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주도적 교실환경의 탐구적 과학글쓰기활동이 초등학교 통합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다른 교과영역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근,윤세열,Brian Hand,William Therrien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방법(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및 다른 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미국 중부의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을 실시하고 있는 24개의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교사들을 ‘학생 주도적 수업’ 교사와 ‘교사 주도적 수업’ 교사로 나누어 이들 교사들의 수업 방식에 따라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및 다른 교과 성취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생 주도적 교수 방법을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이, 교사 주도적 교수 방법을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에 비해서 비판적 사고력의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 주도적 교수 방법을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이, 교사 주도적 교수 방법을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에 비해서 과학, 수학, 사회, 단어 활용 능력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알아본 결과 비판적 사고력과 과학, 수학, 사회, 단어 활용 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다른 연구에서 이미 밝혀졌듯이 학생 주도적 교수 방법을 통해 증진된 비판적 사고력이 다른 교과영역으로의 전환 사고능력(transferable thinking skills)을 통하여 과학, 수학, 사회, 단어 활용 능력 향상과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과학 수업 시간을 통하여, 학생 주도적인 교수 방법에 의해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수행하면, 초등학교 통합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 및 다른 교과 능력의 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 1) the effects of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for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2)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improving other academic subjects. From the twenty-four elementary schools, based on analyses of their performance, which was video recorded, teachers were designated either as student-centered or as teacher-centered in their use of the SWH.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ent-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contributed to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more than the traditional approach. The student-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emphasized dialogical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teacher-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In addition, critical thinking skills contributed to students' science, math, social study, and vocabulary usage ability because critical thinking skills has characteristics of transferable thinking skills. This approach provides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through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 and would contribute to education for building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improving several academics ability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settings.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주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자기 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와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의 관계룰 조절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6월 1일부터 7일까지 수도권에 소재한 4년제 A 대학교 신입생 1,988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척도, 문제해결력 척도, 융합적 사고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은 Process Macro 모델 7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상정된 주요 변인들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자기주도성,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 사회적 지지 모든 변인들 간상관이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해결력은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결과 자기주도성과 융합적 사고 간의 관계를 문제해결력이 매개하고, 사회적 지지가 자기주도성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분석결과를 통해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신입생 진입 프로그램 및 학교생활 적용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도출하고, 이를 위한 실제적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학생 주도적 교실 환경 조성 및 교실환경에 따른 특수교육대상 초등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차이 분석

        박영근 ( Yung Keun Park ),윤세열 ( Sae Yeol Yoon ),( Brian Hand ),( William Therrien ),김용욱 ( Yong Wook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이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 환경 조성(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교사의 교수환경 조성에 따른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먼저미국 중부 주정부 내 48개 일반 초등학교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24개의 실험집단 학교와, 이 중재학습을 실시하지 않은 24개의 통제집단 학교로 나누어, 해당 학교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을 지도하고있는 교사들 및 학생들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첫째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RTOP)를 수정한 mRTOP을 활용하여, 두 집단 교사들의 교수 방식(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을 비교하였다. 둘째, 비교집단의 교사가운데 학생 주도적인 교수환경을 조성하여 수업을 하는 교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집단 교사들을 두 번째 연구 목적을 위해서는 제외하고, 실험집단 학교의 교사들만 mRTOP점수에 따라 다시 ‘학생 주도적 교실’ 교사와 ‘교사 주도적 교실’ 교사로 나누었다. 그 후교사들의 수업 방식(학생 주도적, 교사 주도적)에 따라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실시한 집단의교사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학생 주도적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고,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을 학생 주도적 교수 환경에서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이, 논의를 강조한탐구 학습법을 교사 주도적 교수 환경에서 수행하는 교실의 학생들에 비해서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정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과학’ 수업 시간을 통하여, 학생 주도적인 교수 방법에 의해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의 하나인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특수교육대상 초등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rgument -based inquiry approach for creating a student-centered classroom environment and its relations with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such a classroom. This study will also introduc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o the field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rom forty-eigh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he American Midwest, twenty-four schools were designated as the treatment group and the remaining as the control group. All students had special needs and were in an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immersed in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a strong emphasis was placed on student-centered argumentation,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learned science in a teacher centered traditional manner. Teachers in the treatment group that use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struction as an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ended to create a more student centered classroom environment,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had a more teacher-centered classroom.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based on analyses of their performances, which were video-recorded, the treatment group teachers were designated either as student-centered group or as teacher-centered group. The students of the student-centered SWH classrooms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than the students from the teacher-centered SWH classrooms. The student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emphasized dialogical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their active engagement in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the teacher-centered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The former approach provides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rgumentation in a science classroom, and will contribute toward build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교육 향상을 위한 확산적⋅수렴적 사고기법 활용 연구 - 시각디자인 전공 중심으로 -

