic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3 research participants between May and September 2016. All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gay dating apps and gay online websites, and most of them were gay men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In the process, the range of research participants expanded to include middle-aged gay men and gays living outside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analysis shown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desire for romantic love currently emerging in the gay community in Korea takes a form of cruel optimism. As gays recognize a long-term monogamous relationship as the only 'proper' form of intimacy and affirm the normative principle of romantic love, they subject themselves to negative emotions including resign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elf-hatred. Gay men's desire to establish a relationship that is 'ordinary' and 'common', or longstanding remains suspended in the Korean society where discrimination and hatred against sexual minorities abound. The sexual intimacy of cruising is defined as a 'problematic' intimacy by gay people because some have internalized the discourse of homophobia while new expectations of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have emerged. The paradox of cruel optimism that the effort to live 'a good life' rather exhausts the present is born here. The romantic love can only be reached by denying and erasing the foundation of gay cruising, from which Korean gay men were able to identify each other and create a collective sense of attachment. Second, romantic love penetrates the norms incorporating conditions of generation and wealth and strengthens the structural division of 'unhappy' past and 'happy' future. In today's terrain of gay intimacy, the middle-aged generations of gays are regarded as being only interested in cruising and thus are excluded from the potential pool of an ideal partner. In addition, the desire for romantic love attaches negative meaning to some gays' material insecurity and associates it with their unreadiness to fulfill romantic love. The current situation, where romantic love is emerging as a representation of happy gay future, is strengthening the culture of discrimination based on generation and class inside the gay community of Korea. Third, the pursuit of romantic love by gay men does not settle as a fantasy or a vague longing but renders a collective feeling that generates affective politics. The complicated emotional trajectory of gay men cannot be reduced to romantic love as it is an intersection where competing desires for gay intimacy meet. It creat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what romantic love is in return for, or how it negates the collective history of gay intimacy. Understanding that the desire and search for a lasting relationship are not in conflict with the cruising culture can help realize that both are collective emotions that constitut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gay intimacy. Through this, gays are able to carry out a sense of solidarity, a collective affect and collective emotional politics, that transcends the fragmented and individualized feelings of self-denial. This thesis emphasizes that the particular set of gay emotions and affect induced by both instantaneous encounters and long-term unions are a cultural resource that enables the collective political planning of the gay community. The complexity in the desire for gay intimacy makes it implausible to mold the aspirations into a specific form since this desire accepts and disturbs and finally overcomes the power politics and the discourse of the current society. This thesis argues that today's gay affect is a unique form of historical and social emotions that emerges in the complex context of acceptance and resistance of homophobic discourse,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legalization of sexual minority's intimacy, and the growing recognition for pluralistic human rights and non-discrimination. If gay politics has been mainly dealt with in the area of ​​increasing social visibility, human rights and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meaning of gay politics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llectivity of emotion and affect. The gay politics of emotion and affect criticize heterocentrism which has monopolized the content and status of ideal love, and focuses on the practice of intimacy that embraces and at the same time disturbs and expands the present heterosexual structure of intimacy. 본 논문은 게이 남성의 친밀성과 사랑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게이 정치의 의미를 확장시키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게이 친밀성을 두 개인의 사적인 일로 남겨두려는 시도에 반대하며, 게이 친밀성에 동반되는 복합적인 감정이 만들어내는 집단적 게이 연결감을 정치화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게이 데이팅 앱(어플리케이션) 참여관찰,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23명의 연구참여자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참여자는 모두 게이 데이팅 앱과 게이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모집했으며, 대부분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 게이 남성이었다. 또한 중장년 게이와 비수도권 거주자에 대한 심층면접을 수행했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가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게이 커뮤니티에서 부상하는 낭만적 사랑 욕망은 잔혹한 낙관주의(cruel optimism)의 구조를 취한다. 게이들이 장기적이고 배타적인 관계만을 ‘적절한’ 친밀성으로 인정하는 낭만적 사랑의 규범을 승인하고, 즉각적인 익명의 크루징(cruising) 문화를 결핍으로 이해함에 따라 체념, 불안, 우울, 자기혐오 등의 감정이 생겨나는 것이다. 성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게이들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관계나 장기적 결속을 이상적인 사랑으로 욕망하지만, 이는 유예된 욕망으로 남는다. 크루징의 성적 친밀성이 ‘문제적’ 친밀성으로 규정되는 것은 게이 혐오담론의 내재화와 동성결혼의 법제화와 같은 새로운 기대가 부상했기 때문이다. ‘좋은 삶’을 살아가고자하는 노력이 오히려 현재를 소진시키는 잔혹한 낙관주의의 역설은 여기서 생겨난다. 낭만적 사랑은 한국 사회에서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고 집단적 연결감을 만들어온 토대인 게이 크루징 문화를 부정하고 삭제함으로써만 도달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낭만적 사랑은 세대와 경제적 조건을 둘러싼 규범을 관통하면서 ‘불행한’ 과거와 ‘행복한’ 미래의 구도를 강화한다. 현재 게이 친밀성 지형에서 중장년 세대는 크루징에만 관심을 갖는 존재로 간주되며 이상적인 파트너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낭만적 사랑을 향한 욕망은 불안정한 경제력을 가진 게이에게 낭만적 사랑을 성취할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라는 부정적 의미를 부착한다. 낭만적 사랑이 행복한 게이 미래의 표상으로 부상하는 현재의 상황에서 세대와 계급에 따른 차별이 강화되고 있는 것이다. 셋째, 게이들의 낭만적 사랑 추구는 환상이나 막연한 동경에 머무르지 않고 집단적 정동을 만들어냄으로써 정치적 기획으로 나아간다. 게이의 복잡한 감정 궤적은 낭만적 사랑으로 환원될 수 없는 다양한 게이 친밀성 욕망이 경합하는 지점이다. 이는 낭만적 사랑이 무엇을 대가로 하는지, 혹은 어떻게 집단적으로 구축해 온 게이 친밀성의 역사를 부정하는지를 성찰하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크루징 문화와 장기적 관계에 대한 욕망과 탐색을 대립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이 둘 모두가 게이 친밀성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구성하는 집단적 감정임을 이해하게 해준다. 이를 통해 게이들은 파편화되고 개별적인 자기 부정의 감정을 넘어서는 연대감, 즉 집단적이며 공동적인 감정 정치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즉각적 만남과 장기적 결속의 수행에서 구성되는 특수한 게이 감정과 정동이 게이 커뮤니티의 집단적 정치기획을 가능하게 하는 문화적 자원임을 강조한다. 특정한 형태로 수렴될 수 없는 복잡한 게이 친밀성 욕망은 현재의 권력·담론 체계를 수용하거나 교란하며 이를 넘어선다. 본 논문은 현재의 게이 정동이 게이 혐오 담론의 수용과 저항, 성소수자 친밀성 법제화를 둘러싼 갈등, 성소수자 차별과 다원주의적 인권의식의 확장이라는 복잡한 맥락에서 태동하는 특수한 형태의 역사적이며 사회적 감정이라는 점을 주장한다. 기존의 게이 정치가 주로 사회적 가시성의 증대, 성소수자 인권 문제, 동성 결혼의 법제화의 영역에서 다뤄져왔다면, 본 연구는 감정과 정동의 집단성에 주목함으로써 게이 정치의 의미를 확장시키고자 했다. 감정과 정동의 게이 정치는 이상적 사랑의 내용과 지위를 독점해온 이성애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며, 현재의 이성애 친밀성 구도에 포섭되고, 동시에 이를 교란하고, 확장하는 친밀성 실천에 주목하게 한다.

