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차이

        주리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진로의사 결정이론, Jones 와 Chenery의 진로결정상태 모형, 사회학습이론,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를 근거로 하여,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의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상담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의 취업에 도움을 주며, 진로결정과정에서 올바른 결정을 할 수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이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의 차이를 탐색해 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라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대학생들의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라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재한 중국유학생들과 한국대학생 두 집단 간에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라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지역에 8여개 대학교에서 재한중국유학생 154명과 한국대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로유연성 척도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척도와 진로결정프로파일(CDP)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두 집단에서 결정성으로 보면 한국대학생중 결정한 집단은 재한 중국유학생중 결정한 집단보다 더 많고 정서적 편안성으로 봤을 때는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 두 집단에서 불편안 집단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한 중국유학생이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른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에 대한 통계결과를 살펴봤을 때는 진로유연성은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차이가 있지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대학생이 진로결정상태(결정성, 편안성)에 따른 진로유연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을 때는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는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재한 중국 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이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유연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각각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고, 또한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이 두 집단의 차이점을 비교하며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재한 중국유학생과 한국대학생한테 진로에서 지각하는 어려움을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진로에 대한 관심과 연구에 더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 재한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이사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진로의사 결정이론, Jones 와 Chenery의 진로결정상태 모형, 사회인지 진로이론, 그리고 Berry의 문화적응이론과 Super의 진로발달이론을 근거로 재한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성과 편안성에 따라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의 차이가 있는가, 체류기간별 진로결정성과 편안성에 따라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의 차이가 있는가,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의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드러난 결과가 재한 중국유학생의 진로지도 및 상담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취업에 도움을 주며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진로발달수준을 높이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연구문제 1.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체류기간별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진로장벽은 진로편안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체류기간별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진로장체감과 진로장벽은 진로편안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지역의 대학교 8곳에 재학 중인 250명의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중국유학생용 진로장벽 검사, MVS(My Vocation Situation)의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프로파일(CDP)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중국유학생 250명 중 성별에 따라 남학생은 81명, 여학생 169명이 참석하였다. 체류기간별로는 2년 미만, 2년-4년, 4년 이상 등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은 미결정한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결정한 학생들이 느끼는 장벽이 결정한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류기간 2년-4년 집단만 진로결정성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류기간 4년 이상의 학생은 4년 미만 학생보다 진로를 결정한 학생의 진로정체감수준이 미결정한 학생보다 높은 정도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한 진로장벽 점수에서 미결정한 학생이 결정한 학생보다 높은 정도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에 대해 편안한 학생들이 불편한 학생들보다 진로정체감수준이 더 높고 진로장벽을 덜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류기간별 4년 이상 편안집단과 불편집단은 진로편안성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류기간 4년 이상의 학생은 4년 미만 학생보다 편안한 학생의 진로정체감수준이 불편한 학생보다 높은 정도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체류기간 2-4년의 학생은 2년 미만 학생보다 편안한 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증가량이 불편한 학생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진로정체감과 진로장벽은 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의 점수는 순서대로 결정-편안, 미결정- 편안, 결정-불편, 미결정-불편 순으로 나타났고, 진로장벽의 점수는 미결정-불편, 결정- 불편, 미결정-편안, 결정-편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가 중국유학생들의 한국적응, 진로지도와 특히 진로에 대한 정서와 관련된 상담에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진로지도, 진로상담, 진로 선택 시 심리적 상태에 대한 상담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본 연구는 재한 중국유학생의 진로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앞으로 진로와 관련된 후속연구들의 자료로도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특성불안이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김점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in influence of parental attachment and trait anxiety on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on 420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Busan and Gyeongnam, and among them, data of total 402 students of 196 female and 206 male college students was used in the analysis. For measurement tool, this study used parental attachment(IPPA-R), self-encouragement, trait anxiety(STAI), and career decision profile(CDP) scale.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difference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on sociodemographic feature, parental attachment, self-encouragement, trait anxiety, and career decision status, and Baron&Kenny’s(1986)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by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1) Parental attachment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overall tendency of parental attachment of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showed high parental attachment of 3.74 points out of 5. For gender, it was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parental attachment of male students(M=3.85) is higher than female students(M=3.63). 2) Trai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overall tendency of trai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e average of trait anxiety was 2.70 points out of 5 which is lower than the medium score. Trait anxi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p<.05). To be specific, it was identified that trait anxiety of female college students(M=2.85) is higher than male college students(M=2.57). 3) Self-encouragement of college students First, self-encouragement of college students was 3.67 points out of 5 overall average, and it was identified that college students do cognitive self-encouragement the most as the average of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y each subdomain was the highest of 3.79 points, emotional self-encouragement was 3.66 points, and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was 3.55 points.