        이정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1 No.-

        The role of design and designer is changing as we ente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based on creativity and convergence. New design types of names have been created and the design process, which could be solved by itself, is now essential to cooperate and collaborate with other majors. Therefore, the competence of today's designers wants talent with creative thinking and application skills that reflect the various values demanded by the knowledge society. In this study, based on the integrated thinking of Divergent Thinking·Convergent, which is necessary for the design problem-solving proc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we propose an educational methodology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seek ways to utilize it. The type of integration of the Divergent·Convergent Thinking Techniques is an educational model that focuses on bringing one's ideas freely through two thoughts within a given format, through topics that can be observed in everyday life. Based on the existing prior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ducation model was integrated and applied CPSS types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and items of Learner Satisfaction, Self-Efficiency, Idea Expression, and Presentation Skill were extra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 extracted items were conducted as experimental studies to verify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CPSS. In the future, we hope to cultivate future talents who can naturally solve problems together in collaboration with other major fields, and that the DPS education model will be applied to educators and student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effect. 창의와 융·복합 기반인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면서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은 변화되고 있다.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명칭의 디자인 유형이 생겨나고 혼자서 해결이 가능했던 디자인 과정도 이제는 다른 전공 분야와의 협동 및 협업이 필수적이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디자이너의 역량은 지식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가치를 반영하는 창의적인 생각 및 적용능력을 갖춘 인재를 원하고 있다. 앞으로의 디자인 교육은 ‘콘셉트’라는 난해한 개념을 주입 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일상의 교육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디자인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처럼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중요하게 작용한다. 지식과 정보는 디자인 과정에서 문제 상황에서 적절하게 변형하고적용하는 요소로써 작용한다. 독창적이고 창의적 관점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정보를재조직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로 만들어 내는 문제해결 과정이 더 중요한 것이다. 현재의 시각디자인 전공 교육은 틀에 맞춰진 학습 과정에서 단기간에 창의적인 생각과 실행을 하기에는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많은 디자인대학에서는 다양한 시도와 교육과정의 변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실현 가능한 방법들을 적용하고 있지만, 창의적인 사고를훈련하고 향상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스스로 디자인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이 원하는 디자인을 적용 및 실행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문제해결 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에 있어 디자인 문제해결 과정에 필요한 확산적 사고와 수렴의 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교육 방법론을 제안하고 활용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확산적·수렴적 사고기법의 통합 유형은 일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주제를 통하여 주어진 형식 안에서 두 가지의 사고를 통해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이끌어내는 것에 초점을 둔 교육 모델이다. 교육 모델 검증을 위한 연구방법은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각디자인 기초교육 활용을 위해 창의적 사고기법 유형을 디자인 사고에 근거하여 통합, 적용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학습자 만족도, 자기효능감, 아이디어 표현, 발표력의 항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항목은 창의적 문제해결 평가속성(CPSS)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향후 다른 전공 분야와의 협업에 있어 자연스럽게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고 자기주도학습 효과에 있어 DPS 교육 모델이 교육자와 학생들에게적용되어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사례관리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찰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례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를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역량이 성찰적 사고와 사례관리자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례관리자 15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찰적 사고수준이 높으면 사례관리자 효능감도 높고,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유형에 따라 사례관리자 효능감에 인과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자기주도학습 역량의 하위요인인 학습결과 평가능력은 사례관리자 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성찰적 사고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례관리자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기주도학습 역량과 성찰적 사고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례관리자의 성찰적 사고와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팀 학습의 실행, 다각적인 글쓰기 방법의 도입, 조직내 사례관리자 인재상 수립, 조직 내 업무분장 유연성 등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nfluences on the reflective thinking and the efficacy to the case manager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this, this research se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out the 154 case manager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reas and analyzes these.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higher they have reflective thinking level, the better they have efficacy of the case managers. Also,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the cause and effect of their 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ir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n particular, the capacity of the evaluation on the results of learning as the sub factor of the self-learning competency does not directly influence on the efficacy of the case manager; rather it indirectly affects on it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This research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the reflective thinking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acy of the case manager. Based on this, this research proposes the practice of team learning, the introduction method of multilateral writing,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talent prize, and the flexibility of division work within their organization which can improve their capacity of the reflective thinking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 KCI등재

