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년 여성 노동자의 일 경험에 관한 연구 : 전문·사무직 노동자를 중심으로

        심서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청년 여성 노동자’는 단순히 ‘청년’이며 ‘여성’인 ‘노동자’로서 각각의 개념이 분리된 채 설명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청년 여성 노동자’의 주체에 대한 복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의 한계점을 돌파하고자 각각의 특징으로 설명되던 ‘청년’이자 ‘여성’인 ‘전문·사무직 노동자’를 ‘청년’이라는 ‘세대적 위치성’과 ‘여성’이라는 ‘젠더적 정체성’을 가진 ‘노동자’인 ‘청년 여성 노동자’라는 하나의 ‘주체’로 정의한다. 또한 그간 ‘현장직’에 집중했던 노동과정 연구를 벗어나, 전문적인 기술과 자신의 인지적인 노동을 하는 ‘전문·사무직’에 집중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본 연구는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청년 여성 노동자’의 노동시장의 진입과 노동과정, 그리고 일상을 살아가는 주체로서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명의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노동하는 청년 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면담에서 수집한 자료는 각각의 주제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 전문·사무직인 ‘청년 여성 노동자’가 수행하는 일의 구체적인 경험을 분석하고 일상성을 유지하는 주체로서 자아(self)를 어떻게 형성해나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청년 여성 노동자’는 ‘노동자’이기 전에 사회와 상호작용하는 ‘일상인’이다. 이들은 노동시장에 진입하고 노동과정에 투입되면서, 자신의 일상과 노동과정 중 노동과 삶의 시간 충돌이 있었고, 그 충돌에서 삶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하는 양상이 보인다. 노동과정에서 자신의 성취와 일상을 교환하면서 노동자로서 자아를 성장시키면서 노동과정에 거칠게 적응했다. 그럼에도 고착화된 남성중심적인 전문·사무직의 노동문화와 그에 따른 노동과정이 ‘청년 여성 노동자’를 배제하는 상황에서 ‘여성’인 이들은 ‘이방인’으로서 살아남기 위한 목적의식으로 자신의 노동과업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로 ‘전문·사무직’에 속해있는 ‘청년 여성 노동자’는 ‘현장직’에 있는 노동자와는 달리 자신이 가진 ‘기술’이 수행되면 물질적인 결과물이 아니라, 비물질적인 노동산물을 생산한다. 그렇기에 물리적인 ‘시간’과 ‘비물질적인 노동산물’을 생산해 내야 하는 모순 속에서, 자신의 실질적인 노동시간과 생산성을 증명해내야 했다. 세 번째로 이들은 ‘노동자’에서 ‘일상인’으로 돌아와 구조적으로 노동자로서 자기계발을 해야만 하는 위치에 놓였다. 연구 시기상 코로나라는 질병의 범유행으로 경제·사회적 위기를 밀접하게 겪게 되었는데, 이때 성인으로서 수행했던 ‘독립’의 수행에서 당시의 보건적, 사회적 위기가 개인으로 침투되면서 개인의 파편화로 보여졌다. 결국 ‘청년 여성 노동자’는 ‘현재’ 자신이 위치한 사회와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미래를 그리고 있었다. 또한 ‘현재’의 위기와 불안정성, ‘현재’의 ‘시간성’이 ‘미래’로 이어가면서 성인의 이행기라고 표현되었던 ‘결혼’, ‘출산’, ‘양육’과 같은 미래를 유예하는 형식이 즉, 사회에서 자신을 ‘주체화’하는 방법이 되었다. 그렇기에 ‘청년 여성 노동자’와 한국사회의 상호작용 속에 나타나는 병목화를 타개할 ‘현재’의 새로운 사회적 양식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 주문형 앱 청년노동자의 노동경험에 관한 연구 : 배달대행 노동자를 중심으로

