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리젠티즘에 대한 직무 요구와 직무 스트레스의 영향

        정은선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프리젠티즘에 대한 직무 요구와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제 출 자 : 정은선 지도교수 : 정승언 본 연구는 생산직 근로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무요구(업무과부하,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와 프리젠티즘 사이의 관계성을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를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성을 통해 프리젠티즘의 선행요인을 밝혀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나아가 조직의 생산성 손실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 및 생산성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직무요구와 프리젠티즘의 관계성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직무요구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요구와 프리젠티즘 사이의 관계성에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각각 직무요구 5점 척도 13개 문항, 직무스트레스는 7점 척도 6개 문항 그리고 프리젠티즘 5점 척도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응답자는 중소기업 생산직에 근무하는 210명의 근로자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간 차이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과부하,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본 연구의 첫 번째 가설은 지지되었다. 둘째,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클수록 프리젠티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본 연구의 두 번째 가설도 지지되었다. 셋째, 프리젠티즘을 업무수행저하와 주의집중저하의 합계를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사용하였는데, 직무요구와 이러한 프리젠티즘 사이의 관계성에 대해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나타나 본 연구의 세 번째 가설도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본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직 내 직무분석의 명확성과 조직의 직무재설계 등을 통하여 직무의 분담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고 업무수행상의 정보나 권한, 책임 등이 명료하게 제시 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젠티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근로자에 대해서는 교육이나 업무전환 등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사무직이나, 전문직 등의 여러 가지 직종과의 비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생산성이나 불량률 등과 같은 객관적인 측정치를 활용하여 결과활용의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주제어 : 직무요구, 직무스트레스, 프리젠티즘

      • 청소년의 성태도, 분노, 성폭력간의 관계

        정은선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폭력 가해 비율과 청소년 성태도(강간통념, 성역할태도)와 분노는 성폭력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성폭력 가해 청소년과 비가해 청소년을 구별할 수 있는 상대적인 변인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광명, 부천, 성남, 시흥, 용인 소재 고등학교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7년 11월 7일부터 11일까지 연구의 목적과 설문지 내용을 설명 한 후 우편, 이메일, 직접 전달 방식으로 240부를 배부하여 235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부적절한 질문지를 제외한 230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성역할태도를 측정하게 위해서, 아동-청소년용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and Child: KGES-AC)도구를 사용하였고, 청소년의 강간통념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는 강간통념척도(이석재, 1999)를 사용하였다. 분노를 알아보기 위한 것은 강신덕(1997)이 Spielberger(1983)의 척도를 번안한 분노척도를 사용하였다. 청소년 성폭력의 경험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석재와 최상진(2001)의 성폭행 경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계수를 구하였고, 다음으로 독립변인으로 선택된 변인들 중에 어떤 변인들이 성폭력 가해자와 비가해자를 구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s Version을 사용하여 단계적(통계적) 판별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일수록, 양성에 대한 불평등한 태도를 가지고 있을수록, 강간통념이 높을수록, 분노가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폭력 가해 집단과 비가해 집단을 상대적으로 잘 구분해줄 수 있는 특성은 양성불평등과 분노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이 제시되었다.

      • 도다리와 문치가자미 판별을 위한 Ultra-fast PCR 판별법 개발 및 검증

        정은선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ultra-fast polymerase chain reaction (Ultra-fast PCR) method was developed and validated to distinguish Pleuronichthys cornutus (P. cornutus) and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P. yokohamae) which are difficult to be distinguished morphologically. Species-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for the cytochrome b (CYTB) gene in mitochondrial DNA. The positive Ct value of P. cornutus was less than 22 cycles and the positive Ct value of P. yokohamae was less than 23 cycles. The species-specific primers were selectively amplified by P. cornutus and P. yokohamae DNA,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of P. cornutus and P. yokohamae primers were 1ng/μL. The standard curve of P. cornutus showed a linearity of 0.99, a PCR efficiency of 100% and a slope of -3.3. The standard curve of P. yokohamae showed a linearity of 0.99%, a PCR efficiency of 94% and a slope of -3.5. The quantitative limit of P. cornutus and P. yokohamae were 7% and 9%,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uidelines on standard procedures for preparing analysis method such as food’ propos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ere met. Ultra-fast PCR method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for discrimination of P. cornutus and P. yokohamae has advantages in that it ha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is convenient to carry, enabling rapid discrimination and field application. Therefore,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control of forgery and alteration of raw materials in seafood.

