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국가주의와 국내정치 영향에 관한 연구

        김용찬(Kim, Yong Chan)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7 No.2

        이 논문에서는 재외동포 초국가주의의 영향과 정치적 영역에서의 본국의 대응과의 관계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 재외동포의 초국가주의가 국가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국가는 국내외 정치상황을 반영한 대응을 통해 정책을 형성하고 변화시킨다는 주장을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재외동포 초국가주의는 본국에서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를 위한 요구와 활동으로, 국가의 대응은 재외동포에 대한 이중시민권과 선거정책의 수립과 조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초국가주의와 국가정책을 분절적으로 분석하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초국가주의의 영향과 모국의 대응으로서의 정책의 형성과 변화를 통합적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한편 종족민족주의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한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국가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국, 대만, 일본에서 재외동포의 초국가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재외동포의 입국과 거주, 선거정책이 수립되었고 조정되었다. 대만은 과거에 비해 재외동포에 대한 이중시민권과 선거정책이 축소되었지만, 재외동포의 이중국적에 대해서는 유연한 대응을 하고 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의 경우 재외동포사회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중국적을 허용하지 않는 대응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 한국과 대만과 달리 재외동포의 입국과 정착, 법적 지위 등을 명시한 독자적인 법의 제정이나 재외동포 지원을 위한 정부기구를 설치하지 않았다. 논문에서는 이들 국가들의 초국가주의와 정책 형성과 변화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분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overseas nationals’ transnationalism and the responses of sending countries in the political realm. It argues that nation states make important roles i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policies on overseas nationals on the basi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xts and the influence of the transnationalism. Overseas nationals’ transnationalism is defined as the demands and activities for civic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responses refer to the establishment and reformation of policies in regard to dual citizenship and suffrage. This study introduces the integrated explanation of transnationalism and national policies beyond the limitation of established studies. The cases of this article include South Korea, Taiwan and Japan that have maintained ethnic nationalism. There have been commonly the formation and change of overseas nationals’ citizenship and suffrage policy in East Asian countries as nation states’ responses to the influence of the transnationalism. The Taiwanese government has scaled down national policies on overseas national’s citizenship and suffrage, but it has continued flexible actions to the dual nationality. The South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have not permitted the dual nationality. Unlike South Korea and Taiwan, the Japanese government has not provided independent legal status and established governmental department for overseas nationals. This research also presents the explanation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national policies and overseas nationals’ transnationalism.