      • 신자유주의시대 청년세대 친밀성의 재구성, "썸"

        안혜상 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제기로서 처음 시작하였다. ‘왜 우리는 “썸”만 타는가?’의 문제이다. “썸”이라는 관계형태의 양성화, 미디어의 노출, 주변에서의 “썸”의 범람과 잦은 종료. 연구자는 20대 후반의 청년세대 중 한명으로서 왜 우리가 그러한 관계만을 반복하는 것인지를 탐구해보고자 했다. 이는 신자유주의라는 맥락 아래, 소위 “헬(Hell)조선”이라는 시대담론을 공유하는 우리들의 친밀성의 영역, 그 가장 아래의 단계에서 어떠한 변동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들여다보고자 한 시도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관계가 신자유주의시대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친밀성의 양상으로서 등장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전지구적으로는 신자유주의라는 맥락, 그리고 그보다 아래에서는 ‘한국’이라는 친밀성의 공간 안에서, 연구자는 “썸”이라는 관계를 통해 청년세대들이 어떠한 관계맺음을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려 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실제로 이러한 관계를 실천하고 있는 청년들 11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썸”이라는 친밀성의 양상을 크게 세 가지의 연구문제로서 탐구하였다. 첫째는 “썸”의 실천양상, 둘째는 관계인식, 그리고 마지막은 실천논리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세 가지의 연구문제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들을 종합해, “썸”을 신자유주의시대 한국 사회라는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해볼 수 있을 것인지를 결론으로서 제시하였다. “썸”의 실천양상과 관련하여, “썸”은 개인들에 의해 하나의 독립적인 관계 형태로 실천되고 있는 관계였다. 개인들은 “썸”을 유지하면서도, ‘연애’로 넘어가지 않기 위해 소위 ‘밀당(밀고 당기기)’의 전략을 구사하며 관계를 “썸”에 고정시키고 있었다. 먼저 ‘당기기’의 전략으로, 이들은 오프라인/온라인으로서 인상 관리를 통해 좋은 모습만을 보이며 관계를 유지하려 했는데, 이때 SNS는 자신의 자아 연출과 상대의 취향 확인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연락은 카카오톡을 통해 수시로 이루어졌고, 공백의 시간에는 SNS의 ‘좋아요’ 기능을 통해 지속적인 연락을 취했다. SNS는 이들에게 상대와의 관계를 시작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 개인의 노력과 감정의 부담을 줄여주는 가장 경제적인 관계맺음의 방식이었다. 이들의 데이트는 연인간의 데이트와 다름없었지만, 스킨십에 있어서는 의견이 갈렸다. 11명의 인터뷰이들 중 8명이 “썸”에 있어 성관계까지 가능하다고 밝혔고, 이들 중 6명은 실제로 이러한 경험이 있어 대체적으로 스킨십에 있어 자유로운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상대와 “사귀자”라는 발화 행위를 통제하고, 호감 표현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상대와 ‘연인’으로의 관계 전환을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때 “썸”은 명시적으로 합의되기도 했는데, 몇몇 인터뷰이는 상대와 ‘이러한 관계를 유지할 것’을 합의한 후 관계를 지속하기도 하였다. 곧 “썸”은 독립적인 관계에서 나아가, 합의되어 유지될 수 있는 관계의 형태로까지 실천되고 있었다. 관계의 인식과 관련해서는, 인터뷰이들에게 이러한 관계는 ‘연애의 부담’은 없으면서, ‘연애 감정’은 누릴 수 있는 준(準)연애 관계로 인식되고 있었다. 즉, 이들은 ‘연애’가 가져올 수 있는 부담들은 피하는 한편, 그러한 관계에서 오는 감정들은 획득할 수 있는 관계로서 “썸”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특히 남성들의 경우 ‘여자친구의 행복’을 하나의 부담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연애를 할 경우 ‘여자친구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곧 ‘연애’가 부담으로 다가오는 이들에게 있어 “썸”이라는 관계는, 그러한 부담 없이도 ‘연애’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이들에게 있어 실행 가능한 관계맺음의 방식이었다. 인터뷰이들은 “썸”이라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연애의 부담은 소거된 상태로 재미, 즐거움과 같은 연애의 감정들을 누렸다. 이들에게 있어 썸남, 썸녀의 존재는 때로는 외로움, 상실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었고 때로 의지가 되기도 하였다. 몇몇 인터뷰이는 이러한 관계에서 오는 감정이 가장 ‘순수한 감정’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즉, 이는 ‘연애’나 ‘결혼’과 같은 구속적인 관계에 매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생각할 것이 없는 ‘자유로운 관계’로부터 오는 즉흥적이고, 순수한 감정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계는 다양한 이성 탐색이 가능한 열린 관계로 이해되었는데, 실제로 많은 인터뷰이들이 “썸”을 타는 동시에 다른 이성과 데이트를 즐겼고, 복수의 “썸”을 유지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썸”은 공식적인 연인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이성을 만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말하였다. 또한 이들은 현재의 썸남, 썸녀를 미래의 보험적인 이성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는데, 즉, 현재 사귀지는 않지만, ‘미래에 사귈 수도 있는’, 잠재적 연인으로서 상대를 남겨 놓은 것이다. 연구자는 이를 연애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려는 개인의 전략적인 선택이라 해석하였다. 한편, “썸”의 관계는 ‘연인’이라는 존재가 부재한 불완전한 관계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즉, ‘연애’라는 공식적인 울타리가 없기 때문에 상대가 언제든 나를 떠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내재된 관계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썸”에서는 상대에게 온전한 의지를 하기란 불가능하고, 이는 공식적인 ‘연인’이 아니기 때문에 남들에게 공표할 수 없는 떳떳하지 못한 관계였다. 연구자는 그렇다면 이들이 이러한 불완전한 관계맺음을 실천하는 논리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들은 먼저 자신의 커리어에 있어서의 불안정성(precarity)을 경험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커리어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이들은 상대와 ‘연애’를 시작하더라도 관계가 어차피 깨질 것이라는 관계적 불안정성의 문제까지 갖고 있었다. 이들은 현재에 있어 ‘커리어’를 친밀성의 영역에 우선하는 양상을 보이며 끊임없이 자기계발하는 개인의 모습을 보였는데, 곧 이들에게 있어서 ‘연애’라는 친밀성의 양상은 하나의 ‘리스크’로서, 항상적으로 커리어의 이후에나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였던 것이다. 커리어를 계발하는 데 있어 마주하는 현실적인 조건들은 이들로 하여금 안정적인 관계를 갖지 못하게 하는 기제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한국에서 규정되고 있는 ‘연애’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이들에게 ‘연애’가 부담으로 다가오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의 ‘연애’의 모습이 소비와 밀접하게 연관된 ‘낭만적 사랑’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특히 남성의 경우 낭만적 사랑의 이미지와 관련해 여성에게 무엇인가를 ‘해줘야 한다’는 부담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규정된 연애의 모습은 이들로 하여금 그러한 수행 능력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판단되어질 때, ‘연애’라는 관계를 포기하게끔 하고 있었다. 개인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경제적인 개인의 모습으로 돌아서서, 감정의 득실을 고려해 상대와의 관계에 감정을 투자할지 말지를 결정했다. 이들은 상대와 헤어질 것을 예상하기 때문에, 감정을 쏟게 되는 ‘연인’이라는 관계를 피하려 했고, ‘연애’의 관계에서 쏟아야 하는 감정의 투자를 하지 않기 위해 “썸”의 관계에 머무르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썸”이라는 열린 관계 속에서 보다 다양한 이성을 만나면서 감정을 분산 투자하고, 다른 이들도 모두 그렇게 하기 때문에 ‘나만 손해볼 수 없어’ 다양한 이성을 만나려 하고 있었다. 결국 이들은 경쟁이라는 시장 논리를 내재화해, 감정이라는 친밀성의 영역에서도 득실을 따지며 관계에 대한 투자를 결정하는, 지극히 경제적인 신자유주의적 개인의 모습으로 제시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썸”이라는 친밀성의 양상이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신자유주의적 개인성의 문제, ‘한국’이라는 친밀성의 공간, 그리고 테크놀로지의 세 가지의 축으로 구성된, 청년세대들이 가장 경제적인 방식으로 재구성한 친밀성의 양상이라고 제시하였다. 청년들은 ‘연애’라는 것이 하나의 리스크로 다가오는 한국의 현실 속에서, 나름대로의 방법을 찾아 가장 경제적인 방식으로 이를 재구성해 실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헤겔 예술 철학의 친밀성 개념

        홍보석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5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G. W. F. Hegel)의 예술 철학에 나타나는 친밀성(Inningkeit) 개념을 파악하고, 이러한 친밀성 개념이 헤겔 예술 철학 내에서 지닌 의미를 찾는 데에 있다. 친밀성이란 외적인 대상 또는 외면성을 통해 자신을 아는 것으로서의 정신적인 것이 드러나는 특성을 뜻한다. 우선 헤겔은 상징적 예술에 속하는 이슬람 시문학에 대해서 루미(Rumi)와 허페즈(Hafez)의 작품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 특성을 지복한 친밀성(sellige Inningkeit)으로 규정한다. 상징적 예술은 아직 이념에 걸맞은 외적 형상에 도달하지 못한 단계로, 이념과 형상의 불일치인 숭고가 표현의 원리가 되는 단계이다. 이슬람 시문학은 이러한 상징적 예술에 속하는데, 헤겔이 거론한 루미와 허페즈는 시인이면서 동시에 이슬람 수피즘 사상가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자신을 비움으로서 신을 만나려 하고, 자신의 내면을 탐구하는 범신론적 이슬람 사상인 수피즘의 특징은 헤겔에 의해 자기 자신을 내던지며 외적 대상과 긍정적으로 관계를 맺고 이를 통하여 자신의 실체성(Substantialität)을 보존하는 친밀성인 지복한 친밀성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지복한 친밀성은 낭만적인 에술에서 예외적으로 성모 마리아의 모성애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헤겔의 예술 철학의 낭만적인 예술의 영역에서 친밀성은 주로 주관적인 친밀성(subjektive Innigkeit)으로 나타난다. 낭만적인 예술은 이념과 외적 형상의 일치가 불가능해짐에 따라 내적 주관성이 표현의 원리가 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주체는 자기 자신의 내면을 고집하고 외적 세계를 거부하려고 한다. 