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t-test and varianc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elf-encouragem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Self-encourage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p<.05). To be specific, it was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of male students was higher as self-encouragement was higher for male student than female student.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self-encouragement level according to grade level or major.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y putting lower factor of self-encourag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parental attachment and trai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trait anxiety made effect on every subfactor of self-encouragement(p<.001),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is higher when trait anxiety is lower as faith in parents was identified to be an influencing factor on cognitive self-encouragement and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to be an influencing factor on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nd it was verified that students do more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when faith in their parents is higher and the level of emotional self-encouragement is higher when they communicate better with parents. 4) Type of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the average of determinacy was 3.08 and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answered ‘decided my career’and the average of feelings about career was average 2.40 points and many students answered ‘feel uneasy.’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into decidedness and comfor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status by grade level and major and career decision comf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major. To be specific,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higher for 2nd and 4th grade students than 1st grade, male students felt more emotional comfort in deciding career than female student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level of both decision and comfort was higher for medicine/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major than students in natural science and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 Thirdly, it was verified that career decidedness increases when faith in parents is higher and makes more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s variables that make effect on decidedness among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were faith in parents among subfactors of parental attach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mong subfators of self-encouragement. Fourthly, it was identified that students feel emotional comfort when deciding their career when they have higher faith in parents, lower sense of alienation from parents, lower trait anxiety level, and make more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s variables among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that make effect on comfort were faith in parents, sense of alienation from parents, and trait anxiety among subfactors of parental attach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mong subfactors of self-encouragement, and specially, it was verified that emotional self-encouragement(p<.001) is a major influencing factor on career decision comfort. 5)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trai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on decidedness when deciding career, self-encouragement was identified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 and this signifies that college students get affected by parental attachment or trait anxiety when deciding their career but career decision level increases through self-encouragement.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trai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nd comfort among career decision status, it was identified that parental attachment does not make effect on career decision comfort. Self-encouragement play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rait anxiety and career decision comfort of college students as trait anxiety did not only make 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comfort but playe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ncouragement as well. Students feel emotionally uncomfortable when they decide or undecided career when trait anxiety is high, and this suggests that self-encouragement can alleviate effects of anxiety on career decision comfor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부모애착과 특성불안이 진로결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자기격려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있는 4년제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그 중 여자 196명, 남자 206명 총 402명의 자료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로는 부모애착(IPPA-R), 자기격려, 특성불안(STAI), 진로결정 프로파일(CDP)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애착, 자기격려, 특성불안, 진로결정상태에 대한 차이검증과 상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1986)방식을 통한 매개효과분석법,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부모애착 대학생의 부모애착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결과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5점 만점에 3.74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서 여학생(M=3.63)보다 남학생(M=3.85)의 부모애착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학생의 특성불안 대학생의 특성불안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특성불안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70점으로 중간 점수 보다 낮게 나왔다. 특성불안은 성별(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남자 대학생(M=2.57)보다 여자 대학생(M=2.85)의 특성불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학생의 자기격려 첫째,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자기격려는 전체 평균 5점 만점에 3.67점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자기격려의 평균이 3.7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서적 자기격려 3.66점, 행동적 자기격려 3.55점 순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은 인지적 자기격려를 가장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격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격려는 성별(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성별이 여학생일 때 보다 남학생 일 때 자기격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의 자기격려 수준이 더 높은 걸 확인할 수 있었다. 