      • KCI등재

        근대 일본 '내셔널리즘'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재검토

        김석근(Kim Seog G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5 No.1

        이 글에서는 근대 일본 내셔널리즘의 전개 양상, 그리고 내셔널리즘이 파시즘과 초국가주의로 변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구조와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같은 검토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지역주의(예컨대 동아시아공동체, 동북아공동체)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시사와 교훈을 던져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 연원을 따져보면 ‘내셔널리즘’과 그 운동은 19세기 서구 유럽에서 등장해서 동아시아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네이션’과 ‘nation-state (네이션 스테이트, 국민국가)’ 개념 역시 전해지게 되었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대외적으로 독립을 유지함과 동시에 새로운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 편입되어야 하는 일종의 통과의례를 거쳐야만 했는데, 그것은 동아시아 내셔널리즘에 공통된 과제가 되었다. 일본의 경우, 그 같은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단시일 내에 열강의 반열에 들어설 수 있었다. 하지만 근대 일본의 내셔널리즘은 점차로 그 적정한 영역을 벗어나서 국가주의로 다시금 초국가주의로, 그리고 군국주의와 침략적 제국주의로 나아가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만주사변(1931)에서 ‘종전’ (1945년 8월 15일)에 이르는 이른바 ‘15년 전쟁’ 기간이 거기에 해당된다. 그 분기점으로, 그리고 비판의 논거로서 내셔널리즘과 인터내셔널리즘이 근사하게 균형을 취할 수 있는 지점을 설정할 수 있었다. 그 같은 균형점을 벗어나 질주하게 된 일본의 파시즘은 독일, 이탈리아의 파시즘과 구별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아래로부터의 파시즘 혁명을 체험하지 못 했다는 것, 대신에 기존의 정치세력, 특히 군부와 관료층이 국가기구 내부에서 점차로 파쇼체제를 성숙시켜 갔다는 점이 두드러졌다. 독자적인 계층으로서의 중간층(시민 계급)의 미약함, 시민사회의 취약함과 민주주의 관념의 미성숙이라는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했다. 중일전쟁, 태평양전쟁의 전개와 더불어 일본 내셔널리즘은 극한 형태로 나아갔으며, 그것은 ‘코쿠타이’(國體)를 극단적으로 신봉하는 ‘초국가주의’ 양상을 보여주게 되었다. 초국가주의는 일본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에 확산되는 형태로 투사되어, 철저한 ‘자민족중심주의’ (ethnocentrism)와 동시에 ‘세계정책’으로서의 면모도 갖는 것이었다. 그것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내셔널리즘, 특히 민족해방 투쟁과 온전하게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국가 간의 관계에서 수직적인 관계를 본질로 한다는 점에서, 그것은 지난날 중국의 중화의식, 사상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우월한 무력을 근간으로 한다는 점에서, 조금은 다른 뉘앙스를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그것은 일본이 서구 제국주의로부터 받게 되는 ‘억압’을 다른 동아시아 민족, 국가들에게 떠넘긴 것, 다시 말해서 ‘초국가주의’ 하에서 볼 수 있었던 ‘억압 이양의 원리’가 국제적으로 연장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건강한 내셔널리즘의 발현을 넘어서 파시즘과 초국가주의, 그리고 마침내 침략전쟁으로까지 나아갔던 근대 일본의 경험은 아주 독특한 사례라 하겠다. 아직도 불행한 ‘기억’으로 남아 있으며, 침략과 전쟁, 그리고 식민지로 뒤얽혔던 지역에서는 특히 그렇다. 지난날의 초국가주의 체험과 세계 인식은, 전통시대의 중화사상과 더불어,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주의’ ‘지역연합’(예컨대 동아시아공동체, 동북아공동체) 논의에서도 충분히 경계해야 할 대상이라 해야 할 것이다. Against the tide of the Western power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East Asian countries must keep their independence externally and be admitted as members of the new international society. It was the common task for East Asian nationalism. Japan accomplished the task successfully and, in addition, became the one of the powers in such a short time. During the process Japanese nationalism that got the strange mixture of generality and peculiarity showed distinguished aspects. In other words, it was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West and East Asia. Japanese nationalism, however, had gradually gotten out of the appropriate boundary, in other words, the line where nationalism and internationalism took a wonderful balance, and went further into militarism and aggressive imperialism towards ultra-nationalism. It falls under the era of 'the Fifteen Years War' which ranged from the Manchurian incident of 1931 until the end of war of August 15 1945. Japanese Fascism revealed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the Italian and German counterparts. It was conspicuous that it did not experienced fascist revolution from the bottom but existing political powers, especially the military and the bureaucracy, had matured fascist system gradually inside the State structure. In some sense, i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weakness of the middle class (civil class) as an independent group, fragility of civil society and immaturity of democratic idea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Japanese Fascism proceeded extremely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 of 'ultra-nationalism' which worshiped 'Kokutai' (State-body) overzealously. Ultra-nationalism was not limited in Japan but also transmitted its view all over the world. It took a form of ultimate 'ethnocentrism' and, at the same time, 'the world policy.' In this world view, it was hard to make the balance and harmony with nationalism of other 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the fight for national emancipation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expect an establishment of horizontal relationship or the existence and function of the international law based on the general principles. In the sense that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nations was not horizontal but vertical, it shared the exactly same position with Sinocentrism before. Neverthel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nuance in that Japanese nationalism was based on the superiority of military powers. In addition, Japanese Fascism and ultra-nationalism always claimed to stand for 'the emancipation of Asian nations.'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the Western imperialism and the colonized or semi-colonized Asian countries, the claim could be somewhat persuasive. However, in the view of Chosun or Taiwan already colonized by Japan, it was only a deceptive justification. In fact, it is possible to say that Japan passed oppression loaded by the West to other East Asian countries, in other words, °Æthe logic of the transmission of oppression' under ultra-nationalism extended internationally. It would be regarded as simple gilding over imperial war in which an intention of Japan to seize hegemony in East Asia in place of the Western imperialism was concealed. In this sense, it was a very unique case of modem Japan in East Asia to experience the Fascism and ultra-nationalism transcending the healthy nationalism, and the following wars of external aggression at last. It still remains as a sad memory especially in the region entangled with incursion, war and colonization. It would be why the notion that there needs nationalism of 'coexistence' and 'mutual benefits' in East Asia exists. Moreover, the past experience of ultra-nationalism and its world view, besides Sinocentrism in the traditional era, should be vigilantly watched in the recent lively discussion of 'regionalism' and 'regional cooperation' such as the East Asian Community or the North East Asian Community. Furthermore, the careful att

