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감성 전략 활용으로 글쓰기 능력 기르기

        김영례 대구광역시교육위원회 2009 大邱敎育 Vol.- No.49

        감성을 길러주는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느끼고, 삶을 아름답게 가꾸어 갈 수 있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에 있어서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김영례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1 No.1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live in the period of great revolution.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nd neuroscience signals the post-human era as an object of manipulation of human mind or body. The development of neural network as artificial intelligence may cau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make us useless. Is the science future of utopia or dystopia? I think that the human nature gives us a clue to solve this problem. Humanity used to be the basis for maintenance of judgment of our identity, despite all the changes in the historical process. The human mind is still a mysterious black box that does not reveal itself, and we should not lose our essence through manipulation and improvement of the body. Kant's anthropology was used to reflect on our identity. The reliability of Kant's anthropology was supported by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Kant says that by the emotions of heart, morality, and sympathy, we can maintain social life as a dignified personal being. Man is not a thing but a dignified being because he is a moral being who acts on the basis of rightness rather than private interest. Now is the time to choose our future as the basis of rightness rather than utilitarian profit and loss calculation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never driven by the value of human life. The wisdom of Homo sapiens should be used for Scientific technology to advance for the real development of mankind.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우리는 대변혁의 시기에 서 있다. 생명공학, 신경과학의 발달은 인간의 정신이나 신체를 조작의 대상으로 삼아서 포스트휴먼의 시대를 예고한다. 신경망 인공지능의 발달은 제4차 산업혁명을 야기하여 우리를 쓸모없는 인간집단으로 만들지도 모른다. 과학이 추진하는 미래는 유토피아인가 디스토피아인가? 논자는 인간의 본질을 통해 이 문제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간성은 역사과정의 모든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판단을 지탱해준 근간이었다. 인간의 의식은 여전히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신비한 블랙박스며, 신체의 조작과 개선을 통해 우리의 본질을 잃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칸트의 인간학을 토대로 인간이 무엇인가를 성찰하였다. 칸트의 인간학에 대한 신뢰성은 뇌 과학의 정보를 통해 뒷받침하였다. 칸트는 마음과 도덕성 그리고 공감의 감정에 의해 우리가 존엄한 인격적 존재로서 사회적 삶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이 한낱 사물이 아니라 존엄한 존재인 것은 그가 사적 이익이 아니라 옮음을 근거로 행위 하는 도덕적 존재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공리주의적 손익계산이 아니라 옮음의 기준으로 우리의 미래를 선택해야 할 때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결코 인간 삶의 가치에 대한 어떤 비전에 의해 추동되지 않는다. 과학기술이 인류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호모 사피엔스의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 KCI등재

        애덤 스미스에 있어서 빈민 그리고 복지

        김영례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9 No.4

        In this article I am going to prove that The Wealth of Nation by A. Smith does not support the interests of the capitalist class but rather the well-being of poor people and that it has contributed i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s of distributive justice in modern times. Firstly, A. Smith had a different concept regarding the poor people than that of the common sense in his time. He believ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oor and the rich were caused not by innate capacity but by postnatal conditions. He said that the hypothesis that the poor are inferior to the rich was formed by social prejudice. Secondly, A. Smith argued that since the majority of the people are poor and the role of the wealth of nation is to provide people with their necessities, this should be used for increasing enough the salary and provision of necessities for the poor. Thirdly, it is the purpose of nature that all human beings lead happy lives. The poor, having no chance to be educated due to their poverty, should be given compulsorily elementary education and good salaries in order to lead a proper way of life. The financial resources for this well-being should be raised by the collection of taxes from the rich through a graded tariff system. Fourthly, A. Smith believed that the capitalist class is the one who deceives and suppresses the society for the sake of their own interests, which a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common interests. The goal of governance is to promote the happiness of people. Laws and government should attempt to reduce the degree of the financial gap between the classes, in terms of mutual cooperation for the public well-being. Therefore, they should not justify the unjust means of suppression of the rich over the poor and the maintenance of the unequal distribution of goods. In conclusion, A. Smith argued that the decrease or abolition of the poor’s poverty can be caused not by the grace of God, but by the duty of the state and that the poor are entitled to the right to live with happiness. This means that the goal of The Wealth of Nation is not for the increase of the wealth of the rich but for the improvement of the well-being of the poor. Based upon this argument A. Smith was a pioneer of the creation of a new concept of welfare in modern times. 본 논문의 목적은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이 자본가 계급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빈민의 복지를 옹호함과 아울러 근대의 분배적 정의 개념의 탄생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는, 첫째 그는 빈민을 당시의 상식과는 다르게 본다. 스미스는 부자와 빈민의 격차가 선천적 능력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후천적 조건 탓이라고 한다. 빈민이 열등하다는 당시의 인식은 사회적 산물일 뿐이다. 둘째, 국부란 국민의 생필품을 충분하게 공급하는 것이고, 국민의 대다수가 가난한 노동자이므로, 결국 국부란 빈민이 많은 임금을 받고 생필품을 풍부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셋째, 인류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것이 자연의 목적이다. 빈곤한 탓에 교육받지 못하는 빈민들도 기초적인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고 그들의 임금도 올려야 한다. 복지재원은 부자에게 세금을 차등 부과하여 마련해야 한다. 넷째, 자본가 계급은 공공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는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사회를 기만하고 억압하는 계급이다. 통치의 목적은 국민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법과 정부는 부자가 빈자를 억압하고 재화의 불균등한 분배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공공의 복지를 위해 서로 힘을 합침으로써 계급간의 부의 격차를 줄이도록 해야 한다. 요컨대 스미스는 빈민의 빈곤을 덜거나 없애는 것은 은총의 행위가 아니라 국가의 의무이며, 빈민도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음을 주장한다. 이는 『국부론』의 목적이 자본가의 부를 증진하는 것이 아니라 빈민의 복지향상이며, 이를 통해 그가 근대 복지개념 탄생에 첫 발을 내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아유르베다 체험의 교육적 의미: “건강하게 사는 방법의 발견을 통한 의식의 확장”