그외 학년이나 전공에 따른 자기격려의 수준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격려의 하위요인을 종속변수로 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특성불안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성불안은 자기격려 하위요인에 모두(p<.001)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신뢰감은 인지적 자기격려와 행동적 자기격려에 부모의사소통은 정서적 자기격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나, 특성불안이 낮을수록 자기격려 수준이 높으며, 부모에 대한 신뢰감이 높을수록 인지적, 행동적 자기격려를 많이 하고,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잘될수록 정서적 자기격려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4)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상태를 분석한 결과, 결정성의 평균은 3.08로 ‘진로를 결정했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고, 진로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평균 2.40으로 ‘불편하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상태를 결정성과 편안성으로 나누어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성은 학년과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진로편안성은 성별과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학년과 4학년이 1학년 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왔고, 남학생이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여학생 보다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약/예체능 계열이 사회계열이나 자연/이공계열에 비해 결정성과 편안성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 중 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중 부모신뢰감, 자기격려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자기격려로 나타나 부모신뢰감이 높을수록 정서적 자기격려를 많이 할수록 진로 결정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 중 편안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부모애착의 하위요인 중 부모신뢰감, 부모소외감, 특성불안과 자기격려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자기격려로 나타나 부모신뢰감이 높을수록 부모소외감이 낮을수록 특성불안 수준이 낮을수록 정서적 자기격려를 많이 할수록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편안한 감정을 가지며, 특히 정서적 자기격 려(p<.001)가 진로결정 편안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5)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특성불안이 진로결정상태 중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자기격려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생이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부모애착이나 특성불안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자기격려를 함으로써 진로결정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특성불안이 진로결정상태 중 편안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부모애착은 진로결정 편안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불안은 진로결정 편안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격려를 매개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특성불안과 진로결정 편안성 간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특성불안이 높으면 진로를 결정하거나 미결정했을 때 정서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데, 자기격려를 하게 됨으로써 불안이 진로결정 편안성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진로결정상태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

        우선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by the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in order to explore the useful solu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o make a choice of their desirable career. In doing this, the research tries to make four typological categories in terms of decidedness and comfort of career decision profile suggested by Jones and Chenery (1989) an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by each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This research carries out a survey targeting the 255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now in attendance at four-year coeducational universities in Seoul and conduc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by using the SPSS 18.0 programme in order to look at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by the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grade and gend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divided groups of the typology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on the basis of career decision status and emotional type, showing in order undecided-uncomfort (38.0%), decided-uncomfort (29.8%), decided-comfort (25.1%), and undecided-comfort (7.1%). Secondly, it i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relation of major satisfaction to the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and the highest mark in the sub-fields of course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general satisfaction, cognition satisfaction, and career investigation in major satisfaction is the type of decided-comfort. Thirdly, it is shown that career maturity decides one's career according to the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proving that the students who are comfortable with the decision show the highest career maturity, and despite their uncomfort with the decision the students who decide their career show the next highest mark. And in the field of decidedness and independence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maturity the type of decided-comfort shows the highest mark; in the field of confidence and objectiveness the type of undecided-comfort the highest mark; and in the field of preparation the type of decided-uncomfort the highest mark. To sum up, currently, the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ly feel uncomfortable with their career decision; thus it has an effect on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Thos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s of career decision programmes are needed in order to positively help the students who do not decide their career and that the specific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typology of career decision status including the students' emotion as well as career decision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로결정상태유형에 따른 전공만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Jones와 Chenery(1989)의 진로결정 프로파일(Career Decision Profile)의 결정성(Decidedness)과 편안성(Comfort)을 기준으로 진로결정상태를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진로결정상태 유형별로 전공만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4년제 남녀공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와 전공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상태와 정서유형에 따라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유형을 4개의 집단으로 나누고 살펴본 결과 미결정-불편(38%), 결정-불편(29.8%), 결정-편안(25.1%), 미결정-편안(7.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년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결정상태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상태유형은 전공만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으며, 전공만족의 교과만족, 관계만족, 일반만족, 인식만족, 진로조사의 하위영역에서 결정-편안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진로결정상태유형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편안한 학생들이 가장 높은 진로성숙도를 보였으며 비록 그 결정에 편안해하지 않더라도 진로를 결정한 학생들이 그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 중 결정성, 독립성의 영역에서는 결정-편안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확신성, 목적성의 영역에서는 미결정-편안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 준비성의 영역에서는 결정-불편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대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채 정서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공만족과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대학생들을 적극적으로 도울 수 있는 진로결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며,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뿐만 아니라 정서를 포함한 진로결정상태유형에 따라 세분화된 진로지도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분석