그러한 주체의 심정은 외적 대상으로 넌지시 드러나는 주관적인 친밀성을 보인다. 헤겔은 낭만적인 예술의 이러한 주관적 친밀성을 종교적인 영역, 기사도 영역 중에서 사랑, 그리고 개인의 특수성에 깃든 형식적인 독자성 영역에서 심정의 외화를 다루며 거론한다. 헤겔은 주관성이 지배적으로 됨에 따라 낭만적 예술이 해체된다고 주장한다. 헤겔은 이 국면에 있어서 바람직한 예술로 ‘객관적인 해학(objective Humor)’을 주장한다. 객관적인 해학은 주관성을 지니면서도 외적 대상과 긍정적으로 관계를 맺게 하는 ‘친밀화(Verinnigung)’로 특징지어진다. 객관적인 해학을 통해 정신적인 것을 현실적으로 내비치는 예술의 역할이 유지되는 것이다. 헤겔의 이러한 친밀성 개념은 두 가지 함의를 지닌다. 하나는 헤겔의 낭만주의 비판의 성격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헤겔은 낭만주의를 주관성에 경도되어 외적 세계를 거부하는 것으로 비판하는데, 주관과 외적 세계 사이의 관계맺음으로 나타나는 친밀성은 낭만주의를 비판하는 헤겔의 지향점을 잘 드러내는 개념이다. 다른 하나는 ‘예술의 종언’에도 불구하고 예술이 여전히 가치 있음을 설명하는 근거로 친밀성 개념을 함축한 객관적인 해학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객관적인 해학은 친밀화를 특징으로 지닌다. 즉 예술의 종언에 있어서도 예술이 자신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것은 주관이 외적 대상 속에서 정신적인 것을 내비추는 친밀성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즉 절대정신의 도정이 예술을 넘어 종교와 철학으로 이어지더라도, 예술은 정신적인 것을 현실적이고 현재적으로 비추어 우리의 표상과 사유를 돕는 고유한 역할을 지닐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concept of inwardness(Innigkeit) in Hegel’s philosophy of Art, an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t. Inwardness is a characteristic to find out mindness, as knowing oneself, through outer objects. Hegel, mentioning islamic poetry as a content of symbolic art, put Rumi and Hafez as key examples of it. Character of this poetry is defined as blessed inwardness. Symbolic art is stage where the idea cannot reach to its suitable outer form yet. And in here principle of expression is sublimity, which is discord between the idea and its form. Islamic poetry belongs to symbolic art. Rumi and Hafez, who were mentioned by Hegel, are especially poets and thinkers of Sufism. Characteristics of sufism to make an effort to meet god by emptying oneself and to investigate one’s inner side is defined as blessed inwardness, which is to keep one’s reality by mak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outer object through throwing out oneself. This concept of blessed inwardness is also mentioned as a character of Virgin Mary’s motherhood, which is exceptional case in romantic art. Otherwise, field of romantic art in Hegel’s philosophy of art shows concept of inwardness as subjective inwardness. Romantic art is stage where inner subjectivity becomes principle of expression, as idea and outer form stay unable to accord each other. romantic art, a subject persists to stay in its inner side and keep trying to reject outer world. When such feeling comes out allusively on outer object, it ist shown as subjective inwardness. This concept of subjective inwardness in romantic art is mentioned in these sections; religious field, love in field of chivalry, coming out of feeling in field of formal independence of individual distinctiveness. Hegel mentions dissolution of romantic art and ‘End of Art.’ On this part, Hegel insists ‘objective humor’ as suitable art. This ‘objective humor’ is stage wher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makes harmony through inwardnizing(Verinnigung). These usage of concept of inwardness by Hegel shows two worthy points. One is that the concept shows Hegel’s criticism on romanticism clearly. Hegel critisizes romanticism that it is too much subjective. Concept of inwardness, which is shown as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uter object, is used on this cri tical context. The other one is, ‘objective humor’ with inwardness shows that art is still worthful despite of ’End of Art.’ Even though route of absolute mind goes over the art and heads to the religion and the philosophy, art still has unique position to reveal mindness real and present. Here, ‘objective humor’ with inwardnizing enables art to maintain such position.

      •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남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4

        본 연구에서는 부부관계의 증진과 부부 각자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먼저 성인발달 관점에 입각하여 부부관계의 심리적 특성과 그것이 부부 각자의 성장 및 부부관계 증진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밝혀보았다. 부부의 친밀성은 자기개방과 공감과 같은 관계형성 능력에 기초하며,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서 부부 각자는 성인으로서의 정체감을 형성하며 관계형성능력을 확장해나간다. 성인발달 관점에서 볼 때에 부부 각자의 성장은 배우자와의 상호 독립적인 의존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본틀을 만들기 위하여 인간의 성장발달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원리들이 부부상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았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Guerney의 RE (Relationship Enhancement) 모델을 기본모형으로 확정하고 표현기술, 공감반응, 표현과 공감의 기어바꾸기식 대화법을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로 확정하였다. 이밖에도 기존 프로그램들을 검토한 후에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수용, 상처나누기와 용서와 같은 정서적 체험 등을 부부관계의 변화나 증진을 가져오는 치료적 요소로 구체화하고 우리나라 부부들의 실정에 맞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간중심접근법을 기본 모형으로 한 통합적인 교육상담(Educo-Counseling) 프로그램'으로서의 특성을 띄고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 4가지였다. 첫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부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부부집단에 비해 부부의 적응수준 및 결혼만족도가 증가할 것인가? 둘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대화수준이 증가할 것인가? 셋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친밀성 정도가 증가할 것인가? 넷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관계(존중, 공감, 일치성) 수준이 증가할 것인가? 교회에 다니는 6쌍의 부부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예비실시 결과에서 결혼만족도, 전반적 부부관계(존중, 공감, 일치성)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참가자들로부터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있었다. 예비연구에서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쌍의 부부가 참가하였고,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하여 참가집단과 비슷한 인구학적 특성을 지닌 비참가집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분석은 통계적 방법에 의한 분석과 집단상담 진행 과정에 대한 내용분석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였고, 최종 분석은 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양적 효과 분석은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간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집단 부부들은 부부적응, 부부대화,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의 정도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증가되었다. 둘째, 남녀별,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남편들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적응,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의 존중, 공감, 일치성이 증가된 것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아내들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대화,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의 일치성이 향상된 것으로 지각하였다. 집단상담의 전반적 진행과정과 부부의 개별 사례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에서 감정표현이 증가되었고,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갈등상황에서 이전의 방어적인 방식에서 보다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있었다. 