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고경수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0

        미래 사회는 과학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 속에 휘말리게 될 것이다. 그 중에서도 생명윤리와의 갈등과 마찰은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이 치열하면 치열할수록 과학기술은 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가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가치판단을 내리지 못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러한 논쟁은 곧 올바른 가치정립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이러한 문제점을 안고, 교육현장 속에 있는 학생들에게 생명윤리의 실천화 방안을 정립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바람직한 도덕교육이란 행동하는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다. 머리 속에서만 맴도는 지식은 도덕교육에선 죽은 지식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알고도 실천하지 못한다면 그건 곧 위선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덕교육의 최종적인 목적은 바로 행동하는 인간을 육성하는 데 있어야 할 것이다. 특히 학생들이 살아가는 삶의 현장은 가치판단의 연속된 과정이고, 순간순간 어떠한 행동을 해야 할 지에 대한 망설임의 연장이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학생들에게 올바른 판단을 내려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생명윤리 이론, 생명윤리의 현황 및 의식화 방안, 중학교 도덕교과에 있어서의 생명윤리교육의 현황 및 개선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생명윤리 이론에서는 생명의 다의성으로 인해 생명윤리라는 학문적 분야를 의료 및 생명공학이라는 특정 영역에 한정시킬 수 없음에 주목하였다. 이 영역에만 주목함은 곧 인간의 생명만을 고집하는 윤리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명윤리라는 틀 속에서 의료 및 생명공학, 환경, 경제 등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현행 중학교 교과서에서 산발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생명경시의 내용을 생명윤리라는 틀 아래 체계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기초적 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현 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생명윤리의 현황 및 의식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생명윤리의 현황에서는 의료 및 생명공학분야, 환경분야, 경제분야로 나누어 각각의 상황을 고찰하였으며, 의식화 방안에서는 학교라는 틀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한계성을 고려하여 가정과 사회에서의 연계된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의 최종적인 성과는 학교교육으로만 이루어 질 수 없다.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접하는 모든 집단이 그들의 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즉 가정, 학교, 사회라는 삼자가 모두 올바른 교육이념을 가지고 있을 때 교육의 성과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학교에서의 구체적인 생명윤리 실천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중학교 도덕교과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현행 중학교 도덕교과에 있어서의 생명윤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피는 데 주력하였다. 생명윤리의 실천화 교육을 위해선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이 필요하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주로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현행 중학교 도덕교과에 있어서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내용 구성의 필요성과 생명존중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생명윤리교육의 필요성은 더욱더 절실해진다. 만약 이러한 교육이 제대로 서 있지 않다면, 과학기술은 곧 인류에게 큰 재앙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직시하여 학생들에게 생명존중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에 대한 고민은 끊임없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중학교 도덕교과 통합교육과정 모형 탐색