        조연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주문형 앱 노동자 중 배달대행 노동자의 노동환경에서의 노동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청년 주문형 앱 노동자의 노동환경에서의 노동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청년 불안정노동자, 주문형 앱 노동자, 노동의 이해와 실제에 관해 이론적 논의를 하였다. 또한 토대로 개인적, 직업적, 사회적으로 구분하여 분석의 실마리로 설정했다. 분석의 실마리를 풀어내기 위해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1:1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근거이론 관점의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의미단위를 발견하고 주제를 찾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실마리인 노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에 관한 분석결과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에 대한 접근성, 경제적 자원 획득, 개인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계기로 주문형 앱 노동(배달대행)을 시작했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반복된 패턴은 ‘돈’으로, 사회에서 결핍의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성장의 욕구는 뒷전이 되거나, 또는 소득 자체가 인정의 욕구가 되기도 하였다. 둘째, 직업적 실마리에 관한 분석결과이다. 연구 참여자의 직업의 특성과 경험에 따라 자유의지를 가진 노동자 혹은 강제로부터 자유를 가진 노동자로 구분하여 안정적 노동환경과 불안정 노동환경을 구분하였다. 이에 근무형태를 포함하여 노동환경에서의 노동계약과 통제와 규제에 있어 업체 별 통일 되지 않은 결과로, 선택권이 없는 노동자로 도출되었다. 또한 이는 노동의 권리보장과 연결되어 단합과 파업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개인의 역량에 따라 좌우되는 경쟁구조 속에서 노동자들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재의 노동환경이 안정적 혹은 불안정적임을 판단하는데 있어 일자리가 많다는 측면에서는 불안감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잦은 이직과 노동자에게 권한이 없다는 점은 고용의 문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역량에 따라 소득의 안정은 보장되지만 근로 안정성은 보장되지 못하며, 작업의 양의 조건은 안정적이지만 노동숙련은 불안정적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직업적 실마리측면에서 사고에 대한 위험부담감과 사고의 경험에 관한 분석결과이다. 참여자들 ‘위험’을 인지하고 있었고, 위험부담을 매번 느끼거나 또는 위험부담은 감내해야 되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이에 위험부담에 따른 사고경험과의 관계, 본인실수 혹은 타인의 실수로 인한 사고와 위험부담감의 관계 그리고 사고의 경험이 위험부담감으로 연결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사회적 실마리인 노동환경에서의 사회보장에 관한 분석결과이다. 산재보험 가입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만 산재보험이 가입 가능, 업체에서 산재보험 가입 가능, 산재보험이 가입되는 업체는 없음의 세 유형으로 나타났다. 사회보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노동환경에서 사회보험을 권유하지 않고, 사회보험을 포기할 수밖에 없거나, 신용생활이 불가한 상황이 발견되었다. 이에 사회보험의 필요로 하는 긍정적 태도에서는 가입의 선택 권리와 위험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사회안전망이 필요하다는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반대로 산재보험을 원치 않거나, 보상혜택의 제한, 보험비용의 부담, 사회보험에 대한 무관심으로 사회보험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태도의 결과 또한 도출되었고, 사회보장 외의 근무형태 등과 관련한 노동환경에서의 개선의 필요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먼저 ‘사회가 청년 주문형 앱 노동자를 받아줄 준비가 되지 않았다’로 일자리 지원정책 확대, 생활물류서비스법의 개선, 안전교육 의무화, 법적 노동자지위 인정, 산재보험 실효성 강화, 산재보험 사업장 신고 시 익명성 보장, 사회보험 가입 선택권 보장, 청년자산형성지원사업 확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함의의 초점은 ‘청년 주문형 앱 노동자는 시대의 변화에 맞춰, 사회보다 먼저 앞서가고 있다’로 비동시성의 동시성, 노동자 지위 인정, 탈고용 사회, 청년수당 확대, 노동 복지를 제시하였다. Present study explored the labor experience of young, on-demand application workers among delivery agency work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bor experience of the working environment among young, on-demand application worker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abor of 1) young, unstable worker and 2) on-demand application worker was dealt. Accordingly,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division of personal, professional and social aspects of the participants. Total of eight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1:1 in-depth interview.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rough in-case and inter-case analysis of the evidence point of view, semantic units was discovered, and the topics was foun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e for labor as a result of personal aspect. Participants began on-demand application labor(delivery agencies) to gain access to jobs, obtain economic resources and achieve personal goals. A commonly repeating pattern was ‘money’, and thus the desire for growth has been put on the back burner to address the desire for deprivation in society, or income itself acted as a desire for recognition. Second, the occupational aspe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and by distinguishing the free-will workers with worker who has freedom from forced labor, stable versus unstable working environment was defined. Thus, as a result of nonuniformity in contract, control and regulation in the labor environment, including the shift pattern, workers without options were derived. Also, it was linked to the protection of labor rights, leading to the difficulties in unity and strikes. Although there was difficulty in the competitive structure according to competency and the current working environment was stable or unstable, there was no anxiety because there was no shortage of jobs, but frequent turnover and no recommendation to workers were problems of employment. Also,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competence, income stability was guaranteed but work stability was not guaranteed. Lastly, the amount of work was stable, but labor skills were unstable. Third, the burden of risk and experience of accident as a result of occupational aspect.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risk”, and was repeatedly feeling or perceiving as something that they had to endure. In this reg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of accidents and the experience of acci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accidents and the burden of accidents caused by mistakes or other's mistakes, and the experience of accidents were analyzed as increased risk burden. Fourth, social security in the labor environment as a result of social aspect. Regarding the purchase of industrial insurance, three types were revealed: the case where industrial insurance could be subscribed individually, through company, or being unable to subscribe. Social insurance was not recommended and was forced to give up, or credit life was impossible, in a labor environment where social security net is not achieved. Therefore, it has been shown that giving the right of choice and the safety net is needed in order to reduce the risk burden in the labor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also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social insurance was derived: industrial insurance was unwanted, having negative attitudes according to the restriction on compensation benefits, burdens of the cost and indifferenc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labor environment related to work patterns other than social security was also defin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is as follows. First, in the sense that ‘the society seems unprepared to accept young on-demand app workers’, the expansion of job support policies, improvement of the Living Logistics Service Act, mandatory safety education, recognition of legal worker status, reinforcement of industrial insurance effectiveness, ensuring anonymity when reporting to industrial insurance businesses, guaranteeing the right of choice for social insurance, and expanding projects to support the formation of assets for young people was recommended. Second, focusing on ‘the young on-demand app workers being ahead of society in line with the change in era’, the simultaneousity of non-simultaneousity, recognition of worker status, society of de-employment, expansion of youth allowances, labor welfare was proposed.

