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1년 이후 펑크헤어스타일에 나타난 미적특성

        박남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대중매체와 컴퓨터의 등장, 인터넷의 보급으로 더욱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시대의 사상과 가치관, 미의식의 영향을 가장 많이 표출시키는 복식은 지금에 이르러 의상뿐만 아니라 헤어스타일에서부터 신발에 이르기까지 인간을 장식하는 모든 영역이 포함되고 있는데, 특히 복식표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헤어스타일은 개인의 신체와 관련한 사적인 영역이지만 가시적이고 드러내는 것이라는 점에서 공공적인 특성을 지닌다. 본 논문은 2001년 이후에 나타난 펑크헤어스타일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미적특성을 알아봄으로써, 독창적인 창작영역으로써 접근할 수 있는 펑크헤어스타일의 미적 환경을 정리하기 위하여 우선 선행된 서적과 논문에 나타난 사진자료와 문헌,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7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는 펑크패션과 펑크헤어스타일의 발생배경과 변천과정, 펑크패션과 펑크헤어스타일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패션에 종속된 헤어스타일로써가 아니라 헤어스타일로서 미적개념의 완성을 보이고 있는 헤어트랜드와 헤어컬렉션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즉, 작품 활동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시점과 헤어디자이너의 개인 작품발표가 본격적으로 두드러지며 이들의 작품이 실리기 시작한 2001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서적, 인터넷과 잡지를 통하여 펑크헤어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내면적 의미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2001년 이후 펑크헤어스타일의 미적특성은 변천과정, 펑크헤어스타일의 외적특징, 2001년 이후 펑크헤어스타일의 헤어형태와 헤어컬러링의 조형적 특성과 창조적 절충성, 기하학적 해체성, 자학적 관능성, 연극적 유희성, 반미학적 혐오성의 내적의미로 분류하였다. 첫째, 펑크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창조적 절충성은 초기에 나타나던 펑크헤어스타일의 고유한 특징은 사라지고 이미지를 차용하여 창조해 내는 혼성모방으로 헤어디자이너의 새로운 아이디어의 소재가 되고 있었다. 둘째, 탈구성주의의 해체는 형태를 왜곡하고 과장하여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펑크헤어스타일을 만들었고, 공식을 벗어난 모발의 흐름과 흐트러진 우연적 모발 형태는 완성된 모발의 형태가 아닌 미완성 상태의 미로써 펑크헤어스타일을 만들고 있었다. 셋째, 스스로가 만드는 소외된 대상으로서의 성적 일탈 행위로 컬러링의 검정색과 빨강 색상에서의 패티시적 연상 작용으로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잠재적 의식을 통한 모습이 페르소나를 통한 성적쾌감과 환상을 느끼게 하는 자학적 관능성의 표현이었다. 넷째, 펑크헤어스타일에서 나타나는 페르소나는 펑크문화의 특징에 상상력을 통한 독창적인 펑크헤어스타일로 집단이 요구하는 역할에 충실히 맞추어 주는 동일시로 풍자적이고 연극적인 요소를 내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형태와 왜곡과 과장에서 나타나는 커트선과 컬러링의 방법은 불결한 이미지로써 추악하고 저속한 것에도 아름다움이 존재한다는 발상에서 펑크헤어스타일의 반미학적 형태는 시각적 충격과 함께 혐오성 표현한다. 본 연구의 펑크헤어스타일에 대한 미적연구뿐만 아니라 헤어스타일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미적특성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펑크헤어스타일의 헤어디자인에서의 조형성 분석이나 컬러링에 대한 연구로 미적특성의 분석과 함께 앞으로 펑크헤어스타일의 형태와 색상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이 더욱 연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 공기업 직원의 서비스교육만족도가 고객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도로공사 경기본부 톨게이트직원을 중심으로

        박남숙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Customer satisfaction is a critical factor for the success of a business firm. A company without a proper customer service management process cannot guarantee programs, and many companies develop their own customized customer service programs to manage this important part of busines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essential for good customer service is employee participation and dedication. That is, customer satisfaction cannot be achieved without the dedicated efforts by the employees to serve and please customers. In this regards, it is necessary for a business firm to provide its employees with a proper education and training about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Nowadays, private firms and public companies regularly provide seminars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ir employees to improve and enhance their service quality to the customers. These inter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re subject to constant evaluations whether and how effective they are for improv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level. Theory 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connects the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employee satisfaction about service education since frontline employees are the contact points with the customers. That is, employees may be considered as internal customers and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internal customers to satisfy the external customer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and the relations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employee satisfaction about the service training they received in a public enterpris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mployees of three branch offices and the customers using their services to find out (1) what ar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training program and (2) whether employee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training program affects the service quality for the customer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thus business firms need to focus on improving employee satisfaction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level. 본 연구는 많은 기업들이 90년대 초반부터 고객만족을 도입 하여 현재는 상품에서 친절서비스까지 총체적고객만족 경영을 하 고 있다. 이는 고객중심의 경영을 의미하며, 고객을 위한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서 종업원의 고객응대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기업은 직원의 친절서비스교육을 도입하고 체계적인 서비스프로그램개발을 통하여, 직원의서비스품질향상을 가져왔고 이는 기업의 브랜드이미지와 매출증대에도 많은 부분에 기여하였 다. 