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어 형식명사에 대한 고찰 : 「もの」「こと」「の」를 중심으로

        박성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일본어의 「もの」「こと」「の」에 대한 기존의 교수 방식, 즉 그것을 한국어로의 번역에 의존하여 설명하는 방식에 의문을 제기함과 더불어, 각각의 용법상의 차이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가 실제 교수 상황에서 실용적인 측면이 다소 부족하다는 인식에 근거하여, 보다 유효한 설명 방식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 장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3장에서는 형식명사 「もの、こと、の」 선행연구부분에서는 일반적인 의미와 기능을 다룬 용례들을 살펴보고, 기존에 연구되어온 일부의 논문들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일정부분은 일관성이 있는 연구 시각과 해석으로 보이지만, 다른 일정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 범위 방향에 따라 저마다 포커스가 다르기 때문에 형식명사 「もの、こと、の」 해석과 고찰의 양상이 다소 분산되어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이것은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닌 화자들이기 때문에 봉착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이자 과제임을 알 수 있다. 제 4장에서는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형식명사 「もの、こと、の」설문조사 분석이었는데, 일본어를 학습하는 기간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오답률은 적지만, 특정 부분은 기간하고는 상관없이 오답률을 보이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사람들이 갖고 있는 もの와の의 구분이 불투명하다는 것이고, 전체적으로 こと에 답을 많이 쓰는 경향을 보아, 「もの、こと、の」중에 こと에 치우쳐진 불균형한 교수 방식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결국 , 이것은 학습 부분에 있어서 표면적인 것만을 다루고 공식처럼 외우는 학습이 진전되어 왔기 때문이라고 보이며, 이것을 교육자 입장에서도 형식명사 「もの、こと、の」의 정확한 경향에 대한 학습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제 5장에서는 현행교과서 분석이었는데, 사람들의 분산된 인식구조에 대한 문제점이 현행 교과서와 결부되어지지 않는가 하는 의문을 갖고, 문제점을 더 정확히 알아보고자 하는 취지로 이루어진 연구였다고 할 수 있겠다. 현행교과서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형식명사 「もの、こと、の」를 다루는 것이 지극히 표면적인 부분이었고, 관용적인 표현이기에 외워줘야 하는 단순한 학습으로 이루어진 경향이 짙었다. 물론 형식명사 「もの、こと、の」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공간이 학교이고, 극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히 다룰 수가 없는 것이 현재 중급이상의 일본어 학습자가 안고 있는 문제점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제 6장에서는 번역매체에서 바라본 형식명사 「もの、こと、の」는 한,일 대응관계에 있어서 과연 형식명사 「もの、こと、の」어떤 양상으로, 어떤 범위로 쓰여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식적인 문서와 무엇보다 정확한 정보전달이 급선무인 신문의 성격으로 보아,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해석에 치우쳐서 문법전달이나 기사 안의 형식명사 「もの、こと、の」의 본질과 그 의미를 간과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상당 수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학습자의 작문의 문제나, 번역 능력에 있어 올바른 인식구조가 정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면, 한정된 문장체를 쓰게 되고, 익히게 되는 우려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식명사 「もの、こと、の」 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고, 정확한 개념과 구분을 알기 위해, 효율적인 교수방안의 연구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① 한정된 수업 시간이 문제인 고등학교에서는 형식명사 「もの、こと、の」의 대한 개념을 일본인의 연구를 바탕으로 된 이론을 도구로 하여, 이것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닌 내 것으로 소화시킨 후에 알기 쉽게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 위의 항목 ①을 충족시킨 후에, 머리로만 익혀지는 형식명사 「もの、こと、の」를 이제는 일정량의 회화 학습을 만들어내어 몸으로도 익혀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이것을 단순 암기로써 몸으로 외우는 것이 먼저여서, 조금이라도 헷갈리는 문제가 나오면 몸에서 느껴지는 감각대로 답을 선택하는 문제점들이 왕왕 있다. 이제는 그 순서를 몸에서 머리가 아닌, 머리에서 몸으로 바꾸는 것이다. ③ 그리고 일본어를 전공으로 하는 대학교 학습자에게는 보다 심도 있는 번역 매체를 교재도구로써 활용하고, 학습자 스스로가 번역 내지는 해석해보는 학습을 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에 체계화 되어진 형식명사 「もの、こと、の」에 대한 인식 구조에 살을 더 붙이는 작업을 하는 개념으로 보면 되는 것이다. ④ 교수자의 위치에서 가장 필요한 자세는 일본어가 모국어가 아닌 화자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잘 파악해내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그런 오용의 여부를 가리기 위한 형식명사 「もの、こと、の」, 설문지 분석 등과 같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재 연구 및 편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AOT 역상미셀을 이용한 단백질과 금속 이온의 추출 및 가용화 특성

        박성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역상미셀이란 계면활성제의 단분자층에 의해 유기상으로부터 분리된 수상영역의 수상, 유기상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혼합물이다. 역상미셀의 나노(nano)크기의 수풀(water pool)에 다양한 생리활성물질과 용질들을 가용화 할 수 있고, 역상미셀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단백질을 비롯하여 다양한 용질의 추출분리와 농축정제가 매우 효과적이고 쉽게 scaled up 할 수 있으므로 많은 공업적 응용이 기대된다. 분리추출조작의 실제 공업적 응용을 위해서는 역상미셀과 분리시키고자 하는 목적성분의 가용화 및 추출분리 메카니즘을 알아야 한다. 공업적 응용 및 중요성에 비하여 아직까지 역상미셀과 다양한 물질의 추출 및 가용화에 대한 기초자료가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AOT 역상미셀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단백질(BSA, C.C.lipase)과 금속이온(Cu^(2+), Cd^(2+), Cr^(3+))을 추출분리 및 가용화 실험을 통해 그 특성을 실험조사하였으며 역상미셀내에 가용화된 단백질의 역추출에 의한 분리정제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역추출에 미치는 알코올의 첨가 영향을 실험조사하였다. 그리고 stepwise injection method에 의해 AOT 역상미셀내에 단백질과 금속이온을 가용화 시킬 때 AOT와 수상의 농도비가 가용화된 미셀간의 상호작용을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percolation 현상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역상미셀내에 Cd^(2+)와 S^(2-)를 가용화시킨후 역상미셀을 반응장으로 이용하여 Cadmium Sulfide 초미립자를 조제하였으며 이때의 특성도 실험조사하였다. A reverse micellar solution is a thermodynamically stable mixture of water, oil and surfactant where the water regions are separated from oil by a monolayer of surfactant. The reverse micelles have a capacity to solubilize a varity of biomolecules and solutes into the nonometer-size water pools. Reverse micellar systems have various potentials for separating and concentrating proteins and solutes being scaled up easily.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separation method, it is important to elucidate the mass transfer mechanism for separation of proteins and metals by reverse micelles.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papers on the interfacial transport processes of proteins and metal ions between a bulk aqueous and a reverse micellar phase.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equilibrium of metal ions and proteins into reversed micellar solution was examined using an anionic surfactant AOT with various pH condition. The solubilization of metal ions or proteins into reverse micelles was carried out by the stepwise injection method. And interactions between mivelles were studied by their percolation precesses. Furthermore, forward extraction rate of metals or protein was discussed.