      • 청년 노동이동(취업, 실업, 니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s the relationship among unemployment, NEET, and employment in Korea’s youth labor market.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analyz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as human capital in the labor market on changes in unemployment, NEET, and employment. Utilizing multiple years of data, the study looked at the transition of young people from employment to unemployment, from unemployment to NEET, and from NEET to employment. It analyzed what factors affect the movement of unemployed young people to employment and NEET. It also analyzed what factors contributed to the youth NEET's movement to employment or unemployment, and trie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o activate young people's workfor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likely that they will move to NEET if they experience unemployment (unemployment or NEET). This is because they cannot succeed in finding a job during their first job search. Second, comparing year-to-year economic status of young people, the probability of staying employment and NEET are high, which are interpreted as having considerable inertia in their economic status. Therefore, one of the important policy issues in the youth labor market should focus on inducing knitted young people to look for jobs or prepare for employment. Third, in the case of young people, the distinction between unemployment and NEET could be blurred in reality. It is also useful to look at the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joblessness rather than treating unemployment and NEET differently. In the analysis on the transition from unemployment, we found that married people are more likely to move from unemployment to NEET than unmarried people to remain unemployed.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households tends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moving from unemployment to NEET. It is believed that young people seeking a job in a large company or a public sector have high probability of their staying in NEET. If the possibility of financial support by the spouse or other household members is high, it may induce to NEET by relieving the pressures to work. Looking at the transition from unemployment to employment, it is interpreted that the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households as a household head, and the size of households encourages the youth to move away from unemployment and to employment. A young people having financial support from others appears to remain NEET because the opportunity cost of being NEET is low. As expected, young people who are preparing for exams are more likely to continue their NEET status. Therefore,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to activate NEETs who are seeking jobs for prolonged periods.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employment. It is confirmed that young NEETs with certificates or job searching experience over the past year are more likely to move to employment. This implies that the human capital (education and skills) and the labor market attachment (job searching effort) are important ingredients to promote the youth employment. Finally, well-managed effective job search programs are necessary to prevent NEETs among young people and to prevent them from staying in NEETs for a long time. 본 연구는 청년들의 실업, 니트, 취업으로의 이동과 추이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개인의 특성과 노동시장에서의 인적자본으로 요구 되는 특성들로 실업, 니트, 취업으로의 이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청년들이 취업에서 실업으로, 실업에서 니트로, 니트에서 취업으로 이동하는 추이를 살펴보고 실업자 청년이 취업 니트로 이동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또한 청년니트가 취업 또는 실업으로 이동하는데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청년들이 경제활동에 있어 노동시장에 대한 욕구가 고착화되지 않도록 하는 정책 마련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첫 구직활동에서 취업에 성공하지 못하고 미취업상태(실 업이거나 니트)를 겪으면 니트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취업에서 취업 으로의 비율(약 70% 후반)과 니트에서 니트로 유지되는 비율(약 50% 내외) 이 높은 것을 보면, 이들의 상태가 상당한 관성(inertia)을 가졌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청년층 노동시장의 중요한 정책과제 중의 하나는 니트화 된청년을 구직활동 또는 취업준비 등으로 유도하는 방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셋째, 청년층의 경우 실업과 니트의 구분이 현실적으로 모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책의 대상을 실업(unemployment)과 니트로 구분하여 접근하기보다 양자를 묶어 무직(joblessness)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도 유용할 수 있다. 실업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실업에서 니트로 이동할 확률이 실업에 계속 잔류할 확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보여준다. 한편 가구원 수도 실업에서 니트로 이동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 희망 기업이 공공기관일 때 경우도 취업에서 니트로 이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기혼자이거나 또는 가구원 수가 많은 경우 본인이 실업 상태에 있더라도 배우자 또는 본인 이외의 가구원에 의해 경제적인 도움의 가능성이 크면 취업에 대한 압박에서 비교적 자유로워지면서 취업준비생 등 니트상태로 이동하는 것으로추측된다. 실업에서 취업으로 이행과정 결정을 보면 가구주, 가구원 수와 같은 가구의 부양책임은 실업에서 벗어나 취업으로 이행을 촉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경제적인 도움을 받는 경우 니트는 기회비용이 낮아지면서 니트에 잔류하게 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니트에서 실업, 취업으로의 이동도 예상과 같이 시험준비상태에 있는 청년은 니트상태를 이어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난다. 따라서 공무원, 공공기관 대기업 등의 취업을 장기간 준비하면서 나타 나는 니트화가 장기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학력이 높을수록 취업으로 이행확률이 높으며, 자격증을 가지고 있거나 지난 1년간 구직활동 경험이 있는 청년니트는 취업으로 이동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결국 노동시장에서 원하는 인적자본(교육이나 숙련)과 노동시장 집착(구직활동)이 니트에서 취업으로 이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청년층의 니트를 예방하고, 니트에 오랜 기간 잔류하는 것을예방하기 위해서는 구직활동 프로그램으로의 유인 및 관리가 필요하다.