      • 배드민턴 지도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지도자-선수 교환관계 및 경기수행력의 관계

        정은선 동양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badminton leaders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and improve their performance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type, leader-player exchange relationship, and game performance.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der-player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al type and leader-player exchange relationship, leader-player exchange relationship and performance, leadership behavioral type and game performance. Under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situation, the target groups were male and female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National Spring Badminton League and the 2021 Jeonghyang Nuri National Autumn Badminton Championship. A total of 300 people were survey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mong the 300 questionnaires surveyed, 273 questionnaire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purposes, excluding 27 data that were judged to be unreliable. In the case of the survey tool,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scale was composed of the final 23 questions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questionnaire used by Lee(2020), Lee(2007), and Yoo(2016) to suit this study subject. In addition, the leader-athlete exchange relationship scale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study subjects of 12 LMX items used by Graen & Uhl-Bien (1995), Shin(2013), and Yoo(2016). In addition, the the game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used by Kim Nam-wan (2008), Soyeon Kim (2008), and Yoo Chang-ho (2016)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suit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used as 8 questions. For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based on the research purpose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First, Research Hypothesis I was partially adopted. Specifically, 1)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democratic behavio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affected intellectual respect, and positive behavior did not. 2)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social support behavior and democratic behavior influenced emotional attachment, and positive behavio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did not. 3)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social support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nd positive information behavior influenced the desire to contribute, and training, instruction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did not. 4)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social support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ffected loyalty, and positive and authoritative behavior did not. Second, research hypothesis II was partially adopted. Specifically, 1)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leader-player exchange relationship, emotional attachment, loyalty, and intellectual respect affected psychological performance, and the desire to contribute did not. 2)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leader-player exchange relationship, emotional attachment, willingness to contribute, and loyalty influenced behavioral performance, and intellectual respect did not. Third, research hypothesis III was partially adopted. Specifically, 1) The effect of leadership behavior type on psychological performance was positive behavior,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ffected psychological performance, and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did not. 2) The effect of leadership behavioral type on behavioral performance was that social support behavioral behavior affected behavioral performance, and positive,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authoritative behavior did not. Fourth, the research hypothesis was partially adopted. 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intellectual respect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of badminton leade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game. 2)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ttachment between leadership behavioral type and performance. 3)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he desire to contribute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and the performance of the game. 4)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loyalty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 type and the performance of the game.