또한 갈등대처방식에서 자신에게도 일정부분 책임이 있다는 자기초점화된 태도를 보였다. 셋째, 부부가 배우자에게 느끼는 부정적 감정 및 심층적 감정, 자신의 약한 부분과 상처에 대해서도 허심탄회하게 나눌 수 있을 정도의 신뢰감과 친밀성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적응 수준 및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 결과 갈등상황에서 의견일치의 정도, 부부가 같이 활동에 참가하는 정도, 부부관계에 대한 만족도에서 변화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의 대화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부부의 감정 표현이 증가되었고, 공감반응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친밀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부부의 상호신뢰, 이해와 수용, 솔직한 의사소통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부부성장 집단상담은 배우자에 대한 존중, 의사소통에서의 공감, 일치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전반적인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대상이 소수이고,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의 동질성을 엄격히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이다. 본 연구는 인간중심 상담원리에 기초하여 부부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상담(educo-counseling)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집단상담 진행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부부관계에서의 변화가 실제로 어떻게 일어났는지 살펴봄으로써,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부부상담의 실제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프로그램의 효과 면에서 남녀 차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을 예비부부나 학교상담에서 대학생 커플 등으로 다양화할 필요성, 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에 대한 추후연구의 필요성 등 세 가지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couple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ill the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Second, will the degree of marital communication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T bird, will the degree of marital intimacy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Fourth, will the degree of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In addition to the statistical method, it was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couple's relationship process was chang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cases as well as the group process observation. Marital relationship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review of marital prevention and relationship improvement-related literature, pilot study and validation. T he program is designed to be applicable for 8 sessions of 150 minutes including introduction, awaring and expressing emotions, empathic responding, switching the expressing and empathic skills, conflict resolution, sexual intimacy, forgiveness between couples.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two main parts: one is based on quantative analysis, and the other is based on content analysis. In pilot study, 6 couples who volunteered were subjected to the 5 sessions of 180 minutes per session program. The result was that this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was efficient for improving marital relationship. In main study, 9 couples who volunteered were subjected to the 8 sessions of 150 minutes per session program. The non-participant group was composed of 9 couples who were similar to the participant group. Finally, 8 couples were analysized in quan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fter the program intervention,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ase analysis an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program process,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ic responses were increased in couple relationships. Second, in conflict situation couple showed new interaction patterns such as self-focused attitude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hird, couple communicated openly to share their hurt and vulnerabilities. Therefor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and diverse subjects such as premarital couples, and further analysis about the program effect due to the male/female differences.

      • 고령자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친밀성 형성 기반의 AI 돌봄 로봇 디자인 연구

        이은솔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4

        한국의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7.5%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초고령화 사회로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고령자의 삶의 질 증대를 위한 관심은 점점 커지고 있다. 고령자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우울함에 취약하며 극복하기 어렵다. 국내 노인 인구의 13.5%가 우울 증상을 겪으며 지난 10년간의 추세를 살펴보았을 때 우울 관련 질환을 겪은 노인은 점점 증가하였다. 노인 우울은 노인 자살이나 고독사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정부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 및 과학기술을 적용한 복지를 지원하고 있다. 정서적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에게 로봇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첨단기술의 접근될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직접 대면하는 디자인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정부는 치매 예방 서비스, 돌봄 케어콜 서비스로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의 건강을 확인하는 등 위기 대응체계 구축 및 소외된 고령층의 복지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 돌봄 로봇의 지원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초기 단계로 알림이나 음악 청취 등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AI 제품의 디자인이 정서적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고 하고 있으며 의인화가 적용된 인공지능 제품이 기능적 측면의 상호작용에서 고령자의 정서적 만족에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하여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I 제품 외관의 의인화가 고령자의 정서적 안정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독거 노인이 AI 돌봄 로봇과 상호 작용할 때 디자인과 인터렉션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자인에 대한 친밀성 형성 요인을 파악하고 인터렉션의 하위 요소인 표정, 목소리, 감각, 움직임의 상호작용에 관한 구체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와 감성에 대한 기초적 이론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진행하여 고령자, 친밀성, AI 돌봄 로봇, 감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이해도를 높인 후,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AI 제품의 디자인 요소와 친밀성 형성 간의 영향과 음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비교적 고령자에 대한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에서의 디자인의 친밀성 형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55~75세의 넓은 범위의 연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척도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7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가 실제 AI 돌봄 로봇을 사용할 때, 인터렉션에서 친밀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하위 요소 및 요인을 파악 하기 위해서 과업에 따른 에스노그라피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60세~75세 1인 가구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범위를 좁혔다. 