        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입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 향상 수준 및 영향요인 탐색

        이재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of high school self-directed learning admissio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creative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To do this, Longitudinal data of the high school self–directed learning entrance admission students were used, and the repeated measures mixed model analysis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elf-directed learning entrance admission students improved as the grade increased. Second,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ntrance year. Third, the level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student and school curriculum variables. Fourth,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improved creative thinking abil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private education decreased creative thinking ability. Fifth, school education activities, friendship, academic-oriented school culture,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mproved students' creative thinking ability.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입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 향상 수준을 알아보고 창의적 사고능력 향상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입학생의 3개년종단 데이터를 대상으로 반복측정 혼합모형 분석과 다층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입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은학년이 올라갈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고와 외고 및 국제고의 학교효과가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입학년도에 따라 창의적 사고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2016년 2학년 코호트는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다른코호트는 유의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천정효과로 인하여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생 및학교 과정 변인의 통제 여부에 따라 창의적 사고능력의 수준은 다르게 나타났다. 단순한 평균 비교를 할 때 나타나는한계를 다층선형모형 분석을 통해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넷째,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나학교 교육활동의 참여는 창의적 사고능력을 향상시켰으나 교과 사교육은 창의적 사고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나타났다. 사교육의 효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다섯째, 학교교육 활동, 친구관계, 학업 지향적 학교 문화, 교사 전문성이 학생의 창의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효과를개선하기 위하여 개인 및 부모 요인 이외에 학교의 과정변인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은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확인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개 대학의 3, 4학년 간호대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성격성향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68%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자기주도 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인다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nursing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two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disposition, which accounted for 68%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will be improved i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an be improved through the curriculum,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are increased by apply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grams.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미마(Park, Mi-M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써 기본간호학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비판적 사고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간호학과 2학년 학생 55명이며, 연구기간은 2020년 9월 1일부터 2020년 12월 15일까지였다. 블렌디드 러닝 교수법을 활용하여 기본간호학실습에서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Paired -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 활용한 기본간호학실습에서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간호학 선택동기와 관련하여 비판적 사고능력 점수가 높았으며(F=3.51, p=.037),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 점수((t=-2.26, p=.028)가 높았다. 블렌디드 러닝 교육 후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간호학 선택동기와 관련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F=3.74, p=.030), 비판적 사고성향(F=3.50, p=.037)의 점수가 유의하였다.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F=-5.14, p=.009) 점수가 높았으며,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t=-2.98, p=.004)와 비판적 사고성향(t=-3.55, p=.001)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실습 교육 전후에서 비판적 사고능력(t=-4.84, p<.00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t=-3.42, p=.001)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자기주도학습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예비간호사로서 요구되는 역량 증진을 위한 간호실습교육의 한 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 될 것이다. Objective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asic nursing skill.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using blend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as conducted.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nursing students from the 4-year nursing department located in Gwangju, and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15, 2020.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s were selected for blended learn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with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paired-test, and ANOV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score was high in relation to the motivation for choosing nur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sic nursing practice using blended learning (F=3.51, p=.037), and the nursing satisfaction, the academic self-efficacy score (t=-2.26, p=.028).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fter blended learning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3.74, p=.030)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 3.50, p=.037), students with excellent academic performance had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5.14, p=.009), and students nursing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5.14, p=.009). (t=-2.98, p=.004) and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t=-3.55, p=.001) scores were high. Critical thinking ability (t=-4.84, p<.001) before and after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using blend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t=-3.42,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ied with blend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ied with blended learning will be usefully utilized as a method of nursing practice education to improve the competency required as a pre-nursing nurse.