      • 유치원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정은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들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요구 및 기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시에 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람직한 유치원 교육 년 수, 연간 교육 일 수, 학급구성, 교육방법 등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여 유치원 관리 및 운영자들에게 바람직한 유치원 교육 및 운영에 도움을 주고, 유치원 학부모 교육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육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과 부모참여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치원의 공교육화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인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80명과 유치원 학부모 172명으로 총252명이다. 분석 방법은 교사와 학부모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목표, 교육방법, 부모 교육 및 참여,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통하여 응답의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였고, 카이스퀘어 검증을 통해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통계 분석은 SPSSWIN PC. 1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에서 유치원 교육이 꼭 필요한 이유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같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성발달 도모'로 보고 있으며, 유치원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간상으로 교사는 '창의적인 사람'을 학부모는 '도덕적인 사람'을 가장 우선시 하였다. 유치원의 교육목표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다른 사람과 더불어 생활하는 태도 기르기'를 가장 우선시 하였고, 앞으로 유치원에서 가장 비중을 두고 교육할 내용으로는 학부모와 교사 모두 '창의성 계발'을 가장 중시하였다. 둘째, 유치원의 교육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에서 유치원 교육 기간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2년'이 가장 바람직하며, 유치원 1일 교육 시간은 '5시간'이, 유치원의 연간 교육 일수는 현재대로 '180일 이상'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한 학급의 연령구정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단일 연령'이 가장 바람직하며, 유치원의 한 학급당 단일 연령 인원수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만3세는 '15명이하', 만4세는 '11-20명이하', 만5세는 '11-25명'이 가장 바람직하며, 한 학급당 혼합 연령 인원수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만3세는 '15명이하', 만4세는 '11-20명이하', 만5세는 '10-20명이하' 정도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보았다. 유치원에서 가장 우선시 되는 교육방법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놀이 중심'을 꼽았고, 유치원 교육 활동 중에서 교사는 '자유선택활동'을 학부모는 '대집단활동'에 좀 더 비중을 두었다. 자유선택활동에서 교사는 '역할놀이'에 학부모는 '언어'에 가장 비중을 두고 있으며, 대집단활동에서 교사는 '헌장학습'을 학부모는 '이야기나누기'에 좀더 비중을 두었다. 소집단활동에서 교사는 '토의활동'에 학부모는 '토의활동'과 '실험 및 관찰'에 좀더 비중을 두고 있으며, 정리정돈 방법으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토의 및 규칙지키기'를 가장 우선시 하였다. 현재 유치원에서 좀더 비중을 두어야 할 교육활동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창의성 교육'에 가장 비중을 두었다. 셋째, 유치원 교육에 학부모의 참여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에서 부모참여가 꼭 필요한 이유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자녀와의 관계를 효율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를, 부모교육 방법으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인쇄 자료'를 통한 부모교육을 가장 우선시 하였다. 부모교육 내용으로는 교사는 '부모의 역할'에 학부모는 '아동발달 및 심리지도'를 가장 우선시 하였고, 부모참여 방법으로 교사는 '자원 봉사자로서의 참여'를 원하는 반면 학부모는 '수업 참관' 을 가장 선호하였다. 넷째, 유치원 공교육화의 필요성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균등한 교육 기회 제공'에, 유치원 공교육화을 실현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이원화된 교육 부처의 일원화'가 가장 시급한 문제로 보았다. 유치원 공교육화 시 교육비 부담에 대해 교사는 '국가가 전액 부담'을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학부모는 '학부모 일부 부담+국고 지원'을 선택하여 인식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유치원 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무상교육 완전실현'을 가장 우선시 한 반면 학부모는 '유아교육 발전기반 구축'을 가장 우선시 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사와 학부모들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목적, 방법, 부모 참여,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made by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the goal, methods and management of kindergarten education. The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social nee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duce some importa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for kindergarteners and for the management of a kindergarten. To achieve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the researcher has formulated four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1. What do they(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as important goals to be pursued in the kindergarten education? 2. What do they perceive as effective methods to be applied for kindergarten education? 3. What kind of opinion do they gold about parents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 4. What are their opinion about the integration of all educational institutes for preschoolers into a public education system? As subjects of the study, 80 kindergarten teachers and 172 mothers of kindergarteners were sampled from kindergartens. The researcher constructed a questionaire of multiple-choice type for surveying opinion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iculum materials publish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Un data analysis, frequency of response on each item of the questionaire was tabulated. And chi-square test was applied for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and parents feel kindergarten education necessary because 'interaction with peers' itself must be an important condition for socialization of younger children. For an 'ideal personality' to be pursued in kindergarten education, teachers place 'creative person' for the most important one while parents place 'moral personality' in the first priority. For educational objective of kindergarten, both groups select 'development of cooperative attitude' as the most important one. For successful living in the 2lst century, both groups emphasize creative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Second, 'play method' is emphasized by both groups as most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for kindergartener,. Specifically, teachers place 'spontaneous independent activities' as most desirable, while parents consider 'large group activities' as most desirable one. Among various type of small group activities, teachers select 'role play' as most desirable while parents select 'language game' most desirable. And among large group activities, teachers chose 'field study', while parents chose 'verbal conversation'. Third, both groups think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 And they also feel that parent of kindergartener should be educat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content of parents' education, teachers put an emphasis on 'role of parent in kindergarten education', meanwhile parents want to learn about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and counseling'. Fourth, teachers and parents emphasize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a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for all preschoolers. And they feel that all of the educational institutes for preschoolers should be administered and fina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 교사-학생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매개로