        이숙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3327

        Abstract This dissertation has the following four purposes; First, we analyze the factors of the cultivating morality based on pursuing the moral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07's revised course curriculum. Second, we explore the configuration factors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or moral education. Third, we examine the goal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al content, faculty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in order to compose the integrated moral curriculum model by deriving the goal of the integrated moral curriculum and the implications of opera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ourth, we search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or teaching moral curriculum.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First, what are the problems which the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s to cultivate morality? Second, what are the configuration factors in the integrated moral curriculum? Third, how can we compose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of moral education? To solve these questions, we examine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Commentary (Ⅱ), moral education-related professional books an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to apply the moral education 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into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to development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suitable for moral education, we study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based on Tyler'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nd Joyce and Weil's non-referential model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goals for the integrated Moral curriculum are set for us to solve the creative problem and to practice them by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norm focused on the continu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terrelationship and integration and by cultivating the correct value judgment abilities and affective attitides. Second, The contents of the integration moral curriculum is reconstructed for learner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knowledge easily and to promote their thinking skills. Third,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composed by considera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learners, teachers, learning environment and textbooks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 apply the integration among subjects by selecting the topics regarding to moral issues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 We develop and apply the innova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epilogue, cooperative learning and creativity techniques to promote learners' thinking skills. The integration moral curriculum model is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real education field. The integrated moral curriculum model of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common school education by integrat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n the basis of the learners, teachers and learning environment factors. Key words: integrated curriculum, interdisciplinary, morality,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 김정은 시대 교육체계 개편과 ‘사회주의 도덕과 법’ 교과 연구 : 2013년 개정 고급중학교 1학년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유 북한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2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moral education and changes in education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conducted during the Kim Jong-Un era and analyze the revised first-year ‘Socialist Morality and Law’ textbook. In North Korea, it is recognized that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and the fate of socialism depend on the education of the advanced middle school period, which is equivalent to highschool years in South Korea. The "Socialist Ethics and Law" subjec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subject as revolutionary history education in North Korea's curriculum. This is because the contents of the moral textbook not only actually reflect the North Korean system, but also the educational policy and development prospects are reflected in the textbook. Education in North Korea has been shaped based on the socialist educational ideology, and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directions pursued by the state. The moral education in North Korea is a education of collectivism principles based on Juche ideas, and the basic purpose is to cultivate socialist moral character. Through moral education, students will not only learn socialist moral character, legal norms, and regulations, but also discipline themselves as "subject-type communist humans" with ideological and spiritual features for the party, leader, country, people, society, and group. The ‘Socialist