      • 한국 가톨릭노동청년회(J.O.C)의 설립과 초기 활동

        김마리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한국 가톨릭노동청년회(J.O.C)의 설립과 1958년에서 1967년까지의 초기 활동에 관한 것이다. 본래 JOC는 1925년 벨기에의 추기경 까르딘이 창설한 단체이며, 한국 JOC는 1958년 11월 박성종 신부의 지도 아래 설립되었다. JOC는 한국 노동운동이 위축되었던 1950년대 후반에 설립되어 이승만-박정희로 이어진 독재정권 시기 활발한 노동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래서 기존 연구들 또한 JOC의 활동이 가장 두드러졌던 1970년대 위주로 수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한국가톨릭교회 편찬 자료 및 기존 관련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여 JOC의 설립과 초기 활동, 성격을 확인하였다. JOC가 설립되던 당시의 한국 사회는 정치와 경제 전반에 걸쳐 국가가 중심이 되어 움직이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정경유착과 독재정권 창출 시도,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라는 문제점들이 생겨났고 노동자들과 노동운동에 대한 억압은 점차 심화되었다. 한편 가톨릭교회에서는 평신도사도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사회참여에 대한 입장변화가 교황의 회칙 및 공의회를 통해 각국의 교회로 전달되고 있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 가톨릭교회에도 전달되어 1967년 발표된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사목교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JOC가 설립되던 당시의 한국 가톨릭교회는 노동문제나 사회참여에 적극적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병원 여자 간호사들의 봉사활동으로 한국 JOC가 시작되었다. JOC는 교구, 성당, 회사 등에 섹션을 구성하여 노동자들의 의식 및 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방지거반 활동, 보리싹 식당 활동 등의 봉사활동과 노동자들의 근로 환경 조사 및 개선 요구 등의 활동 등을 펼쳐나갔다. 노동조합 설립운동도 추진하였으며, 활동 분야를 넓혀 농민운동과 여성운동도 전개하였다. 그러나 연구 결과, 초기 JOC는 여러 가지 문제가 존재했다. 회원 구성의 경우 대부분이 일반 회원이었으며, 활동의 경우 노동조합 설립운동보다는 봉사활동 위주로 전개되었다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또한 교회 산하 단체로써 노동을 가톨릭적으로 접근, 해석하여 실질적인 노동운동보다는 노동자와 노동계의 복음화에 초점이 맞춰져있었다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노동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해석이 점차 변화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가톨릭교회와 JOC는 그 변화의 흐름을 바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즉 초기 JOC는 여러 활동을 전개했지만 그로 인해 활동 영역이 분산되었다는 점과, 노동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 변화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JOC의 초기 활동과 그 기저의 노동에 대한 인식은 JOC의 활동 영역과 깊이를 심화해가면서도 여러 미숙한 한계점을 초래하였고, 2기의 준비기로서의 성격을 형성하게 하였다. This study i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Young Christian Workers (J.O.C) and its early activities between 1958 and 1967. JOC was originally established by Belgium cardinal Cardjin in 1925 and Korean JOC was established by Father Park Sungjong in November of 1958. JOC conducted active labor movement since it was organized in the late 1950s in which Korea was going through dictatorship of two presidents, Rhee and Park. This is the reason why previous studies on JOC was focusing on its 1970s, when it was most active. This study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early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JOC, by examining data from Korean Catholic and other existing works. Korean society back in late 1950s and its politics and economics in general was being centered on the nation itself and had several problems such 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economics, attempt for establishing dictatorship, economic structure centered on big companies. During the process, oppression on laborers and labor movement aggravated. Meanwhile in Catholic, importance of lay apostolate got much emphasis and change in stance for social participation was being delivered to other countries through Councils and regulations of the Pope. This flow also affected Korean Catholic and was expressed into pastoral letters of Kore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of 1967. However Korean Catholic at the time JOC was established was not active for labor issue or social participation. In such circumstances, Korean JOC got started by voluntary works of nurses in college hospital. JOC developed various movements for enhancing consciousness of laborers and improving working environment, organizing sections in parish, church, firms, etc. It conducted several movements to inspect and improve working environment of laborers including Francisco (BangJiGeoBan) movement, Barley-Cafeteria movement and so on. It also carried out other movements for establishing labor union and expanded into peasant and women’s movements. However early JOC had many limitations according to our research. First, members were mostly general members and it was mainly about voluntary works rather than labor union establishment. In addition it emphasized evangelization of laborers and labor sector, rather than actual labor movement, by approaching and interpreting labor in the context of Catholic. Especially it did not reflect enough the changing flow of Catholic’s perspective toward labor. In sum, early JOC had limitations that the activities it carried out were not focused into one point and that it did not reflect changing stance of Catholic in labor issue.