현재는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지자체에서도 고객만족을 위한 민원행정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공무원의 서비스 교육만족도 가 서비스품질향상에 영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된 논문들 이 발표되었다 공기업에서도 서비스의 품질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서비스 교육훈련을 실시하게 되었으며, 공기업도 정부, 지자체 기 업처럼 직원의 서비스품질은 향상될 것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강사의 교육에 대한 질이 높아질수록 직원의 교육에 대한만족은 향상될 것이며 이로 인해 인적서비스를 보여줄 수 있는 직원의 서비스품질향상으로 인한 공기업의서비스는 일반 기업서비스 나 민원행정서비스와 더불어 발전할 수 있음을 강조하기위해 본 연 구에서 공기업직원의 서비스교육만족도는 고객서비스만족도에 영향에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기위해서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 중 고객을 직접적으로 응대하는 근무를 하는 직원이 서비스 교육을 통해 얻은 만족도를 살펴보고, 공기업 직원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인적서비스 품질 향상에 서비스 교육훈련이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가와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공기업의 서비스 교육에 대한 직원의 의식 구조와 고객의 인적서비스 품질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13개 정부 투자 기관 중 고객접점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한국도로공사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각지역중 고객이용자수가 가장 많은 경기지역본부의 서울영업소, 동서울영업소, 서서울영업소의 톨게이트 직원과 고속도로 이용시 그곳을 이용하는 주 고객을 대상으로 2007년5월1일부터 2007년 5월30일 까지 30일 동안에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최대 5회 이상에서 1회 정도 서비스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직원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고객 설문조사는 그곳 톨게이트를 주로 이용하는 고객이며, 월1~2회 이상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 조사의 분석방법은 ‘공기업직원의 서비스교육만족도가 고객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영역에 대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간의 신뢰도를 측정하여 예측가능성, 정확성 등을 살펴보았고, 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공기업직원의 서비스교육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또한 공기업직원의 서비스교육만족도가 고객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회귀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첫째 공기업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교육효과는 강사의 자질, 적극적인 수강태도, 그리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설계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입증 되었다. 둘째 직원의 서비스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서비스품질은 향상되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 받은 고객의 서비스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공기업 중 한국도로공사 경기지역 톨게이트로만 한정되었다는 점 둘째 고객측면의 조사에서는 설문문항에 대한 선정을 고객입장에서 고객이 서비스를 받고 있는 부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실증 분석에서 사용된 서비스품질구성요소 PZB를 변형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논문 연구자의 주관성이 개입되었다는 점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첫째 향후 동일한 연구를 통해 시대에 맞는 더욱 발전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 둘째 서비스교육훈련연구에 대한 기존 연구 자료와 좀 더 다른 발전된 양자의견을 비교분석한 연구로 향후 공기업서비스교육훈련에 대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 셋째 처음으로 연구된 공기업직원의 서비스교육에 대한 연구라는 점. 마지막으로 공기업 중 실제로 서비스교육 훈련으로 서비스품질향상을 보여주고 있는 한국도로공사 경기지역본부 톨게이트 직원의 서비스교육경험에 대한 느낌과 그곳을 이용하는 고객의 서비스만족에 대한 느낌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계획될 서비스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방임 영향 관계 연구

        박남숙 동의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social support is a factor for mitigating self-neglect in the elderly women and to verify the factors that could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self-neglect in the lives of the elderly. If the problem of self-neglect of elderly women is reduced by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is to be us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intervene in self-neglect.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elf-neglect by dividing them into formal support and informal support. In this way, the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hat can be useful for the life of the elderly women are presented realistically. Communities were utilizing a significant sampling targets women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data of the actual situation and the policy sense of the elderly in Busan metropolitan city, conducted by the Busan Welfare Development Institute, was utilized secondarily.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ir self-neglect status. In order to analyze the self-neglect differences were a one-way ANOVA. In addition, the formal support and informal support for older women to look at the impact on self-neglect,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analyzed the effects on self-neglect behavior were as follows. The control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described (adjusted R^2 = .394) 39.4% as a result of the dependent variable. Depression (B = .571 p〈.001), ADLs (B = .070 p〈.05), household incomes(B= -.136 p〈.001), and informal social support (B = - .070, p <.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neglect. In particular, the female older adults who had higher level of informal social superfort(B=-.070, p〈.05)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self elder neglect. The informal suppor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and friends would reduce the level of self-neglect for older women. However, formal social support for the female older adult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lder self-neglect. Due to the above result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for reducing the elder self-neglect of the female older adults in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가 자기방임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인지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노인의 삶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자기방임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가 여성노인의 자기방임문제를 감소시킨다면, 사회적 지지는 자기방임 문제를 개입하는 효과적 전략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사회적 지지를 공식적 지지와 비공식적 지지로 구분하여 자기방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성노인의 삶에 유용할 수 있는 정책 및 실전적 방안 을 찾고자 한다. 