Morality and Law’ subject, which used to be under several changes under the Kim Il-sugn and Kim Jong-Il periods. First, there are noticeable changes in outward appearance, color illustrations in introductions and difference in paper texture, which increase readability. Second, in terms of subject content,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development method, enlightening teaching method, self-directed understanding ability, and educational effect and quality appeared. Third, as the number of teaching and policies contained in textbooks by period decreased, Kim Il-sung's use of teaching was greatly reduced, and it was found that only Kim Jong-Il and Kim Jong-Un's policies were presented. In the last part of the textbook,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new part of the search and reference book arrangement. This seems to be an attempt to imitate Kim Jong-Un's era to sensitively accept and keep pace with global trends. However, similar to before the Kim Jong-un era similar to previous textbooks, the policy and educational goals were consistently described at the beginning of the chapters and sections, so the continuity of idolization education for leaders continued. Textbooks are limited in that they teach universal knowledge that is no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ystem in terms of morality while continuously maintaining ideology. Over the past 70 years, North Korean education has changed little by littl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 based on the Juche ideology. It is natural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Koreas because they have been learning with this deep-rooted lifestyle and style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among the subjects dealt with in schools, the moral subjects reveal different systems of the two Koreas or contain a lot of heterogeneity, and heterogeneity and ambivalence coexist as they define the traditional values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research on moral education in North Korea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in the futur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heterogeneity of the two Koreas and preparing for unification and understanding and getting to know North Korea.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North Korea's educational policy and direction, and has research significanc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integrated education for students from the two Koreas in the future. In the Kim Jong-Un era, national investment in education policy and education, modernization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secondary education levels are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In this sense, dismantling and studying the subject of "Socialist Morality and Law" in detail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view, values, world view, and method of education in the Kim Jong-Un era. 본 연구는 김정은 시대에 실시된 교육체계 개편과 개정된 고급중학교 1학년 ‘사회주의 도덕과 법’ 교과서 분석을 통해 도덕교육의 양상, 교육의 변화를 살펴보고 교과서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북한은 남한의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고급중학교 교육에 나라와 민족의 흥망, 사회주의의 운명이 달려있다고 여긴다. 고급중학교의 교육과정 중 ‘사회주의 도덕과 법’ 교과는 혁명역사 교과만큼 중요한 과목이다.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와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이 도덕 교과에 드러나며, 북한의 체제뿐 아니라 전반적인 교육정책 및 교육 분야의 발전 전망이 반영되기 때문이다. 도덕 교육은 주체사상과 집단주의를 원칙으로 사회주의 도덕품성과 법 규범 및 규정을 가르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당과 수령·조국애와 인민·사회와 집단을 위한 사상을 가진 ‘주체형의 공산주의 인간’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2013년에 개정된 사회주의 도덕과 법 고급중학교 1학년 교과서는 김일성, 김정일 시대와 차이를 보였다. 외형적으로는 컬러로 인쇄하고 종이의 질을 높여 가독성이 좋아졌다. 교과 내용 측면에서는 전개 방식에 변화를 주고 깨우쳐주는 교수 방법을 도입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키고자 했다. 또한 전체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교시와 방침의 횟수가 줄어들면서 김일성의 교시 사용은 대폭 줄어들었고, 김정일, 김정은의 방침으로만 내용을 구성했다. 교과서의 마지막 부분에는 찾아보기와 참고도서를 새롭게 배치했다. 이는 김정은 시대에 들어서 세계적 추세를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발맞추려는 시도로 보인다. 다만 이전과 유사하게 매 장과 절의 서두에 방침과 교육의 목표를 넣어, 지도자에 대한 우상화 교육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상성을 유지하고, 이전 체제와 다르지 않은 도덕 지식을 가르치고 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지난 70여 년 동안 북한 교육은 지도자의 특성에 따라 조금씩 변화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내용은 고착화되었다. 그러다 보니 특히 도덕 교과에서 남북의 다른 체제와 이질성이 많이 드러난다. 그러면서도 민족의 전통적 가치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도 있어 양면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남북한의 이질화를 극복하고 통일을 대비하는 관점, 북한을 바로 이해하고 알아가기 위해 북한 도덕 교육 연구는 향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의 교육정책과 방향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남북한 통합교육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김정은 시대에는 교육 분야에 대한 국가적 투자를 확대하고, 교육의 현대화 및 중등교육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의미에서 사회주의 도덕과 법 교과를 상세히 연구하는 것은 김정은 시대의 교육관·가치관·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 중학교 가정교과의 도덕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 인식