      • KCI등재

        따로 또 같이: 한국과 일본의 위안부운동을 둘러싼 초국가주의여성운동

        안연선 ( Yonson Ah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1

        이 논문은 그간의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운동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초국가주의 여성운동에서 드러난 이슈들을 분석하였다. 첫째, 위안부 생존자, 활동가 그리고 지지자들 사이의 초국가주의적인 연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2000년 동경 여성전범재판에서 드러난 이슈들에 초점을 맞추었고, 또한 여러 차례에 걸쳐 동시다발적으로 시행된 초국가적 연대시위들도 살펴보았다. 둘째, 위안부 운동 과정의 구체적인 경험들에 천착하여 이 과정에서 나타난 초국가주의적인 상호작용, 그리고 한국과 일본 국내의 운동세력들간의 상호작용과 관련해서 구체적인 경험들을 조사하였다. 특히 국경을 넘어선 연대가 지역 여성운동과 초국가주의적인 여성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적인 경험들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초국가적인 연대의 경험이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국경을 넘어선 초국가적인 공간과 일개 국가내 지역적인 공간들이 상호 얽혀있는 방식을 드러내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위안부 운동을 민족주의화하려는 논리와 초국가주의적인 위안부 운동을 위한 탈민족주의화 논리 사이에 존재하는 기존의 긴장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위안부 운동을 둘러싼 초국가주의적 연대에서의 상호작용은 일개 국가의 지역적인 공간과 초국가적인 공간사이에서 전략적으로 대처하는 방식과 이 과정에서 중재되는 방식과 연관되어 있다. 국경을 넘어선 기존의 여성운동의 경험에 비추어볼 때 초국가주의 여성주의내에 존재하는 도전과 한계가 드러남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지속가능한 초국가주의적 여성운동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는다. 지속가능한 초국가주의적 여성운동을 위해서는 참여자들 사이에서 드러나는 공유점과 상이점 사이에서 존재하는 복합성을 고려해야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issues of transnational women`s activism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comfort women`` redress campaign in South Korea and Japan. The first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transnational cooperation among comfort women survivors, activists, and supporters - the most apparent manifestation being the Women`s International War Crimes Tribunal in Tokyo in 2000 and transnational protests. The second part provides more empirical details related to transnational and domestic interactions of the comfort women campaign, including the impacts of cross-border cooperation on local and transnational women`s activism. This shows the way in which the experiences of transnational cooperation interact and are intertwined between transnational and local spaces of the comfort women campaign. Such interaction reveals existing tensions between the nationalizing logic of the comfort women campaign and the de-nationalizing imperatives of the transnational comfort women campaign; this relates to the ways that the national/local and the transnational spaces maneuver and are mediated within this process. Based on existing experiences of cross-border women`s activism, the challenges and limitations inherent in transnational feminism are identified. Finally, the study concludes by putting forth the concept of sustainable transnational advocacy activism, which places particular consideration on the existence of complexities in both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among participants.