        김영례,김민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敎育問題硏究 Vol.36 No.3

        We aimed to interpret the 10 Ayurveda experts’ experiences through Van Mannon's hermeneutic phenomenology. After interview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analyzing 162 meaningful statements in 9 themes, we organized the 9 themes into 3 categories: the contexts of Ayurvedic experiences, the contents of Ayurvedic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meanings of Ayurvedic experiences. The 10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Ayurveda program to heal their bodies and minds, which were the bottom of their lives, and to prepare for a second life as counsel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learned the theory of Ayurveda, changed their diet and lifestyle, and furthermore, awakened to a self-directed lif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Ayurvedic experiences were found as following: 'discovery of ways to live health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is study implied that Ayurveda will be helpful to educational growth of all people who pursue health as well as Ayurvedic expert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이 연구는 인도의 자연치유학문인 아유르베다에 대한 성인의 체험을 교육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아유르베다를 통해 건강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삶의 지혜를 전달하고자 아유르베다 전문가 성인 10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체험연구에 적합한 밴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연구를 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인터뷰를 162개의 의미 있는 진술로 정리하고, 이 진술을 통해 23개의 명확히 나타난 의미로 분류하고 9개의 주제로 축약한 뒤, ‘아유르베다 체험의 맥락, 체험의 내용 및 체험의 교육적 의미’ 등 3개의 범주로 구성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몸과 마음 치유하기,’ ‘대중적 삶을 벗어나기,’ ‘제 2의 인생준비’를 위해 아유르베다 공부를 시작했다. 연구참여자는 ‘아유르베다 경전 학습’을 통해 ‘식이요법과 생활습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건강하게 사는 방법을 발견’했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의 체험을 ‘삶의 질 향상,’ ‘관점의 변화,’ ‘의식의 확장’ 등 교육적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아유르베다 체험이 상담전문가만이 아니라 건강을 추구하는 모든 사람의 교육적 성장에 도움이 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100세 시대와 죽음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

        김영례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건지인문학 Vol.0 No.21

        My purpose in this paper is to justify the necessity of death reflection. Death reflection is one way of solving the problems of hospice in current medical fields. Our society prepares for the age of 100-year, but unfortunately is interested only in health and economic aspects.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ath reflection in criticizing this aspect of our society. So in the chapter 2 I deal with the age of 100- year and the culture of death in our society, in the chapter 3 present philosophical study of death, and in the chapter 4 deal with the necessity and lessons of death reflection. In the consideration of 100-year long life, the death is being forgotten in our society, even if we already have entered the era of aging society. It is not good. Korea's death quality index, assess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s the lowest in the world. Without further treatment, what we need to rely on is not the state of the hi-tech medical devices, but the acceptance of death. It is the greatest tragedy for a human being to die without a chance to organize the end of his life, without a chance to give meaning to his life and death. To prevent this tragedy, it is the reflection of death that we must prepare like an essential item in the age of aging. Through death reflection, we can face death, understand it properly, and have willingness to accept death, so we can happily spend old age.