        조미옥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의 실태, 도덕성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 교사 변인에 따른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기술 · 가정」교과의 가정영역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33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가정과 교사들은 가정교과의 전 단원과 연계하여 도덕성 교육을 수시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나와 가족의 이해'처럼 구체적으로 가족생활을 다루고 있는 단원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가정과 교사들은 도덕성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중추적 기관을 가정(家庭)과 학교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도덕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학생의 이해와 부모들의 협조,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변화, 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 교사는 도덕성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에 있어 전반적으로 높은 인식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중요도에서는 경로효친, 성윤리 의식, 생명존중 순으로 우선순위를 두었고, 지도 수행 정도에서는 책임 · 협동, 경로효친, 성윤리 의식 순으로 지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간의 차이는 정직의 덕목에서 가장 많은 차이가 나타났고 책임 · 협동이 가장 차이가 적은 덕목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교과와 관련한 도덕성 덕목에 대하여 가정과 교사의 변인간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전공계열, 결혼여부, 교직경력, 출신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지도 수행 정도에 있어 교직경력이 많을 수록, 미혼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 인식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중요도에서는 남교사 보다는 여교사가, 기타계열 전공자보다는 가정계열 전공자, 사범계열 출신자가 가정교과와 관련한 도덕성 덕목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도 수행 정도에서는 남교사, 기타계열 전공자, 비사범계열 출신자가 가정교과와 관련한 도덕성 덕목을 더 많이 지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가정과 교사들은 가정교과에서 도덕성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고 실제 현장에서 지도 수행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덕성 교육을 수행하는데 시수부족, 자료부족, 도덕성 교육에 대한 방법과 지식을 잘 몰라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견과, 교사의 인식변화가 도덕성 교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으므로, 학습자료 개발과 함께 대학의 교육과정과 현장 교사의 재교육 시 도덕성 교육이 반드시 반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orality of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research on the state of morality of education, the following criteria can be achieve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morality of education. The basic data can be obtained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cognized importance and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among the teachers' variable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urvey mailed to the teachers responsible for home economics area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s in Korea. The 335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SPSS/WIN 10.0program was used for calculating and analysis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Firstly, most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how that they continually try to teach morality of education through each lesson plan. They focus their attention on the main theme of the lesson of a particular unit, that deals with family life. For example, an excerpt from a particular unit may be the "Understanding of myself and family members". Most home economics teachers believe that a family setting and/or schools, whether private or public institutions, are appropriate places for productive education. As well, each of these educational settings, should take complet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morality of education. As a way to activate the morality of education, teachers believe that working with the students and understanding the needs of their students, along with the cooperation of parents, are key factors in the learning process. Another way is the change of teacher'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conditions or environment. Secondly, home economics teachers in middle school, are showing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morality of education, which can be noticed through the high level of their teaching performance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morality of education, the first priority goes to showing respect for parents and the elderly, as well as sexual ethics and respect for life must always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regards to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the first priority goes to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Secondly, showing respect for parents and the elderly and sexual ethics will be the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shows the biggest gap in the virtue of honesty and the least gap was shown in the virtue of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Thirdly, regarding the moral virtue relating to home economics education towards the importance between variables among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and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the following are the main factors ; sex, expertism, marital status, educational career, background of education or non-education fields, and so on. A higher level of recognition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can be found from the teachers who possess more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ers, or who are single. Female teachers compared to male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studied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or who had a background of education fields compared to others, put more focus on the importance in morality education. However, in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it shows opposite results ; male teachers, teachers specializing in other educational areas, and teachers from non-education fields are teaching more about the virtue of morality, in rela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data achieved through this study, the major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believe that moral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nd a key factor in their teaching practices. Furthermore, these home economics teachers tend to spend a lot of time teaching morality in the actual teaching field. There are those who in the teaching field speculate that teachers may have some teaching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teaching hours and teaching materials, not enough information on how to teach and what to teach is provided. Also, there are those who also suggest that a teachers mind set should be changed to activate the moral education process. Therefore, by developing the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moral education can be reflected in the course of university curriculum and in the cas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training.