      • KCI등재

        거주국 사회통합과 초국가주의 활동-중국 지역사례에 대한 경험적 접근-

        이윤경 ( Lee Yoon-ky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분석 지평을 확장하는 초국가주의 관점이 이주 연구에서 대두되면서 그간 분석에서 간과 되었던 이주자의 모국과의 연계가 중요한 분석지점으로 부상하였다. 이주자의 거주국 사회통합과 모국연계의 초국가주의는 하나의 사회적 과정 속에서 일어나며, 동시에 발생하면서 서로 엮여있다. 본 논문은 초국가주의의 이론적 관점을 한인 이주자에 적용하여 기존의 지배적인 분석인 이주자의 거주국 사회통합을 넘어서 거주국-이주자-모국의 3자적 관계(triadic relation)를 조망한다. 분석을 위해 재외한인 중에서 모국 사회에 유의미한 사회변화를 초래하는 재중 한인을 대상으로 거주국 사회통합, 초국가주의 활동 및 거주국 사회통합과 초국가주의 활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론적 종족성을 지양하고 분석단위로서 동족 내부적 분화에 주목하면서 종족성 내부를 가로질러 발현되는 동족 하위 종족성을 형성하고 구분하는 이주 세대에 따른 변이를 분석의 주요 질문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는 이주자의 모국 지향성도 거주국 사회통합과 마찬가지로 일국 단위의 분석을 넘어서야 하며, 같은 논리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거주국과 모국 양쪽 국가의 수용 맥락에 따라 유동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The two major concerns in migration studies-migrants’ homeland linkage and assimilation into the host society-have recognized both homeland and hostland engagements of migrants and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the other. However,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volvements of Korean migrants in China has rarely been figured as an object of inquiry despite its compelling importance. And yet, the analysis of mutual implications between the transnationalism and assimilation can be crucial for understanding some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associated with overseas Koreans in general. This article examine both the extent of assimilation and transnational engagement of Korean migrants living in China,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temporality of different migrant trajectories that demarcates the boundary of subgroups of coethnicity.

      • 거주국 사회통합과 초국가주의

        이윤경 한국사회학회 2017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17 No.12

        분석 지평을 확장하는 초국가주의 관점이 이주 연구에서 대두되면서 그간 분석에서 간과되었던 이주자의 모국과의 연계가 중요한 분석지점으로 부상하였다. 이주자의 거주국 사회통합과 모국연계의 초국가주의는 하나의 사회적 과정 속에서 일어나며, 동시에 발생하면서 서로 엮여있다. 본 논문은 초국가주의의 이론적 관점을 한인 이주자에 적용하여 기존의 지배적인 분석인 이주자의 거주국 사회통합을 넘어서 거주국-이주자-모국의 3자적 관계(triadic relation)를 조망한다. 분석을 위해 재외한인 중에서 모국 사회에 유의미한 사회변화를 초래하는 재중 한인을 대상으로 거주국 사회통합, 초국가주의 활동의 유형화, 및 거주국 사회통합과 초국가주의 활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론적 종족성을 지양하고 분석단위로서 동족 내부적 분화에 주목하면서 종족성 내부를 가로질러 발현되는 동족 하위 종족성을 형성하고 구분하는 이주 세대에 따른 변이를 분석의 주요 질문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는 이주자의 모국 지향성도 거주국 사회통합과 마찬가지로 일국 단위의 분석을 넘어서야 하며, 같은 논리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거주국과 모국 양쪽 국가의 수용 맥락에 따라 유동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The two major concerns in migration studies - migrants‘ homeland linkage and assimilation into the host society - have recognized various engagements of migrants both with homeland and hostland and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the other. However,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volvements of Korean migrants in China has rarely figured as an object of inquiry despite its compelling importance. And yet, the analysis of mutual implications between the transnationalism and assimilation can be crucial for understanding some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associated with overseas Koreans in general. This article examine both the extent of assimilation and transnational engagement of Korean migrants living in China,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temporality of different migrant trajectories that demarcates the boundary of subgroups of coethnicity.