      • KCI등재

        칸트 철학에서 도식과 언어

        김영례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99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Kant's schematics consist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s, and to consider the linguistic aspects of Kant's epistemology. This is an attempt at a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Kant's philosophy can be called linguistics. Since thought and language are so closely related, the study of how humans create the concept of objects always requires an explanation of how human perception is achieved. The question of the system of thought, therefore, is how we perceive the world and express it in words. And this question leads us to naturally assume that there are inherent principles that enable the use of language in our mind and brain. If we accept without doubt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system of knowledge and the system of language composition, we must accept the principles fixed in language capacity as part of a physiologically endowed human organism. Since Kant's schematic theory is an explanation for it, I think that Kant's epistemology can be called linguistics and justifies it in this paper. 본 연구는 칸트의 「도식론」을 ‘언어론’의 관점에서 일관되게 판독함으로써 칸트 인식론의 언어적 측면을 「도식론」에 한정하여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칸트철학이 언어론으로 불릴 수 있는가’ 하는 의문에 대한 긍정적인 답의 한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사고와 언어는 불가분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인간이 어떻게 대상에 대한 개념을 만드는가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인간의 인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해명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사고의 체계에 대한 물음은 곧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여 말로 표현하는가를 묻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물음은 우리의 정신과 두뇌 속에 언어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들이 내재해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가정하도록 이끈다. 만일 우리가 지식의 체계와 언어구성의 체계가 구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고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언어능력에 고정되어 있는 원리들을 생리적으로 부여된 인간 유기체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칸트의 「도식론」은 개념 형성에 대한 해명이기 때문에 논자는 칸트 인식론이 ‘언어론’으로 읽힐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을 정당화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칸트 인식론에서 표상과 상상력: 심신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김영례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6 No.3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teraction of mind and body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oncept creation in Kantian epistemology with a focus on representation and imagination. The task of Kant's epistemology is to elucidate and persuade the process by which an object is transformed into a concept. It is the mechanism by which the subject generates concepts from external representations. It contains three key issues. First, through what process does the representation, which is an external sense, combine with the subject to produce a concept? Second, what is the subject that performs thought in this process? Third, how the mind and body interact in the process of combining representation and subjectivity. We are given only the miscellaneous qualities of an object through our five senses. Therefore, in order for the subject to transform into a concept by embodying miscellaneous representations from moment to moment, fundamentally one and the same personality must be presupposed. For this reas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subjectivity, the linguistic transformation of the representation, and the nature of the subject become important issues. In particular, the linguistic conversion process of representation is intertwined with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the subject, but also the problem of mind-body interaction related to the creation of a concept through the physical process of the brain. Despite the fact that various scientific explanations have been presented by the recently rapidly developed neuroscience, the problem of mind-body interaction is still in the dark due to the limitations of experience. The author will examine the modern significance of Kant's representation theory by referring to scientific explanations. 본 논문의 목표는 칸트 인식론에서 표상과 상상력을 중심으로 개념이 생성되는 과정을 고찰함에 의해 심신의 상호 작용을 검토하는 것이다. 순수이성비판 의 「분석론」까지의 칸트의 과제는 대상이 개념으로 전환되는 과정, 즉 주관이 외적 표상들로부터 개념을 생성하는 메커니즘을 해명하고 설득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 핵심문제가 포함되어 있다. 첫째, 외적 감각인 표상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주관과 결합하여 개념으로 전환되는가, 둘째, 이때 사유작용을 하는 주체는 무엇인가, 셋째 표상과 주관의 결합과정에서 심신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가 이다. 우리에게는 오감을 통해 대상에 대한 잡다한 성질만이 주어진다. 따라서 주관이 시시각각의 잡다한 표상들을 형상화 하여 개념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하나의 동일한 인격이 전제되지 않으면 안 된다. 아울러 생성된 개념이 객관성과 보편타당성을 획득하지 못한다면, 불일치로 인한 소통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로 인해 표상과 주관과의 결합관계, 표상의 언어화 과정 그리고 주관의 성격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특히 표상이 언어화 되는 과정에는 대상과 주관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뇌의 물리적 과정을 통해 개념이 생성되는 심신의 상호작용 문제도 맞물려 있다. 심신문제는 최근 급격히 발달한 신경과학에 의해 다양한 과학적인 설명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경험의 한계로 인해 여전히 암중모색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논자는 과학적인 설명을 참고하면서 칸트의 표상론이 가진 현대적 의의도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예술, 기술, 상상력에 대한 철학적 고찰 -인공지능의 예술성을 중심으로-

        김영례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2 No.3

        현재 예술계에서의 인공지능의 활발한 활동이 예술계의 심각한 위기로 인식되면서 인공지능 작품의 예술성에 대한 논란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예술성의 본질에 대한 명료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과 인공지능의 예술창작 과정에서의 본질적 차이를 통해 양자의 예술성의 차이가 밝혀진다면, 인공지능의 작품을 예술품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도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논자는 기술, 예술, 상상력의 관계를 통해 그 차이를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자신의 미적 이념의 형상을 그의 상상력과 기술을 통해 독창적으로 실현한다. 그러나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전체적 패턴을 인식하지 못하는 근시인데다, 컴퓨터예술가가 만든 제어 프로그램 상에서 활동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컴퓨터예술가의 의도대로 작품을 구성한다. 따라서 인공지능의 예술작품은 모방적인 기계적 예술에 불과하여 창작이라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In modern times the creative activ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ems to be serious problems in the art world, causing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artistic creativity of A.I. is really art or not. It seems to me that this kind of controversies can be solved through a clear understanding what the essence of artistic creativity is like. If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human beings and A.I. in terms of the process of creative activity, I think the controversy over whether A.I. is a true artist and whether their works is truly artistic would be solved. So I am going to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art, technology, and imagination that could be a key to give a light on this kind of difference. It is evident that human beings are trying to fulfill the form of his aesthetic ideology through his imagination and technology. However, it is said that the A.I. algorithms seem to be shortsighted, unable to recognize overall patterns, and activate only as tools for artists because they have no choice but work as the programs created by the computer artist control. As a result their works cannot be regared as creative. They are just mechanical artworks that imitate only human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