독거노인이 AI 돌봄 로봇을 사용할 때 표정, 목소리, 감각, 움직임에서의 피드백에 관해 심층적 연구를 진행하고 연구 결과에 따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고령자의 친밀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AI 디바이스의 디자인 요소와 음성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디자인 요소와 음성, 정서적 친밀성 간의 긍정적 정(+)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디자인 요소가 정서적 친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성 목소리와 남성 목소리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디자인 요소의 친밀성 척도에 따른 설문 응답에 대해 기술통계를 진행하여 요소별 친밀성 형성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사용자조사에서 AI 돌봄 로봇을 사용할 때, 디자인 요소에서 행동 빈도 분석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AI 돌봄 로봇에서 효돌은 감성, 인지 유형에서 심층적으로 깊은 친밀감을 형성하였으며, 다솜은 놀이, 인지 유형에서 가장 깊은 친밀감을 형성한다는 차이가 나타났다. 비디오 에스노그라피를 통한 행동분석에서 표정, 목소리, 감각, 움직임 등 피드백에 대한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또한, 관찰조사를 통한 행동분석으로 AI 돌봄 로봇에 대한 부정적 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I 돌봄 로봇에서 고령자의 친밀성 형성에 미치는 디자인 요소의 요인과 인터렉션의 피드백을 분석하고 도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노인 삶의 질을 증대하고 인공지능과 실버산업의 융합을 가속화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본 연구가 AI 돌봄 로봇, 시설 등 다분야에서 실버용 AI 디자인 가이드에 대해 개발 및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길 바란다. The elderly population in South Korea, constituting 17.5% of the current population, is witnessing a steady upward trend. This burgeoning trend, as the nation transitions towards a super-aged society, has lead to an escalating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ies. The decline of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makes this demographic particularly susceptible to depression, a challenge that is often very difficult to overcome. Approximately 13.5% of the Korean senior population experiences symptoms of depression. A decade-long retrospective analysis reveals a progressive increase in elderly individuals grappling with depression-related disorders. Elderly depression can precipitate severe societal issues, such as elderly suicide and solitary deaths. To combat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is providing welfare solutions that leverag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cientific technology. The necessity for emotional care, potentially delivered through advanc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like robotics, is increasingly recognized for the elderly.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es that focuses on the aesthetics, which is the key factor that influences face-to-face interaction.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various measures such as dementia prevention services and care-call services to monitor the health of the elderly, who are often classified as a 'socially vulnerable' group. This is part of a crisis response system and an effort to secure welfare for the marginalized elderly through the deploy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ocial robots. However, these measures are still in its nascent stage, and the robots currently only perform simple functions such as providing notifications and music playback services. A review of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improvement of aesthetic design AI products, considering the impact that it can have to the users from an emotional standpoint. AI products with anthropomorphic designs have been repor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providing a high level of emotional satisfaction during the functional interaction with the elderly. Nevertheless, research in this field, particularly regarding aesthetic design, remains inadequate. Drawing on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 that anthropomorphized designs of AI product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elder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esthetic design and interaction when solitary elderly individuals interact with AI social robots. Moreover, the study aimed to discer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intimacy regarding aesthetic design and to conduct an in-depth research on the interactions of sub-components of interaction such as facial expressions, voice, senses, and movement. To lay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ir emotions, a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the concept of intimacy, AI social robots, and senses. After this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aesthetic design elements of AI products on the formation of intim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voice. At this juncture, a survey was executed on participants from a broad age range of 55 to 75 years to discern the degree of intimacy formation from a comprehensive and universal perspective regarding the appearance of the AI/robot/devi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employed a 7-point Likert scale based on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o comprehend the sub-components and factors that influences the formation of intimacy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cipants and social robots, tasks were conducted in line with ethnography and in-depth interviews. To investigate in detail, the scope was narrowed down to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n age range between 60-75 years. A thorough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feedback provided from the facial expressions, voice, senses, and movements that occur when elderly individuals (single-household) use AI social robots, and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urvey verified the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 design elements and the voice of AI devices, which positive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intimacy among the elderly. The hypothesis abou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sign elements of appearance, voice, and emotional intimacy was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emale and male voices was observed in the influence of design elements on emotional intimacy.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on the survey responses according to the intimacy scale of aesthetic design element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intimacy per component were analyzed. An analysis on the users' behavior frequency were conducted along with a series in-depth interviews on the aesthetic design elements when using AI social robots in order to derive use\ful insights. In AI social robots, Hyo-dol formed deep intimacy in emotional and cognitive types, while Dasom formed the deepest intimacy in play and cognitive types. Insights about feedback on facial expressions, voice, senses, and movements were derived from behavior analysis through video ethnography. Also, negative factors about AI social robots were identified through behavior analysis via a series of observational research.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and derived the factors of design element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intimacy in the elderly, while also providing an analysis on the feedback that was collect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AI social robots.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and accelerate the conv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the silver economy and industries that target elderly citize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AI design guides for senior-friendly industries and other areas such as AI social robots, welfare facilities, etc., in the future.