      • KCI등재

        필리핀 결혼이민여성의 삶에서 나타난 초국가주의 실천*

        최정아,이승연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3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e of transnationalism embedded in the life of Filipino married immigrant wome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ree Filipino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 case study was used to explore ca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in the lives of Filipino married immigrant women, all the practices of transnationalism in the socio-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dimensions were revealed. The socio-cultural practice was foun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lipino family by phone and frequent access to the Filipino media. In the economic practice, it was found that a small amount of money needed for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s or hospital expenses were remitted. In the political practice, it was found that Filipino married immigrant women were interested in the Philippine elections and participated in community network.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in not only supporting the practice of transnationalism in the lives of Filipino married immigrant women, but also helping to balance the bilateral transnationalism between the Philippines and Korea. 본 연구는 필리핀 결혼이민여성의 삶에서 나타난 초국가주의 실천 모습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필리핀 결혼이민여성 3명으로,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담 및 집단면담을 통해 이들의 사례를 연구하는 사례연구방법이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필리핀 결혼이민여성들의 삶에서 사회문화적 차원, 경제적차원, 정치적 차원의 초국가주의 실천이 모두 나타났다. 사회문화적 차원에서의실천은 필리핀 친정 가족들과 전화로 연락하고 필리핀 미디어를 자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차원의 실천은 친정 가족이나 지인에게 필요한 소액을 송금하거나 병원비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치적 차원의 실천은 필리핀선거에 관심을 가지며 공동체 모임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필리핀 결혼이민여성들의 삶에서 초국가주의를 실천을 지지하되, 필리핀과 한국의양방향적 초국가주의 실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국가적 이주 연구의 발전과 한계 : 발생학적 이해와 미래 연구 방향

        이용균 ( Yong Gyun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6 No.1

        We have recently experienced the rapid increase of movement and flow of information, people, goods and services which transcend the boundaries of nation-states. Even though transnationalism has some problems for terms, scope and method, the study of transnational migration is now recognized as a new paradigm for border- crossing activity in everyday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limitation of transnational migrant studie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agendas. Transnationalism is not new phenomenon, instead it is the representation of a new perspective on border-crossing activity trough transnational lenses. The emergence of transnationalism can be understood as the contexts by the discourse of globalization of migrants, and reinforcement of identity by nation-states. Transnational social space is formed, matintained and changed by ethnic based social capital, belonging to ethnic and cultural community, and embeddedness into local everyday lives. Transnational migrant studies have inclined to focus several research interests such as transnational social formation, transnational identity, transnational cultural reproduction, transnationalism and development, transnational migrant politic, and translocalities. However, this transnational approach has some problems, transnationalism has neglected on the role and influence of locality, fixity and global power relations. And only some migrants are continually connected into transnational social ties networks. IN relation to this, transnational migrant study has some problems related to methodological nationalism.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some new ways of thinking about transnational migrant research. It needs epistemological rethinking such as the roles of nation-states, transnational identity and belonging, focusing, focusing simultaneously on the connection of locality and mobi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ransnatonal migrant study might be better to introduce the lense of place to understand the processes of migrants‘ place making, the exclusion of migrants by social discourse, and local changes in destination societies. 우리는 최근에 국민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정보, 사람, 재화, 서비스의 이동과 흐름의 급격한 증가를 경험하였다. 비록 초국가주의는 용어, 범위, 방법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으나, 초국가적 이주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국경을 가로지르는 활동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하고 잇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국가적 이주 연구의 발전과 한계를 이해하고, 미래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초국가주의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 초국가적 렌즈로서 국경을 가로지르는 활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재현하는 것이다. 초국가적의 출현은 세계화 담론, 이주자의 주변화, 그리고 국민국가의 정체성 강화의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초국가적 사회공간은 민족 기반의 사회자본, 민족과 문화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 로컬의 일상생활로의 착근에 의해 작동되고, 유지되고, 변화한다. 초국가적 이주 연구는 초국가적 사회형성, 초국가적 정체성, 초국가적 문화 재생산, 초국가주의와 개발, 초국가적 이주자 정치, 초지역주의와 같은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초국가주의 접근은 약간의 문재를 초함하고 있는데, 로컬리티, 고착성, 글로벌 권력관계의 역할과 영향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초국가적 사회적 유대와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연결하는 이주자는 많지 않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이와 함께, 초국가주의는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관련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국가적 연구에 대한 새로운 사고를 제안하였다. 초국가주의는 이주자의 로컬리티와 이동성을 동시적으로 고려하면서 국민국가, 초국가적 정체성 그리고 소속감에 대한 인식론적적 제고가 필요하다. 방법론적 국가주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장소 렌즈의 접근을 통해 이주자의 장소 점유와 장소만들기, 이주자 배제에 대한 사회적 담론, 그리고 정착사회의 로컬변화를 살피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환산진남(丸山眞男)의 근대화론과 탈근대