지역사회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유의표집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 자료로 부산복지개발원에서 수행한 부산광역시 노인실태 및 정책체감도 결과를 2차적으로 활용하였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 특성요인과 자기방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하였다. 자기방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여성노인에 대한 사회적지지인 공식적 지지 와 비공식적 지지가 자기방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노인의 공식적 지지와 비공식적 지지가 자기방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제변수 및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39.4%(adjusted R^2 = .394) 설명하였다. 우울(B=.571 p<.001), ADL(B=.070 p〈.05), 주관적 건강(B=-.170 p〈.001), 가구 소득(B= -.136 p〈.001). 비공식 지지(B=-.070, p〈.05) 등 자기방임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독립변수에서 비공식지지(B=-.070, P〈.05)가 높을수록 자기방임이 낮게 나타났다. 여성노인에 대한 비공식적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자기방임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사회적 지지인 비공식적지지 관계는 여성노인의 삶의 활력을 높임으로 자기방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공식적 지지(B= .041)는 여성노인의 자기방임에서 사회참여를 하지 않음에서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사회참여 인식정도가 낮은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의 결과로 인하여 여성노인의 삶에 유용한 사회적 지지에 대해 현실적인 제안에 대해 사회복지 정책 및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실태와 효과

        박남숙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days the tendency of school violence is getting younger and students suffering from mental violence such as bullying are increasing. Experts say the biggest cause of increasing school violence every year is the absence of its prevention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through reports that North European countries like Sweden and Norway reduced school violence to 50% by conducting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on schools which hav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using school social workers and schools which don't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and effec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lthough schools which hav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using school social workers had limitations as model schools, they were conducting prevention education by school year, class and small group using education guidelines.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doesn't focus on post-measures after the outbreak of school violence, but focuses on prevention measures for all students exposed to school viole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such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using school social workers can be summarized as four points below. First. the education enlightened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through school violence category and state. Second. the education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sense of values for students who sat back and watched and even cooperated with violence offenders by suggesting the significance and methods of intervention roles through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standpoints of school violence offenders, victims and lookers-on. Third. the education brought positive changes in values which led students to positive and active attitudes about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urth. the education contained countermeasures to prevent and solve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enabled students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actively to reduce and prevent it by letting them know the danger of school violence. In conclusi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as part of prevention measures. The significanc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needs to be recognized among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provid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substantial and effective research,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최근 학교폭력의 경향은 저연령화 되고 있으며, 집단 따돌림과 같은 정신적 폭력에 시달리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학교폭력이 매해 증가되고 학교폭력이 근절되지 못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예방교육의 부재를 들고 있다. 스웨덴,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의 경우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해 학교폭력을 50% 줄였다는 보고도 있어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와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일선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은 연구·시범학교라는 한계점이 있지만 지도자가 지도 교육 안을 통해 각 학년, 각 반별, 모둠별로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학교폭력 발생 후의 사후 대책에 중점을 둔 교육이 아니라, 학교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예방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측면에서 교육의 의의가 크다. 이러한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교육이 갖는 교육의 효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학교폭력의 범주와 학교폭력의 실태를 통해서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이해하게 하는 교육이 이루어졌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의 입장을 이해하게 하는 교육을 통해서 무심하게 방관하며, 동조하는 자세가 아닌 중재 역할의 중요성과 방법을 제시하여 방관자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 졌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를 갖는 긍정적인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넷째.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대처방안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학교폭력의 위험성을 알게 됨으로써 학교폭력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은 학교폭력 예방 대책으로 정착되어져야 한다. 