      •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노동의 시·공간적 확장

        신도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thesis examines how white-colla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engage in labor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which dismantle the previous time-space boundary of work. It researches about the discipline and control that make them embody the resulting long hour performance of work, and analyzes how the workers respond to the work-discipline enforced upon them by the instantaneity of mobile messaging. The long hour labor discussed in this thesis which is the work performed on a mobile messenger that blurs the time and spac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n this issue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earcher used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review and discourse analysi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Thirteen Korean office workers in their 20s or 30s, who have high rates of smartphone usage, participated as informants for the in-depth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March of 2017.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mobile messenger functions as a virtual workplace that is an extension of physical work space. It creates the effect of enforcing workers to work through self-censorship regardless of the time and space of work which they initially agreed upon. Workers perform work outside their contractually negotiated hours because communication on the mobile messenger demands immediate action and intimacy. This demand of intimate responses on the mobile messenger is combined with the hierarchical order existing in the workplace to compel workers to perform emotional labor. Second, workers who are subordinated to the extended working hours are reacting to the current labor system by securing their own time and space, which attempts are made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orkers whose working hours have been extended through smartphones use the smartphones to engage in activities which are perceived as 'taking rest', such as hobbies or access to information of their interests online. This contradiction results in blurring not only the temporal boundaries but also the spatial boundaries of work and life. Third, the researcher argue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negotiation on work hours and work disciplines between workers and corporations. The workers do not hold equal status as the corporations in negotiating work hours but the labor with ambiguous time-space boundaries continues to be imposed upon them. This situation demands counter-measures prepared at government level. France, which presented institutional measures against expanding working hours through the use of smartphones, decided to prohibit corporations from demanding workers to work outside the working hours based on the "right to disconnect". Germany introduced measures to block company e-mail servers in order to prevent workers from sending or receiving e-mails outside of working hours. The Japanese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the social issue of long working hours as these have caused overwork suicides and deaths. In Korea, a bill introducing the “right to disconnect” was proposed. Korea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today are experiencing the expansion of working hours which is sustained by the hierarchical order of workplace, and are forced to perform emotional labor.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s contribute to implementing work discipline and control. Workers are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by securing private time and newly defining this time. This thesis argues that the issue should be resolved by providing detailed classification in identifying what is working hours and by initiating related measures. 본 논문은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 이로 인해 장시간 노동의 수행을 내재하게 하는 규율과 통제에 대해 분석한다. 나아가 즉각적 반응을 이용해 강요된 노동 규율에 대한 20-30대 직장인들의 대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다루는 장시간 노동은 소통의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이며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심층면접과 문헌조사, 담론 분석을 이용했다. 심층면접은 2017년 2월에서 3월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한국의 20-30대 사무직 직장인 1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메신저는 물리적 직장 공간의 연장선상에 있는 직장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이는 직장인들로 하여금 자기 검열을 통해 지정된 업무의 시∙공간과 무관하게 노동자로서 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바일 메신저가 유발하는 즉각성과 친밀성이 커뮤니케이션에 요구되면서 직장인들은 자신이 계약상 협의한 노동 시간 외에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친밀성의 표현이 요구되는 모바일 메신저 공간과 직장 내 존재하는 위계질서가 결합되면서, 직장인들은 업무뿐만 아니라 감정 노동의 수행을 강요 받는다. 둘째, 확장되는 노동시간에 예속된 노동자들은 자신 고유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려는 방식으로 현 노동 체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시간이 스마트폰을 통해 확장된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취미나 관심사에 접속하여 휴식을 취한다고 믿게 되고, 이러한 모순성은 일과 생활의 시간적 경계뿐만 아니라 공간적 경계까지 흐려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셋째, 연구자는 노동자와 기업 사이의 노동 시간 및 규율의 협상에 있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노동시간의 협상에 있어 기업과 노동자의 관계가 동등하지 못하며, 시∙공간적 경계가 불분명한 노동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의 마련이 정부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폰의 이용을 통해 노동시간이 확장되는 상황에 대한 제도적 대책을 마련한 프랑스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바탕으로 근무 시간이 아닌 시간에 노동하는 것을 노사간 합의 하에 금지하도록 했다. 독일의 경우 근무시간 이외에 메일을 주고 받지 않기 위해 기업의 이메일 서버를 차단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과로로 인한 자살, 사망사건이 대두되면서 장시간 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는‘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현재 한국의 20-30대 직장인들은 직장의 위계질서 노동시간의 확장을 경험하며 감정 노동의 수행도 강요 받고 있고, 여기에서 모바일 메신저의 인터페이스적 특성이 노동통제와 규율의 이행을 돕는다. 직장인들은 이러한 상황에 자신의 시간을 확보하고, 새롭게 의마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나아가 이 문제는 근로시간의 의미를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꾸준한 법안의 발의를 통해 개선 되어야 한다.