        이희복 ( Hee Bok Lee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본고는 현대일본지식사회의 태두였던 丸山眞男가 경험한 학문적 세계를 통해 탈근대 담론을 전망해본 글이다. 패전직후 마루야마는 태평양전쟁까지 내달음친 일본제국을 설명하기 위해 「초국가주의의 논리와 심리」란 논문을 저술했다. 초국가주의를 탄생시킨 근대일본은 서유럽의 근대 국가와 비교해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는 비교사관을 기축으로 전개된 논지는 다음과 같다. 메이지유신이후 국가주권이 정신적 권위와 정치적 권력을 일원적으로 점유한 결과 근대일본에선 진리라든가 도덕과 같은 내면적 가치가 국가주권의 기술적 법체계속에 흡수되어버려 사생활에서 조차 천황에게 귀일하여 국가에 봉사해야한다는 이데올로기가 국가구조자체에 내재하게 되었다. 특히 국체정화와 국체명징이라는 사상운동이 고양되는 상황에서 형성된 천황과의 거리에 비례한다는 절대적 가치는 일본인에게 진리와 정의에 충실한 이상주의적 정치를 결핍시키고 자유로운 주체의식의 존재를 어렵게 했다. 초국가주의에서 궁극적 가치였던 천황조차 실은 신화에 유래하는 만세일계의 전통에 의해 담보되는 존재였다. 한편 1970년대 마루야마는 일본고유의 전통사상을 발굴하고 표상하는 학문 활동에 전념한다. 「역사인식의 고층」이란 논문에서 그는 신대초의(神代初意)에 의해 일본역사가 규정된다는 숙명론적 사유양식을 제시했다. 그리고 신화에서 추출한 기저범주를 일본역사에 적용시켜 체계화를 시도했다. 고층이라 불린 그 고유사상은 외래문명의 수용과정에서 그것을 일본사회에 적합하게 변용시키고 조율하는 역할을 하는 문화패턴과 같은 것이다. <원형 고층 집요저음>과 같은 단어로 형용할 수 있는 고층은 역사상에 때론 부상하기도 하고 때론 잠입하여 존재확인조차 어렵기도 하다. 하지만 고층론은 강력한 현실이데올로기를 동반한 것이었다. 어떤 외래사상도 일본화시킬 수 있는 저력임과 동시에 선진강대국으로 발돋움한 일본을 설명할 수 있는 고유개념으로 표상되었다. 여기에 "이것이야말로 천지개벽이래의 봉건사회로부터 물려받은 최대유산"이라 평가한 초국가주의의 음형이 엿보이는 것은 기우일까? 여하튼 마루야마가 시도했던 탈근대성 담론의 특징과 한계는 동양철학연구회가 추진하고 있는 동양철학이 재구성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本稿は現代日本知識社會の巨匠であった丸山眞男が展開した學問世界を通して脫近代の談論を展望したものである。敗戰直後、丸山は太平洋戰爭まで及んだ日本帝國を說明するために「超國家主義の倫理と心理」を著わした。超國家主義を生んだ近代日本は西歐諸國の近代國家と比較して獨特な特徵を持つという比較史觀を基軸に展開された論旨は次のようである。明治維新以後、國家主權が精神的な權威と政治的な權力を一元的な占有した結果、近代日本では眞理とか道德などのような內面的な價値が國家主權の技術的な法體系の中に吸收されてしまい、私生活でさえ天皇に歸一して國家に奉仕するべきであるというイデオロギが國家構造の自體に內在するようになった。特に國體精華や國體明徵という思想運動が高揚される狀況のなかで形成された價値、すなわち天皇との距離に比例するという絶對的な價値は日本人に眞理と正義に充實した理想主義的な政治を欠如させ、また自由な主體意識の存在をも難しくするようになった。超國家主義で究極的な價値だった天皇でさえ、實は神話に由來する万世一系の傳統によって保證される存在だったのである。さて、1970年代丸山は日本固有の傳統思想を發掘して表象する學問活動に專念した。「歷史認識の古層」という論文で彼は、神代初意によって日本歷史が規定されるという宿命論的な思惟樣式を示した。神話から抽出した規定範疇を日本歷史に適用させ、體系化をはかった。古層というその固有思想は外來文明の受容過程で、それを日本社會に適うように變容させ、また整える役割をする文化パタンである。<原型·古層·執拗低音>という單語で表現しうるこの文化パタンは、時には歷史上に浮上したり、時には潛り入んで存在の確認さえ難しいこともある。しかしその古層論は强力なイデオロギを伴ったものである。どういう外來思想も日本化できる低力は勿論、强大先進國として發展した現在日本も說明できる固有思想として表象された。ここで「これこそ天地開闢以來の封建社會から受け繼いだ最大の遺産の一つである」と評價した超國家主義の殘影が見え隱れすることはなぜか。とにかく丸山が試みた脫近代的な談論は東洋哲學硏究會が進めている東洋哲學の再構成にも役に立つことであろう。