      • 슈퍼바이저 관계결속 노력이 가맹점의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슈퍼바이저와 가맹본부의 친밀성과 관계강도의 매개 역할

        정우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4

        논문요약 슈퍼바이저 관계결속 노력이 가맹점의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슈퍼바이저와 가맹본부 친밀성과 관계강도의 매개 역할 21세기의 프랜차이즈기업들은 1세대 프랜차이즈 기업의 서브브랜드의 출범, 그리고 수많은 신규 프랜차이즈 기업의 출범으로 인해 무한경쟁 상황 속에 놓여있다.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생존 및 성장을 위해 단순히 새로운 가맹점 및 소비자층의 확대라는 사업전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끊임없는 변화를 관리할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프랜차이즈기업들은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제도와 관행 그리고 가맹점을 관리하는 슈퍼바이저의 역할을 무한경쟁 시대에서 부합시켜 경쟁력을 갖추어야한다. 따라서 국내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내부자원 중의 하나이며 가장 중요한 인적자원인 슈퍼바이저에 대한 역할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교육 훈련 및 지원 등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무한경쟁에서의 우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관계 마케팅에서의 주요 변수인 관계결속, 친밀성, 관계강도, 장기지향성과 같은 변수들을 프랜차이즈 본사 차원에서가 아닌 슈퍼바이저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연구를 통하여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안정적인 수익과 성장에 필요한 사업전략 수립에 주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주제는 프랜차이즈 분야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희소성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기업에게 슈퍼바이저의 관계결속 노력이 프랜차이즈 사업의 성과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가맹점의 장기지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프랜차이즈기업의 슈퍼바이저가 실행하는 가맹점과의 관계결속 노력이 가맹점의 장기지향성에 실무적이며 전략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가맹점의 장기지향성이 필수요소로 고려되고 있는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관계결속 노력을 이용한 프랜차이즈기업의 슈퍼바이저의 관리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슈퍼바이저의 관계결속 노력을 사회적 결속, 기능적 결속, 구조적 결속의 하위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본 연구는 슈퍼바이저의 관계결속 노력, 친밀성, 관계강도, 그리고 장기지향성 간의 전반적인 메커니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관계결속 노력(사회적 결속, 기능적 결속, 구조적 결속), 친밀성(슈퍼바이저 친밀성, 가맹본부 친밀성), 관계강도(슈퍼바이저 관계강도, 가맹본부 관계강도), 그리고 장기지향성과 같은 연구단위들 간의 전체적 구조모형(overall model)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는 χ2=41.844, d.f=11, p값=0.000, GFI=0.980, AGFI=0.936, NFI=0.987, CFI=0.990, RMSEA=0.075, RMR=0.037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생변수가 내생변수에 의해서 설명되는 설명력(R2)을 살펴 본 결과, 슈퍼바이저 친밀성은 R2 값이 .596(59.6%), 가맹점 친밀성 .818(81.8%), 슈퍼바이저 관계강도 .688(68.8%), 가맹점 관계강도는 .542(54.2%), 장기지향성은 .315(31.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슈퍼바이저의 관계결속 노력은 슈퍼바이저 친밀성, 그리고 슈퍼바이저의 친밀성은 가맹본부 친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슈퍼바이저 친밀성은 가맹본부 관계강도와 슈퍼바이저 관계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슈퍼바이저 관계결속 노력은 슈퍼바이저 관계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슈퍼바이저 관계강도는 가맹본부 친밀성과 가맹본부 관계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한편, 가맹본부 친밀성은 가맹본부 관계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가맹본부 관계강도 또한 장기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신뢰 전이 이론을 적용한 연구로서 슈퍼바이저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본 연구의 주요 주제인 사회적 결속, 기능적 결속, 구조적 결속, 친밀성, 관계강도, 그리고 장기지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루어질 프랜차이즈 산업분야의 슈퍼바이저의 역할에 단서를 제공하며, 프랜차이즈기업의 슈퍼바이저 관리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랜차이즈 업계뿐만 아니라 모든 업계에서도 본사와 고객사이의 매개역할을 담당하는 영업 관리자나 영업 담당자의 역할의 중요성과 그들의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실증적으로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주제어 : 슈퍼바이저, 관계결속, 친밀성, 관계강도, 장기지향성 ABSTRACT The Effects of Supervisor’s Relationship Bonding Efforts on Long-Term Orientation in Franchise Industry Context: Mediating Roles of Closeness and Relationship Strength with Supervisor and Franchisor Woo Sig J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Today's Franchise industry is confronted with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 Major franchisors are launching or introducing their new sub-brands, and new franchisors have been emerging in the market as well. Franchisors must expand their business focus from just developing new franchisee to managing current franchisee to deal with rapid change in the market as well. Under this trend, franchisors have to adapt their management system, practices, and supervisor's role to a global standard in order to achieve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Therefore, domestic franchisors need to evaluate and redefine newly their supervisor's role. They also need to build an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 for supervisors in order to survive in the unlimited competition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upervisor's relationship bonding efforts (social, functional, and structural bonding), closeness and relationship strength with supervisor and franchisor, and long-term orientation in franchise foodservice industr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roles of closeness and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franchisor supervisor's relationship bonding and long-term orientation.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data was collected 496 food services franchisees who are franchisor's owners and managers, and analyzed with SPSS/PC 18.0 and AMOS 18.0. To test unidimensionality and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of each construct we employed a scale refinement procedure. The result of reliability test with Cronbach's α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rranted unidimensionality of the measures for each construct. In addition,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was warranted from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ll loading exceeded 0.5 and each indicator t-value exceeded 0.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path analysis. The result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appeared as follows: χ2=41.844, d.f=11, p=0.000, CMIN/DF=3.804, GFI=0.980, AGFI=0.936, NFI=0.987, CFI=0.990, RMSEA=0.075, RMR=0.037. Since the result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demonstrated a good fit.