학교폭력 예방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해야 하며,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의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및 개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이 정착 할 수 있는 제반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 청각장애학교의 직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박남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표준직업분류표에 따른 직종분류를 토대로 청각장애학생들의 직업선호도를 알아보았다. 대분류와 중분류에 따른 선호도를 학교 급 별, 성별, 의사소통 방법 별, 가족과의 의사소통의 원활한 정도, 사회경제적 지위, 학생 자신에 대한 가족의 이해와 도움의 정도에 따른 직업선호도를 알아보고 좀 더 내실 있는 직업교육이 이루어져 직업관련 기관과의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든 분류기준에 따라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직종은 대 분류에서는 전문직, 중분류에서는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세분화된 분류에 기초하여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a basic data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f job preference by the Major Korean Standard Job Classification, in order to grasp vocational property of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subjects were students of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hearing impairment in Gyeonggi, Busan, Jeonnam, etc., and the research was done in accordance with their major and school level. As for the research method, on the basis of the Major Korean Standard Job Classification (2010) by Statistics Korea, a multiple-choice type questionnaire was used, and in which, it was supposed to select large classification and middle classification. And on it, school level and gender field were added for basic research, as well as communication method and family background, for more accurate research. As for data treatment, the tendency was grasped by percentage for each item, for the frequency of the reflection of the questionnaire. In conclusion, the tendency of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as to prefer specialized jobs, rather than physical labor. This tendency, when it was mentioned on school level, became more clear when it came to middle school, and it showed various jobs, when it came to their major, reflecting real circumstances. As for gender classification, they showed difference between their gender; girls showed higher tendency of grasping professional jobs, and boys chose machine-related jobs and technical jobs.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in their preference according to their communication method, but they showed rather free choosing tendency when they had better communication with their family members. Their preferred jobs were more various when their economical level was in the middle. When the students had positive preference of the help level and understand level of their family members, they preferred professional or related jobs, but when the students had lower level of understanding and help, their most frequent choice was simple labor.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 facto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preferred jobs in large classification and middle classification.

      • 사고 운전자와 무사고 운전자의 정서, 인지 및 행동 특성의 비교

        박남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고운전자와 무사고 운전자의 정서, 인지 및 행동 특성을 비교하고 이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전경력이 1년 이상인 일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모의운전상황과 그 상황에서 경험하는 정서, 인지 및 행동 특성이 기술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343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요인분석과 F검증 및 상관분석을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정서는 분노와 불안, 인지는 상대비난과 자기비난, 행동 특성은 공격적 운전행동과 방어적 운전행동으로, 각각 2요인들이 추출되었다. F검증의 결과를 보면, 정서에서는 사고자와 무사고자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 인지에서는 사고자가 무사고자보다 상대비난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비난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 특성에서는 사고자가 무사고자보다 방어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특성분노는 상태분노와 상대비난 및 공격행동과 각각 정적상관이 유의하였고, 방어행동과는 부적상관이 유의하였다. 상태분노는 상대비난 및 공격행동과 각각 정적상관이 유의하였고, 불안은 상대비난, 자기비난 및 방어행동과 각각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상대비난은 공격행동과, 자기비난은 방어행동과 각각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방어적 운전행동과 불안 간의 정적상관은, 적절한 수준의 불안이 안전운전에 어느 정도 효과적일 가능성을 추론하게 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between experienced drivers and inexperienced drivers in traffic acciden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uch factors. In order to do these, general drivers with more than a year of operating experience were asked to rate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they experienced in a driving situation scenario and in the situation. Response data of 343 people come from factor analysis, F-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I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emotion was divided into 2 factors anxiety and state anger, cognition into other-blame and self-blame, and behavior into aggressive driving and defensive driving in the situation. In the results of F-test, the difference of emotion between experienced drivers and inexperienced drivers in the traffic accident wasn't significant. In cognition, experienced drivers had more other-blame than inexperienced drivers. In the self-blame factor, the difference of both groups wasn't significant. Concerning behavior, the accident drivers had more defensive driving than the accident-free drivers.