      • 21세기를 향한 수학교육의 효율적 방안 : 7차 교육과정에서 모색해야 할 수학교육의 방안

        박성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discusses the 7th curriculum which begins the 21st century based on the educational goals and background and changes of examination systems of math education throughout the whole curriculum from the 1st to the 6th.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will be the conclusion. The purpose of math education is to settle the problems orginially by cultivating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of things based on the fundamental knowledge of mathematics. But it is true that math education has shown the crippled course in the one-sided education for cramming education and college entrance and subordinate relation by political logic. Therefore this study is to pursue the definitive education and the device for hamanization education which are the essential purposes of education in the side of rational humanization education toward the 21st century. We must accept and complement the educational reforms of government without a great change of educational policies rather than making political alternatives, maintain the consistent basis of policies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to progress the stable educational reform. For this, the following efforts are required. First,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goals should be extended. The educational goals in the curriculum should not be regarded as a formal procedure and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for setting educational goals should be increased in the curriculum revision. Especially,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field is required. Second, there should be no interference by politically privileged classes in establishing educational golas. Whenever the regime is changed, the educational goal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logic. There should be no premodern interference in the curriculum of the 21st century. Third, the process and procedures of curriculum should be clear. Especially,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final responsible person of actualizing the goals is teacher, the process of making decision should be opened to teachers and they can have the positive interests in the goals for the ideal operation of education. Fourth, the research in the field for math education should be firm and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should be made. Open-door policy should be executed and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should be kept through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 all countries. The following new entrance examination systems should be suggested. First,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at can cultivate the specialty and originality rather than remarks should be devised. Secon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hat high school judges the qualification of students to enter college by strengthening the selection function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hird, for the activation pursuing the essence of secondary eudcation, the examinee's burden of entrance examination should be minimized. Fourth, the concerns o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should be enhanced to pursue the essence of secondary education. Fifth, education and evaluation results of secondary school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o help the pursuit of essence of secondary education. The 7th curriculum defines the major principle of embodiment of demander centered curriculum and has the curriculum by each level in order that the learning suitable to student's individual ability independently of unifrom curriculum operation and education of simple knowledge for college entrance. It is also the real trial of curriculum for the subject of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econdary education is returned to its real position through the normalization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For this, the social conditions for mitigating the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should be made. The functions and roles of college educ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parents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extended and the society that the social achievement and self-actualization are possible without graduating university should be created.