      • 학교 통일교육 내용으로서 도덕·윤리 교과서의 독일 통일 사례 고찰

        정은선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92

        현재 한국에서 제일 중요한 과제들 중 하나는 바로 통일문제이다. 70년 가까이 계속되고 있는 분단 상태로 인해, 서로가 한민족임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의 이질화가 고착되고 있으며 정치적·사회적·심리적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고, 더 나아가 통일을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통일교육이다. 그러나 통일교육의 성격은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보였다. 일관적이지 않고 부정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었던 기존의 통일교육은 많은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었고, 통일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하였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이제는 보다 정립된 통일교육을 시행할 때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한국보다 앞서 통일을 이루었던 독일의 사례를 통일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독일통일의 사례는 통일을 이루기 위해 동·서독이 취했던 여러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한국이 통일을 위해 해야 할 행동 등에 대해서도 다양한 방안을 생각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도덕·윤리 교과의 통일교육에서 독일통일 사례 활용현황을 분석하고, 더 나은 학교 통일교육 내용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독일의 교육 및 통일 과정과 한국의 학교 통일교육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보았고, 연구를 위한 세 가지의 분석준거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과서들의 내용을 양적 분석하였으며,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과서들이 제시된 분석준거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독일통일 사례를 활용했는지 질적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준거는 3가지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통일 전 단계의 이해 – 통일 전 상호이해를 위한 노력의 중요성 인식, 통일 과정의 이해 – 통일 과정의 실제 사례 학습의 중요성 인식, 통일 이후의 모습 이해 – 통일 이후 사회적·심리적 통합의 중요성 인식이다. 분석준거를 통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 분석 결과, 모든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과서들은 독일통일 사례를 다루었다. 그러나 사례를 다룰 때 보조적인 장치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내용의 양 또한 많지 않았다. 따라서 사례가 주된 내용으로 활용되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고, 내용의 양도 늘릴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대부분의 중학교 교과서는 통일 이후의 모습 이해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며 통일 전 단계의 이해 영역은 다루고 있지 않았다. 대부분의 고등학교 교과서는 통일 전 단계의 이해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나, 통일을 위한 과정의 이해 영역은 거의 다루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시된 분석준거를 추가적으로 활용하도록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도덕 윤리 교과에서 효과적으로 독일통일 사례를 다루는데 필요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Curr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 in Korea is unification issue. Due to the state of separation which has lasted for almost 70 years, different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settled, and polit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conflicts have intensified. Thus unification education is in need to resolve such conflicts and furthermore to make unification. However, the characteristic of unification education has changed through tim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which was mainly consisted of inconsistent and negative contents, confused many students and induced them to have rather negative perspective on unification. In order to alleviate this, it is time to implement a more established unification education. With this in regard, we can utilize the case of Germany for unification education, as it achieved unification ahead of Korea. By presenting the several processes taken by East and West Germany to carry out unification, the case of German unification allows one to consider various actions Korea should take for unifi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German unification case utilized in Ethics textbook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better 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 To this end,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German education and unification process, along with character and contents of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providing three analysis criteria for the research. Subsequently, the researcher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on content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followed by qualitative analysis on how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textbooks utilized German unification case through the provided analysis criteria. The researcher provided three domains of analysis criteria. First, understanding the stages before unification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aking an effort to establish mutual understanding before unification. Second,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actical case learning in the unification process. Lastly, understanding the aspect after unification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gration after unificati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criteria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research, every textbooks of middle school and highschool contained the German unification case. However, the case was rather used as teaching aids and there was not much content. Thus the researcher mentioned the necessity for the case to be used as main content, and sugges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ontent.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ajority of middle school textbooks dealt with domain of understanding the aspect after unification, but domain of understanding the stages of unification was not managed. Majority of highschool textbooks dealt with domain of understanding the stages of unification, but barely dealt with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unification. Based on such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to additionally utilize provided analysis criteria. Finally, the researcher presented measures needed to effectively deal with German unification cases in future moral and ethics courses.