      • KCI등재

        关于近代东亚与折衷主义的研究 - 以 “韩中日” 近代思想为中心 -

        辛炫承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8 韓中關係硏究 Vol.4 No.3

        이 논고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교훈적 시각을 염두에 두고 근대 동아시아의 사상 경향 가운데 유학(儒學)의 절충주의 사조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근대 동아시아의 민족주의와 이에 대응한 초국가주의(Transnationalism)의 양상을 비교 검토하면서 초국가주의의 과도기적 표현형으로서 절충주의를 상정하고, 근대 민족주의의 극복 가능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따라서 이 논고는 좁게는 한국 근대사상, 넓게는 동아시아 근대사상이 서양사상과의 접촉을 통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났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논고는 결국 동아시아적 시각, 즉 동아시아 삼국(한·중·일) 근대의 사상사적 시점에서 한중일 근대사상의 절충주의와 초국가주의의 요소 및 민족주의에 대한 극복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 논고에서는 이를 위해 한국의 근대사상, 특히 유교사상과의 비교·검토 대상으로서 중국과 일본의 근대사상론—중국의 중체서용론, 일본의 화혼양재론—을 시야에 넣고 의론하였다. 사실 국가와 경계를 넘는 초국가주의라는 용어는 글로벌이라는 단어와 일맥을 같이하는 사조이기도 하다. 역사의 연속성을 생각해보면 동아시아 근대의 학술사조는 초국가주의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동아시아 근대는 민족과 경계를 초월한 사조와 경계 안의 민족주의적 사고 간의 교섭과 충돌 및 융합, 서양사상과의 절충과 조화를 시도한 절충주의 및 초국가주의적 사고 등이 공존한 시대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adoption of Western thoughts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aforementioned in the preface, and elements of nationalistic thoughts in response to it. In addition, it discussed the possible of overcoming ‘nationalism of thoughts’, presented by Confucian scholar named Han Ki Choi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and his ‘study of qi’ supported by eclecticism of the East and West. Next, if further analyzed ‘transnationalism of thoughts’ introduced as an antithesis to the nationalism of thoughts, while extrapolating on the 「Eclecticism of East and West」. A comparative analysis of eclectic trends, namely China’s [Zhōngtǐ-Xīyòng](westernized Chinese style) and Japan’s [Wakon-yōsai](Japanese spirit and Western techniques). First it mentioned Jeosen’s [Dongdo-suhgi] of contemporary era, followed by the confician scholar named Ki Suhn Sh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has a proponent of fusion of Western and Eastern thoughts, and it correlation with transnationailsm. Globalization, transcending the physical boundaries of nations, has swept the world since the mid-1980’s and continues to the present. Transnationailsm, the scholastic trend on par with globalization, have been prevalent throughout every facet of the world. Contemporary scholarly trend in East Asia was a signal for the beginning of transnational trend. East Asian contemporary era provided a platform for co-existence of nationalistic thoughts resistant to trend for go beyond physical boundaries and transnational thoughts opted for readily accepting the tr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