      • 여성노인의 경제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성은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여성노인들의 경제활동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여성노인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제반 환경들을 개선하고 여성노인들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노인의 경제활동에 관한 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 동시에 고령사회의 여성노인 취업인구 감소의 문제를 극복하고 그 개선책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북부 지역의 여성노인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79.2%가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형태별로는 자영업자가 44.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돈이 필요해서’ 라고 응답한 비율이 52.2%로 과반 수 를 넘었다. 현재의 경제활동에 대해서는 54.2%가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경제활동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에 대해서는 ‘인간관계’라는 응답이 29.4%로 가장 높았다. 현재의 경제활동을 앞으로도 계속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95.9%가 ‘계속 할 것이다’로 응답자에 대부분을 차지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20.8%는 현재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들 중 60%는 경제활동을 할 의사가 있다고 했으며, 경제활동을 하게 되면 60%가 주 2-3일의 근로를 통해 용돈 정도의 돈을 벌 수 있는 일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일자리가 없어서’와 ‘가사/가족수발 때문에’가 각각 26.7%로 가장 높은 응답율이 나왔다. 셋째, 조사대상자들의 생활만족도를 5점으로 환산했을 때 평균 점수가 3.42점인 것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미래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3.63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생활만족도는 3.43점이며, 과거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3.2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들은 과거생활보다는 현재생활에 대해서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생활보다는 미래생활에 대해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줌으로써 미래생활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의 비교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들은 연령대, 종교, 결혼상태, 자녀수, 동거형태, 생활수준 및 건강상태 변인들이었다. 다섯째, 경제활동 관련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의 차이를 보면 현재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집단이 70.25점인 반면에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한 집단이 68.32점으로 나타나 하지 않고 있는 집단이 오히려 생활만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경제활동 관련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의 비교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으로서는 유일하게 현재의 경제활동에 대한 만족 여부의 변인이었다. 결론적으로 대다수의 여성노인들은 앞으로도 경제활동을 지속하거나 재개할 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한편에서는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인들의 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고려하여 여성노인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일자리가 제공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가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성은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urnover of new graduates at the first year is very high. According to a survey, 87.6% of respondents said they had experience changing workplaces leaving their first job (Chosunilbo, 202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 May 2019,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at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is a year and 5.3 months, which is a decrease of 0.6 months from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9).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phenomenon of such a high rate of early resignation despite the youth employment shortage. According to a study by Eom Donguk (2008), the main reason for quitting the first job was job dissatisfaction (Wage, working hours, working environment) (38.8%).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with their first job after graduation, focusing on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Through this, we checked whether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that had been implemented so far focused only on 'employment' and tri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and also find directions for career and job counseling. To this end, this study hypothesiz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verified them statistically. First, does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college employment support program affect the employment of the first job as a full-time job? Second, doe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ollege employment support program while attending school affect the higher wages in the first job? Third, with all of these variables considered, does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affect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ir first job after graduation? In order to verify these research problems, we used data of '201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7GOMS)' performed in September 2018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subjects were college graduates in August 2016 and February 2017.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to present the technical statistics resul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data.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factor extraction method. Finally, in order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considering the control variables, regression analys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ea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job support program did not make significant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full-time job.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full-time jobs than female students, and older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as full-timers.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s in capital area had better chances to have a full-time job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s in provinces. University graduates had better chances to have full-time jobs than college graduates. In addition, the probability to get a full-time job was higher among the graduates of engineering and medical sciences than graduates in the arts and sciences in the analysis of reference variables. The probability for education major graduates to get a full-time job was low. This may reflect the situation that there are many irregular and casual jobs in education-related fields. Second, it was found that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job support programs got a better paying job. In addition, male graduates who have higher GPA, are older, whose university is located in Seoul or capital area, majored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engineering, natural science, education, and medicine got better paid than those who did not meet the criteria.