      • KCI등재

        다중전공 참여여부에 따른 학생의 융합적 사고, 자기주도적 사고, 진로계획 사고 성과분석

        서준혁,김영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0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articipating students and non-participating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outcomes that can be obtained when college students apply for and complete multiple majo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about convergence thinking, self-directed thinking, and career planning thinking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dummy variables were performe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learning outcome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nly convergence thinking in multiple majors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particular, convergence thinking can be defined as being able to think and act to create something in a new and innovative form through interaction between disciplines. The questionnaire on convergence thinking consists of 8 questions and investigates whether new values can be created by understanding knowledge and skills in various fields. However, self-directed thinking and career planning did not make any notabl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multiple majors. These results confirm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multi-major show greater convergence thinking that can create something in a new form after understanding various knowledge than students who do not participate. 본 연구는 대학생이 다중전공을 신청하고 이수하면 얻을 수 있는 학습성과에 대해서 참여학생과 참여하지 않은 학생을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융합적 사고, 자기주도적 사고, 진로계획 사고에 대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독립표본 t검정과 더미변수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학습성과 중 융합적 사고만 다중전공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이 참여하고 있지 않은 학생보다 성과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융합적 사고는 학문 간에 상호작용을 통해서 새롭고 혁신적인 형태로 무언가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융합적 사고의 설문 문항은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 조사한다. 다만, 자기주도적 사고와 진로계획 사고는 다중전공 참여 여부에 특별한 차이를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중전공에 참여하는 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다양한 지식을 이해한 후 새로운 형태로 무언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융합적 사고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사회과수업론으로서 ‘중간항의 이론’ 고찰

        남경희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2

        ‘사고의 왕복운동론’과 ‘지식의 성장론’에 터한 사회과 수업론으로서 ‘중간항의 이론 (中間項の理論)’을 제창한 카타카미 소우지(片上宗仁)는 종래의 문제해결형의 사회과 수업은 지식 획득론과 사고의 일방향론에 의해 구성되고 있어서 지식을 성장시키지 못한다고 비판 한다. 사고의 왕복운동론에서는 사고의 일방향론의 원천으로서 듀이의 사고의 5국면 이론에 기반을 둔 문제해결형의 수업 방식의 문제점을, 지식의 성장론에서는 문제해결형의 수업에 기반을 둔 획득형의 지식론은 지식의 성장 과정을 인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런 이유로 문제해결형이 아니라 의문주도형이나 대상수용형의 수업을 주장한다. 여기서는 일방통행형 사고가 아닌 왕복운동형 사고, 획득형의 지식이 아닌 성장형의 지식, 의문을 남 기지 않는 닫힌 형태의 수업이 아닌 심화된 의문을 남기는 열린 형태의 수업을 지향한다. 카 타카미의 수업 구성 이론은 추구할 학습 문제가 아동의 자주적인 문제의식에 의하여 아동 자신의 삶의 방식을 수정하고 변혁하여 가는 개성적인 문제의식으로 발전시켜 가려는 의도 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에 기초하여 수업 구성 시 아동의 주체적인 추구 활동과 지식의 성장 을 중시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아동의 사고나 지식을 고착화시켜서는 안 된다는 점을 경 계한다는 점에서 사회과 수업 구성의 관점과 지평을 확대해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