      • 한국가톨릭노동운동의 이념과 갈등

        이영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Korean Catholic Labor Movement(hereafter, KCLM), which began in 1958, and also the ideological solidarity and conflict which happened between laity workers and the institutional church. In this study, we will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KCLM, which, especially, focusing on the Catholic Church’s ideas on the industrial relations and labor, Lay Apostolate Ideolog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itutional church and the government. KCLM began in 1958 when ‘Jeunesse Ouvrière Chrétienne’ was introduced by the laity, and grew rapidly thanks to a positive support of the institutional church. KCLM, however, was neither independent nor self-active. Being influenced by the institutional church which was cooperative to the coup forces. it was also cooperative to the government labor policy. By the way, this KCLM’s characteristic changed since the ‘Ganghwa-Do Simdo Fabric Incident’ from 1968 to 1969. This change had been deepened during 1970-1980’s military regime. KCLM, which was affected by the institutional church against the dehumanizing, antidemocratic, and anti-labor forces of 1970-1980’s military government, strengthened political consciousness, and actively joined Democratization Movement as well as Democratic Labour movement. The independence and self-activeness of laity workers had also grown in KCLM at that time. Nevertheless, the existing role of KCLM has been reduced with the growth of Democratic Labor Union since the 1987 Great Worker’ Struggle. KCLM, with politically oriented labor movement ideology, began to be involved in labor problems which happened in workplaces administered by catholic church. Since 1987, the conflic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had happened in a few catholic hospitals, a catholic press, etc. In the case of hospitals, KCLM concentrated on criticizing for ‘profit-pursuing’ management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And in the press case, it focused on ‘the independent editorial right disputes’ between the institutional church which was in favor of the government and Labor Union which had an anti-governmental attitude. Meanwhile, ‘Catholic Pastoral Conference for Labor’(hereafter, CPCL), which was the heart of KCLM in 1990s, had not only shown the most obvious independence and self-activeness but also developed the most powerful political struggle since it started. However, CPCL’s the political orientation and involving in the labor problems in catholic church, became the cause of control and regulation from the institutional church. Finally, this led to the decline of KCLM. With the above analysis, I could find several important facts. First, ‘Lay Apostolate Ideology’ is an important ideology in KCLM with ‘Catholic Church’s Labor Ideology’. Second, KCLM is influenced by the chang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church and government, and also between the institutional church and capital. Third, KCLM’s principle of ‘the same ideology-the same action’ can be accomplished when the institutional church stays in the subsidiarity-subject, recognizing the self-activeness of laity workers. And KCLM should apply its ideology properly to the reality of Korean Labor. Lastly, in order to lessen the ideological conflicts in KCLM, we need a concrete and practical education on ideologies about Catholic Labor Movement.

      • <Working O`range>: 미디어아트 속 청년 프레카리아트의 초상

        차유나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8

        현대 디지털 시대의 청년 프레카리아트 노동자들은 고용불안과 인지노동의 일상화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서 살아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청년 프레카리아트 노동자들으 ㅣ고통을 시각화하고 장착형 기계장치의 작품을 통해 청년의 인지 노동으로부터의 정신적 고통을 재현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자의 작품 <Working O`range>은 물리적 고통을 통해 신체의 반응을 기록함으로써 인지 노동의 정신적 고통을 재현해 보인다. 작품의 고문 장치는 머리 장착형 기계장치로 뇌 모양의 형태를 띠며 뇌 양옆으로 나온 네 개의 손가락 형태 기계 장치를 장착한 관람객에게 고문을 주는 방식이다. 신체적 반응은 정확히 고통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거기에 고통이 있음을 상기시키는 역할이다. 동요되는 자신의 심박 데이터를 보면서 관람객은 고통을 인지하며 신체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인지 노동자는 자신의 신체 데이터를 인지하며 자기애를 바탕으로 고통을 통해 저항을 하게 된다. 고통의 정도는 심박데이터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되며 정량적 수치의 심박 수가 그래픽 이미지로 시각화 된다. 본 연구의 작품은 감상하는 관람객이 개인의 문제를 사회적으로 확장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그로 인해 전시작품이 관람객 자신의 문제를 투영하고 있다고 느끼는 계기로 연결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정신적 고통을 장착형 기계장치를 통해 표현함으로써, 신체와 기계장치가 결합한 상호작용적 미디어아트에 있어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감각은 수치화하기 힘들고, 고통 역시 감각적 현상이다. 사회적인 시각에서 보았을 때 일부 개인의 감각은 그리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프레카리아트라는 사회현상을 해석하고 개인에게 미치는 불안함의 고통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미디어아트라는 예술적 시도로 풀어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