        정은선 울산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의사소통은 지식, 가치관 및 태도 등 인간의 삶에 중요한 요소를 발달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특히 가정과 학교에서의 의사소통은 인간의 정신적, 도덕적, 정서적 성장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는 부모, 교사와의 의사소통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는 외국의 연구결과들이 발표되면서 의사소통과 학업성취와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Fallahahai & Darkhord, 2011; Ferguson, 2006; Lareau, 2003).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중요한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사-학생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따라 발생하는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는 교사와 부모의 의사소통 방안을 세우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업성취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대상으로 지방 광역시 소재의 7개교 5, 6학년 학생들 966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과 결측치를 포함한 55개를 제외한 911명의 설문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조사는 교사-학생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업정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는 학기말 평가의 5가지 과목점수를 표준화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자료 분석을 위해 설문데이터를 코딩하고 데이터 정제작업을 거쳐 기술통계,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상관관계 분석을 한 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생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업정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에 대한 성별, 학년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교사-학생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 차이는 문제형 의사소통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여학생의 평균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에 민감한 여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학년별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5학년이 6학년보다 개방형, 문제형 의사소통을 모두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으므로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모 교육이나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유형은 5, 6학년 모두 내재적 동기를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학년에 따른 학년별 내재적 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5학년에서 6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낮아졌다. 학업정서 또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긍정정서인 긍지와 부정정서인 불안을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학년 학생들은 긍정정서를 높게 지각하고, 6학년들은 부정정서를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재적 학습동기는 낮아지고, 부정적 학업정서를 많이 지각한다는 것은 우리 교육의 부정적 현실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이 학습의 필요성과 흥미를 인식하고 동기화되도록 다양한 교수방법과 상담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학생 의사소통이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성취와 학업정서에는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이중매개로 학업성취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의 의견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학생들 스스로가 자율적으로 학습 할 수 있도록 촉구적인 형태의 쌍방적인 의사소통을 하도록 노력해야함을 시사한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학업정서와 학업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학업정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정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이중매개로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쳤다. 자녀가 긍정적인 정서와 학습동기를 갖도록 돕고, 이를 통해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가 개방적인 의사소통으로 지원하고 지지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의 의사소통이 학업성취를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고려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시험불안과 자기조절학습 유형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은선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시험불안과 자기조절학습 유형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성별, 학년별에 따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시험불안, 자기조절학습 유형, 학업지연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시험불안, 자기조절학습 유형, 학업지연행동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시험불안과 자기조절학습 유형은 학업지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1.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검증 한 결과,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 중 시험준비 및 학업지연에서만 나타났다. 해당 변인 모두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학업지연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험불안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서 동기 조절과 행동조절이 높을수록 시험불안이 낮아지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시험불안이 높은 사람은 학업지연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영역에 관계없이 높을수록 학업지연행동 총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의 하위 변인인 행동조절과 시험불안의 하위 변인인 시험도중 순으로 학업지연행동에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의 행동조절과 시험불안의 하위 변인인 시험도중 순으로 학업지연행동에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시험불안 성향을 가진 학생들의 학업지연을 예방하기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활용을 증진하는 방안이 추후교육 및 상담현장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test anxie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yles on academic retardation behaviors.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difference of test anxiety, self-regulated learning typ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test anxiety, self-regulated learning style, and academic delay behavior?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test anxie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typ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ffect the academic delays? 3-1. What is the effect of sub-factors of test anxiet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retardation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2 students in grades 1-3 who were attending two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ain variables showed that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were found in test preparation and academic delay among sub - factors of test anxiety. Female student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all of the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were found only in academic delays.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est anxiety and the self - regulated learning revealed that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est anxiety and motivation. Those with high test anxiety showed high level of delayed behavior. Regardless of the sub - areas of self - regulated learn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bscale of self - regulated learning, which is a sub - variable of behavior control and test anxiety, influenced academic delays in the order of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ehavioral control of self - regulated learning and the sub - variables of test anxiety, In order to prevent the delay of students' academic anx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future education and counseling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