        정소영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6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진로문제로 고민하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지도와 직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상태 유형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밝히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상태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은 어떠한가? 이러한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인천지역의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76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검사자료는 SPSS 18.0 window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연구문제에 맞게 빈도분석, K-means 군집분석, 일원변량분석, t-검증,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상태 유형을 분류한 결과, 진로를 미결정한 상태에서 정서적으로 불편을 느끼는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미결정-불편 유형). 그 다음으로 빈도가 높았던 유형은 진로를 결정한 상태에서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유형이었다(결정-편안 유형). 다음으로는 진로를 결정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정서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유형이었다(결정-불편 유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빈도가 낮았던 유형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미결정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유형으로 나타났다(미결정-편안 유형).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상태 유형의 차이는 다음과 같았다. 남학생은 결정-편안, 미결정-불편, 결정-불편, 미결정-편안 유형의 순, 여학생은 미결정-불편, 결정-불편, 결정-편안, 미결정-편안 유형의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상태 유형별 진로미결정 이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결정-편안 유형은 자기명료성과 결단성 영역 에서 높게 나타났고 결정-불편 유형은 직업선택의 중요성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직업과 훈련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의 성별의 차이에서는 결정-편안 유형에서 여학생이 직업선택의 중요성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미결정-불편 유형에서 남학생이 직업과 훈련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정-불편, 미결정-편안 유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서는 취업준비활동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총합의 차이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활발한 진로준비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상태 유형별 진로준비행동에서는 결정-편안 유형이 가장 활발한 진로준비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정-불편, 미결정-편안, 미결정-불편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의 성별 차이에 따른 결과에서는 결정-편안 유형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정-불편유형에서는 여학생이 정보수집활동, 취업준비활동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결정-편안 유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미결정-불편 유형에서는 여학생이 정보수집활동, 직업․학과결정활동, 취업준비활동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서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진로결정과 관련된 정서적 어려움을 완화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있으며, 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진단하고 원인별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며 학교 및 계열별 전문화된 현장중심의 직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주제어: 특성화고등학교, 진로결정상태 유형, 진로준비행동

      • 국가고시준비생의 진로결정상태에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진로타협이 미치는 영향

        박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진로를 결정한 국가고시준비생들 중에서 진로에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과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의 정서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국가고시준비생들의 진로결정상태를 파악하고 그중에서 진로를 결정한 자들만을 대상으로 결정-편안, 결정-불편의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진로타협이 이 두 집단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국가고시준비생 369명이었으며 이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와 미결정자를 제외한 268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은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진로타협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국가고시준비생의 진로결정상태는 결정-불편(49.2%), 결정-편안(34.8%), 미결정-불편(13.8%), 미결정-편안(2.2%)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진로타협이 결정-편안, 결정-불편의 두 집단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적응성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자신의 진로에 대해 편안해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진로장벽과 진로타협은 두 집단의 차이를 설명해주는 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진로타협의 하위요인 중에서 결정-편안, 결정-불편의 두 집단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 중 통제와 자신감이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기명확성 부족과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 인식부족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타협의 하위요인인 지위타협과 흥미타협은 모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의 진로 연구에서 간과해온 국가고시준비생이라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가고시준비생들의 진로적응성이 그들의 진로결정상태의 편안함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그들이 시험이라는 한 가지의 진로 뿐 아니라 다른 진로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보일수록 자신의 진로결정상태를 편안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하위요인 중에서는 진로 선택 과정에서 내적인 동기에 의해 주도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진로를 편안하게 여기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people who feel comfortable for their career and the people who feel uncomfortable for their career among the national examinations preparing students, who determined their career. The status of career decision of the applicants for state examinations was identified. Of these people, only those who determined their career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wo groups: decision-comfort and decision-discomfort. This study examin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to whether career adaptability, career barrier and career compromise would affect these two groups. The subjects of study were the 369 national examinations preparing students and the data from a total of 268 people were eventually analyzed after excluding those who did not complete their questionnaire and those who did not yet decide their career.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career adaptability, career barriers and career comprom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cision-discomfort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49.2 percent as for the status of career decision among national examinations preparing students, followed by decision-comfort with 34.8 percent, tendency-discomfort with 13.8 percent and tendency-comfort with 2.2 percent.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to whether career adaptability, career barriers and career compromise would influence the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of decision-comfort and decision-discomfort, it was found that only career adapta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ability of being comfort about one's career would be higher with a higher degree of career adaptability. It was found that career barrier and career compromise were not a variable to explai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forementioned groups.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to whether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career barriers and career compromise would influence the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of decision-comfort and decision-discomfort,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such as control and confid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It was also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such as lack of self-clarity, indecisive personality and lack of awareness for nee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ther hand, those sub-factors of career compromise such as position compromise and interest compromise were not found to have an impact. This study should be deemed meaningful since it was conducted on the group called national examinations preparing students, which had been neglec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fact that the career adaptability of the applicants for state examinations would influence the comfort of their status of career decision implies that they would be more comfortable with their status of career decision with a higher degree of self-confidence as to other careers in addition to one career called examination. Moreover, this study should be deemed meaningful since it revealed that taking a leading role in the course of career selection by internal motives among the sub-factors would be important in terms of feeling comfortable about career.