      •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과 실업률에 관한 연구 : 부가노동자효과와 실망노동자효과의 실증분석

        정세란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약 20여년 간의 한국의 경기변동에 대한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의 반응을 분석하여 청년층 실업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이론적으로 부가노동자가설과 실망노동자가설의 논쟁을 도입하였고, 그 이후 진행되었던 국내외 실증적 연구내용을 정리하였다. 선행된 연구를 토대로 한국의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의 반응을 연령계층별·성별로 구분하여 실증하였고, 부가노동자효과와 실망노동자효과 중 어느 것이 크게 작용하는가를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에서는 전체 집단뿐 아니라 청년층의 경우에 실망노동자효과가 부가노동자효과를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실망노동자효과가 부가노동자효과보다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년층의 잠재실업(hidden unemployment)이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 통계상 청년층 실업자나 실업률이 청년층 실망노동자들의 구직단념과 비경제활동인구화로 인하여 과소평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망노동자효과가 우세한 한국의 경우에 청년층 실업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근로사업의 확대, 외국인 투자촉진, 사회간접자본 확충방안 등 전반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의 실시가 필요하다. 둘째, 청년층이 선호하는 IT, 문화콘텐츠, 디자인 등을 전략산업으로 집중적으로 육성한다거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기초하여 국가 차원에서 해당 산업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정책 등 청년층의 고용창출이 가능한 분야에 대해 육성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lutions for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Korea by analyzing response of youth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for business fluctuation in the country during last two decades(1980-2003). Dispute between Additional Worker Hypothesis and Discouraged Worker Hypothesis was introduced to this study recapitulating other precedent domestic and foreign empirical studies. The response of youth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Korea was examined by age and sex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to compare the dominance of Additional Worker Effect and Discouraged Worker Effect.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Discouraged Worker Effect is more dominant than Additional Worker Effect in the youth group as well as in the entire workers group. Also the analysis by sex distinction also manifested dominance of Discouraged Worker Effect over Additional Worker Effect in both male and female groups. These analyse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hidden unemployment exists in youth, in other words, that job seekers abandoning their attempt to be employed causes the unemployment rate to be underestimated. Solutions for youth unemployment problems in Korea where Discouraged Worker Effect is more prevailing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 policy that will create employment opportunities such as enlargement of public service industry, foreign investment acceleration, and expansion program for social overhead capital, etc. is critically needed. Second, we should focus on developing strategic industry fields that the youth are interested in,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business, cultural contents, and design industry. Also, Long term forecast for human resource availability should be utilized at the governmental level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a policy to create a pool of professional workforce for the related industries. Thus, such fields that can create employment for the youth should be primarily established.