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pervisor's social bonding effor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visor closeness and relationship strength with franchisee. Second, supervisor's close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ranchisor closeness, also supervisor closeness have a significant supervisor's relationship strength. Third, supervisor's relationship streng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ranchisor closeness, and supervisor relationship streng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ranchisor relationship strength. Finally, franchisor close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franchisee, and franchisor relationship strengt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franchis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franchisors have to recognize that their supervisors play an important role for franchisee’s long-term orientation with franchisor. Therefore, they have to provide quality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 to supervisors continuously Second, franchisors can facilitate supervisors to solve problems and conflicts with franchisee, because franchisee regards supervisors as a deputy of franchisor, and shared closeness and relationship strength between them will moderate the problems and conflicts. There exit, of course, limitations in this study. First, even though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s of supervisor's relationship bonding efforts on long-term orientation, future study needs to include various franchisee’s outcomes such as commit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Second, even though this study use closeness and relationship strength with supervisor and franchisor as mediating variables, future research needs to examine different mediating variables such as trust, satisfaction, and cohesiveness Finally, this study use supervisor's relationship bonding efforts as independent variable. However, future research needs to examine various antecedents, such as market orientation and leadership style of franchisor, etc. which effect on relationship bonding efforts. Keywords: Supervisor, Relationship Bonding, Closeness, Relationship Strength, Long-term Franchisee

      • 중국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의 사회적 적응의 관계 : 부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왕보려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4

        중국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의 사회적 적응의 관계: 부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왕보려 아동복지학과 아동복지 및 유아교육전공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가 사회에서 학습하고 발달하는 과정은 사회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건전한 인격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적응은 유아 학습의 핵심 내용이며 사회적 발달에 있어 기본적인 절차이다. 좋은 방향으로 발달된 사회적 적응은 유아의 정서, 행동, 정신 건강 및 후반 학업 및 미래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아의 사회적 적응 발달은 유아 자신과 외부 환경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데, 이 중에서 가정은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 중의 하나이다. 유아 어머니는 가족 시스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인데, 어머니의 과학적인 정서교육 방법, 친밀한 부모-자녀 관계 및 유아 정서조절은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중국의 섬서성(陝西省)의 한중시(漢中市), 서안시(西安市)와 하 북성(河北省)의 석가장시(石家莊市)의 8 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4~6 세 의 949 명 유아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 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의 사회적 적응은 각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에 해당하는데, 이때 부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이 어떠한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SPSS 23.0 을 활용 하여 기술통계 분석, 차이 분석과 상관 분석을 진행하였다. Hayes(2013) 의 제안한 SPSS Process Macro 의 Model 6 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도 시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에서 정서코칭 점수가 높았으며, 정서 배제, 정서통제 불능, 정서불간섭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부모-자녀 친밀성, 유아 정서조절, 유아의 사회적 적응의 전반적인 경향이 모두 중간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의 사회적 적응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하위요인에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서코칭은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가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대로 정서배제와 정서통제 불능의 차원은 고졸 이하 학력을 가진 어머니가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정서불간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을 기준으로 삼으면,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적응 수준이 더 뛰어났다. 그리고 유아의 학년에 따라 대반 유아는 중반 유아보다 더 높은 사회적 적응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유아의 주양육자에 따라 부모가 키운 유아가 기타(조부모 또는 가정부 등)가 키운 유아보다 더 높은 사회적 적응 수준을 갖고 있다. 셋째, 연구모형에서의 직접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부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 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 학의 각 하위요인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서코칭은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정서배제는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서통제 불능과 정서불간섭은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유 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각 하위요인이 부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을 통해서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유아의 사회적 적응 간에 부 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은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되었다. 더 나 아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각 하위요인이 부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서코칭과 유아의 사회적 적응 간에 부모-자녀 친밀 성과 유아 정서조절은 이중 매개효과를 하였다. 정서배제와 유아의 사회 적 적응 간에 유아 정서조절은 완전한 매개효과를 하였다. 정서통제 불 능과 유아의 사회적 적응 간에 부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은 이 중 매개효과를 하였다. 정서불간섭과 유아의 사회적 적응 간에 유아 정 서조절은 부분 매개효과를 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적응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달라짐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방식도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자녀 친밀성과 유아 정서조절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유아를 양육과정에서도 많은 관심과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시사점과 제안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자신의 상위정서철학의 개선과 향상에 주의를 기울여 야 한다는 것이다. 어머니는 학습을 통해 자신의 상위정서철학을 향상시 킬 수 있기에 가정교육 기관이나 유아교육 기관은‘부모교육’프로그램 을 시행하여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지도하고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유아와 친밀한 부모-자녀 관계를 적극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노 력해야 한다. 어머니는 부모-자녀 친밀성을 높이기 위해 긍정적인 상위 정서철학을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다. 가정, 학교 및 지역 사회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효과적인 부모-자녀 상호작용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가 정서조절 능력을 배양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 야 한다. 