      • Holland 유형별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에서 진로걱정의 매개효과

        최민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5

        논 문 개 요 사회전반적인 취업난과 대학생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대학교에서의 취업을 촉구하는 상황에서 대학졸업예정자에게 진로에 대한 걱정은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고 진로걱정은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선택하는데 있어 겪게 되는 하나의 과정이 되었다. 실제 진로 상담 장면에서는 개인의 진로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을 하였지만 자신의 선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경험하거나 진로미결정상태이지만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으로써 진로 결정에 대한 확신으로 인해 편안한 상태를 나타내는 학생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예정자의 Holland 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상태를 분석하고 진로결정상태에 진로걱정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상담자들이 상담 장면에서 대학생들의 진로걱정의 다양함을 고려하여 상담을 진행시킴으로써 내담자의 자기실현을 이루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집단 상담 프로그램 및 진로 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내담자의 진로걱정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프로그램과 상담방식으로 진행해왔음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해, 차별적인 상담개입과 전략을 세우기 위한 기초의 연구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걱정의 하위요인으로써 진로걱정정도를 무걱정과 걱정으로 분류하였고 진로걱정유형으로는 자기존중성, 의존성, 자기비판성으로 구분하였다. 진로결정상태는 결정-편안, 결정-불편, 미결정-편안, 미결정-불편으로 나누어 진로걱정이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지역에 소재한 6개의 4년제 대학교 4학년 2학기에 재학 중인 졸업예정자를 연구대상으로 총 800부를 배포하였다. 이 중 90%의 회수율을 보여 총 720부가 회수 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한 사례와 누락된 응답이 많은 경우를 제외하고 총 60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측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유형별 대학생의 진로걱정과 진로결정상태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진로걱정정도와 진로걱정유형이 Holland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무걱정이 높은 Holland 유형 순으로 진취형, 사회형, 현실형, 탐구형, 관습형, 예술형 등으로서 걱정이 높은 Holland 유형 순으로는 예술형, 관습형, 탐구형, 현실형, 사회형, 진취형 등으로 일맥상통하는 결과를 보였다. 진로걱정 유형 중 자기존중성이 높은 유형으로는 진취형으로 의존성에는 관습형이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자기비판성에는 탐구형이 가장 높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진로결정상태는 예술형과 관습형이 미결정-불편, 탐구형이 결정-불편, 진취형, 사회형, 현실형이 결정-편안의 상태를 나타냈다. 둘째, 개인특성별 진로걱정과 진로결정상태의 차이에 대해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진로걱정정도에의 차이에서 무걱정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걱정에 대한 차이는 기각되었고,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걱정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걱정유형은 의존성이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자기존중성과 자기비판성은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결정상태의 결정성의 차이는 기각되었으며, 편안성의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섯째, Holland 유형별로 차이를 보인 진로결정상태에서 진로걱정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진로에 대한 무걱정과 걱정, 그리고 진로결정유형 중 의존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진로걱정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매개효과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대학졸업예정자의 진로걱정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 및 진로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에 양적・질적으로 충분히 연구 및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MA.(MS.) Thesis Mediating Effects Career Worries have on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Decision Status, Depending on the Students’ Holland Preference Type Choi, Min Seo Department of Vocation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In the midst of rising unemployment rate and the pressure of the universities pushing students to find jobs, career worries have become a general phenomenon among expected college graduates. Career worries, thus have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process in deciding and choosing one’s career. During career counseling, many students find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ir plans even after having made vocational decisions while some find it comfortable even before making a definite choice in career because they obtain assurance from the process of career searching itself. Hereby,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cision-making status of expected graduates depending on their Holland preference type, as well as the influence career worries have on vocational decision status. By discovering this mediating effect, career counselors can carry out counseling based on the variety of career worries college students have, further supporting self-actualization of the client. As the previous studies on group counseling programs and the effects of career counseling have not yet considered the difference between various types of career worries and carried out identical programs and counseling meth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marking the emergence of differentiated counseling intervention and strategy for more effective career counsel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 level of career worries, a sub factor of career worries, is divided into anxiety-free and anxiety. The types of career worries are also divided into self-respect, dependence, and self-criticism.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is classified into decided-comfortable, decided-uncomfortable, undecided-comfortable, and undecided-uncomfortable; the effects of career worries on each status is analyzed. Thi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on 606 expected graduates attending six 4-year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reas. The students surveyed ar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ir senior (4th)years. The information process is done by SPSSWIN 19.0 program, which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measurement, independent sample t examination, one-way layou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of all, the level of career worries and the type of career worries differed between college students that have different types of Holland preference, and such difference was meaningful. The order of the Holland preference types that have highest to lowest level of ‘anxiety-free’ is: enterprise, social, realistic, investigate, conventional, and artistic. The order of Holland preference types that have highest to lowest level of ‘anxiety’ is artistic, conventional, investigate, realistic, social, and enterprise, presenting a perfect match with the order of ‘anxiety-free’. Among the types of career worries, self-respect is the highest in enterprise type, whereas conventional type is shown to have high dependence. Investigate type had the highest level of self-criticism. Vocational decision statuses of artistic and conventional types had the state of undecided-uncomfortable, while enterprise, social, and realistic types presented decided-comfortable state. Second of all,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career worries and vocational decision status caus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und that the level of anxiety-free was higher for men than women when classifying vocational decision