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job support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of the first job. However, through factor analysis, the first job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analysis was performed. From the analysis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level with each category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that college students had participated while attending colleg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bability to get a full-time job as the first job in their life, while there was some kind of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It is also found that it made effects on the monthly salary in the first job but it did not make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the first job. It means that the job support programs in universities do not affect job satisfaction, an important factor in long-term service in the first job after graduation. Therefore,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should take a step further from quantitative achievements of improved employment rate, and also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qualitative performances to encourage them to develop their career with satisfaction from their first job. In conclusion, career counseling should be able to provide systematic step-by-step counseling, so that young people can find jobs that can satisfy themselves rather than provide job counsel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job support program that contributes to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job retention in the long term.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이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첫 직장에서 퇴사 후 일자리를 옮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87.6%에 달했다(조선일보, 2020). 또한, 2019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청년층의 졸업 후 첫 직장에서의 근속 기간은 평균 1년 5.3개월로 전년도 동월 대비 0.6개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통계청, 2019). 청년 취업난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높은 조기 퇴사율을 보이는 현상과 관련하여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엄동욱(2008)의 연구에 따르면 첫 일자리를 그만둔 가장 주된 이유로 직장 불만족(임금, 근로시간, 근로환경, 승진 등)이 38.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졸 청년층이 졸업 후 첫 일자리에서 느끼는 만족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시행되었던 취업지원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취업’여부에만 무게 중심을 두고 있지는 않았는지 점검해 보고, 향후 취업지원프로그램의 개선 방안과 진로 및 취업상담의 방향에 대해서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에 대해 가설을 세우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첫째,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 정도가 상용직으로 첫 직장에 취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재학 중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도가 높을수록 첫 일자리에서 높은 급여를 받는데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최종적으로 이러한 변인들을 모두 고려해볼 때, 취업지원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졸업 후 첫 일자리에서 느끼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18년 9월에 2016년 8월 및 2017년 2월 대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기초통계분석 내용을 담고 있는 ‘2018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2017GOMS)’자료를 활용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문 응답 데이터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기술통계 결과를 제시하였고, 요인추출 방법을 적용하여 설문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를 고려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각각의 가설에 부합하는 회귀분석(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분석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횟수와 상용직 여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일수록 상용직으로 취업할 확률이 높았고, 나이가 많을수록, 학교 소재가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이, 2-3년제 대학 졸업생보다 4년제 대학 졸업생이 상용직으로 취업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참조변수인 예체능 전공 졸업생보다 공학자연전공, 의학 전공 졸업생의 상용직 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전공 졸업생들의 상용직 확률은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 관련 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비정규직 고용 상황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할수록 첫 일자리의 월 급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졸업 평점이 높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학교 소재가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이, 2-3년제 대학 졸업생보다 4년제 대학 졸업생이, 예체능 전공 졸업생보다 인문사회전공, 공학자연전공, 교육전공, 의학전공 졸업생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월 급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횟수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요인분석을 통해 첫 일자리 만족도를 4가지 범주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시행하였고, 각각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참여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이 대학 졸업 후 첫 일자리의 상용직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미치지는 않으나 두 변수 간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이 첫 일자리의 월 급여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첫 일자리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이 졸업 후 첫 일자리에서 장기근속을 위해 중요한 요인인 일자리 만족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은 취업률 증가를 위한 양적인 성과에서 한발 더 나아가 첫 직장에서부터 만족감을 느끼며 경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질적인 성과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커리어상담에서도 단순히 취업만을 위한 상담이 아니라 청년들 스스로가 만족할 수 있는 일자리를 탐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상담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자리의 만족도를 높이고 고용유지율을 향상하는 데 이바지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윤이상의 주요음 기법을 적용한 무용창작 : 작품 <농현>을 중심으로

        박성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살아있는 음 개념이 기반을 이루는 윤이상의 주요음 기법을 무용 창작 작품 <농현>에 적용하여, 작품을 구성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에 주요음 기법을 적용하기에 앞서, 보다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작곡자 윤이상의 삶과 시대적 배경, 철학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윤이상 음악의 특징을 드러내는 주요음 기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윤이상의 음악은 생명력과 운동성을 내포하며, 구성과 시연에 있어서 제스처와 이미지의 개념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무용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음악기법인 주요음 기법을 무용창작에 대입하기 위하여 무용과 음악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구체적 적용방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적용 방법으로는 첫째, 악보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 둘째, 연주 주법을 활용하는 방법, 셋째 분석된 요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 선택적 사용 방법은 무용과 음악 간의 상호적 관계를 의도하는 것으로, 단순한 적용에서 나아가 다양한 해석을 가져오기 위한 방법이다. 본 연구자는 이를 바탕으로 주요음 기법이 적용된 작품 <농현>을 구성하고, 악보와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 기법을 무용 창작에 적용하는 것은 인간 본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신체와 깊은 연관성을 가진 무용과 음악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함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넓혀 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음악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은 무용 창작의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작곡자가 자신의 음악 색채를 드러내기 위해 고안해낸 음악 기법은 무용창작에 적용되었을 때 안무의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특히 음 하나하나가 생명력을 가지는 윤이상의 음악은 인간적이며, 신체적인 특성을 갖다. 이는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몸의 사용을 점차 잊어가는 현대인에게 예술과 인간의 신체가 갖는 연관성을 재인식시켜준다. 본 연구는 윤이상의 주요음 기법을 무용 창작 작품에 대입함으로써 무용과 음악, 신체에 대한 본질에 다가서고자 했다. 음악 기법을 무용 창작에 적용하는 것은 음악과 무용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가능하게 하며, 표현의 다양성과 감각의 확장을 가져온다. 나아가 새로운 안무방법의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다양한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