      •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 연구 : 소수자 관점을 중심으로

        윤큰별 북한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3279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도덕교과서의 북한이탈주민 내용을 소수자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있다. 사회적 소수자의 정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기술 태도, 정부와 사회의 지원정책 및 내용, 남한 학생의 인식 문제 등 4가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은 사회적 소수자의 하나로 설명하였다. 도덕 교과서는 사회적 약자라는 용어로 사회적 소수자를 정의하며, 북한이탈주민을 사회적 소수자로 보았다. 또한 사회적 소수자를 도와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학생들에게 사회적 소수자에 대하여 시혜적 차원의 동정을 지양하고 공감을 바탕으로 한 접근을 지향하였다. 하지만 교과서 전체적인 부분에서 소수자적 시각이나 접근은 부족하였다. 둘째, 낯선 남한사회에 적응하려는 북한이탈주민을 능동적이면서도 수동적인 이중적 모습으로 묘사하였다. 교과서의 삽화는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어서 북한이탈주민을 이해하는 방식도 달라질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는 다양한 북한이탈주민의 목소리를 담아내지 못하여, 그들 관점에서의 필요를 구체적으로 알기 어려웠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을 도와야 하는 이유가 부족하였다. 교과서에는 북한이탈주민을 도와야 하는 이유를 통일의 준비 과정으로 학생들에게 설명하고 있는데, 북한이탈주민을 개인이자 목적으로서 본 것이 아니라, 통일을 위한 수단과 도구로만 이해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북한이탈주민을 객체화 시킨 것이다. 교과서 속 정부와 사회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 및 정책은 시혜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넷째, 탈북학생의 정체성에 대한 내용이 충분하지 않았다. 탈북학생들은 중학교에서 높은 학업중단율을 보이고, 학업과 친구관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통일교육의 핵심 교과목인 도덕에서 탈북학생의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도록 가르쳐야하지만 내용은 적었으며 정확하지도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middle school moral textbooks from a minority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finition of social minority, the technical attitude toward defectors, the policy and contents of government and society, and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n students. First, North Korean defectors were described as one of the social minorities. The moral textbook defines social minorities in terms of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explicate North Korean defectors as social minorities. It also explains why social minorities need to be helped, and aims to avoid students' sympathy for social minorities and to approach them based on empathy. However, minority perspectives and approaches were lacking in the whole textbook. Second, North Korean defectors who want to adapt to a strange South Korean society are portrayed as active and passive dualism. The textbooks' illustrations could have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way they interpreted, so the way they understood North Korean refugees could be different. In addition, textbooks were unable to capture the voices of various North Korean defector residents and could not specifically identify their needs. Third, there was few reason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The textbook explains to students why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assisted in preparing for unification. It can be seen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not seen as individuals or purposes but as means and tools for unification. This is an objectific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textbook writing standards, the students are aiming for a sincere approach, but the support and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society in the textbooks have been portrayed as beneficial. Fourth, there wa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identity of defecting students. Missing North Korean students have high school drop-out rates in middle school, and are complaining about difficulties in studying and friendship. Therefore, moral education, which is the core curriculum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taught to help students to adjust to school, but the contents were few and accurate. Therefore, we should try to approach the viewpoint of social minoritie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and reduce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to the escaping North Korean defectors. In addition, when composing textbooks on North Korean defectors,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school and help their school life.

      • 第7次 中學校 2學年 漢文敎科書에 나타난 道德的 價値觀 硏究

        최선정 全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3279

        This thesis focuses on the moral values treated in the 8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for the 2n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 it aims at precise analysis of the moral values found in the present textbooks as well as reasonable suggestion on the ideal direction for moral value education for the consequent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following show the result of the analysis, which utilizes the system of moral values suggested in the textbooks for the course of Moral and Virtue, aiming at the ultimate target of Chinese writing : emotional stability, as the Moral and Virtue textbooks reflect very well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moral values. Types of moral values were classified as 35 items across 5 categories : individual values, family-neighbor values, school values, social values, national and racial values. 1) Chapters, sections, and specific words dealt with social values as most important. 2) Phrases from historical episodes, proverbs, etc put highest values on school life. 3) Individual values gave primary weight on "designing of one's own life" ; family-neighbor values on "filial piety", school values on "persuit of study" and "science", social values on "environmental problems", national and racial values on "enhancing Korean culture". Analyzing the moral values treated in Chinese writing as shown above, this thesis suggests the ideal direction of revision for the next curriculum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current moral values revealed through analysis of the present textbooks. First, the 35 items across the 5 categories for the moral value system should be clarified in the next curriculum for Chinese writing, to give education reinforced by moral value formation in middle school. Second, the moral value system of the current curriculum for Chinese-character-based Literature should be considered to set up the right direction of future texts for moral value formation. Third, future textbooks should reflect harmoniously the 35 items across the 5 categories for the moral value system, and should not differ so much from one another. Fourth, the 5 categories should have balance in the new textbooks 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biased for some moral categories. The curriculum and moral education for Chinese writing should be revised to the direction of the ideal moral values mentioned above ; the revision, however, should not highlight only part of moral categories but be designed to give balanced education of moral value formation. Contents in relation to each of the entries in those moral categorie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vised curriculum to avoid the emphasis of any special moral category only and to achieve education with right moral value formation ; contents with current middle school moral value education and moral value system of the course of Moral and Virtue and consistent moral value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in the course of Chinese writing. In short, the moral value education in the area of emotional stability, which is the ultimate target of Chinese writing, should be achieved by balanced proportion of value contents to become an ideal guide for formation of right moral values of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