statuses by gender. The intensity of career worries also differs significantly by college majors. When it comes to the type of career worries, women had higher level of dependence than men, while the level of self-respect and self-criticism differed by college majors. In decidedness in vocational decision statu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fferent gender and college majors, but differences in comfort represented a meaningful difference. Lastly, examination on the influences that career worries have on different vocational decisions depending on Holland preference types, found that the state of anxiety-free and anxiety toward career and dependence, as one of vocational decision types, together work as mediator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on that it reveals the mediating effects that career worries have on vocational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Future research is expected on careers worries of expected college graduat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quality and quantitative research is needed in the development of career programs.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 진로의사결정유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다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the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and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tyle and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 First,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areer decision making style,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tatus? Second, does career decision making style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decision status? Third, does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decision status? Fourth, does the career decision making styl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sequentiall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decision statu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and college graduates in their 20s who had no job experience and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 Report scal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Scale,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Scale, and Career Decision Profile scale. Total of 357 questionnaires collected through the online survey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directly affect the career decision status. Second, the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 status by sequentially mediating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Third,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uitive decision making, but no sequential mediating effect was shown. Fourth, the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 status by sequentially mediating dependent decision making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This study comprehensively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difficultie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is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mother and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affect different paths to career decision status over career decision making style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help college students and unemployed college graduates who have difficulty making career decis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intervene to help them make effective career decision making and enha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진로의사결 정유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상태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결정상태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유형이 매개하는가? 셋 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결정상태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가? 넷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결정상태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가? 이를 위해 취업경험이 없는 20대 미혼 대학생 및 대학 졸업 후 취업 준비 중인 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통제 척도, 진로결정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정 프로 파일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357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여 주요 변인 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진로결정상태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는 합리적 의사결정과 진로결 정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진로결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직관적 의사결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결정상태에 대한 순차적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의존적 의사결정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진로결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성인기에 진입한 대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어머니와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 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상이한 경로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에 토대로, 본 연구 는 진로결정의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 및 미취업 대졸자를 위한 상담 개입 시, 부모자 녀관계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돕는 것이 필 요함을 제안하였다.

      •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문새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4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적요인으로 볼 수 있는 사회적지지와 내적요인으로 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더 나아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선택을 가로막는 진로장벽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상태와 관련되는가? 둘째. 사회적지지 및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상태의 관계를 진로장벽이 매개하는가? 조사도구는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진로장벽, 진로결정상태, 일반적 특성 변인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사회적지지 척도는 총 25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회복탄력성 척도는 총 27문항, 진로장벽 척도는 총 42문항, 진로결정상태 척도는 결정성, 편안성, 이유의 3개 하위척도로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성, 편안성 문항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학년, 전공계열, 졸업 후 취업 결정 여부, 진학 동기, 학교생활 적응 만족도, 가족의 경제수준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2학년 4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불성실응답, 중복응답 및 무응답이 포함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21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와 진로결정상태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상태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의 하위요인과 진로결정상태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상태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효과는 진로장벽의 하위변인 중 자기이해부족에 의해 부분매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높은 회복탄력성을 가질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상태에 대한 회복탄력성의 효과는 진로장벽의 하위변인 중 자기이해부족에 의해 부분매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진로결정에 있어 진로장벽을 매개로 하였을 때 자기이해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을 돕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뿐만 아니라 자기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안까지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