      •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화 : 노동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이루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논문은 노동 불안정성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고용, 임금/소득,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 과정을 유형화함으로써, 이행 과정에 있어서 청년층의 노동 불안정성 규모를 분석하고 노동 불안정성이 노동시장 이행에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1990년대 이후로 기술의 발달, 세계화, 경제위기, 탈산업화 등 내·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노동시장 유연화 과정을 겪었다(이주호, 1992; 남춘호, 2002). 그러나 그 과정 속에서 임금수준과 직업안정성이 높고 근무환경이 양호한 ‘1차 노동시장(primary sector)’은 신규 채용을 크게 감축한 반면, 상대적으로 임금수준과 직업안정성이 낮고 근무환경이 열악한 ‘2차 노동시장(secondary sector)’ 은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노동시장의 변화는 장기적 경기정체와 더불어 노동시장 이행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화시켰으며 그러한 결과 노동 불안정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청년층은 노동시장 진입의 어려움뿐 아니라 진입 이후에도 비정규직, 저임금 노동 등 불안정한 고용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자발적으로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등의 다양한 노동시장 이행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 과정을 분석한 선행 연구들의 경우에는 노동 불안정성이 다양한 속성(고용, 임금/소득, 사회보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 진입 여부, 고용형태, 지위 등 단일한 속성만을 사용하여 노동시장 내 불안정성을 확인함으로써 청년층의 노동시장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노동 불안정성의 다양한 속성(고용, 임금/소득,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 경로를 유형화하고 유형 간 특성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KLIPS) 12차(2009)부터 20차(2017) 자료를 활용, 만 19세 ~ 만 34세 중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중 니트(NEET) 청년층을 분석대상자로 하여 집단중심추세분석(GBT)을 활용하여 유형화를 하였으며, 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여 유형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은 노동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6개로 유형화가 되었으며, 6개의 유형 중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동 불안정성이 점차 감소하는 집단은 38.9%인데 반해, 61.1%의 경우에는 노동 불안정성이 증가하거나 지속적으로 노동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나, 노동시장 내에서 청년층의 노동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으며, 청년층 내에서도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별 특성에 있어서는 불안정한 이행을 경험하는 집단일수록 전공-직무, 교육-직무의 일치도가 낮았으며, 직장 이동 경험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년층의 주관적 삶의 만족도 부분에 있어서도 청년층 이행 경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노동 불안정성 경험이 높은 집단의 경우 주관적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첫째, 노동 불안정성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고용, 임금/소득, 사회보험)을 기준으로 노동시장 이행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노동시장 내 청년들의 노동 불안정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 둘째, 노동시장 내 안정적인 이행을 경험하는 집단과 불안정한 이행을 경험하는 집단의 특성과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이는 향후 청년 노동시장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하고자 하는 정책적 함의로 첫째, 변화하고 있는 경제구조와 고용환경의 변화 양상과 속도를 고려한 정책 변화가 필요하며 둘째, 노동시장 이중구조로 인해 1차와 2차 노동시장 간에 발생하는 근로조건 격차를 줄이기 위한 사회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노동시장 일자리 미스매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함께 단기적으로 노동 수요를 채우거나 노동 공급의 수준(역량, 교육)을 낮추기 보다는 숙련 수요를 높이는 방식의 정책이 필요하며 넷째, 청년층의 삶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환경 조성을 통해 삶의 질을 높임으로써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고취시킬 수 있도록 방안에 대한 고려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cale of labor instability among young people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by typeifying the process of labor market implementation based on the various attributes (employment, wage/income, social insurance) that labor instability has, and to confirm what effect it is having on labor market implementation. Since the 1990s, the nation's labor market has undergone a process of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globalization, economic crisis and deindustrialization (Lee Joo-ho, 1992; Namchunho, 2002). However, during that process, the 'primary sector' with high wage level and job security and good working environment greatly reduced new employment, while the 'second market' with relatively low wage and job security and poor working conditions greatly increased. And these labor market changes, along with the long-term economic slowdown, have differentiated labor market implementation in various ways, thereby increasing labor instability. And this has led young people to experience not only the difficulty of entering the labor market, but also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labor markets, such as maintaining unstable employment conditions such as temporary workers and low-wage labor even after entering the market, or voluntarily giving up economic activiti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ceding studies analyzing the process of labor market implementation for the young people, there is the limit that despite the fact that labor instability has various attributes (employment, wage/income, social insurance), the instability within the labor market could not be properly understood by checking the instability within the labor market using only a single characteristic, such as whether to enter the labor market, employment type and status. This study, focusing on the various attributes of labor instability (employment, wages/income, social insurance), classified the path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labor market for young peopl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types. For analysis, the 12th to 20th (2017) data of the Korea Labor Panel (KLIPS) were used for type-based analysis, using the Group based trajectory model (GBT) among wage earners, non-wage workers, unemployed and economically inactive people aged 19 to 34. As a result, the type of labor market transition among the young people became tangible at six, and 38.9 percent of the six types showed a gradual decrease in labor instability over time, while 61.1 percent showed an increase in labor instability or continuous experience of labor instability, confirming that labor instability among young people was deepening within the labor market and polarization was underway within the youth group. In terms of differences in type, it was found that the more people experienced unstable implementation, the lower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major and job, and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workplace movement. In addition, th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of the youth differed according to the path of youth to fulfillment, and in the case of groups with high experience of labor instability,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first, the path to labor market implementation has been analyzed on the basis of various attributes (employment, wage/income, social insurance) of labor instability, and second,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experiencing stable implementation within the labor market and those experiencing unstable implementation, this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youth labor market policies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we intend to propose through this study are first, policy chang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nging economic structure and the changing pace of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second, social policy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he gap in working condition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labor markets due to the dual labor market structure. Third, along with social awareness of the mismatch of labor market jobs, policies that increase skilled demand rather than filling labor demand in the short term or lowering the level of labor supply (capacity,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and fourth,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how to raise hopes and expectations for the future by lowering the uncertainty of youth's lives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environment creation. Key words : youth labour market, work precariousness, work trajectory, 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