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in trait anger,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ate anger, other-blame, and aggressive driving. Otherwis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rait anger and defensive driving. In state anger,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ther-blame, and aggressive driving. In anxiet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ther-blame, self-blame, and defensive driving.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other-blame and aggressive driving, and self-blame and defensive driving. In particular, correlations between aggressive driving, anger, and other-blame and anxiety and defensive driving were significant. 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level of anxiety can affect safe driving to some exten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박남숙 경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보육교사의 이직이 만연되어 있고, 보육교사의 이직이 보육의 질과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크기에 보육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하여 보육교사의 이직률을 줄임으로써 아동에게 안정감을 형성시키고 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은 경상북도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상주시, 칠곡군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11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특성으로 만35세∼만44세까지의 연령이 43.1%로 가장 많았고 68.7%가 기혼여성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전문대졸이 54.5%를 차지하고 자격증 소지여부는 보육교사 2급이 가장 많았으며, 조사대상자 중 1회 이상 이직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 중 61.1%로 나타났다. 1일 9시간 이상(75.3%)의 근무를 하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자의 월급평균급여는 100만원∼12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와 각 독립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와 관련된 요인이 조직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역할갈등이 높을수록, 역할과중이 높을수록, 직무자율성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조직과 관련된 요인에서는 보상(임금)이 낮을수록, 의사결정참여가 낮을수록 동료와의 관계가 낮을수록, 상사와의 관계가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직무태도 관련요인에서는 직무만족이 낮을수록, 조직 헌신도가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조직헌신과 직무만족은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관련성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독립변수들 중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직무태도관련요인으로 조직헌신과 직무만족이, 조직관련 요인에서 보상(임금)과 의사결정참여가 이직의도 결정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직에 헌신할수록, 직무에 대하여 만족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임금)이 낮을수록, 의사결정참여가 낮을수록 이직의 원인이 되고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이직결정요인으로 조직관련 요인과 직무에 대한 태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결정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보육교사 일일 근무시간이 9시간 이상(75.3%)인 것에 비해 월평균급여가 100만원∼120만원미만(36.0%)으로 근무시간에 비해 급여가 낮고 같은 학력의 타 직종의 종사자보다 급여가 낮은 것으로 보아 낮은 보수와 과다업무는 결국 이직의도로 이어지기에 외재적 조직보상을 높여주어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물론 사기를 높여주고 자긍심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보육교사의 급여를 상향조정하여 급여 수준을 현실화 하여야 하겠다. 둘째,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11조의 보육시설 종사자 복무규정에서 보육교사의 근무시간은 평일 8시간을 원칙으로 하고 보육시설의 특성상 연장되는 시간은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가 교대로 근무하며,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해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교대근무실시 등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근로기준법상의 하루 8시간 근무시간을 준수하도록 하고, 시간외 근무를 실시할 경우에는 합당한 초과근무수당을 지급하도록 이에 대한 예산을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업무에 대한 불확실한 지시나 자신의 역할에 대한 모호성의 역할갈등과 역할과중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업무에 대한 고유영역과 전문성을 인정하고,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의사결정의 참여로 자신들의 전문지식이나 기술을 충분히 발휘하여 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영·유아 보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보육인력 체계 개선과 업무에 대한 자율성과 재량권이 확보 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reducing the turnover rate of nursery teachers, which can make the children comfortable and enhance the quality of nursery, by researching the reasons why nursery teachers transfer because transfer is prevalent among them and it brings about a lot of negative effects on the quality of nursery and children. A survey which 250 nursery teachers responded to was conducted in Gumi-si, Gimcheon-si, Mungyeong-si, Sangju-si, Chilgok-gun,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211 responses is as follows. At first, in view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 percentage of the teachers from 35 to 44 years old is the highest, 43.1%, and 68.7% of the teachers are married. Considering academic background, the percentage of teachers graduated from vocational college is 54.5%, the most widely owned certificate is the second-level certificate of nursery teacher, and the percentage of the teachers who had changed their work is 61.1%. They work more than nine hours a day(75.3%) and their monthly pay is from a million to 1.2 million won. Second, after observing the relation between a dependent variable(intention to transfer) and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he more the role-conflict is, the higher the work load is and the lower autonomy in work is, the more nursery teachers decide to transfer, and considering the organization they work, the lower the reward(pay) and their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is and the worse their relationship with co-workers and superiors is, the more they decide to transfer. Considering the attitude toward work, the lower the job-satisfaction and contribution to the organization are, the higher the chance of the teachers' transfer is, which means that the job-satisfaction has much to do with contribution to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