어머니는 자신과 유아의 정서적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며, 유 아에게 좋은 정서적 모범을 보여 줘야 한다. 또한 유아의 정서 상태에 주목하여 적절하게 개입해야 하며, 유아와 함께 적합한 정서조절 방법을 탐색해야 한다. 또한 유아가 다니는 기관은 정서 교육과 관련된 프로젝 트 계획을 늘리고 개선하며 정서 조절 능력 및 정서 조절 전략과 관련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in China: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ANG BAOLI Department of Child Welfar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The learning and development process in the social domain of young children is a process in which their sociability is continuously perfected and forms the foundation of a sound personality. Social adaptation is a major component of young children's learning and a fundamental pathway for their social development. Good social adap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s emotions, behaviors, psychological health, and later academic and future adaptability.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is influenced by both the child's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mong which the family is one of the significant external environments. As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family system, the scientific emotion-coaching approaches of mothers, the intimacy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of young childre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ocial adapt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lected 949 mothers of 4-6-year-old children from 8 kindergartens in Hanzhong City and Xi'an City of Shaanxi Province, and Shijiazhuang City of Hebei Province in China as research subjects.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were respectively used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further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is study employed SPSS 23.0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used Hayes(2013) SPSS Process Macro Model 6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th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scores for emotion-coaching were higher, while scores for emotion-dismissing, emotion-dysfunction, and emotion-noninvolvement were relatively lower. In terms of parent-child intimacy,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all were found to be above a moderate leve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under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Looking at the mothers' education, differences also existed among the sub-factor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 terms of emotion-coaching, mothers with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scored higher. In the dimensions of emotion-dismissing and emotion-dysfunction, mothers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lower scored high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noninvol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ld's gender, girls had better levels of social adaptation than boy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ld's grade, older children in kindergarten had higher levels of social adaptation than younger on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ld's primary caregiver, children whose primary caregivers were their parents had higher social adaptation abilities than those whose primary caregivers were others (grandparents or nannies). Thirdly, the direct effects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reveals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on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The various sub-factor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exhibit differential impacts on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Specifically, emotion-coaching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while emotion-dismissing has no significant impact. Moreover, emotion-dysfunction and emotion-noninvolvement exhibit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Fourth,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ies and their sub-factors on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through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ies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exhibited a dua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furth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various sub-factor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through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pecific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coaching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had a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dismissing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dysfunction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had a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noninvolvement and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the process of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the different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ies have different impacts on children's social adaptation. It is also evident that parent-child intimacy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young children's social adaptation and need to be given attention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 in the child-rearing proc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nsights and suggestions are offered: 1) Emphasize the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mothers' own meta-emotion philosophy. Mothers of young children can improve their own meta-emotion philosophy through learning. Family education institution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an guide and intervene in mothers' meta-emotion philosophy through ‘parent education’ projects. 2) Focus on establishing a positive and intimate parent-child relationship. Mothers can try using positive meta-emotion philosophies to increase parent-child intimacy.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can increase effective parent-child interaction opportunities through various means. 3) Pay attention to the cultivation and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Mothers should appropriately handle their own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issues, set a good emotional example for their children, pay appropriate attention to the emotional states of their children, and seek suitable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Schools attended by young children should increase projects related to emotional education, paying more attention to providing young children with learning and experiential opportunities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capabilities and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